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매립장의대한사례

쓰레기매립장의대한사례

작성일 2007.06.2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쓰레기매립장 설치의

대한 사례

빨리답변 부탁!!!

제가 찾는데는 영~~ 아니라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월드컵공원


1978년 쓰레기를 매립하기 전, 난지도는 땅콩과 수수를 재배하던 밭이 있던 평지였습니다.
낮은 땅이었기 때문에 홍수 때면 집이 물에 잠기는 고통을 겪기도 했지만 학생들의 소풍장소
로 사랑 받았으며 애정영화의 세트 장소로 이용되기도 했던 아름다운 섬이었습니다.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꽃으로 가득했고, 오랜길을 날아온 새들이 쉬어갈 정도로 아름다웠던,이름마저도 향기로운 섬, 난지도.
이곳이 악취가 풍기고 오물이 넘쳐나는 쓰레기 산이 되었던 것은 역사가 만들어낸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위대한 자연의 힘으로 제 모습을 되찾아 가고 있는 난지도는 쓰레기 문제의 대명사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고 21세기의 새로운 유토피아로 변화하였습니다. 근근히 생계를 이어가던 폐품수집원들의 삶의 터전에서 이제 서울 시민 전체의 희망의 땅으로 새롭게 거듭난 것입니다.

 
 

쓰레기 매립장 설치 반대 사건

경서동 동아 매립지

 

사건내용
당초 농경지를 목적으로 허가 받은 동아건설은 중국과의 수교, 신공항건설, 인천시의 광역화 등으로 매립지 주변여건, 국제적 상황이 1980년에 비해 크게 변화하였고 매립지에 농업용수 공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동아건설 소유 500만 여 평의 대지를 현재의 인천광역시 여건에 맞도록 개발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서해안 시대를 맞이하여 서해안의 중심권에 들어온 매립지에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그 자리를 첨단 해양도시와 관광위락단지 등으로 개발하는 것이 농사를 짓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판단,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언제

1980년 1월

 

 

"화순군, 쓰레기 대란만은 막아야!"
화순읍 등 9개 지역 쓰레기수거 중단
"장기화되면 화순읍민들의 반발 커진다."
입력시간 : 2007. 05.29. 00:00


쓰레기 매립장이 변모한 공원
화순군이 한천면의 위생매립장 설치 반대에 부딪치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능주면으로 반입되는 화순지역의 생활쓰레기 매립을 전면 거부하고 있어 쓰레기 대란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능주면 쓰레기 매립장은 지난 1990년 매립을 시작 2007년 12월 말까지 매립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2008년 7월까지는 매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지만 능주면 주민들은 한천면 주민의 매립장 설치반대로 계속되는 위생매립장 연장사용이 불가피 하다고 판단, 지난 25일까지 화순군에 구체적이고 명쾌한 해결책을 요구한바 있다.

그러나 화순군의 해결책이 그들의 요구에 부합되지 않자, 지난 28일부터 쓰레기 반입을 전면 거부하고 있다.

따라서 화순군으로서는 주민들과의 충돌을 막기 위해 화순읍 등 9개지역에 대한 쓰레기수거를 잠정적으로 중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제(28일)부터 쓰레기 수거는 전체 읍, 면 중 이서와 북면, 동복과 남면 등 4개 면을 제외한 화순읍과 9개면은 사실상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아 주민들의 불편은 가중되고 있다.

만약 쓰레기 문제가 3일 이상 지체될 경우 화순군민의 60%(약 4만2천명)를 차지하고 있는 화순읍민들의 반발 역시 거세질 전망이다.

화순군에 따르면, "능주면 매립장은 아직도 8천 루배를 더 매립할 수 있으며, 이를 쓰레기 분량으로 보면 20톤 분량으로 앞으로 1년 정도는 여유 있다" 고 밝히고, 영덕정 앞 강의 폐수처리문제는 이미 4억의 예산이 확보되어 있어서 문제 해결은 가능하다" 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쓰레기 대란을 대비한 화순읍장(임영택)은 각 아파트 지역을 돌면서 쓰레기 문제의 현황을 파악하고, 쓰레기 방치가 오래될 경우 지속적인 방역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철저한 분리수거로 매립 쓰레기 분량을 줄여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한편 일부 화순읍민에 따르면, "아트단지는 3일정도 버틸 수 있으나 더 이상 오래가면 쓰레기 대란이 우려됨으로 화순군은 조속한 조치를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만약 장기화 우려가 있으면 공권력을 동원해서라도 쓰레기 대란은 막아야 한다." 고 주장하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쓰레기매립장에는 어떤 폐기물이 얼마나 매립되고있습니까?

폐기물은 방사성폐기물, 생활폐기물, 지정폐기물, 의료폐기물로 분류합니다.

지정폐기물은 주로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말하며 법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폐기물"이란 쓰레기, 연소재(燃燒滓), 오니(汚泥), 폐유(廢油), 폐산(廢酸), 폐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死體)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

2.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3. "사업장폐기물"이란 「대기환경보전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또는 「소음·진동규제법」에 따라 배출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사업장이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4. "지정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醫療廢棄物) 등 인체에 위해(危害)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5.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摘出物),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매립장에는 주로 생활 폐기물을 매립하나 지정폐기물을 매립하는곳도 있으며 매립지 반입 시간대를 달리합니다.

 

매립지는 전국에 2006년 말 기준으로 227개소가 있습니다.

매립량은 매립지의 규모와 쓰레기 발생 지역의 쓰레기 발생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으며 아래 환경부 사이트에 들어가서 자원순환국의 자료에 전국 매립지 운영현황이 나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2)쓰레기매립장을 사용할수없게된다면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하는것이 좋을지 말해주세요

쓰레기는 매립하는것이 가장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매립을 할 수 없다면  가연성 쓰레기는 소각하는 방법이 있고 비가연성 액체 쓰레기는 해양투기나 화학적 처리 방법이 있습니다.

 

3)쓰레기매립장이겪고잇는 가장큰 문제점

  첯째, 침출수 처리문제

매립장 침출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물질이 많고 또한 유기물 농도에 비해 질소 농도가 높아 생물학적 처리가 어렵습니다.

매립지의 침출수는 매립 년도수에 따라 침출수 성분이 매우 다르게 나타납니다.

오래된 매립장 침출수일수록 유기물농도가 낮고 질소농도는 낮으나 유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이 잇습니다.

 

둘째, 악취발생문제

쓰레기를 수집 운반차량은 덮개를 덮으 운반하나 하절기 쓰레기 중에는 부폐하여 악취를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셋째, 곤충 서식 등 위생적인 문제 발생

쓰레기를 매립 후 복토제로서 쓰레기를 약 30cm 정도 덮지만 항상 즉각적으로 덮을 수 없기 때문에 파리등 곤충이 서식하여 비위생적인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넷째, 지역 이미지 훼손

최근에 건설되는 매립장은 주민 친화시설로 공원, 체육시설, 야생화 식목을 식재하여 공원화로 조성하지만 대외적으로 쓰레기 매립장이란 좀 나쁜 이미지를 갖게 되는것은 안타갑지만 불가피한 실정입니다. 

 

 

<시·도별 매립시설 설치현황>

(단위 : 천㎡,천㎥)

구 분

시․군

(시설수)

면적

용량

'06년까지

매립량

'06년도

매립량

잔 여

용 량

향후사용

가능연수

전 국

227

29,213.2

379,416.1

176,499.1

10,639.2

202,917.0

19.1

수도권

1

19,582.0

240,000.0

100,104.1

5,450.3

139,895.9

25.7

부 산

1

758.0

24,494.0

11,411.0

472

13,083.0

27.7

대 구

1

585.3

9,225.0

8,936.0

330.0

289.0

0.9

인 천

1

1.5

5.3

0.2

0.2

5.1

25.5

광 주

2

399.0

2,925.0

1,620.9

327.9

1,304.1

4.0

대 전

1

404.1

8,762.0

5,496.6

265.6

3,265.4

12.3

울 산

2

194.0

4,904.7

3,995.6

182.3

909.1

5.0

경 기

10

475.0

6,567.0

3,188.8

182.3

3,378.2

18.5

강 원

29

1,082.4

14,400.1

8,164.3

628.7

6,235.8

9.9

충 북

12

381.0

4,917.0

2,885.5

243.0

2,031.5

8.4

충 남

19

660.4

5,515.6

2,880.5

347.5

2,635.1

7.6

전 북

13

642.3

6,270.4

4,237.5

387.7

2,032.9

5.2

전 남

51

1,143.9

13,678.5

7,196.5

636.1

6,482.0

10.2

경 북

49

1,230.7

15,263.9

5,634.9

512.9

9,629.0

18.8

경 남

24

1,536.1

19,802.6

8,953.4

605.9

10,849.2

17.9

제 주

11

317.8

2,685.0

1,793.3

66.8

891.7

13.3

 

 

<연도별 매립시설 설치·운영현황 총괄>

 

구 분

시 설

(개소)

면 적

(천㎥)

용 량

(천㎥)

당해연도

매 립 량

총매립량

(천㎥)

잔여용량

(천㎥)

사용가능

년 수

'06

227

29,213

379,416

10,639

176,499

202,917

19년

'05

232

28,567

372,111

10,529

166,418

205,693

20년

'04

235

28,122

359,917

13,408

158,519

201,397

15년

'03

238

28,231

362,508

15,644

150,859

211,649

14년

'02

232

28,164

362,561

15,334

140,034

222,527

15년

'01

242

28,255

361,648

14,248

126,950

234,698

17년

'96

496

12,765

190,088

13,051

80,185

109,903

8년

 

 

관련 사이트

폐기물관리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별표에 상세하게 나와 있으니 참고 바람

http://www.klaw.go.kr/DRF/link_sframe.jsp

 

 

http://www.slc.or.kr/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쓰레기매립장의대한사례

쓰레기매립장 설치의 대한 사례 빨리답변 부탁!!! 제가 찾는데는 영~~ 아니라서 월드컵공원 1978년 쓰레기를 매립하기 전, 난지도는 땅콩과 수수를 재배하던 밭이 있던...

환경기초시설 쓰레기매립장

환경기초시설에서 쓰레기매립장이 잇는데 그 쓰레기매립장이 왜 갈등을 유발하는지와 그 갈등에 대한... 이 중 설치를 반대하는 갈등 사례는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가....

쓰레기 매립장 찬반 같은 것 질문

... 쓰레기 매립장은 반드시 필요하나 각각 이해관계에따라, 즉 자신들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이기주의) 사례들이 또... 고아들에 대한 편견을 가진 지역민들의 강한 반발 로...

쓰레기 매립장과 같은 환경 기초 시설...

쓰레기 매립장과 같은 환경 기초 시설 설치로 인해... 주민들의 환경 기초 시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3.... 분쟁 사례 1. 소각장 건립문제 2. 화장터 선정부지 문제 3....

쓰레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 사례

... 쓰레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 사례를 좀 알려주세요... -하수 처리장과 쓰레기 매립장 등 환경 보전 시설을... 그것은 바로 절약정신과 재활용에 대한 의지라고 할 수...

가치갈등의 사례

안녕하세요 제가 가치갈등의 사례를 조사하고 있는데요... 예를들면 쓰레기 매립장의 설치반대 정도?? ㅇ.ㅇ... 음,,,님피현상에 대한걸 말하는것 같네요. 님피현상이란 주민이나...

토양오염 사례

토양오염 (쓰레기) 에 대한 구체적인 오염사례 2가지이상 알려주세요!!ㅠㅠ... 커낼을 쓰레기 매립장으로 이용한 것이고 거기에 매립한 쓰레기가 치명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