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쓰는 대포 알려주시면 감사

조선시대에 쓰는 대포 알려주시면 감사

작성일 2005.04.3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주로 조선 시대에 쓰는 포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 천자통통 그런것은 물론이고 또 그 포에 대한 정보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선군의 화약무기

 

 

◆  조선식 대형총통류

제일 위의 천자총통 2세대형(보물 657호)은 1555년에 제작된 것으로, 손잡이가 파손된 상태이다. 현재 육군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겉모습으로는 약실이 구분되지 않고, 약실 위에도 마디가 있다. 1세대형 총통이나 3세대형 총통과는 다른 2세대형 총통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천자총통 3세대형은 현충사에 소장중인 것인데, 1609년 혹은 1669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자총통 2세대형(보물 863호)은 1557년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현자총통 2세대 절충형(보물 885호)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 7월 제작된 것으로 현재 해군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이 총통은 거제도 앞바다에서 인양된 것이므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실제 사용한 총통일 가능성이 있다. 마디의 숫자와 형태는 2세대형과 유사하나, 외관상 약실이 구분된다는 점에서 3세대형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황자총통 2세대 절충형은 1587년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 육군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같은 종류의 총통이라도 손잡이의 갯수나 위치는 조금식 다르다.

이런 여러 대형총통 중에서 임진왜란 당시 수군이 주로 사용한 총통은 어떤 총통일까? 일부 연구가들은 천자총통의 경우 무게가 296kg이고 지자총통은 무게가 73kg이므로, 천자총통 1자루를 만드는데 드는 재료가 지자총통의 4배라는 점을 이유로, 천자총통이 경제적으로 비요율적인 무기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나아가 이순신의 각종 기록에서 1593년 부터는 천자총통이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천자총통이 거의 사용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황자총통의 경우에도 바다에서 인양된 경우가 거의 없고, 크기가 소형총통에 가까운만큼 성능이 떨어져서 수군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지자총통과 현자총통이 수군의 주력무기라는 것이다.

현재 바다에서 인양된 주요 총통은 현자총통 4문, 별승자총통 3자루 뿐이다. 지자총통의 경우에도 바다에서 인양된 예가 단 한 차례도 없으므로, 그런 논리라면 지자총통도 수군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결론이 된다. 1593년 이후 이순신의 각종 기록에서 천자총통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지만, 1593년 이후에는 수년간 전투기록이 거의 없어 다른 총통들도 기록에 자주 나오는 것은 아니다.

현재로선 부족한 자료를 토대로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은 성급해 보인다. 다만, 천자총통의 경우 제작상의 경제적 부담, 무거운 무게, 2m가 넘는 초대형 발사체를 수용할 공간 확보의 어려움, 엄청난 반동을 제어할 장치 등 배 위에서 대량으로 운용하기에는 여러가지로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숫자로만 본다면 오히려 소형총통인 승자총통이 더 많았을 것이고, 지현황자 총통이 그 다음이 되고, 천자총통은 판옥선이라 할지라도  2문 이상 탑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을 것이다.

 

 

◆ 조선 중기 대형 총통의 특징 - 총통의 대형화와 발사체의 다양화

조선 전기와 중기의 화약무기는 이름이 비슷하여 같은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조선시대 각종 화약무기의 크기나 구경은 시대에 따라 차이가 심하다. 예를들어 임진왜란(1592~1598년) 당시의 각종 대형 화약무기는 세종시대의 화약무기와는 규격이 전혀 다르다. 명량해전(1597년)에 사용된 총통들은 주로 제2세대형 총통들과 제3세대형 총통들이다.

 

 연대 

  1377~ ?

  ?~1445 

 1446~?

 ?~1555~1595 

 1596~1669

 1670~ 

 시대구분

 고려 말~조선 초

 조선 초기

 조선 전기 (1세대)

조선 중기(2세대)

 조선 중기(3세대)

 조선 후기

 근거자료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서례(1474),

 (실물유물)

신기비결(1603), 화기도감의궤(1615), 화포식언해(1635)

융원필비(1813), 훈국신조군기도설 (1867)

 주요  

 대형 총통

 대장군

 이장군

 삼장군

 천자화포

 장군화통

 천자총통

 천자총통

 천자총통

 지자화포

 일총통

 지자총통

 지자총통

 지자총통

 (현자화포)

 (이총통)

 현자총통

 현자총통

 현자총통

 (황자화포)

 (삼총통)

 황자총통

 황자총통

 황자총통

 

고려말에 최무선이 최초로 화약무기를 개발했을 당시의 대형 총통으로는 대장군(大將軍), 이장군(二將軍), 삼장군(三將軍) 등이 있었다. 태종~세종26년경의 화약무기는 천자,지자,현자,황자 화포(天,地,玄,黃字 火砲)라고 불렀다. 세종27~30년 (1446~1448년) 사이에 기존의 화약무기를 개량했다. 이때 개량된 천지현황 화포를 장군화통, 일총통, 이총통, 삼총통 등으로 고쳐 불렀다. 학계에서는 이처럼 세종시대에 개량되고 완성된 조선 전기의 총통들을 제1세대형 총통으로 분류하고 있다. 

 연대

 1446~?

  ?~1555~1595 

 시대 구분

 조선 전기 (1세대)

조선 중기(2~3세대)

 근거 자료

국조오례서례(1474)

(실물 유물)

 조선 전기-중기의 주요 대형 총통 크기 비교

 -

천자총통

길이 129~136cm, 구경 118~130mm

장군화통 (천자화포)

길이 89.5cm, 구경 109mm

지자총통

길이 88.7~89.5cm, 구경 90~105mm

일총통(지자화포)

길이 74.76cm, 구경 67mm

현자총통

길이 79~95cm, 구경 56~75mm

 -

황자총통

길이 50.4cm, 구경 40mm

이총통(현자화포)

길이 44.99cm, 구경 26.2mm

우자총통(이총통과 유사)

 -

삼총통(황자화포)

길이 42.95cm, 구경 15.6mm

주자총통(삼총통과 유사)

 -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늦어도 명종 10년(1555년)을 기점으로 조선시대 대형 총통의 규격이 크게 바뀐다. 이때의 대형 총통은 천자,지자,현자,황자 총통(天,地,玄,黃字 銃筒)이라고 불렀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때의 총통들을 제2세대형 총통으로 분류한다. 조선 초기의 천자,지자,현자,황자 화포와 조선 중기의 천자,지자,현자,황자 총통은 이름이 비슷하지만, 실상 규격이 전혀 다른 총통들이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 중기의 천자총통은 세종~성종시대의 장군화통(천자화포)보다도 길이가 더 길고, 구경도 더 큰 총통이다. 또한, 조선 중기의 지자총통은 조선 전기의 일총통(지자화포)보다는 크고 차라리 장군화통(천자화포)과 유사한 크기이다. 또한, 조선 전기의 이총통(현자화포)과 삼총통(황자화포)는 손으로 들고 사격하는 총에 가까운 무기이지만, 조선 중기의 현자총통과 황자총통은 거치시켜 발사하는 대포에 가까운 무기이다. 당연히 현자총통은 이총통(현자화포)보다 훨씬 크고, 오히려 조선 전기의 일총통(지자화포)와 유사한 크기이다. 황자총통도 삼총통(황자화포)은 물론이고 이총통(현자황포)보다도 대형의 총통이다.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2세대형 총통은 외관상 약실이 포신과 구별되지 않고, 약실 둘레에도 마디가 있다. 이 점은 1세대형 총통이나 3세대형 총통과 구별되는 2세대형 총통의 특징이다. 발사체의 경우도 조선 전기의 1세대형 대형 총통들은 원칙적으로 대형 화살을 발사했지, 철환 같은 원형발사체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조선 중기의 2,3세대형 대형 총통들은 필요에 따라 대형 화살 뿐만 아니라 각종 원형발사체도 사용했다.

1550~1596년 사이에 제작된 2세대형 총통 중에는 2세대형과 3세대형의 중간 형태를 가진 총통들도 있다. 이들 총통은 마디가 적다는 점에서는 제2세대형 총통과 유사하나, 약실 둘레에 마디가 없고, 외관상 약실이 구분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어떻게 보면 1세대형과도 유사한 모습이다. 굳이 분류하자면 2세대 절충형 총통이라고 할 수 있다.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지자총통과 일본 야스꾸니신사에 소장되었던 지자총통은 같은해(1557년)에 제작된 총통임에도 동아대 지자총통은 전형적인 2세대형 총통이고, 야스꾸니신사의  지자총통은 2세대 절충형 총통이다. 아마도 2세대형 총통과 2세대 절충형 총통은 동시대에 같이 사용되었던 것 같다.

대략, 1596년부터 총통의 외형이 다시 바뀐다. 이 1596년부터 제작된 총통을 흔히 제3세대형 총통이라고 부른다. 제2세대형 총통과 제3세대형 총통의 크기와 내부 구조는 거의 동일하다. 다만, 3세대형 총통은 약실의 지름이 다소 크고, 마디 숫자가 많고, 마디 위에 다시 마디를 나누어 놓은 점이 특징이다.

아래 그림은 1,2,3세대형 총통의 변천도이다. 그림에서 손잡이의 숫자와 위치, 마디의 숫자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특징을 보여줄 뿐이다.

 

조선 초기의 총통을 개량하여 제1세대 총통을 완성한 인물은 다름아닌 세종대왕이다. 이에반해 제2세대 총통의 개량작업을 주도한 인물과 그 개량작업이 이루어진 시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미 조선 전기의 삼총통(三銃筒) 실물 유물 중에 황자(黃字: 黃자는 천자문 순서상 4번째)가 아닌 주자(宙字: 宙자는 천자문 순서상 천지현황우 다음의 6번째임) 명문이 새겨진 예가 많다. 삼총통은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1474년)의 화약무기 중 크기 순서로 네번째이므로, 황자라고 부르는 것이 당연함에도, 여섯번째인 주자를 새긴 것은, 1474년 이후 어느 시점에 신형 대형 총통이 추가로 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시점이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빠르면 성종시대로까지 소급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남아있는 제2세대형 총통 실물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은 1555년(가정 을묘년)에 만든 것들이다. 실록을 보면 명종 10년대(1555년)를 전후하여 대규모 총통 제작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대략 1555년을 전후하여 제2세대형 총통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제2세대형 총통이 최초로 제작된 것이 언제인지, 그 최초 개량과 제작을 주도한 인물이 누구인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있다.

여하간 임진왜란 직전인 1555~1557년경 기존의 총통보다 훨씬 큰 대형총통들이 대량으로 생산된 것은, 역사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미 일본이 조총을 생산한 상태에서, 이총통이나 삼총통 기타 이보다 크기가 더 작은 소형 총통들은 큰 가치를 가질 수 없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 수군을 화력과 사거리로 압도할 수 있었던 것은 대형의 천,지,현,황자 총통 덕택이었다. 그러한, 대형 총통들이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불과 40여년전 대량으로 생산된 것이다.

임진왜란이라는 민족적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조선 수군의 공이 제일 컸다. 그 조선 수군을 이끈 인물은 이순신 장군이다.  이순신 장군의 수군을 물질적으로 뒷받침한 것은 판옥선과 대형 총통들이다. 그 판옥선과 대형 총통들이 모두 명종 10년(1555년)을 전후하여 개량, 개발, 제작된 것이다. 과장해서 말한다면 임진왜란의 승패는 전쟁이 발발하기 40여년전에 이미 결정이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학자들은 흔히 조선왕조가 임진왜란 전 200여년 동안 전쟁을 잊고 살았다고 말한다. 그 말이 어떤 의미에서는 사실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전쟁에 대한 대비를 전혀 안한 것은 아니다. 외침을 걱정하는 인물들이 적지 않았고, 그러한 애국자들이 부족하나마 국방의 주춧돌을 놓고 있었던 것이다.

 

◆ 중국식 대형총통류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원병 파견을 계기로, 다양한 중국식 화포가 도입되었다. 불랑기, 백자총통, 호준포, 위원포, 장군포 등이 그 예이다. 이후 조선왕조는 이들 중국식 화포를 자체 생산하여 조선식 화포와 같이 사용했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도 당총통, 목가포, 홍이포 등 각종 중국식 화포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불랑기(佛狼機)는 16세기 초에 중국에 도입된 유럽식 대포이다. 불랑기는 모포(母砲)와 자포(子砲)가 분리되어 있다. 불랑기는 자포 안에 포탄을 장전한 상태로, 자포를 모포에 결합시키는 독특한 장전방식을 사용한다. 이때문에 장전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나, 자포와 모포의 규격이 정밀하지 않으면 폭발할 위험성도 있다. 불랑기는 임진왜란때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된 무기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목동 지하철 공사장에서 1563년에 제작된 국산 불랑기의 자포(보물 제861호)가 발견되었다. 이미 임진왜란 발발 30여년전에 불랑기를 자체 생산한 것이다. 불랑기는 크기에 따라 불랑기 1~5호로 나뉜다. 현재 남아있는 실물 유물은 주로 불랑기 4호와 불랑기 5호이다. 불랑기 4호의 경우 전체 길이가 100cm 내외이고, 구경은 40mm 정도이다.

임진왜란 당시에 수군에서 불랑기를 사용했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없으나, 1994년 여천시 백도 앞바다에서 불랑기(5호로 추정) 자포 1개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수군에서도 불랑기를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 류

                       길 이

            구 경

백자총통 百子銃筒

대백자총통

 

 

중백자총통

 130cm

 40mm 내외

소백자총통

 

 

호준포

 40~50cm

 40~55mm

위원포 威遠砲

대위원포

 60~67cm

 60mm 내외

중위원포

 45mm 내외

소위원포

 40mm 내외

장군포 將軍砲

대장군포

 105~120cm

 105~120mm

소장군포

 45~70cm

 33mm 내외

 

백자총통의 경우 구경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다. 호준포는 포구에 양각대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대장군포의 경우 우리나라 지자총통보다 조금 크고, 천자총통보다는 작다.

 

◆ 완구류

완구(碗口)는 구경이 매우 크고, 발사탄도가 곡선을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의 대형 총통류들은 기본적으로 평사포에 가까우나, 이 완구는 곡사포 내지 박격포에 가까운 탄도를 가진다. 구경이 이렇게 크기 때문에 단석(團石:둥근 돌)이나 비격진천뢰(비진천뢰)를 발사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완구에는 총통완구가 있었으며, 조선 중기에는 대완구, 중완구, 소완구, 소소완구 등이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별대완구, 대완구, 중완구 등이 있었다.

조선 중기의 대완구는 정확한 규격이 남아있지 않지만, 발사체의 무게로 추정해보면 대략 조선 전기의 총통완구와 비슷한 크기(구경 117.8mm)였던 것 같다. 조선 중기 중완구의 크기도 기록이 없으나, 발사체의 무게로 추정하면 구경이 대략 23~26mm 정도되었던 것 같다. 아래 그림의 완구는 1590년에 제작된 것으로, 중완구(보물 858호)로 추정되고 있으며, 구경이 23.5mm이다.

이순신의 장계인 '토적장'을 보면 1593년 4월 웅포해전 당시 이순신이 진천뢰를 사용한 기록이 나와있다. 진천뢰(비격진천뢰)는 일반적인 총통으로는 발사할 수 없고 완구로만 발사할 수 있다. 1978년 통영 앞바다에서 비슷한 크기의 중완구가 인양된 적이 있다. 이로 보아 임진왜란 당시 수군에서도 완구를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 소형총통류

세종~성종대를 거치면서 이총통(宇字총통), 삼총통(宙字총통), 팔전총통 (洪字총통), 사전총통 (荒字총통), 사전장총통 (日字총통), 세총통 (月字총통), 신제총통 (盈字총통), 측자총통 등 수많은 소형 총통이 개발되었다. 이들은 대체로 구경이 30mm미만이며, 손으로 들고 사격한다는 점에서 대포보다는 총에 가까운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세총통을 제외한 모든 소형 총통은 총통 뒤의 모병부(자루구멍)에 나무자루를 끼워서 든다. 세총통은 철흠자(쇠집개)에 들고 사격하는데, 마치 권총을 연상시키는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에 발행된 화약무기 교범인 신기비결(1603년)에 이들 조선 전기형 소형총통들의 사격 규정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들 소형총통들은 임진왜란 당시까지도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던 것 같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선 전기형 소형총통류들은 조선 중기에 새롭게 개발된 승자총통에 밀려 명맥만 이어지는 정도였을 것이다.

  조선 전기의 소형총통 

 전체  길이

    구 경

                         발사체  

  이총통 /우자총통 (二銃筒/宇字銃筒)

 44.99 cm

 26.2 mm

 소전 1발, 세장전 6발, 차세장전 9발

  삼총통 /주자총통 (三銃筒/宙字銃筒)

 33.18 cm

 16.1 mm

 차중전 1발

  팔전총통 /홍자총통 (八箭銃筒/洪字銃筒)

 31.33 cm

 29.4 mm

 세전 8발, 차세전 12발

  사전총통 /황자총통 (四箭銃筒/荒字銃筒)

 26.30 cm

 21.9 mm

 세전 4발, 차세전 6발

  사전장총통 /일자총통 (四箭長銃筒/日字銃筒)

 43.05 cm

 24.1 mm

 차소전 1발, 세장전 4발, 차세장전 6발

  세총통 /월자총통 (細銃筒/月字銃筒)

 14.00 cm

 8.1 mm

 차세전 1발

  신제총통 (新製銃筒/盈字銃筒)

 19.69 cm

 13.4 mm

 신제총통전 1발

  (측자총통)

 -

 -

 -

 

 

◆ 승자총통류 - 토격형 총통

선조 초기에 전라좌수사 김지가 승자총통(勝字銃筒)이라는 새로운 소형총통을 개발하였다. 기록상으로는 1583년(선조 16년)에 처음 보이며, 실물 유물 중에서 제작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1575년(선조 6년)에 제작된 것이다. 승자총통은 1583년 만주족 니탕개란 토벌과 1588년 만주족 시전부락 정벌 당시 큰 효과를 보았다는 기록이 실록에 여러 차례 나온다. 소형총통 중에 임진왜란 당시 사용된 것은 거의 대부분 승자총통 종류들이다. 승자총통은 다시 승자총통, 차승자총통, 소승자총통, 별승자총통(별양총통) 등으로 나뉜다. 이들 각종 승자총통은 대량으로 사용된 탓인지, 실물 유물이  상당히 많이 남아있다. 현재 국내에 70여 자루가 남아있고, 일본에 남아있는 것도 14자루가 있다.

이순신 장군이 쓴 난중일기를 보면 1592년 6월2일의 해전에서 대승자총통과 중승자총통을 사용했다고 나온다. 또한, 전남 여천시 백도 앞바다에서 승자총통, 차승자총통, 소승자총통, 별승자총통 등이 인양되었다. 이런 여러 증거들을 보면 조선 수군들이 임진왜란 당시 승자총통 계열의 총통을 많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승자총통의 장단점은 자세하게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조선중기의 승자총통류       

            전체  길 이

              구 경

             발사체

 승자총통 (勝字銃筒)

 52~59 cm, 평균 56.14 cm

 18~32 mm, 평균 26.6 mm

 철환 8~15발, 피령목전 1발

 차승자총통 (次勝字銃筒)

 56.8~58 cm

 16~26.6 mm

 철환 5발

 소승자총통 (小勝字銃筒)

 53.7~58 cm, 평균 57.2 cm

 13~25 mm, 평균 18 mm

 철환 1~3발

 별승자총통 (別勝字銃筒)

 73.5~76.5 cm, 평균 75.51 cm

 15~19 mm, 평균 16 mm

 

 

유성룡은 그의 문집 (서애선생문집)에서 승자총통에 대승자, 중승자, 소승자 3가지 종류가 있다고 말했고, 이순신도 난중일기 (1592년)에서 대승자, 중승자총통을 사용했다고 적었다. 이에반해 신기비결 (1603년)에는 대승자, 차승자, 소승자 총통이 나오고, 화포식언해 (1635년)에는 승자, 차승자, 소승자 총통이 나온다. 일단 대승자총통이 승자총통이고, 중승자총통이 차승자총통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 대응관계는 확실하지 않으며 전혀 별개의 총통일 가능성도 있다. 실물 유물로는 별승자총통이란 것도 있는데 문헌기록에는 나오지 않는다.

위 제원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겉모양으로만 보자면 승자총통은 조선 전기의 소형총통 중에 이총통(우자총통,현자화포)이나 사전장총통(일자총통)의 길이를 10cm 정도 늘린 것에 불과하다. 특히 승자총통과 이총통은 전체 길이, 부리 길이, 약통 길이, 자루구멍 길이 등의 상대적 비율도 거의 일치한다. 전체 길이에서 약통 길이 비율이 승자총통은 21.67%이며 이총통은 21.25%이고, 전체 길이에서 자루 구멍 길이의 비율은 승자총통은 16.92%이고, 이총통은 15.50%이다.

즉, 승자총통은 이총통의 전체적인 비례를 유지한체 길이만 10 cm 정도 늘린 것이다. 이렇게 총통의 길이가 길어지면, 사거리가 조금 늘어나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그러나, 이총통과 승자총통의 사거리를 비교해보면 승자총통의 사거리가 오히려 짧다. 이총통의 사거리는 기록이 없으나, 이총통의 전신(前身)인 개량형 현자화포의 경우 사거리가 700~900보였고, 이총통의 후신(後身)인 우자총통의 사거리는 700보였으므로, 이총통의 사거리도 700보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이에반해 승자총통의 사거리는 600보에 불과하다.

한가지 주목할 점은 승자총통의 화약량이 이총통(우자총통)의 2~3배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총통(우자총통)에서 철환을 발사할때 화약량은 3돈3푼이다. 이에반해 승자총통은 7돈~1냥의 화약을 사용한다. 승자총통은 손으로 들고 사격하는 소형 총통류 중에서는 조선 전~중기를 막론하고 가장 큰 총통이다.  이총통의 전신인 현자화포의 경우 손으로 들고 사격할때 반동이 너무 심했기 때문에 평이 그렇게 좋지 못한 무기였다. 그래서 현자화포의 크기를 조금 줄인 것이 바로 이총통인 것이다. 승자총통의 경우 이총통에서 다시 크기를 키우고 화약량을 늘렸기 때문에, 현자화포처럼 반동이 상당히 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해군사관학교의 승자총통 발사 시험 당시 반동이 상당히 심해서 사람이 균형을 잃고 비틀거릴 정도였다. 이것은 승자총통의 중요한 단점이다. 승자총통에 뒤이어 개발된 것으로 보이는 차승자총통, 소승자총통이 승자총통보다는 구경이 조금식 작아지고 화약량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승자총통의 특징과 장점은 도대체 무엇일까? 어떤 장점이 있길래 승자총통만 있으면 천하를 횡행할 수 있다는 장담까지 나왔을까? 조선 중기의 승자총통과 조선 전기의 소형총통과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겉모양이 아니라 내부구조에 있다. 이총통을 포함한 조선 전기~중기의 소형총통은 기본적으로 격목형 총통이다. 이에 반해, 승자총통은 격목을 사용하지 않는 토격형 총통이다. 조선 중기의 일반적인 소형총통은 화살을 발사할 때는 격목을 사용하고, 철환을 발사할 때는 토격을 사용한다. 이에반해 승자총통은 격목(나무)을 사용하지 않고, 토격(흙)만 사용하도록 특수설계한 순수한 토격형 총통이다. 승자총통은 화살보다는 철환을 주로 사용하는 최초의 총통이었고, 그것이 승자총통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장점이었다. 소형총통의 경우 화살보다는 철환을 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차승자총통이나 소승자총통의 전체 길이는 승자총통과 비슷하다. 다만 구경이 조금 작고 화약량을 줄였을 뿐이다. 차승자총통은 화약량이 5돈이므로, 승자총통 화약량 1량의 절반에 해당한다. 승자총통은 반동이 너무 심했기에, 구경을 조금 줄이고 화약량을 줄인 것이 바로 차승자총통(중승자총통)인 것이다. 차승자총통 실물 유물 중에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은 1582년에 제작된 것이다. 승자총통 실물 유물은 20여 자루가 남아있는데 반하여, 차승자총통은 단 3자루 밖에 없다. 이로보아, 차승자총통은 실제 그렇게 많이 사용된 것 같지는 않다.

별승자총통은 문헌상 기록은 없으나, 1591년 10월~1592년 3월 사이에 제작된 별승자총통이 20여 자루가 남아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몇달전에 집중적으로 제작된 것이다. 구경은 평균 16mm 정도이므로, 소승자총통보다 작고, 화약량은 5돈(錢)으로 중승자총통과 비슷하다. 전체 길이는 75.51cm로 승자총통보다 20cm 정도 더 길다. 이런 구조라면 사거리가 상당히 길고, 명중율이 뛰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남 여천 앞바다에서 무더기로 별승자총통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당시 수군에서 많이 사용했던 것 같다.

소승자총통은 화약량이 3돈이므로, 승자총통 화약량의 1/3 정도이다. 이 정도라면 반동이 상당히 줄어들었을 것이다. 특히 소승자총통은 근대적인 총과 유사한 몇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첫째, 소승자총통에는 가늠쇠(전조성)와 가늠자(후조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의 소형총통들은 총통을 가슴이나 겨드랑이 위치에 두고 지향사격 자세로 사격할 수 밖에 없다. 소형총통 끝에 연결된 긴 나무자루를 잡고 사격하기 때문이다. 이런 지향사격 자세라면 가늠쇠와 가늠자가 있을 필요가 없다. 소승자총통에 가늠쇠와 가늠자가 있다는 것은 지향사격을 한 것이 아니라 근대의 총처럼 눈 옆에 총을 붙이고 조준 사격을 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소승자총통에는 손잡이용 나무판(개머리판)이 있다. 승자총통을 포함한 조선의 모든 소형총통들은 대부분 나무자루를 잡고 사격한다. 오직 소승자총통만이 손잡이용 나무판이 있다. 손잡이용 나무판이 있기 때문에 눈 옆에 총통을 붙이고 가늠쇠와 가늠자를 이용한 조준 사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화승총 처럼 정밀한 발사장치가 없어 총이라고 부르기는 어렵지만, 이 정도라면 한국 화약무기 역사상의 혁명이라고 할만한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소승자총통이 개발된 것은 도대체 언제일까? 혹시 소승자총통은 임진왜란 발발후 조총을 모방하여 제작한 총통이 아닐까? 뜻밖에도 소승자총통이 개발된 것은 임진왜란 이전이다. 현재 남아있는 실물 유물을 보면 1587~1588년 사이에 제작한 소승자총통이 20여자루에 달한다. 이미 임진왜란 이전에 소승자총통이 일반화된 것이다. 이러한 소승자총통을 개발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기록이 없다. 다만, 화승총 같은 근대적인 총의 장점을 모방하여 제작한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이미 임진왜란 이전에 화승총의 장점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 조선에 있었던 것이다.

 

◆ 총통의 사격 방식

태종실록을 보면 '현자화포(이총통에 해당)는 힘이 센 사람만 쏠 수 있고, 설사 쏜다해도 2~3발 쏘면 팔이 아파서 더 이상 쏘지 못한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처럼 이총통 이하 소형총통들은 땅에 놓고 쏘는 것이 아니라 나무자루를 손으로 잡고 사격했던 것 같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나무자루를 이용해 바닥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했을지도 모르겠다. 특히 배 안이라면 총안구에 총통을 거치시키고 나무자루를 이용해 고정하는 방식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대형총통은 어떤 방식으로 총통을 거치하였을까? 융원필비(1813년)를 보면 동차에 총통을 거치시켰다는 내용이 나온다. 아래 사진은 지자총통을 동차 위에 거치시키고, 장군전을 장전한 모습이다. 학자들은 임진왜란 당시에도 당연히 이런 동차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해군에서 복원한 거북선 안에도 황자총통을 동차에 거치시켜 놓았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에 이런 동차를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실물 유물도 없을 뿐더러 조선 중기의 문헌상에는 기록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아래 화포(홍이포로 추정)는 1639년에 제작된 것으로, 고려대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이 화포는 상하 고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기가:機架)에 화포를 거치시켜 놓았다. 중국측 문헌기록을 보면 불랑기에서도 이와 유사한 받침대를 사용한 사례가 있다. 이런 받침대에는 아무 총통이나 거치시킬 수는 없다. 총통 몸체에 돌기가 있어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불랑기에서는 이런 돌기가 흔하게 발견되며, 조선식 총통 중에서도 이런 돌기가 있는 경우가 제법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조선 수군이 이런 식의 받침대를 부분적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제3세대형 별황자총통이나 불랑기, 백자총통 중에는 정철(正鐵)이 부착된 경우가 많다. 이 정철도 총통을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부품으로 짐작되는데, 정확하게 어떤 방식으로 고정을 시켰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신기비결(1603년)에 따르면 천자총통을 사격할 때 앞은 이과정(二瓜釘)으로 고정하고, 뒤를 쌍과(雙瓜)로 뾰족하게 묶었다고 한다. 이과정이나 쌍과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 수 없으나, 정철(正鐵)과 유사한 걸개를 이용해서 고정시켰다는 의미일지도 모르겠다.

 

이외에 완구 중에는 특수한 구조의 수레 위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있고, 구포(臼砲) 같은 경우는 나무상자 안에 고정시켜 놓고 사격했다. 3연발총이나 5연발총 중에는 양각대(兩脚臺)를 사용한 예가 있으며, 호준포의 경우에도 고정된 철제 양각대를 사용하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 모든 총통을 동차 위에서 고정시켜 사격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안이한 견해이며, 앞으로 좀 더 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여하간 현재까지 밝혀진 총통 거치 방식은 기껏해야 상하 고각만 조절할 수 있을 뿐이며, 좌우 선회는 매우 불편하다.

 

◆ 총통의 사격순서

아래 총통의 사격순서에 대한 설명은 한효순이 쓴 신기비결(神器秘訣, 1603년)을 참고했다. 이 사격 순서는 정확하게는 천자총통에서 중연자(중형 납탄환) 100발을 동시에 사격할 때의 사례이다.

① 세총 (洗銃)- 총통 안을 쓸고 씻는다.

② 입약선 (入藥線) -약선혈(점화구멍) 안으로 점화선을 넣는다.

③ 하화약 (下火藥) -총구로 화약을 넣는다.

④ 하복지 (下覆紙)- 총구로 종이를 넣어 화약을 덮는다.

⑤ 하송자경 (下送子輕) -화약 다지는 나무자루(송자)로 화약과 종이를 가볍게 쳐서 다진다.

⑥ 하목마 (下木馬) - 총구로 격목(목마)을 넣는다.

⑦ 하송자 용력타 지약전 (下送子 用力打 至藥前) -나무자루로 힘껏쳐서 격목을 화약 바로 앞까지 밀어 넣는다.

⑧ 하연자일층 하토 하송자 (下鉛子一層 下土 下送子)- 총구로 납탄환(연자) 30여발을 넣고, 흙을 넣는다.

⑨ 하연자일층 하토 하송자 (반복)

⑩ 하연자일층 하토 하송자 (반복)

⑪ 하합구대연자 일장 하송자 용력타입구평총 (下合口大鉛子 一杖 下送子 用力打入口平銃) - 마지막으로 총구에 맞는 큰 탄환(대연자)을 넣는다. 힘으로 쳐서 총구에 평평하게 넣는다. 이 단계까지가 사격 준비단계이다.

약선(藥線)에 불을 붙이면 약선혈(藥線穴:점화구멍)을 통해 불이 타 들어가 화약이 폭발한다.

약선은 종이를 꼬아 만드는데, 총통에 따라 길이를 28.1~43.7cm 정도로 조절한다.

종이를 넣는 것은 불을 잘붙게 하기 위한 것이고, 격목(목마,나무)을 총통 안으로 넣는 것은 약실을 밀폐시켜 최대한 폭발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천지현황 등 대형총통은 소형총통과는 달리 대형화살을 쏘든 철환을 쏘든 기본적으로 격목을 넣는다. 격목을 넣은 후 한번에 30여발식 납탄환을 넣고 흙을 덮는데, 이걸 세차례 반복하여 100발을 넣는다.  마지막에 총통의 구경과 비슷한 큰 탄환을 넣는 것도 총구를 밀폐시켜 폭발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큰 납탄 대신 쇠철자(쇠로된 탄환)나 대석자(돌로된 탄환)를 넣는 경우도 있었다. 결국 제일 안쪽에서 부터 화약 + 종이 + 격목 + 탄환 30여발 + 흙 + 탄환 30여발 + 흙 + 탄환 30여발 + 흙 + 큰 탄환을 차례로 넣어 거의 총통 총구까지 발사체를 가득 체우는 셈이 된다. 마지막에 힘으로 쳐서 총구에 평평하게 넣는다는 것은, 결국 총구 부근까지 발사체를 가득 체운다는 이야기이다.

만약 지자총통의 경우 중연자 60발을 발사하게 되므로, ⑧~⑨ 단계로 60여발을 장전하고, 바로 ⑪로 넘어가게 된다. 총통에서 대형화살 (대장군전 등)을 발사한다면 ⑧ 단계에서 납탄환 대신 대형화살을 총구 안으로 넣으면 사격 준비는 끝이 난다. 승자총통이라면 격목을 넣지 않고 토격(흙)을 넣게되며, 기타 다른 소형총통들도 철환을 발사할 때는 격목을 쓰지 않고 토격만 넣는다.

 

◆ 주요 총통의 사거리

1보(步)는 일반적으로 주척 6척(주척 1척은 대략 20.7cm)이므로,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1.24m가 된다. 따라서, 사정거리 1000보라면 1240m가 된다. 그러나, 최근 관련 기관에서 실제 실험한 결과는 문헌상의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예를들어 별황자총통의 경우 대형 화살을 발사했을때 문헌상 사정거리가 1000보이므로 1240m 정도의 사거리가 나와야 정상이나, 실제 실험결과는 500~600m 정도였다.

 

 

                       문헌상 기록

실제 실험결과 (해군 충무공 유물발굴단, 해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화포식언해(1635)

 융원필비(1813)

 철환 실험결과

대형화살 고각 50~60도

대형화살 고각 35~40도

천자총통

 대장군전 900보

 대장군전 1200보

 철환 350~400m

 대장군전 200m

 대장군전 400~500m

지자총통

 장군전 800보

 장군전 800보

 철환 500~540m

 장군전 500m

 장군전 500~600m

현자총통

 차대전 800보

 차대전 2000여보

 철환 1100~1250m

 차대전 210m

 차대전 400~600m

황자총통

 피령차중전 1100보

 피령전 1100여보

 철환 1380~1590m

 피령전 180m

 피령전 400~450m

별황자총통

 피령목전  1000보

 -

 철환 1300~1450m

 철령목전 220m

 철령목전 500~600m

불랑기

 -

 -

 철환 1300~1400m

 

 

중완구

 단석(34근) 500보

 단석 500보

 단석 190~280m

 

 

소완구

 단석(11.1근) 500보

 -

 단석  150~200m

 

 

승자총통

 피령목전 600보

 -

 철환  200~300m

 

 

차승자총통

 -

 -

 철환  200~300m

 

 

별승자총통

 -

 -

 철환  200~350m

 

 

소승자총통

 -

 -

 철환 180~200m

 

 

 

이러한 차이점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가들도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1보가 주척으로 6척이라는 기존의 사학계의 연구 결과를 의심하는 견해도 있고, 복원된 총통의 규격이 정밀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 현재로서는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조선시대의 실제 사거리는 실험 결과보다는 조금 더 길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임진왜란 당시 사용된 제2세대 총통의 경우 정확한 문헌상의 기록이 없이 실물만 남아있다. 임진왜란 중인 1596년부터 사용된 제3세대 총통의 경우도 총통 명칭과 발사체에 대한 문헌 기록은 남아있으나, 총통의 완전한 규격은 기록이 없다. 어쩔 수 없이 관련기관에서는 현재 남아있는 제2세대 총통 실물 유물을 기준으로 복제품을 제작하여 사거리를 실험하였다. 복제품의 원형인 실물 유물이 정확하게 제작된 표준형이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이 경우 사거리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격목의 재질, 격목의 표면 처리도 사정거리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요소인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깊은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발사체의 경우도 조선 중기에 사용된 각종 대형 화살의 정확한 규격이 남아있지 않아, 무게를 제외한 기타 제원은 조선 후기의 융원필비(1813년)를 많이 참조하여 발사체를 복원했다. 이 경우 총통은 제2세대형 실물을 기준으로 복원하고, 발사체는 조선 후기형 발사체를 기준으로 복원한 것이 되므로, 실험 결과에 다소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실제 발사시험시 흑색화약은 기준 사용량의 1/3로 줄여서 발사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화약량을 줄여서 사격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화약의 성분 및 화약량의 조절에 따라서도 사거리에 차이가 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종시대에도 부분적인 개량으로 사거리가 2배 이상 늘어난 사례가 있으므로, 앞으로 총통 복원과 발사법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되면, 사거리가 더 늘어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 총통의 발사체

           분    류

  조선 전기

  조선 중기

  조선 후기

           근    거

 국조오례서례 병기도설

 신기비결, 화포식언해

 융원필비, 훈국신조군기도설

  원형 발사체

  폭발형

 -

 비격진천뢰 (비진천뢰)

 별대/대/중/소 비진천뢰 

  금속제

 -

 대/중/소 연자 , 대철자 (신기비결 기준)

 수철연의환, 연의환, 조란환

 연환, 새알 철환(조란환), 철환 (화포식언해)

 중환, 소환 (실제 유물 기준)

  석제

 포석, 석환

 단석, 수마석, 대석자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 단석

 

조선 전기에는 대부분 화살형 발사체를 사용했을 뿐 원형 발사체(탄환)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예외적으로 총통완구에서 돌로 만든 탄환인 포석이나 석환을 사용했을 뿐이다.

조선 중기에 들어 중종 무렵부터 중국의 영향으로 일반 소~대형 총통에서도 원형 발사체(탄환)를 사용하게 되었다. 신기비결에는 대,중,소 연자가 나오고, 화포식언해에는 연환, 새알 철환, 철환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크기도 다양하고 재질도 철제, 납탄, 청동제 등 여러 종류가 있었던 것 같다. 실제 총통 유물에는 중환(中丸)이나 소환(小丸)이라고 새겨진 경우도 있다. 여러 기록을 대조해보면 조선 중기를 기준으로 크기는 대연자 = 대철자 > 연환> 중연자 > 소연자 > 철환 순서인 것 같고, 새알철환(조란환)은 철환과 비슷한 크기인 것 같다. 일부 연구가들은 소연자가 곧 조란환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 장전 사례를 비교해보면 소연자는 조란환보다는 큰 탄환인 것 같다.

돌로된 탄환은 단석, 수마석, 대석자 등 여러가지 명칭으로 부르지만 실상 같은 종류들이다. 이런 돌로된 탄환은 주로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완구류에서만 사용했으나, 일반 대형 총통에서도 대연자 대신 대석자(대형 단석)를 발사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 같다.

 

이상 라울로의 지식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천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지자총통

승자총통

장군전(소,중,대)

불량기

완구(소,중,대완구)

구포

신기전(소,중,대 신기전)

화차,변이중 화차

홍이포

소포,중포,대포

대한제국 :

개틀링

맥심

암스트롱 야포

크루프 75mm 대포



조총

화승총

천보총

3발총

화승식 권총

엔필드 전장 소총

무라타 전장 소총

레밍턴 캡션 소총

마우저 1871 후 장 식 소총

샤스포 후 장 식 소총

베르단 후 장 식 소총

무라타 볼트액션 소총

독립군 :

개량 화승총

마우저 게베어 소총

모신-나간트 소총

리-앙필드 소총

1903 스프링필드 소총

개런드 반자동 소총

무라타 30식 소총

아리사카 99식 소총

중국 중정식 소총

루이스 기관총

체코 Zb 26 기관총

러시아 m1910 기관총

맥심 기관총

M1919 기관총

M2 중기관총

카빈 반자등 소총

M3 그리스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p-30 기관단총

중국 한양식 소총

박격포

러시아제 야포

미제 대전차포

중국제 대포

일본제 노획 박격포

일본제 노획 기관총

콜트 권총 리볼버 독일제 권총 소련제 권총 중국제 권총 일본제 노획 권총 등등

수류탄 : 미국제 파인애플 수류탄 영국제 수류탄 소련제 수류탄 독일제 수류탄 일본제 노획 수류탄 중국 공여 수류탄

대공무기 (사진있음)

비행기 미국제 복엽 비행기 AN2 연습 훈련기

군수지원함 1대

차량 (버마전선)

하프트랙

장갑차

지프

서울 진공 작전

C 47 다코타 수송기

장군

주석 김구

지청천 총사령

이범석

장준하

김좌진

홍범도

김원봉(조선의용대,독립군,광복군)

김일성(논란) (조선의용대 추정.)

군벌

대한독립군

조선의용대

북로군정서

서로군정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으로 다 통합됨.

전투 : 청산리 전투 봉오동 전투 보천보 전투 쌍성보 전투 한,중 합작 전투 버마 전선 임팔작전 서울 진공 작전 (실패.)

이후. 국군으로 통합되었다.

조선시대에 쓰는 대포 알려주시면 감사

주로 조선 시대에 쓰는 포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 천자통통 그런것은 물론이고 또... 발사하는 대포에 가까운 무기이다. 당연히 현자총통은 이총통(현자화포)보다 훨씬...

조선시대 계급에 대해

... 맨 아래 사진에 나온 모자는 어떤 계급이 쓰는건가요??... 제가 조선시대를 소설로 쓰게 된다면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게 하면 좋을까요? 순서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

조선시대에 대해서 알려주실분!!

... ㅡㅡ] 그런데 전 얼마전 만화책을 보던중 조선시대에... 쓰는 이름[한자랑같이<이건약간무리?;;>]써주시면 감사하... 포루투칼이나 유럽의 대포들도, 천자포보다 사정거리가...

조선시대 전염병

조선시대에 퍼진 전염병들이 궁금합니다! 어떤 왕 때 어떤 전염병이 퍼졌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그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숨당 (( 최대한 많이...

조선시대에요 ㅜ_ㅜ

...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호칭을 알려주세요. (1)남매간의 호칭(누나와... 현재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쓰는 "자네" 라는 표현을...조선시대에는 부부간에...

조선시대 소설

제가 요즘 조선시대를 바탕으로 한 사극소설을 쓰는 것에...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아! 할 수 있다면 조선시대 소설들도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소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