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집권국가 성립조권과 6세기 말 세력에 대해서 질문좀내공 검

중앙집권국가 성립조권과 6세기 말 세력에 대해서 질문좀내공 검

작성일 2003.08.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방학숙제인데요

중앙집권국가성립조권과 한반도 6세기말 한반도 세력을 동서남북으로 설명좀

추가로불편하시겟지만 베르사유 체제랑 바이마르공화국의 헌법이랑 민족자결주의까지 답해주심 ㄳ하겟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앙집권국가의 성격
㉠ 왕권강화(지방 부족장세력들이 왕권에 복속), 부자세습
㉡ 율령의 반포 : 체제의 정비
㉢ 불교의 수용 : 사상의 통일
㉣ 중앙집권화 : 중앙의 관리, 군대의 지방파견
㉤ 영토확장정책

6세기 한반도세력 : 한강유역은 신라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제 충청남도와 전라도까지쯔음이 백제였고,
신라는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경기도및수도권, 함경남도의 아랫부분까지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고구려는 위에 중국및러시아땅의 일부를 점령하고 있었습니다.

==================================================================================================
베르사유 조약을 간단히 정리하면, 독일과 연합국 간의 조약으로, 이로 인해 독일은 해외의 식민지, 본토의 일부를 상실하고 막 대한 배상금을 부담하고 군비도 제한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을 종결시킨 강화조약. 1919년 6월 28일 파리 교외의 베르사유궁전에서 연합국과 독일 사이에서 조인되었습니다.
미국은 후에 이 조약에 대한 비준을 거부했습니다. 이 조약은 440조로 된 방대한 것으로, 베르사유체제라 하는 국제질서를 형성하여 제1차 세계대전 후의 국제관계를 규정한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이 조약에 의해 독일은 해외식민지를 상실하고 알자스-로렌을 프랑스에 반환했으며 유럽에서 영토가 축소되었습니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개전의 책임을 물어 연합국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이 지워졌고 군비는 엄격히 제한되었지요.
라인강 왼쪽 기슭은 비무장지대로 하되 15년간은 연합국의 보장점령하에 두기로 했습니다. 자르지방은 15년간 국제연맹 관리 하에 두고, 그 후 주민투표에 의해 자르의 귀속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파리강화회의가 오로지 연합국의 이해(利害)에 의해 일방적으로 운영되고 독일에 대한 압박도 심했기 때문에 독일에서는 이 조약을 이라고 일컫고 크게 분노했지요.
이는 나치스에 의해 교묘히 받아들여져, 나치스가 정권을 장악하게 되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20년대 말부터 30년대 초에 걸쳐 라인지대에서 연합국이 철수하고, 배상문제에서도 배상총액이 줄어드는 등, 사실상 베르사유조약은 조금씩 완화되는 방향으로 수정되어갔습니다.
35년 나치스정권이 베르사유조약의 군비제한 조항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36년 라인란트 비무장지대를 무장화함으로써, 사실상 효력을 상실했습니다.

다음의 내용은 www.dic.co.kr 에서 퍼온 내용입니다.
쉽게 잘 정리되어 있네요...

◑ 파리 강화 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
1919년 1월 전승국 27개국 대표가 프랑스 파리에 모여 강화 회의를 열었다. 회의의 중심 인물은 미국의 윌슨, 영국의 로이드 조지, 프랑스의 클레망소였으며, 그 중에서도 윌슨이 주도적 역할을 했다. 『민족자결주의』로 널리 알려진 윌슨의 14개조 원칙은 유럽뿐 아니라 아시아의 식민지 약소국들에게도 커다란 희망을 안겨 주었다. 민족 자결의 원칙에 따라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지배하에 있던 소수 민족들은 독립 국가를 세웠다.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가 독립하고 세르비아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크로아티아 등 남슬라브 인의 거주지와 합쳐 세르보 크로아트 슬로벤 왕국이 되었다. 이는 나중에 유고슬라비아로 개칭되었다. 투르크의 지배를 받던 시리아는 프랑스의 위임 통치를, 메소포타미아와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통치를 받게 되었으며 아라비아 반도의 헤자즈는 독립을 했다. 유태인들은 팔레스타인에 나라를 세우도록 약속받았다. 한편 윌슨은 패전국 독일에게 너무 가혹한 강화 조건을 제시하면 오히려 평화가 깨질지도 모른다고 경고하면서 독일에 대한 보복을 가볍게 하자고 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입장은 강경했다. 사실 서부 전선의 전투는 거의 대부분 프랑스 영토내에서 이루어져 프랑스의 피해는 실로 막심했다. 독일은 자기 나라 땅에서는 전투를 벌이지 않았던 것이다. 난항을 거듭한 끝에 파리 강화 회의는 6월 28일 베르사유 궁에서 조인식을 갖게 되었다. 독일의 영토와 해외 식민지는 갈갈이 찢겨 승전국에게 넘어갔고, 막대한 배상금을 물어야 했다. 한편 윌슨이 14개조 원칙에서 주장한 『대소 국가의 구별 없이 정치적 독립과 영토 보전의 상호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연맹의 설립』은 이의없이 가결되어 조약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되었다. 1920년 11월,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제1회 국제 연맹 총회가 열렸다. 국제 연맹은 세계 역사상 최초의 국제 평화 기구였지만, 출발부터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우선 주창자인 미국이 상원의 조약 비준 거부로 참가하지 못했으며, 러시아와 패전국이 제외되었다. 그 뒤 패전국의 가입이 허락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불가리아·독일 등이 차례로 가입했다. 1933년 일본과 독일이 국제 연맹을 탈퇴하고 1937년에는 이탈리아가 탈퇴, 이들 파시즘 세력은 또 한 차례의 세계 전쟁을 일으켰다.


참고 1: 윌슨의 14개조 원칙 요약
민족 자결, 무배상, 무병합을 원칙으로 하였고 내용은 비밀 외교 폐지, 식민지 문제의 공정 한 해결, 군비 축소, 국제 기구 창설 등이다.

참고 2: 윌슨의 14개조 핵심 문장
평화 협정이 체결되는 과정은 완전히 공개되어야 하며, 따라서 어떤 종류의 비밀스런 조항을 포함해서도 안되고 또 그것을 허용해서도 안된다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자 목표가 될 것이다. ……우리가 이 전쟁에서 요구하는 것은 우리 자신에게만 특별히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이 세상이 살기에 적합하고 안전한 장소가 되어야 하고, 특히 우리 나라와 마찬가지로 자주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고 싶어하고, 자신의 제도를 스스로 결정해 갖고 싶어하고, 다른 민족들로부터 폭력과 이기적 침략을 당하지 않음은 물론 정의롭고 공평하게 대우받기를 바라는 모든 평화 애호 국가들에게 안전한 곳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세계 모든 민족은 이런 점에서 사실 모두 동반자이며, 우리 입장에서 볼 때도 다른 민족에게 정의가 시행되지 않으면 우리에게도 정의는 없을 것임은 불을 보듯 확실하다. 그러므로 세계 평화에 대한 구상은 바로 우리 자신의 구상인 것이다. …… 1. 평화 협정은 공개적으로 체결되어야 하고, 또 그 조항은 공개되어야 하며, 그 뒤에는 어떠한 종류 의 국제 비밀 협정이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외교 관계는 솔직하고 공개적으로 맺어져야 한다. 4. 한 나라의 군비는 국내의 안전 보장에 필요한 최저 수준으로 감축하기로 서로 약속해야 한다. 5. 식민지의 주권 문제를 결정함에 있어서 이 문제와 관련된 주민들의 이해 관계가 장래에 그 주 권을 결정하게 될 정부의 정당한 주장과 같은 비중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엄격히 준수 하는 바탕 위에서 모든 식민지의 주장을 자유롭고 공개적으로 그리고 어느 한 편에 조금도 치 우침 없이 다루어야 한다. 14. 강대국이나 약소국 모두에 대해 서로간에 정치적 독립과 영토 보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여러 국가로 구성된 연합체가 특별한 협약 아래 형성되어야 한다. --윌슨의 14개조(1918년)에서

참고 3: 베르샤유 조약 핵심 문장.
제 1편 국제 연맹 규약(1∼26조) 제 2편 독일의 국경선(27∼30조) 제 3편 유럽 정치 조항 제42조 독일은 라인강 서쪽의 모든 지역과 그 강의 동쪽으로 50km에 이르는 지대에는 성을 쌓을 수 없다. 제45조 독일은 프랑스 북부의 탄광 파괴에 대한 보상으로, ……자르 하류에 있는 탄광에 대한 완전 하고도 절대적인 소유권 및 독점 채굴권을 ……프랑스에 넘겨준다. 제 4편 독일 밖의 지역에 대한 독일의 권리 및 이익 제 119조 독일은 해외 식민지에 관한 모든 권리와 요구를 동맹국과 연합국의 주요 국가에게 넘겨준 다. 제 156조 독일은, ……중국과 체결한 조약 및 산둥성에 관한 다른 모든 협정에 의해 얻은 권리,요구 및 특권을 모두 ……일본에 넘겨준다. 제 5편 육군, 해군 및 공군 조항 제 173조 독일에서 일반 의무병제는 폐지된다. 독일 육군은 지원병제로만 조직하고, 또 보충할 것. 제 191조 독일은 어떤 잠수함도 만들거나 취득해서는 안된다. 제 196조 독일은 육군이나 해군 안에 항공대를 보유해서는 안된다. 제 8편 배상 제 235조 독일은, 동맹국과 연합국의 청구액이 확정되기 전에 우선 배상 위원회가 정하는 지불방법 에 따라 1919년과 1920년중에, 그리고 1921년 4월까지 200억마르크 금화에 해당하는 액수 를 지불할 것. --베르사유 조약(1919년)에서-
==================================================================================================
바이마르에 소집된 국민의회(國民議會)에서 그 골격을 규정한 바이마르 헌법이 답변확정되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1919년 1월 19일의 총선거에서 민주공화파(民主共和派:사회민주당 ·민주당 ·중앙당)가 대승을 거두어 F.에베르트(1871∼1925)가 대통령이 되고, 이어 P.샤이데만(1865∼1939)이 총리가 된 민주공화파 3당의 연립내각(聯立內閣)이 성립되어 8월 11일에 바이마르 헌법, 즉 독일민주공화국 헌법이 반포됨에 따라 바이마르 공화국이 출범하였다. 이 헌법은 국민주권을 확인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상세히 규정한 민주적인 헌법이었으나 대통령에게 긴급명령권(緊急命令權)을 부여한 제48조는 뒤에 히틀러가 독재정권을 수립하는 길을 열어 주는 근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
인간이 개인으로서 기본적 인권을 가진 것과 마찬가지로 민족이라는 인간의 공동체도 민족자결권이라는 집단으로서의 기본적 권리가 있으며, 민족자결은 그러한 권리에서 나온 것이다.

민족자결권은 특히 식민지 등 피억압민족이 타국의 지배로부터 이탈하여 자기 국가를 수립하는 권리를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고, 민족운동의 정당성의 근거가 되고 있다.

민족자결사상의 기원은 프랑스혁명기의 사상가 J.J.루소에서 볼 수 있지만, 그것이 정치적 슬로건으로서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말기인 1918년 1월 미국 대통령 T.W.윌슨이 성명한 ‘14개조’이나 영국 총리 로이드 조지 등에 의하여 제창된 것에서 비롯한다.

한국의 3 ·1운동도 당시에 팽배한 민족자결사상에 고무되었고, ‘독립선언서’에는 그러한 역사적 사조가 맥맥히 흐른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국제연합헌장, 식민지독립선언(1960 국제연합총회)이나 인도차이나 문제에 관한 제네바협정(54) 등에 규정되어, 민족자결주의는 국제법상의 확고한 원칙이 되었다.
==================================================================================================

중앙집권국가 성립조권과 6세기 말 세력...

방학숙제인데요 중앙집권국가성립조권과 한반도 6세기말 한반도 세력을 동서남북으로... 강대국이나 약소국 모두에 대해 서로간에 정치적 독립과 영토 보전을 보장할 수...

ㅠㅡㅠ정확하게...[내공다검 ㅋㅋ]

... 질문자분도 아시겠지만 고조선은 청동기를 바탕으로 세워진 국가입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비파형동검 미송리식토기 북방식 고인돌 이있고 이것으로 고조선의세력범위를...

삼국에 대해서 (내공냠냠 많아열~! 글구...

... 한국의 고대국가 형성에 대해서는 부족집단에서... 기원전 6세기 무렵 공자는 동방예의지국인 구이로 망명하고... 1세기 태조왕 대에 들어서 고구려는 중앙집권국가의...

장보고에 대해서~~(내공100)

... 국가들은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무너지고, 지방의 토호들이 각지에서 자신들의 실력을 쌓아가며 독자적 세력을... 한편 청해진의 성격에 대해서는 무역을 목적으로 하고...

중국과 프랑스에대해서

사회숙제 중국과 프랑스에대해서 질문합니다. 중국 1.... 4 天安門事件) 진압과 2005년의 반국가 분열법 성립... 6세기 말, 이들은 7개 왕국을 세우고 혈족공동체적인 생활을 하...

문화재 이름 올려주세요^^내공80검^^*ㅋ

... '新羅'라는 국호는 6세기 초 지증왕때에 정해졌는데, 그... 전개될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를 준비한 때였다고 할 수... 520년에 반포된 율령의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길이...

고조선에 대해 질문여 <<내공검>>

... 3개 답변해주세요 첫번쨰 질문에 대한 답.. 저도 이게... 신석기 시대에는 계급이 없으니까 국가성립할수... (洪範九疇)에 대해서 물었다고 한다. 또 《사기》 송미자세가...

신라의역사에대해서(총정리)

신라의역사의대해서처음부터끝까지정리해주세요.내공100!!... 삼한사회가 성립되는 세력 재편성에 주목할 필요가... 전개될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를 준비하던 태동기였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