오늘날과 옛날의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오늘날과 옛날의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작성일 2007.06.17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는 오늘날과 옛날의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을 많이 알고 싶습니다.

되도록이면 많이요.

그리고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내용이요.(5학년 사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옛날-

저수지 : 논농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녀 가뭄과 홍수를 조절함.

 

사직단 : 재난 없이 농사를 짓기 위해 사직단에서 왕이 직접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냄.

 

설피 : 눈에 빠지지 않도록 칡, 노, 새끼를 엮어서 신발 바닥에 댐

 

오늘날-

 

댐 건설 : 홍수 때 물을 저장하고, 가뭄이 들 때에는 필요한 물을 공급해 줌.

 

방파제 : 큰 파도로부터 배를 보호하고 해일의 피해를 줄임

 

사방공사 : 홍수와 산사태에 대비하여 나무를 심거나 돌로 축대를 쌓음.

 

기상 예보 : 기상을 예측하여 재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알려줌.

 

인공강우 : 비가 필요한 지역에 인공적으로 비를 내려 가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자동 우량 경보기 : 일정한 양 이상의 비가 내리면 경보음을 내도록 되어 있는 자동 우량 경보기를 사용함.

이거라도요.......

죄송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자인사 고마워요

1.옛날의 자연재해 극복

홍 수: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때문에 물을 막 아 저수지를만들었다. 그리하여 비가 많이 올 때 물을 받아 두었다. 또 세종대왕 때는 장영실이 만들어낸 측우기를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가 뭄: 마찬가지로 저수지를 만들어 비가 오지 않을 때 가두어 둔 물을이용하여 농사를 지었거나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습니다.

기 후: 숲이 울창한 산림 지역,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서는 나무로 만든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한 너와집을지었다. 그리고 대체로 더운 남부지방에서는 마루를, 대체로 추운 북부지방에서는 온돌을 만들었습니다.

폭 설:눈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칡, 노, 새끼를 얽어서 설피를 만들어 신발 바닥에 대었습니다.

산사태: 옛날에는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무를 보호하고 심는것이 최선이었습니다.

 

2.오늘날의 자연재해 극복

홍수 및 가뭄: 인공숲,저수지 및 댐을 건설한다.

태 풍: 방파제,방풍림를 단단히 세우고 위험한 숙대등을 미리 손봄 갯벌오염 시키지 않는다.

해 일: 작은 배는 해안가 육지로 올리고 , 일기예보방송을 미리 듣고 대피한다. 방조제시설을 확충한다.

번 개: 피뢰침을 설치한다.

산 사 태: 산에 나무를 많이 심고 사방 공사를 한다.수로정비를 한다.

지 진: 예측이 중요하지만 건물을 지을 때 지진의 진동에 잘 견디 는 재질이나 공법을 사용한다.안전한 건물과 대피요령을 지킨다

지구온난화:자동차사용 줄임,전자레인지사용을 줄이고 공장을 줄인다.

화산폭발:화산주위에 건물을 짓지 말고 건물을 짓더래도 활화산인지 확인하고 지으며 3달에 1번씩 검사를한다.

우박:비닐하우스를 튼튼하게 짓고 기둥을 여러개 세워놓아서 피해를 줄인다.

그밖의 자연 재해

폭설,냉해,호우,눈사태등이있습니다.

 

3.계절에 따른 자연재해

1.봄~초여름(4월~6월): 가뭄의 피해를 많이 입습니다. 황사현상이 일어납니다.

2.여름철(6월~8월):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의 피해가 큽니다.

3.여름~초가을(8월~10월): 태풍과 호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산사태 물론 비가 많이와서우박피해로 인한 작물의 피해가 있겠습니다.

4.겨울철(12월~2월): 폭설과 눈사태가 많이 일어납니다.

지역에 따른 자연재해

산간지방: 여름철에는 산사태가 발생하며, 겨울철에는 눈사태가 많이 발생 합니다.

강 하류 지방: 평야 주변에는 큰강이 흐르고 있어 비가 많이 오면 홍수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또 강이 흐르는 지역은 홍수로 인하여 농경지가 침수됩니다.

해안지방: 태풍에 영향으로 해안지방과 섬 지방에서 해일의 피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는 홍수(집중호우)피해가 제일 많고 그다음에가 태풍입니다.

 

태풍입니다.(가운데가 태풍의 눈입니다.시계반대방향으로 돕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저도 숙제중에 답변드려요^^

 

옛날

1.하늘,산,강에 제사를 지내고 기우제를 올렸다.

2.수리시설:우리 조상들은 가뭄과 홍수를 막고 벼농사를짓기 위하여

저수지 등 물을 관리하기 위한 수리 시설을 만들어 이용하였다.

3.사직단:조선 시대에는 재난 없이 농사가 잘 되기를 기원하며 사직단에서 왕이 직접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4.나라에서는 자연 재해로 흉년이 들면 곡식을 풀어 나누어 주거나, 종자와 농사지을 도구를 나누어 주는 등 백성들을 도왔다.

5.측우기와 수표:조선 시대 세종대왕 때에 측우기를 발명하여 비가 오는 양을 재었으며

다리에 수표를 설치하여 강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6.수차:수차는 가뭄에 대비한 일종의 양수기로서 고려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사람이 발을 이용하여 ㅅ차를 돌려 논에 물을 대었다.

7. 첨성대 등의 천문 관측 시설을 만들어 날씨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오늘날

1.댐 건설:강의 상류에 댐을 쌓아 비가 내릴 때 물을 가두어 피해를 줄인다.

2. 방파제: 큰 파도로부터 배를 보호하고 해일의 피해를 줄인다.

3. 기상 예보:과학적으로 기상을 예측하여 재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알려 준다.

4.자동 우량 경보기:일정한 양 이상의 비가 내리면 경보음을 내어 알려준다.

5. 기상 레이더와인공 위성은 자연 재해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6. 인공 강우 연구 등 사람의 힘으로 자연 재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옛날의 자연재해 극복

홍 수: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때문에 물을 막 아 저수지를만들었다. 그리하여 비가 많이 올 때 물을 받아 두었다. 또 세종대왕 때는 장영실이 만들어낸 측우기를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가 뭄: 마찬가지로 저수지를 만들어 비가 오지 않을 때 가두어 둔 물을이용하여 농사를 지었거나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습니다.

기 후: 숲이 울창한 산림 지역,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서는 나무로 만든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한 너와집을지었다. 그리고 대체로 더운 남부지방에서는 마루를, 대체로 추운 북부지방에서는 온돌을 만들었습니다.

폭 설:눈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칡, 노, 새끼를 얽어서 설피를 만들어 신발 바닥에 대었습니다.

산사태: 옛날에는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무를 보호하고 심는것이 최선이었습니다.

 

2.오늘날의 자연재해 극복

홍수 및 가뭄: 인공숲,저수지 및 댐을 건설한다.

태 풍: 방파제,방풍림를 단단히 세우고 위험한 숙대등을 미리 손봄 갯벌오염 시키지 않는다.

해 일: 작은 배는 해안가 육지로 올리고 , 일기예보방송을 미리 듣고 대피한다. 방조제시설을 확충한다.

번 개: 피뢰침을 설치한다.

산 사 태: 산에 나무를 많이 심고 사방 공사를 한다.수로정비를 한다.

지 진: 예측이 중요하지만 건물을 지을 때 지진의 진동에 잘 견디 는 재질이나 공법을 사용한다.안전한 건물과 대피요령을 지킨다

지구온난화:자동차사용 줄임,전자레인지사용을 줄이고 공장을 줄인다.

화산폭발:화산주위에 건물을 짓지 말고 건물을 짓더래도 활화산인지 확인하고 지으며 3달에 1번씩 검사를한다.

우박:비닐하우스를 튼튼하게 짓고 기둥을 여러개 세워놓아서 피해를 줄인다.

그밖의 자연 재해

폭설,냉해,호우,눈사태등이있습니다.

 

3.계절에 따른 자연재해

1.봄~초여름(4월~6월): 가뭄의 피해를 많이 입습니다. 황사현상이 일어납니다.

2.여름철(6월~8월):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의 피해가 큽니다.

3.여름~초가을(8월~10월): 태풍과 호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산사태 물론 비가 많이와서우박피해로 인한 작물의 피해가 있겠습니다.

4.겨울철(12월~2월): 폭설과 눈사태가 많이 일어납니다.

지역에 따른 자연재해

산간지방: 여름철에는 산사태가 발생하며, 겨울철에는 눈사태가 많이 발생 합니다.

강 하류 지방: 평야 주변에는 큰강이 흐르고 있어 비가 많이 오면 홍수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또 강이 흐르는 지역은 홍수로 인하여 농경지가 침수됩니다.

해안지방: 태풍에 영향으로 해안지방과 섬 지방에서 해일의 피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는 홍수(집중호우)피해가 제일 많고 그다음에가 태풍입니다.

 

태풍입니다.(가운데가 태풍의 눈입니다.시계반대방향으로 돕니다.)


가뭄입니다.(땅이 쩍쩍갈라집니다.)


홍수(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입니다.


폭설입니다.(눈사태를 불러일으킬수 있습니다.)


우박입니다.(가장 큰 것은 지름이14cm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오늘날과 옛날의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을 많이 안다

옛날-

저수지 : 논농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녀 가뭄과 홍수를 조절함.

 

사직단 : 재난 없이 농사를 짓기 위해 사직단에서 왕이 직접 땅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냄.

 

설피 : 눈에 빠지지 않도록 칡, 노, 새끼를 엮어서 신발 바닥에 댐

 

오늘날-

 

댐 건설 : 홍수 때 물을 저장하고, 가뭄이 들 때에는 필요한 물을 공급해 줌.

 

방파제 : 큰 파도로부터 배를 보호하고 해일의 피해를 줄임

 

사방공사 : 홍수와 산사태에 대비하여 나무를 심거나 돌로 축대를 쌓음.

 

기상 예보 : 기상을 예측하여 재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국민들에게 알려줌.

 

인공강우 : 비가 필요한 지역에 인공적으로 비를 내려 가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자동 우량 경보기 : 일정한 양 이상의 비가 내리면 경보음을 내도록 되어 있는 자동 우량 경보기를 사용함.

이거라도요.......

죄송합니다...

옛날의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저는 오늘날과 옛날의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을 많이 알고 싶습니다. 되도록이면 많이요. 그리고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내용이요.(5학년 사회) 저는 오늘날과 옛날의...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옛날오늘날자연 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조사해 보자.'라고사회책에 있는데요 부탁합니다. 옛날의 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저수지 :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오늘날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

옛날오늘날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좀 알려주세요 급함~~~~ 내공 30 빨리 1.옛날의 자연재해 극복 홍 수: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때문에 물을 막 아...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

옛날오늘날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좀 알려주세요 내공30임다.내일 아침까지 안녕하세요 쭌입니다. 옛날- 저수지 : 논농사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녀 가뭄과 홍수를...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

... 옛날의 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저수지 :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2.오늘날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둑에 제방을 높고 튼튼하게 쌓아 홍수에...

옛날오늘날자연재해극복하기...

옛날오늘날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방법 비교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초딩5입니다. (내공냠냠족 무조건 신고) 복사글도 허용 됩니다. 하지만 꼭!! 옛날오늘날의...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

... 옛날의 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저수지 :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오늘날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둑에 제방을 높고 튼튼하게 쌓아 홍수에...

자연재해극복하기 위한 노력

... 옛날의 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저수지 :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오늘날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둑에 제방을 높고 튼튼하게 쌓아 홍수에...

옛날오늘날자연 재해 극복노력...

... 선생님이 옛날오늘날의 재해극복 노력을 조사해 오라네여 되도록 이면 빨리 해... 피해를 줄인다. 그밖의 자연 재해 폭설,냉해,호우,눈사태등이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옛날 조상들은 자연 재해극복하기...

... 옛날의 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저수지 : 옛날에는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오늘날자연 재해 극복을 위한 노력 (1) 둑에 제방을 높고 튼튼하게 쌓아 홍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