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에대해서..급해요~!!!!!!

유네스코에대해서..급해요~!!!!!!

작성일 2006.12.02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있잔아요..
유네스코에서 문화재르 보유한 국가명. 문화재 명. 문화재의 문화 역사적가치
그유적지나 기록문에 담긴 역사나 숨은 이야기
사진자료..

우리문화제중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될 때의 과정 알아보기..
그 유적지나 기록물에 담긴역사나 숨은 이야기
사진자료

우리문화 중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것을 골라 추천하기
유적지. 전통 노래. 무용 .책 .전통 무예등...

추천하는이유..추천 문화재의 훌륭한 점 등...자세히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유네스코 지정 문화재 부터 알려 드릴께요^^

하나! 경주역사유적지구

자세힌 모르지만,  남산지구, 월성지구,대릉원지구,황룡사지구,산성지구 로 나뉘구요,,

두울!! 석굴암

이것 역시 경주에 있어요

세엣!!! 불국사

이것도 경주에 위치하고 있죠. 다보탑, 무영탑 등등이 있어요

경주에는 통일신라시대의 도읍지라 그런지 문화재가 많네요.

유네스콘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포석정이랑, 첨성대가 있어요

4학년2학기 교과에 나오죠,,

네엣!!!! 종묘

이것은 한양 즉 서울에 위치하고 있어요.

임금의 차례를 지내는 곳이죠,, 가로로 길게 해 놓은게 특징이에요

다서엇!!!!! 창덕궁

자세힌 모르지만 이 궁궐은 화재가 꾀나 많이(?) 일어났나봐요. 그래서 여러번 고쳤데요.

여서엇!!!!!! 수원화성

조선 정조임금때 정약용의 거중기를 이용해 싸은 화성이에요.

일고옵!!!!!!! 해인사 장경판전

몽골의 침략을 받아, 처음에 있었던 장경판전이 사라져서 따른내용으로 새로 만든거랍니다. 부처님의 뜻이 담겨있다고 하죠

여덟!!!!!!!! 고인돌유적

고인돌은 고창 화순 강화에 있어요.

고창에 있는 고인돌은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고인돌이 있어요.

화순은요. 고인돌을 만드는 채석장이 발견 되었다고 합니다.

그다음 강화도에 있는 고인돌은요. 우리나라 최대의 북방식 고인돌이 있대요

고인돌은 북방식, 남방식, 개석식, 바둑식 등등이 있다는거 아시죠?

세계무형유산은 종묘제례, 종묘제례악, 판소리 등이 있죠.

종묘제례는요. 종묘 제례악이랑 같이 쓰는 건데

유네스코 지정문화재에 종묘라고 보이시죠?

거기서 쓰는거죠.

판소리는 가야금인가 거문고 가지고 연주를 하면서 어떤 말을 하는 거에요.

세계기록유산은요. 훈민정음, 승정원일기, 직지심체요절, 조선왕족실록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처음 만들었다는 한글이라고 보면되죠.

승정원일기 따른말로 정원일기라고 해요

골든벨에서 독서 골든벨 할때 50번 문제에 '승정원일기'가 답이였죠.

직지심체요절은요. 프랑스에 있어요.

조선왕족실록은 말그대로 우리나라 왕족에 무슨일이 있었는지 기록되어 있는거에요.

그럼 이것으로 답변 마칠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유네스코 가입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명

가입연도

지역

가나 Ghana 1958년 4월 11일

아프리카

가봉 Gabon 1960년 11월 16일

아프리카

가이아나 Guyana 1967년 3월 21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감비아 Gambia 1973년 8월 1일

아프리카

과테말라 Guatemala 1950년 1월 2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그레나다 Grenada 1975년 2월 17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그루지야 Georgia 1992년 10월 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그리스 Greece 1946년 11월 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기니 Guinea 1960년 2월 2일

아프리카

기니비사우 Guinea-Bissau 1974년 11월 1일

아프리카

나미비아 Namibia 1978년 11월 2일

아프리카

나우루 Nauru 1996년 10월 17일

아시아·태평양

나이지리아 Nigeria 1960년 11월 14일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South Africa (3) 1994년 12월 12일

아프리카

네덜란드 Netherlands 1947년 1월 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네팔 Nepal 1953년 5월 1일

아시아·태평양

노르웨이 Norway 1946년 11월 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뉴질랜드 New Zealand 1946년 11월 4일

아시아·태평양

니우에 Niue 1993년 10월 26일

아시아·태평양

니제르 Niger 1960년 11월 10일

아프리카

니카라과 Nicaragua 1952년 2월 22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덴마크 Denmark 1946년 11월 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도미니카공화국 Dominican Republic 1946년 11월 4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도미니카연방 Dominica 1979년 1월 9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독일 Germany 1951년 7월 1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동티모르 Timor-Leste 2003년 6월 5일

아시아·태평양

라오스 Laos People's Democratic Republic 1951년 7월 9일

아시아·태평양

라이베리아 Liberia 1947년 3월 6일

아프리카

라트비아 Latvia 1991년 10월 1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러시아 Russian Federation 1954년 4월 2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레바논 Lebanon 1946년 11월 4일

아랍국가

레소토 Lesotho 1967년 9월 29일

아프리카

루마니아 Romania 1956년 7월 2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룩셈부르크 Luxembourg 1947년 10월 2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르완다 Rwanda 1962년 11월 7일

아프리카

리비아 Libyan Arab Jamahiriya 1953년 6월 27일

아랍국가

리투아니아 Lithuania 1991년 10월 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1960년 11월 10일

아프리카

마셜 Marshall Islands 1995년 6월 30일

아시아·태평양

마케도니아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1993년 6월 28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말라위 Malawi 1964년 10월 27일

아프리카

말레이시아 Malaysia 1958년 6월 16일

아시아·태평양

말리 Mali 1960년 11월 7일

아프리카

멕시코 Mexico 1946년 11월 4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모나코 Monaco 1949년 7월 6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모로코 Morocco 1956년 11월 7일

아랍국가

모리셔스 Mauritius 1968년 10월 25일

아프리카

모리타니 Mauritania 1962년 1월 10일

아랍국가

모잠비크 Mozambique 1976년 10월 11일

아프리카

몰도바 Republic of Moldova 1992년 5월 2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몰디브 Maldives 1980년 7월 18일

아시아·태평양

몰타 Malta 1965년 2월 10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몽골 Mongolia 1962년 11월 1일

아시아·태평양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5) 2003년 10월 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미얀마 Myanmar 1949년 6월 27일

아시아·태평양

미크로네시아 Micronesia (Federated States of) 1999년 10월 19일

아시아·태평양

바누아투 Vanuatu 1994년 2월 10일

아시아·태평양

바레인 Bahrain 1972년 1월 18일

아랍국가

바베이도스 Barbados 1968년 10월 24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바하마 Bahamas 1981년 4월 23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방글라데시 Bangladesh 1972년 10월 27일

아시아·태평양

베냉 Benin 1960년 10월 18일

아프리카

베네수엘라 Venezuela 1946년 11월 25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베트남 Viet Nam 1951년 7월 6일

아시아·태평양

벨기에 Belgium 1946년 11월 29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벨라루스 Belarus 1954년 5월 12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벨리즈 Belize 1982년 5월 10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osnia and Herzegovina

1993년 6월 2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보츠와나 Botswana 1980년 1월 16일

아프리카

볼리비아 Bolivia 1946년 11월 13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부룬디 Burundi 1962년 11월 16일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 Burkina Faso 1960년 11월 14일

아프리카

부탄 Bhutan 1982년 4월 13일

아시아·태평양

북한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74년 10월 18일

아시아·태평양

불가리아 Bulgaria 1956년 5월 1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브라질 Brazil 1946년 11월 4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브루나이 Brunei Darussalam 2005년 3월 17일

아시아·태평양

사모아 Samoa 1981년 4월 3일

아시아·태평양

사우디아라비아 Saudi Arabia 1946년 11월 4일

아랍국가

사이프러스 Cyprus 1961년 2월 6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산마리노 San Marino 1974년 11월 12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상투메프린시페 Sao Tome and Principe 1980년 1월 22일

아프리카

세네갈 Senegal 1960년 11월 10일

아프리카

세르비아공화국 Serbia and Montenegro (2) 2000년 12월 20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세이셸 Seychelles 1976년 10월 18일

아프리카

세인트루시아 Saint Lucia 1980년 3월 6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1983년 1월 14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세인트키츠네비스 Saint Kitts and Nevis 1983년 10월 26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소말리아 Somalia 1960년 11월 15일

아랍국가

솔로몬제도 Solomon Islands 1993년 9월 7일

아시아·태평양

수단 Sudan 1956년 11월 26일

아랍국가

수리남 Suriname 1976년 7월 16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스리랑카 Sri Lanka 1949년 11월 14일

아시아·태평양

스와질란드 Swaziland 1978년 1월 25일

아프리카

스웨덴 Sweden 1950년 1월 23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스위스 Switzerland 1949년 1월 28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스페인 Spain 1953년 1월 30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슬로바키아 Slovakia 1993년 2월 9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슬로베니아 Slovenia 1992년 5월 2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시리아 아랍 공화국 Syrian Arab Republic 1946년 11월 16일

아랍국가

시에라리온 Sierra Leone 1962년 3월 28일

아프리카

아랍에미리트 연방 United Arab Emirates 1972년 4월 20일

아랍국가

아르메니아 (Armenia) 1992년 6월 9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아르헨티나 (Argentina) 1948년 9월 15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아이슬란드 Iceland 1964년 6월 8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아이티 Haiti 1946년 11월 18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아일랜드 Ireland 1961년 10월 3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아제르바이잔 Azerbaijan

1992년 6월 3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아프가니스탄 (Afghanistan)

1948년 5월 4일

아시아·태평양

안도라 (Andorra)

1993년 10월 20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알바니아 (Albania)

1958년 10월 16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알제리 (Algeria)

1962년 10월 15일

아랍국가

앙골라 (Angola) 1977년 3월 11일

아프리카

앤티가바부다 (Antigua and Barbuda)

1982년 7월 15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에리트레아 Eritrea 1993년 9월 2일

아프리카

에스토니아 Estonia 1991년 10월 1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에콰도르 Ecuador 1947년 1월 22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에티오피아 Ethiopia 1955년 7월 1일

아프리카

엘살바도르 El Salvador 1948년 4월 28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영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4) 1997년 7월 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예멘 Yemen 1962년 4월 2일

아랍국가

오만 Oman 1972년 2월 10일

아랍국가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

1946년 11월 4일

아시아·태평양

오스트리아 Austria

1948년 8월 13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온두라스 Honduras 1947년 12월 16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요르단 Jordan 1950년 6월 14일

아랍국가

우간다 Uganda 1962년 11월 9일

아프리카

우루과이 Uruguay 1947년 11월 8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우즈베키스탄 Uzbekistan 1993년 10월 26일

아시아·태평양

우크라이나 Ukraine 1954년 5월 12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이라크 Iraq 1948년 10월 21일

아랍국가

이란 Iran (Islamic Republic of) 1948년 9월 6일

아시아·태평양

이스라엘 Israel 1949년 9월 16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이집트 Egypt 1946년 11월 4일

아랍국가

이탈리아 Italy 1948년 1월 27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인도네시아 Indonesia 1950년 5월 27일

아시아·태평양

인디아 India 1946년 11월 4일

아시아·태평양

일본 Japan 1951년 7월 2일

아시아·태평양

자메이카 Jamaica 1962년 11월 7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잠비아 Zambia 1964년 11월 9일

아프리카

적도기니 Equatorial Guinea 1979년 11월 29일

아프리카

중국 China 1946년 11월 4일

아시아·태평양

중앙아프리카공화국 Central African Republic 1960년 11월 11일

아프리카

지부티 Djibouti 1989년 8월 31일

아랍국가

짐바브웨 Zimbabwe 1980년 9월 22일

아프리카

차드 Chad 1960년 12월 19일

아프리카

체코 Czech Republic 1993년 2월 22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칠레 Chile 1953년 7월 7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카자흐스탄 Kazakhstan 1992년 5월 22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카타르 Qatar 1972년 1월 27일

아랍국가

카메룬 Cameroon 1960년 11월 11일

아프리카

카보베르데 Cape Verde 1978년 2월 15일

아프리카

캄보디아 Cambodia 1951년 7월 3일

아시아·태평양

캐나다 Canada 1946년 11월 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케냐 Kenya 1964년 4월 7일

아프리카

코모로 Comoros 1977년 3월 22일

아프리카

코스타리카 Costa Rica 1950년 5월 21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코트디부아르 Côte d'Ivoire 1960년 10월 27일

아프리카

콜롬비아 Colombia 1947년 10월 31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콩고 Congo 1960년 10월 24일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1960년 11월 25일

아프리카

쿠바 Cuba 1947년 8월 29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쿠웨이트 Kuwait 1960년 11월 18일

아랍국가

쿡제도 Cook Islands 1989년 10월 25일

아시아·태평양

크로아티아 Croatia 1992년 6월 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키르기스스탄 Kyrgyzstan 1992년 6월 2일

아시아·태평양

키리바시 Kiribati 1989년 10월 24일

아시아·태평양

타지키스탄 Tajikistan 1993년 4월 6일

아시아·태평양

탄자니아 United Republic of Tanzania 1962년 3월 6일

아프리카

태국 Thailand 1949년 1월 1일

아시아·태평양

터키 Turkey 1946년 11월 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토고 Togo 1960년 11월 17일

아프리카

통가 Tonga 1980년 9월 29일

아시아·태평양

투발루 Tuvalu 1991년 10월 21일

아시아·태평양

투르크메니스탄 Turkmenistan 1993년 8월 17일

아시아·태평양

튀니지 Tunisia 1956년 11월 8일

아랍국가

트리니다드토바고 Trinidad and Tobago 1962년 11월 2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파나마 Panama 1950년 1월 10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파라과이 Paraguay 1955년 6월 20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파키스탄 Pakistan 1949년 9월 14일

아시아·태평양

파푸아뉴기니 Papua New Guinea 1976년 10월 4일

아시아·태평양

팔라우 Palau 1999년 9월 20일

아시아·태평양

페루 Peru 1946년 11월 21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포르투갈 Portugal (1) 1974년 9월 11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폴란드 Poland 1946년 11월 6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프랑스 France 1946년 11월 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피지 Fiji 1983년 7월 14일

아시아·태평양

핀란드 Finland 1956년 10월 10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필리핀 Philippines 1946년 11월 21일

아시아·태평양

한국 Republic of Korea 1950년 6월 14일

아시아·태평양

헝가리 Hungary 1948년 9월 14일

유럽과 북아메리카

<!--

현재 정 회원국과 준 회원국 모두를 합쳐 190개국이 국가위원회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

Associate Members

버진 아일랜드 British Virgin Islands 1983년 11월 24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아루바 Aruba 1987년 10월 20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앤틸릳스 Netherlands Antilles 1983년 10월 26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중국 마카오 Macao, China 1995년 10월 25일

아시아·태평양

케이맨제도 Cayman Islands 1999년 10월 30일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토켈라두 제도 Tokelau 2001년 10월 15일

아시아·태평양

그리구 일단 우리나라에서 자랑할 만한 것은 경주에 있는 불국사와 석굴암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엔 우리나라 전통 의식이 담겨 있으니까요...우리나라에서 유네스코 지정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불국사

2. 석굴암

3. 수원화성

4. 종묘

5. 창덕궁'

등이 있는걸로 알고있는데요, 이것 모두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만들어 낸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많은 정보 못 드려서 죄송하고요 사진 자료는 이미지 쪽에 가면 있을 겁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민족의 입장에서는 우리 선조들이 물려준 것은 모두가 귀중한 문화유산이기 때문에 그것을 나열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하므로 부득이 우리의 문화유산 중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에 대해서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일단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면 ‘유네스코가 인류의 소중한 문화 및 자연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지정한 문화유산’을 말합니다.


세계문화유산의 등록기준은 기준은

 * 일정한 시간에 걸쳐 혹은 세계의 한 문화권내에서 건축, 기념물조각, 정원 및 조경디자인, 관련예술 또는 인간정주 등의 결과로서 일어난 발전사항들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유산

 * 독특하거나 지극히 희귀하거나 혹은 아주 오래된 유산

 * 가장 특징적인 사례의 건축양식으로서 중요한 문화적, 사회적, 예술적, 과학적, 기술적 혹은 산업의 발전을 대표하는 양식


1. 세계문화유산


①창덕궁(昌德宮) :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 사적 제122호.


창덕궁(昌德宮)은 조선왕조 제3대 태종 5년(1405)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어진 궁궐이며 창건 시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 편전인 선정전, 침전인 희정당, 대조전 등 중요 전각이 완성되었다. 그 뒤 태종 12년(1412)에는 돈화문이 건립 되었고 세조 9년(1463)에는 약 6만2천평이던 후원을 넓혀 15만여평의 규모로 궁의 경역을 크게 확장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선조 40년(1607)에 중건하기 시작하여 광해군 5년(1613)에 공사가 끝났으나 다시 1623년의 인조반정 때 인정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다가 인조 25년(1647)에 복구되었다.

그 후에도 여러 번 화재가 있었으며, 1917년에 대조전과 희정당 일곽이 소실되어 1920년에 경복궁의 교태전·강녕전 등 많은 건물을 철거하여 창덕궁으로 이건하였다.


창덕궁은 1610년 광해군 때 정궁으로 사용한 후 부터 1868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까지 258년 동안 역대 제왕이 정사를 보살펴 온 법궁이었다. 창덕궁 안에는 가장 오래된 궁궐 정문인 돈화문, 신하들의 하례식이나 외국사신의 접견장소로 쓰이던 인정전, 국가의 정사를 논하던 선정전 등의 치조공간이 있으며, 왕과 왕후 및 왕가 일족이 거처하는 희정당, 대조전 등의 침전공간 외에 연회, 산책, 학문을 할 수 있는 매우 넓은 공간을 후원으로 조성하였다.


정전 공간의 건축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여 높게 하였고, 침전건축은 정전보다 낮고 간결하며, 위락공간인 후원에는 자연지형을 위압하지 않도록 작은 정자각을 많이 세웠다.


②수원화성(水原華城) :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사적 제3호


둘레 5,743m, 길이 5,520m, 높이 4.9m~6.2m이며, 면적은 18만 8048㎡이다. 수원성은 단순히 토축된 읍성이었으나, 조선 정조 때 성곽을 새로이 축조함으로써 이후로는 화성(華城)이라 하였다. 성내에 어목헌지(禦牧軒池)·관청전지(官廳前池)·문루전지(門樓前池)·객사후지(客舍後池) 등의 못이 있었다.


수원화성(水原華城)은 조선왕조 제22대 정조대왕이 선왕인 영조의 둘째왕자로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의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의 팔달산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성되었다.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③석굴암(石窟庵)과 불국사(佛國寺) : 1995년 12월 석굴암과 불국사는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록.


석굴암(石窟庵)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 때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하기 시작하여 서기 774년인 신라 혜공왕 때 완공하였으며, 건립 당시의 명칭은 석불사로 칭하였다.


석굴암의 석굴은 백색의 화강암재를 사용하여 토함산 중턱에 인공으로 석굴을 축조하고 그 내부 공간에는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중심으로 그 주벽에 보살상 및 제자상과 금강역사상, 천왕상 등 총 39체의 불상을 조각하였다. 석굴암의 석굴은 장방형의 전실과 원형의 주실이 통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360여 개의 판석으로 원형주실의 궁륭천장 등을 교묘하게 구축한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없다. 석굴암의 입구쪽에 위치하고 있는 평면방형의 전실에는 좌우로 4구씩 8부신장을 두고 통로 좌우 입구에는 금강역사상을 조각하였으며, 좁은 통로에는 2구씩의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불국사(佛國寺)는 석굴암과 같은 서기 751년 신라 경덕왕 때 김대성이 창건하여 서기 774년 신라 혜공왕 때 완공하였다. 토함산 서쪽 중턱의 경사진 곳에 자리한 불국사는 심오한 불교사상과 천재 예술가의 혼이 독특한 형태로 표현되어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는 기념비적인 예술품이다.


불국사는 신라인이 그린 불국, 이상적인 피안의 세계를 지상에 옮겨 놓은 것으로 법화경에 근거한 석가모니불의 사바세계와 무량수경에 근거한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및 화엄경에 근거한 비로자나불의 연화장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불국사의 건축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두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 하나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청운교, 백운교, 자하문, 범영루, 자경루, 다보탑과 석가탑, 무설전 등이 있는 구역이고 다른 하나는 극락전을 중심으로 칠보교, 연화교, 안양문 등이 있는 구역이다.


④해인사(海印寺) 장경판전(藏經板殿) :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해인사 장경판전은 13세기에 만들어진 세계적 문화유산인 고려 대장경판 8만여 장을 보존하는 보고로서 해인사의 현존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장경판전은 정면 15칸이나 되는 큰 규모의 두 건물을 남북으로 나란히 배치하였다. 장경판전 남쪽의 건물을 수다라장, 북쪽의 건물을 법보전이라 하며 동쪽과 서쪽에 작은 규모의 동·서사간판전이 있다.


건물을 간결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판전으로서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충족시켰을 뿐 장식적 의장을 하지 않았으며, 전·후면 창호의 위치와 크기가 서로 다르다. 통풍의 원활, 방습의 효과, 실내 적정 온도의 유지, 판가의 진열 장치 등이 매우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되어 있는 점은 대장경판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라고 평가받고 있다.


⑤종묘(宗廟) : 1995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 국보 제227호.


종묘(宗廟)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종묘는 태조 3년(1394) 10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에 완공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신주를 모셨다.


56,503평의 경내에는 종묘정전을 비롯하여 별묘인 영녕전과 전사청, 재실, 향대청 및 공신당, 칠사당 등의 건물이 있다. 정전은 처음에 태실 7칸, 좌우에 딸린 방이 2칸이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불타버려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고쳐 짓고, 그 후 영조 와 헌종때 증축하여 현재 태실 19칸으로 되어있다.

 

⑥경주역사유적지구(慶州歷史遺蹟地區) : 2000년 12월 세계유산으로 등록.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신라천년(B.C 57~A.D 935)의 고도(古都)인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있는 불교유적, 왕경(王京)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일본의 교토, 나라의 역사유적과 비교하여 유적의 밀집도, 다양성이 더 뛰어난 유적으로 평가된다.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유산이 산재해 있는 종합역사지구로서 유적의 성격에 따라 모두 5개 지구로 나누어져 있는데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신라 왕을 비롯한 고분군 분포지역인 대능원지구, 신라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 왕경 방어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52개의 지정문화재가 세계유산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⑦고창(高敞).강화(江華).화순(和順)의 고인돌유적(遺蹟) : 2000년 12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


고인돌은 선사시대 돌무덤의 일종으로 영어로는 돌멘(Dolmen)이라고 한다. 고인돌은 거석기념물의 하나이며 피라미드(Pyramid), 오벨리스크(Obelisk)등 이집트나 아프리카 대륙의 각종 석조물과 영국의 스톤헨지, 프랑스 카르낙의 열석(列石)등이 모두 거석문화의 산물이다.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중의 하나인 고인돌은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시기와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이 세계적인 분포권에서 가장 밀집된 곳으로 그 중 우리나라가 그 중심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약 30,000여 기에 가까운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고창·화순·강화고인돌유적은 밀집분포도, 형식의 다양성으로 고인돌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이며 유럽, 중국, 일본과도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2. 세계무형유산


①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 


종묘제례(宗廟祭禮)란 종묘에서 행하는 제향의식으로, 조선시대의 나라제사 중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종묘대제(宗廟大祭)라고도 한다.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나라에 공적이 있는 공신들의 신주를 모셔 놓은 사당으로, 사직과 더불어 국가의 근본을 상징하는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이다. 종묘 정전의 19개 신실에는 태조를 비롯한 왕과 왕비의 신주(49위)가 모셔져 있으며, 영녕전 16실에는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34위)를 봉안하고 있다.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은 종묘에서 제사를 드릴 때 의식을 장엄하게 치르기 위하여 연주하는 기악(樂)과 노래(歌)·춤(舞)을 말한다. 이는 조선 세종 때 궁중희례연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定大業)에 연원을 두고 있으며, 세조10년(1464) 제례에 필요한 악곡이 첨가되면서 종묘제례악으로 정식 답변확정되었다. 종묘제례악은 이후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일시적으로 약화되었으나 광해군 때 점차 복구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②판소리 : 2003년 11월 7일 유네스코 제2차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페라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다.

판소리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30년(1754)에 유진한이 지은 춘향가의 내용으로 보아 적어도 숙종(재위 1674∼1720) 이전에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고, 조선 전기 문헌에 보이는 광대소학지희(廣大笑謔之戱)가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한편 판소리가 본래 여러 가지 놀이와 함께 판놀음으로 공연되던 것으로 판놀음이 있었던 신라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이렇게 광대 집단에 의해 시작된 판소리는 소리꾼과 청중의 적극적인 참여로 완성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③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 : 2005년 11월 25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


단오(端午)는 음력 5월 5일로 ‘높은 날’ 또는 ‘신 날’이란 뜻의 수릿날이라고 부르는 날이다. 강릉단오제는 양기의 숫자 5가 두 번 겹치는 음력 5월 5일 수릿날의 전통을 계승한 축제이다. 본래 단오는 보리를 수확하고 모심기가 끝난 뒤에 한바탕 놀면서 쉬는 명절로서 농경사회 풍농 기원제의 성격을 지닌다.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는 음력 4월부터 5월초까지 한 달 여에 걸쳐 강릉시를 중심으로 한반도 영동지역에서 벌어지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전통축제이다. 음력 4월 5일 신주빚기로 시작하여 4월 15일에는 대관령에 올라가 국사성황사에서 성황신을 모셔 강릉시내 국사여성황사에 봉안한 뒤 5월 3일부터 7일 저녁 송신제까지 강릉시내 남대천 변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단오제 행사를 벌이는, 장장 30여일 이상에 걸친 축제인 것이다.


3. 세계기록유산


① 훈민정음(訓民正音) :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국보 제70호.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다.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은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른 중국어의 표기를 위한 문자체계이기 때문에 많은 백성들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사실을 안타까워하여 세종 25년(1443)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체계를 완성하고 "훈민정음"이라 명명하였다.


세종 28년(1446)에 정인지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설명한 한문해설서를 전권 33장 1책으로 발간하였는데 책의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하였다.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북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서 국내에서 유일한 귀중본이다.


② 승정원(承政院)일기 : 2001년 9월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국보 제303호


승정원(承政院)은 조선 정종대에 창설된 기관으로서 국가의 모든 기밀을 취급하던 국왕의 비서실이라 할 수 있는 곳으로, 1623년(인조1) 3월부터 1894년(고종31) 6월까지 272년간 승정원에서 처리한 국정 기록과 승선원, 궁내부, 비서감, 규장각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1910년(융희 4)까지 총 3,243책의 기록이 남아 있다.


승정원(承政院)일기는 조선왕조 최대의 기밀 기록인 동시에 사료적 가치에 있어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비변사등재과 같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자랑할 만한 자료이며, 또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기본 자료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실록보다 오히려 가치 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음은 물론, 원본 1부밖에 없는 귀중한 자료로 국보 제303호(1999.4.9)로 지정되어 있다. 


③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 2001년 9월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鈔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하 불조직지심체요절이라 함)은 백운화상이 75세였던 고려 공민왕 21년(1372)에 노안을 무릅쓰고 선도들에게 선도와 선관의 안목을 자각케 하고자 함은 물론, 선풍을 전등하여 법맥을 계승케 하고자 저술한 것으로서, 그 제자 석찬과 달담이 비구니 묘덕의 시주를 받아 청주 흥덕사에서 1377년 7월에 금속활자로 인쇄하였다.


④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국보 제151호.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왕조의 시조인 태조로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책으로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 있는 가장 오래되고 방대한 양의 역사서이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제도,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미술, 공예, 종교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없는 귀중한 역사 기록물이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은 그 역사기술에 있어 매우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조선왕조실록의 기초자료 작성에서 실제 편술까지의 편수 간행작업을 직접하였던 사관은 관직으로서의 독립성과 기술에 대한 비밀성을 제도적으로 보장받았다. 실록의 편찬은 다음 국왕 즉위한 후 실록청을 개설하고 관계관을 배치하여 편찬하였으며 사초는 군주라해도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함으로써 이 실록의 진실성과 신빙성을 확보하였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에서 답변하신거에 추가해도 되나??

직지심체요절은 세계최초의 금속 활자본이에요.

세계무형유산은 판소리, 종묘제례, 종묘제례악, 강릉단오제예요.

판소리는 말과 노래로 이야기를 얶어가는 우리 믐악이구요, 종묘제례는 종묘에서 제사지내는 것이구, 종묘제례악은 그 때 연주하는 음악이에요.

강릉단오제는 말 그대로 간릉에서 단오때하는 축제에요.

단오등띄우기등 여러 행사를 개최하죠..

또, 세계유산을 추천하는 이유는요, 쉽계 말해서 그 나라의 중요한 문화재가 훼손되기 전에 보호하기 위해서죠..

그럼 이만..

유네스코에대해서..급해요~!!!!!!

... 유네스코에서 문화재르 보유한 국가명. 문화재 명.... 유네스코 지정 문화재 부터 알려 드릴께요^^ 하나!... 유네스콘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 유명한 포석정이랑, 첨성대가...

유네스코에 지정된 이유 (급해요 내공...

훈민정음이 유네스코에 지정되었다잖아요,, 그게,, 과학적이라는 이유도 있고, 뭐... 엄정함에 대해서는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유네스코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연유산...

유네스코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연(1개),기록(6개),무형(3개) 올려주세요 최대한 자세히.... 엄정함에 대해서는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타지마할에대해서 급해요!!

영어 숙제가 타지마할에 대해서 조사해오는건데요..... 좋구 급해요!! 타지마할 (힌디어: ताज महल, 우르두어... 1983년 타지마할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급해요!!!수원화성에대해서알려주세요

수원화성에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학교숙제라서 급해요~ 세계가 격찬한 수원... 우리 나라에서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등록되어 있는 문화재는 다섯 개입니다. 종묘...

종묘의 대해서..급해요

전 4학년 인데여 종묘의 대해서가 숙제야요..ㅠㅠ 빨리점 해주세요. 부탁드려요....... 12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 되었습니다. 4. 그 외 종묘는 1394년 10월 조선왕조가...

창덕궁에 대해서 급해요~~[내공]

창덕궁에 대해서~ 간단하게 적어주세요~ 서울 종로구 와룡동(臥龍洞)에 있는... 남아 있어 가장 중요한 고궁의 하나이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강강술래유래.유네스코등재관련사실을...

안녕하세요!!저 매우 급해요! 강강술래의 유래하고 유네스코등재관련 사실을...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이 놀이의 연원에 대해서는 이순신 장군의 전술과 결부된 설...

세종대왕에 대해서 급해요 월요일 까지...

세종대왕에 대해서 아주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급해요 월요일 까지임 제발 진짜... 세종대왕상은 유네스코가 제정한, 문해율 증진을 위해 힘쓴 사람이나 단체에게 주는 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