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에 종류에는 뭐가 있나요?

자연재해에 종류에는 뭐가 있나요?

작성일 2006.04.07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자연 재해의 종류에는 뭐가 있나요?

궁금해서 한번 해보는 거지만, 기간안에는 올려주세요

자연재해의 예방법,사진도 올려주시면 내공20더 올려드릴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태풍

폭풍우는 주로 저기압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여름철에 열대지방의 해상에 많이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또는 온대 혹은 한 대의 경계지대에 흔히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이다. 폭풍우는 주로 저기압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여름철에 열대지방의 해상에 많이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또는 온대 혹은 한대의 경계지대에 흔히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이다. 주로 여름철에 열대지방의 해상에서 발생되는 열대성 저기압이 해상의 막대한 수증기를 포함한 수렴기류를 강제로 상승시켜 수증기가 응결할 때 방출한 잠열로 계속 세력을 증가시킴으로서 중심부근의 풍속이 17m/sec이상으로 발달되는 것을 태풍이라 한다. 최근에는 기상 레이더와 인공위성의 도움으로 그 실체가 거의 밝혀지고 있다. 바람은 북반구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중심으로 몰려들고 중심부근에 가까워질수록 비바람은 점점 강해지며, 중심에서 50∼60㎞의 거리에 이르면 절정을 이룬다. 태풍중심으로 갈수록 비바람은 점차 약해져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에서는 바람이 약하고 구름도 없는 구역이 원형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을 '태풍의 눈'이라고 부른다. 태풍의 눈에 해당하는 구역에는 하강 기류가 있어 하늘은 맑게 개이며 그 크기는 태풍에 따라 직경이 수십 ㎞에서 수백 ㎞에 달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중심기압은 900∼990h㎩의 범위이고 강우현상은 태풍의 눈을 제외한 중심의 전방에서 광범위하게 분포된다. 대부분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으며 진행방향으로 볼 때 우측이 좌측에 비하여 바람도 강하고 강우량도 2배 정도로 많다. 태풍은 주로 북태평양의 서부인 필리핀 동쪽의 넓은 해상에서 발생하여 북서쪽으로 서서히 세력이 증가하면서 이동하다가 동지나해 부근에 이르면 진로를 바꾸어 북북동 혹은 북동쪽으로 대략 포물선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풍의 발생지점과 이동경로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계절에 따라 변하며 때때로 예상외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태풍은 매년 그 발생 회수가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일년에 약 26개 정도가 발생하며 그 중 2, 3개 정도가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쳐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초래한다. 태풍이 건조한 육지로 상륙하면 점차 쇠약해지지만 이 때부터 호우와 폭풍이 위력을 떨치면서 막대한 피해를 주게된다. 우리 나라는 비가 많이 내리는 7, 8월과 태풍 내습기가 겹치기 때문에 피해가 더 크게 나타난다. 때로는 9월에 태풍이 도달하여 피해를 입기도 하며 6월에도 태풍의 통과로 인한 피해를 받기도 한다.

◆호우

호우란 일반적으로 큰비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특히 단시간에 많은 양이 내리는 비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호우는 각각의 강우 기후구에서 평균적인 강우 강도의 우량을 훨씬 상회하는 강한 강우현상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집중호우란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하루 강수량이 연강수량의 10%이상일때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1일동안에 연총강수량의 몇분의 1에 해당하는 비가 쏟아지기도 하고 1시간에 100mm를 넘는 비가 내리기도 한다. 1966년 7월 경기 북부지역의 파주, 문산,연천 및 1998년 8월서울, 경기등 우리나라 전역을 강타한 게릴라성 호우는 많은 홍수를 일으켜 큰 피해를 주었던 예들이다.

◆쓰나미

쓰나미는 지각의 활동에 의한 지진이나 지반의 함몰, 상승, 폭발 등과 같은 화산활동에 의해 지층의 수평이동이나 수직이동으로 인하여 바다에서 발생하는 대단히 긴 주기를 갖는 해양파를 말한다. 쓰나미는 만이나 항구에서 상당한 해일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 해안지역에서의 침수 및 해안구조물에 심한 피해를 준다. 쓰나미가 해안선에 접근하면 해안선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에너지 일부가 반사되기도 하고 일부는 전파되면서 그 크기가 커져 구조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거나 해안선을 따라 침수피해를 준다. 해안선에서의 쓰나미의 크기는 30m 이상인 것도 있으며 10m 정도의 것은 흔히 발생한다. 우리 나라는 태평양에서 발생되는 쓰나미의 경우 일본이 가로막고 있어 직접적인 피해는 받지 않고 있으나 일본 근해에 쓰나미가 발생할 경우 우리 나라 동해안에서도 큰 피해를 입게 된다.

◆한발

우리 나라 수자원 부존량의 연간 편차는 매우 크나 지역별 연간 분포는 균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계절적 변동이 심하다. 연간 유출량 697억㎥에서 약 67%인 467억㎥가 홍수기인 5월에서 9월에 집중되며 5대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소하천은 경사가 급하고 유로 길이가 짧아 직접 바다로 유출된다. 우리 나라 지하수 부존량은 1조 3,240억㎥로 연평균 총 강수량의 약 10배, 하천 유출량의 약 19배로 추정되고 있으나 대규모 지하수층의 발달이 빈약하여 지하수 개발은 불리하나 비홍수시 또는 물 부족시에 중소규모 지하수 개발로 대처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은 충분하다. 이러한 수자원 공급량이 실제 수요량보다 부족하게 되면 한발현상이 발생한다.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의 이상 발달이 있게 되면 장마전선이 우리 나라에 형성되지 못하므로 대륙지방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저기압의 진로를 가로막을 뿐 아니라 동서 계절풍의 발달이 억제되어 가뭄이 일어나게 된다. 고대에서 근대까지 농업이 주산업으로 용수수요가 적었던 시대에는 한발로 인한 수확량 감소로 기근을 겪었다. 근대에서 현대로 이르면서 인구증가, 도시화 및 산업화 등에 따라 용수수요가 증가하였지만 다목적 댐의 건설 등 발달된 수자원 관리로 한발의 피해는 과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게 되었다.1900년대 이후 우리 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준 한발로는 1939, 1968, 1978, 그리고 1982년도 발생한 한발과 1994년의 한발을 들 수가 있다. 1939년도의 한발은 낙동강 유역에서 가장 심한 물 부족을 보였고 영산강에서는 지표수가 고갈되었다. 1978년의 한발은 영산강 유역 및 서남 해안지방과 낙동강 유역에서 극심하였으며 영천 및 밀양지방에서는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공업용수까지 큰 위협을 받았다. 1982년의 한발은 충청 이남, 경남북지방에서 극심하였으며 낙동강은 본류를 제외하고 모든 지류가 고갈상태였다. 1994년의 경우 북태평양 기단이 우리 나라를 강하게 덮게 되어 전선이 형성되지 못하여 저기압이 우리 나라에 접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유례없는 극심한 한발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전국적인 생·공용수공급 및 농작물에 극심한 피해를 주었으며 하천유지 용수의 부족 등으로 식수원이 오염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지진

지진은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지각 변동으로서 급격한 단층 운동에 의한 단층 지진, 화산활동에 의한 화산 지진, 지반의 함몰에 의한 함락지진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각 시대의 지진 기록이 다르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활동의 시간적 변화를 정확히 규명하기는 어렵다. 역사적인 기록에 의하면 15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는 지진활동이 활발하였고, 특히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100여명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19세기 이후에는 지진활동이 중지되었다. 20세기에 와서는 쌍계사 지역에서 강진이 기록되었다. 또, 1965년 1년동안 104회의 유감지진이 발생하였고, 1978년 홍성에서 진도 5의 큰 지진이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지진 활동 추세에 관해서는 예측이 거의 불가능하고, 도시의 광역화, 인구의 조밀화, 산업규모의 확대 등으로 지진에 의한 피해가 대형화되어 갈곳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고층건물이나 핵 발전설비, 댐설비 등의 중요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지진에 대한 안전성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할 실정이다.

◆설해

우리나라의 대설은 겨울철 시베리아 대륙에서 확장하는 찬 대륙성 고기압의 세력이 호남지방과 동해상으로 확장할 때 상대적으로 서해상에는 저기압이 발달하게 된다. 이때, 서해상에 있는 저기압으로부터 남서 기류에 의하여 따뜻하고 다습한 공기가 계속 다량 유입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많은 눈이 오게된다. 특히, 영동지방은 태백산맥을 넘는 습윤 공기와 동해에 위치한 찬 북동기류가 만나 대설의 원인이 된다. 영동지방의 대설은 대륙성고기압이 자주 확장하는 1,2월에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과거 설해의 예로는 고구려 유리왕 14년 11월에 고구려를 침입한 병졸이 동사함으로써 피해를 입었고, 백제 아신왕 4년 11월에 개성에서 대설을 만나 병졸이 동사하므로 회군한 예가 있다. 또, 신라 문무왕 2년 2월1일에는 평양근처에서 인마가 동사했다는 기록도 있고, 통일 신라 원성왕 7년 10월에는 3척의 눈이 내려 동사자가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에 있어서 대설로 인한 재해는 연중 12월 부터2월 사이에 주로 발생하며, 도시 지역의 교통체증과 차량의 미그럼 사고와 함께 출근길의 대혼잡을 초래하기도 한다. 1990년 1월30일부터 2월1일 까지 영동지방에 북동 기류의 유입으로 다량의 수증기가 공급되어 일 최대 적설량이 강릉 67.9cm, 대관령 56.0cm의 폭설이 내렸다. 1994년 2월9일부터 2월12일까지는 한랭한 고기압등이 동해상으로 확장되고 중국 동해상에서 북동진하는 저기압으로부터 다량의 수증기 유입으로 인하여 남부지방에는 일 최대적설량이 20.0-33.5cm의 많은 눈이 내려 진해, 마산, 진주, 총무에서는 최대 적설량이 갱신되었다.

 

 

가뭄

폭설

 


 

 

우박

 

 

산사태

지진

많은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저는 초딩 인더l요...

 

이름은 (이)슬기

 

입니닷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홍수

 

1 다목적 댐을 건설하고 강의 폭을 넓혀준다.

2 구불구불한 강을 직선화하여 물이 불어났을 때 빨리 빠져나가도록한다.

3 신속한 복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준다.

4 강 주위에 인공제방을 쌓아둔다.

 

2. 가뭄

 

1 저수지시설 확인하기

2 다목적댐 건설

3 웅덩이나 수로를 설치한다.

 

3. 태풍

 

1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 조성

2 한 태풍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미리 대비를 하거나 준비를 한다.

 

4. 지진

 

1 정확하게 예측을 한다

2 지진의 충격에도 견딜수 있는 건물을 짓는다.

 

5. 해일

 

1 해안지방에서는 방조제를 건설한다.

 

6. 동해

 

1 동해란 ?

겨울철에 농작물이 얼어 죽는 경우를 말합니다.

2 추위에 견딜 수 있는 품종개량 생산

 

7. 황사

 

1 실외 외출을 삼가한다.

2 손발을 깨끗히 씻는다.

3 마스크 들을 착용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종류부터.

황사

폭풍

홍수

가뭄

지진

산사태

눈사태

우박

해일

1.황사ㅡ황사는 막을수 없지만 피할수있다. 피하는방법=외출시 마스크착용

외출후 노출된 부위는 씻고 호흡기 주변을 씻는다.

2.폭풍=댐건설 이유는 폭풍이 오면 비가 많이 오므로 홍수를 대비해 댐을 만든다.

3홍수=댐건설 ^내용과 동일

4.가뭄=^내용과같은(3,4번은 비가 많이오면 댐이 먹고... 비가 않오면 댐에 잇는 물을 뿌린다.

5.지진=튼튼한건물을 지은다.

6산사태,눈사태= 나무를 많이 심는다 이유는 산사태,눈사태가 마구 내려오면 나무가 막아주기 위해.

7박=외출삼가 튼튼한 창문

8일= 방조제 방파제 를 만든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홍수

 

1 다목적 댐을 건설하고 강의 폭을 넓혀준다.

2 구불구불한 강을 직선화하여 물이 불어났을 때 빨리 빠져나가도록한다.

3 신속한 복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준다.

4 강 주위에 인공제방을 쌓아둔다.

 

2. 가뭄

 

1 저수지시설 확인하기

2 다목적댐 건설

3 웅덩이나 수로를 설치한다.

 

3. 태풍

 

1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 조성

2 한 태풍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미리 대비를 하거나 준비를 한다.

 

4. 지진

 

1 정확하게 예측을 한다

2 지진의 충격에도 견딜수 있는 건물을 짓는다.

 

5. 해일

 

1 해안지방에서는 방조제를 건설한다.

 

6. 동해

 

1 동해란 ?

겨울철에 농작물이 얼어 죽는 경우를 말합니다.

2 추위에 견딜 수 있는 품종개량 생산

 

7. 황사

 

1 실외 외출을 삼가한다.

2 손발을 깨끗히 씻는다.

3 마스크 들을 착용한다.

 

8. 산사태

 

1사방공사를 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cript> showFlash('count_button.swf', 'kinUp_1305_2510304_28', 111, 58, 0, 20, 'n', false, true, true); </script> <object id=kinUp_1305_2510304_28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height=58 width=111 align=middle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object src="count_button.swf" wmode="transparent" flashvars=count=0&maxCount=20&mode=n&swfID=kinUp_1305_2510304_28&isMax=false&isClick=true&isLogin=true quality="high" width="111" height="58" name="kinUp_1305_2510304_28" id="kinUp_1305_2510304_28"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점수냠냠

출처 : ㅇ

자연재해에 종류에는 뭐가 있나요?

자연 재해종류에는 뭐가 있나요? 궁금해서 한번 해보는 거지만, 기간안에는 올려주세요 자연재해의 예방법,사진도 올려주시면 내공20더 올려드릴게요 자연재해의 뜻...

불 관련 자연재해 뭐뭐 있나요?

... 뭐가 있나요? 자연재해 화재로는... 대표적인게 극심한 건조로 인해 자연발화에 의한... 전기화재, 가스화재,유류화재[선박화재 포함],폭발물 화재등이 인위적인 화재종류에...

자연재해종류에는 무엇이있나요??...

대구에서일어난 자연재해종류에는 무엇이있나요?? 될수있으면 오늘안에 답해주세요^^대구입니다!!다른지역아니에요 대구!대구! 알겠죠? 17년지난 지금도 궁금하신가요...

자연재해사실이 뭐에요?

... 수행평가는 질문자님이 이미지로 주셨던 자연재해종류에서 고르셔서 그에 대해 설명을 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태풍이란 무엇인가? 이런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자연재해종류에 대해서

자연재해종류에는 무엇무엇이 있나요??? -태풍 (7,8,9월에 많이 발생하고 강한바람과 비를 동반하여 피해규모가 매우 크다.) -호우 (장마,태풍 등으로 짧은 시간 동안에 많은...

자연재해에

자연재해에 미리 대비할 수 있나요? 과학 수행평가를 해야하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들... 자연재해종류와 특성을 파악한다. 어떤 종류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