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지역의 행정구역도 등...

제천지역의 행정구역도 등...

작성일 2006.02.06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로

열네살이되는

한여학생인데요..

 

제가 입학하게 될

중학교에서 '중학 생활의 길잡이'

라는 책을 나누어줫는데..

아마도 풀어가야겠다고 생각을해서

몇주만에 펼쳐보니...

 

 

정말 난생

처음보는 것들이

쫘르륵펼쳐졌습니다.

좀 당황스럽더군요.;;

 

 

힘있는 지식IN님들의

지식을 빌어

이 두~꺼운 책 한권을

뚝딱해결하고 싶어 이렇게 질문합니다.

 

 

[정확한답변을원합니다.]

[찾고또찾아도없어서질문합니다!]

[제발저에게도움을주세요~..]

 

 

 

1 제천지역의 행정구역도를 그려봅시다.

 

행정구역도가 무엇이죠?
이건 어떻게 하는건가요?

 

[제천시청에서 찾으면 나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하시지말고어떤메뉴로

가서어떻게해야'행정구역도'가나온다.

라고 말씀해주세요.

 

 

2 위치적 특색, 지형적 특색, 기후적 특색, 인구(변화), 자원과 산업

 

 

3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제천은 어떻게 불리었을까?

 

 

 

[제발 도와주십시오]

[제천여자중학교 화이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천행정구역도 는 제천시청에서 통계정보를 클릭하구요거기서 행정구역을 클릭하시면

밑으로 쭉내러가서 색깔이 없는 것 을 그리면 되요..

저두 거기중학교고요.. 1학년 들어가요. 그럼 도움되길..이름 알려주세요

 

 

 

 

이건 제천지역의 위치적 특색.지형적 특색.기후적 특색.인구(변화).자원과 산업 등 설명

 

제천시는 충청북도의 북부, 차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하여 동측은 단양군, 서측은 충주시, 남측은 문경시, 북측은 원주시,영월군과 접해 있고 월악산 국립공원과 청풍호가 어우러져 주변경관이 아름답고 교통이 편리하여 문화관광의 도시로 유망합니다.

제천시의 면적은 882.47 ㎢이고, 평균기온은 10.4 °C 강수량은 1500.4 ㎜ 평균상대습도 67 % 입니다.

[내토, 내제, 제주현, 제천현, 제천면, 읍내면, 제천읍〕

【시】충북 북부지역에 위치하며 현재 행정구역상 1시 1읍 7면을 통칭한다. 본래 제천현의 오른쪽이 되므로 현우면(懸右面)이라 하여 한사(寒寺), 갈마(渴馬), 서당(書堂), 화산(花山), 관전(官前), 백야(白夜), 동문외(東門外), 청전(靑田), 소근(素近)의 9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그 뒤 읍부(邑部), 교동(校洞), 사천(沙川), 하소(下所), 상소(上所), 월백(越百), 행백(杏百)의 7개 동리를 더 두어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현좌면(縣左面)의 모산(茅山), 토구지(土九之), 장락(長樂), 고암(古岩), 도티(道峙), 신월(新月), 진야(陳夜), 둔전(屯田)의 8개 동리와 동면(東面)의 흑석(黑石), 송티(松峙), 상봉(上鳳), 하봉(下鳳), 응동(應洞), 유곡(酉谷), 부곡(釜谷), 삼거(三巨), 증계(曾溪), 한천(寒泉), 송현(松峴), 백양(白陽)의 12개 동리와 북면(北面)의 신담리(新潭里) 일부와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의 자작리(自作里) 일부를 병합하여, 제천 읍내의 이름을 따서 읍내면(邑內面)이라 하여 읍부, 화산, 하소, 청전, 신백(新百), 신월(新月), 모산, 장락, 고암, 흑석(黑石), 두학(頭鶴), 고명(高明)의 12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17년에 제천면으로 고치고, 1940년 읍으로 승격하는 동시에 읍부리를 갈라서 대성정(大成町), 화천정(和泉町), 소화정(昭花町), 서정(西町), 대화정(大和町), 영정 일정목(榮亭一丁目), 영정 이정목(榮亭二丁目)으로, 화산리를 갈라서 남현동(南峴洞), 영정(榮町)으로 하였다가, 1946년 왜식 동명 변경에 의하여 소화정을 명동(明洞)으로, 서정을 서부동(西部洞)으로, 대화정을 의림동(義林洞)으로, 대성정을 교동(校洞)으로, 화천정을 동현동(東峴洞)으로, 영정 일, 이 정목을 중앙로 일, 이 가(中央路一,二街)로 고쳤다가 현재 행정동 9개동과 법정동 27개동을 관할하고 있다. 제천시내는 동쪽은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과 강원도 영월군(寧越郡) 남면(南面), 남쪽은 금성면(錦城面), 서쪽은 봉양읍(鳳陽邑), 북쪽은 송학면(松鶴面)에 닿아 있으나 1995년 시군 통폐합에 따라 제천시?군 전역을 제천시라 칭함.

2005년 1월 기준으로 현재 제천에는 138,718 명이 살고 있으며 이중 남자는 70,034명, 여자는 68,684명 입니다.

제천의 특산물로는 약초를 꼽을 수 있는데 전국에서 생산되는 약초양의 대부분이 제천에서 나는 약초라고 합니다.

올해에는 제천을 약초에 관한 웰빙특구 지정을 위해 시에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http://210.96.116.139/bbs/download.php?id=pds_general&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filenum=1

위 주소는 "제천지역 탐구자료"라는 제목으로 제천여자중학교 홈페이지 자료실란에 박미숙선생님께서 「2000년 제천지역 중학교에 계시는 사회과선생님들이 우리 학생들로하여금 제천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역사 등을 제대로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1년간 연구한 자료입니다. 중학교 들어와서 맨처음 배우는 "1단원 지역과 사회탐구"를 배우면서 꼭 필요한 자료이기도 하고, 내년에 우리학교에 입학할 제천여중 신입생 여러분이 "중학생 길잡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라는 말과 함께 올리신 자료의 웹상 주소입니다.

저 주소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넣은뒤에 엔터를 치면 다운로드 받으 실 수 있을 겁니다.

받고 싶은데 안될 시엔 제천여중 홈페이지(http://210.96.116.139/) 자료실 란에 가보세요.

아래는 백과사전에서 나온 내용입니다.

면적은 882.45㎢, 인구는 14만 1385명(2003)이다. 동쪽으로는 단양군과 강원도 영월군, 서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도 원주시와 접한다. 수리적으로는 동경 127°55′∼128°20′, 북위 36°48′∼37°25′에 있다. 1995년 제천군과 통합시를 이루어 현재 1읍 7면 9동으로 이루어졌고 시청소재지는 천남동이다.

제천시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지형이다. 시의 북쪽으로는 차령산맥이 지나고, 남쪽으로는 소백산맥이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루어 북쪽과 남쪽이 높고 서쪽과 동쪽은 낮다. 동쪽은 호명산(虎鳴山:475m)·작성산(鵲城山:820m), 서쪽은 삼봉산(三峰山:910m)·시랑산(侍郞山:691m), 남쪽은 문수봉(文繡峰:1,162m)·월악산(月岳山:1,094m)·하설산(夏雪山:1,028m), 북쪽은 백운산(白雲山:1,087m)·구학산(九鶴山)·송학산(松鶴山:820m)으로 둘러싸여 있다. 험준한 산악지대로, 평야는 남한강을 비롯한 하천을 따라 극히 미미하게 발달하였으나, 충주댐 건설로 인해 하천 주변에 발달한 하안단구가 수몰되어 경작지가 줄어들었다.

충청북도의 지질구조는 충주를 중심으로 크게 옥천계와 조선계로 나뉘는데, 제천 지방은 이 옥천계와 조선계의 분기점에 속한다. 조선계는 두터운 석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송학면 일대에서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였고, 이러한 지질적 특성으로 인해 석회암층이 풍부해 시멘트 제조업이 잘 발달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 화성암과 변성암이 분포한다.

시의 대부분이 급사면을 이루어 하천의 흐름이 매우 급하고, 남한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남한강이 시 중앙부를 동서로 흐르고, 그 지류인 제천천 등이 산간 침식분지를 형성하나 평야는 좁다.

해발고도가 높고, 비교적 바다와도 거리가 멀어서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연평균 기온은 10.3C, 1월 평균기온 -2.7℃, 8월 평균기온 23.4℃이며, 연교차 26.1℃로 기후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연평균 강수량은 1,453㎜로서 전국 평균 강수량보다 많다. 이는 장마철에 습윤한 기류가 차령·소백산맥의 서쪽 사면을 따라 유입될 때 지형성 강우로 인해 집중호우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제천은 어떻게 불리었을까?

삼한시대-마한 발생지

삼국시대 - 시 : 내토군

통일신라시대 - 내제군, 청풍면

고려시대 - 성종 2년 : 중원군 충주목 제주

                 예종 1년 : 양광도 충주목

조선시대 - 태조 4년  : 충청도 충주목

                 태종 13년 : 충청도 청풍군 제천현

1895년 - 제천군

1980년 - 제원군

1991년 - 제천군

1995년 - 제천시

 

집에 청풍명월 제천인가? 라는 책이 있더라구요///ㅋㅋ

그 책에 다 써있엇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천의 지리적 환경

 

제천은 지리적으로 국토의 중심이며 중앙선, 충북선 등의 철도는 물론 중앙고속도로와의 연계 등으로 진정한 중심의 자리에 올라서

면적은 882.45㎢

 

동쪽으로는 단양군과 강원도 영월군, 서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도 원주시와 접한다.

수리적으로는 동경 127°55′∼128°20′, 북위 36°48′∼37°25′에 있다.

제천시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지형이다. 시의 북쪽으로는 차령산맥이 지나고, 남쪽으로는 소백산맥이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루어 북쪽과 남쪽이 높고 서쪽과 동쪽은 낮다. 동쪽은 호 명 산(475m)·작 성 산(820m), 서쪽은 삼 봉 산(910m)·시 랑 산(691m), 남쪽은 문수봉(1,162m)·월악산(1,094m)·하 설 산(1,028m), 북쪽은 백운산(1,087m)·구학산·송 학 산(820m)으로 둘러싸여 있다. 험준한 산악지대로, 평야는 남한강을 비롯한 하천을 따라 극히 미미하게 발달하였으나, 충주댐 건설로 인해 하천 주변에 발달한 하안단구가 수몰되어 경작지가 줄어들었다.

 

시의 대부분이 급사면을 이루어 하천의 흐름이 매우 급하고, 남한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남한강이 시 중앙부를 동서로 흐르고, 그 지류인 제천천 등이 산간 침식분지를 형성하나 평야는 좁다.

 

해발고도가 높고, 비교적 바다와도 거리가 멀어서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연평균 기온은 10.3C, 1월 평균기온 -2.7℃, 8월 평균기온 23.4℃이며, 연교차 26.1℃로 기후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연평균 강수량은 1,453㎜로서 전국 평균 강수량보다 많다. 이는 장마철에 습윤한 기류가 차령·소백산맥의 서쪽 사면을 따라 유입될 때 지형성 강우로 인해 집중호우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후

1) 전체적 특징

  충청북도의 북동쪽에 위치한 제천지역은 해발고도가 300m에 이르고 주위에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는 산간분지로서 대륙성 기후를 띠고 있다.

연평균 기온이 10.1℃이고, 1월의 평균기온은 5.6℃, 8월의 평균기온은 23.0℃로 연교차가 24.5℃로 크게 나타난다. 이 같은 원인은 겨울철에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한기가 남하하면 산간분지의 영향으로 한기가 오랫동안 머물면서 최저기온이 크게 낮고 여름철에는 동쪽의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푄현상이 발생하여 기온이 높게 나타나므로 연교차가 크게 나타난다. 연 강수량은 1238.8mm으로 충청북도 지방에서는 가장 많고 계절별로는 여름철에 강수량의 56% 이상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산간지방의 특성상 우박이 자주 내리고 여름철에는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산사태 및 도로유실이 많다.

 

 

2) 기온

제천의 연평균 기온은 10.1℃이다. 위도 상으로 제천과 같은 지역은 울릉도(11.2℃), 울진(12.5℃), 안성(11.4℃), 당진(11.6℃)등이 있으나 기온은 모두 제천지방보다는 높다.  한편 제천의 연평균 기온 10.1℃와 같은 등온선 지역을 보면 해주, 개성, 포천, 여주, 단양, 원주, 양구, 안변, 원산, 함흥을 잇는 선이다.  특히 동해안은 제천과 등온선이 위도 상으로 2。의 차이가 있다. 이런 현상은 내륙지방이 바다의 온난 다습한 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아 대륙성 기후의 성격을 많이 띠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천의 연평균 기온 10.1℃을 전국적으로 대비해 보면 기온이 가장 높은 서귀포(15.3℃)에 비하면 5,2℃가 낮고 가장 낮은 중강진(3.9℃)에 비하면 무려 6.2℃가 높다. 그러므로 제천지방의 기온은 비교적 생활에 알맞은 온난한 기후에 속한다.

  제천지방의 최저기온은 영하 이하가 9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계속된다. 그러므로 무상월수(無霜月數)는 4개월 밖에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무상월수가 짧은 제천지방은 아열대성 농작물 재배에는 부적당하다.

  그러나 제천지방은 겨울철의 혹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름은 폭서를 몰고 온다. 이런 현상은 격 해 율이 높은 내륙지방에 나타나는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다.  여름철의 고온현상은 우리 나라 전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역적으로 온도의 차이가 별로 없다.   제천지방의 여름기온을 보면 월 평균 20℃이상의 달이 6~8월까지 3개월이며 이때의 기온은 열대지방을 방불케 한다. 최고기온을 보면 30℃ 이상은 5~9까지 5개월이며 농작물 성장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 나라는 여름과  겨울이 길고 봄과 가을이 짧은 것이 특징이나 제천지방은 더욱 더 이런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봄은 3, 4월이며 가을은 9, 10월로서 각각 두 달 밖에 안 된다. 이와 같이 실질적인 봄과 가을철이 짧기 때문에 봄의 파종기와 가을 추수기는 다른 지방보다 바쁘고 분주하다.

3) 강 수 량

물은  모든 농작물에 절대 불가결한 존재일 뿐 아니라 인간생활에 있어서 음료수,용수를 비롯하여 공업용수, 전력까지 생산할 수 있어 자원으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수 분포는 대체적으로 고위도 지방에 갈수록 적고 남하 할 수록 많아진다. 우리나라의 강수분포는 500~600mm에 불과하나  제주도 남쪽은 1,800m로서 약 3배에 달한다.

 

1998년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제천지역의 연강수량은 1581.4mm로서 전국평균 (1200mm)보다 많은 편이고 비슷한 위도상에  있는 울진지역(1090mm)과 같은 내륙에 위치한 청주지역(1216mm) 보다도 많은 편이다.

한편 계절적 강우 분포를 보면 우리 나라에서 여름철 (6~9월)에 집중 강우 현상이 가장 심한 지방은 중부지역이다. 여름철에 강수량이 적은 지역은 울릉도 24.4%, 남부지방 50%인데 비하여 충청북도는 60%나 된다.  그러나 제천지방의 여름철 강수량은 905.4mm로서 연 강수량의 66.7%에 이른다.  이와 같이 여름철에 집중 강우현상은 농작물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때때로 집중호우로 수해를 입는 일이 있다.

4) 바람

우리 나라에서 일반적으로 풍속이 강한 곳은 남해지방을 중심으로 한 해안지대와 도서지방이며 그 다음이 기타 해안지방이다. 그러나 내륙지방으로 올수록 약한 것이 상례이다.  우리 나라의 연평균 풍속을 보면  울릉도(4.7m/s),  부산(4.3m/s), 여수(4.0m/s)인데 비하여 제천(0.9m/s)지방은 바람이 약한 지역에 해당된다.

풍속은 계절적 변화가 심하다.  제천지방의 연평균 풍속은 0.9m/s로서 극히 약한 편이나 북서계절풍이 두드러지게 부는 12월에서 3월까지는 강하게 불며 기타의 달은 약하다. 바람이 약한 여름철은 동고서저형의 기압배치가 형성되어 동서간의 기압균형이 형평을 이루기 때문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바람이 약한 것은 농작물의 성장과 성숙에 좋을 뿐 아니라 수확에도 유리하다. 이와 같이 여름철을 중심으로 바람이 약한 것은 전국적인 현상이나 때대로 예기치 않던 태풍이 불어 심한 풍수해를 입는 수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 태풍의 피해가 가장 많은 지역은 남해지방 이나 충청북도는 태풍의 피해가 적은 지역이다. 

이와 같이 제천지방은 바람이 약하며 태풍의 피해조차 별로 없는 무풍지대에 속한다. 그러나 때때로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풍해를 입는 수가 있다.

5) 습도

습도는 기후요소 중의 하나로서 대기 속에 함유하고 있는 습윤 상태를 의미한다.

습도에는 절대습도와 상대습도가 있다.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함유하고 있는 수증기량에 의하여 측정되고 있으며 상대습도는 단위체적 속에 함유하고 있는 수증기량이 일정하면서도 기온이 높아지면 습도는 낮아지고 기온이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상대습도는 우리 인간생활과 관계가 깊으며 일상생활에서 습도라 함은 상대습도를 의미한다.  제천지방의 상대습도는 연평균 70%로서 적당한 습도이다.  제천지역에서 습도가 높은 때는 6월(74%),7월(79%),8월(78%)의 여름철이며 1월에서 5월까지는 대체로 습도가 낮아 화재와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계절이다. 특히 겨울과 봄철에는 최소 습도가 7~15%까지 떨어지게 됨으로 각종 화재는 물론 유행성감기와 호흡기질환 및 안질이 발생하기 쉬운 계절이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6) 일조

  일조 시간이 길고 짧은데 따라 기온과 관계가 깊으나 농작물의 성장과 결실에 큰 영향을 주며  병충해와도 관계가 깊다. 그리고 일조와 일상생활과의 관계는 그날의 청명도에 따라 생활활동의 규모와 내용이 달라지며 인간 생활의 근거지인 가옥의 방향과 구조도 달라지게 된다. 우리 나라에서 일조시간이 가장 긴 곳은 신의주, 함흥, 평양, 해주 등지로서 연 총 일조가 2,600시간에 달하며 남한에서 긴 곳은 서산, 인천, 김포 등의 중부 서해안 지방과 대구분지이며 2,500~2,600시간에 이르고 있다. 제천지방도 2,208.6시간에 불과하여 일조시간이 짧은 지역에 속한다. 제천지방의 월별 일조 시간을 보면 큰 차이는 없으나 봄을 중심으로 한 3월~ 7월까지는 많은 편이며 그 외는 비슷하다. 겨울철은 맑은 날씨가 많으나 밤에 비하여 낮은 길이가 짧고 여름철은 낮의 길이가 길지만 흐린 날이 많기 때문에 일조시간의 차가 별로 없다. 그러나 날씨가 흐린 날이 많은 여름철에는 다른 계절에 비하여 일조율이 떨어지고 있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제천은 어떻게 불리었을까?

삼한시대-마한 발생지

삼국시대 - 시 : 내토군

통일신라시대 - 내제군, 청풍면

고려시대 - 성종 2년 : 중원군 충주목 제주

                 예종 1년 : 양광도 충주목

조선시대 - 태조 4년  : 충청도 충주목

                 태종 13년 : 충청도 청풍군 제천현

1895년 - 제천군

1980년 - 제원군

1991년 - 제천군

1995년 - 제천시다. 게 되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건 제천지역의 위치적 특색.지형적 특색.기후적 특색.인구(변화).자원과 산업 등 설명

 

제천시는 충청북도의 북부, 차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하여 동측은 단양군, 서측은 충주시, 남측은 문경시, 북측은 원주시,영월군과 접해 있고 월악산 국립공원과 청풍호가 어우러져 주변경관이 아름답고 교통이 편리하여 문화관광의 도시로 유망합니다.

제천시의 면적은 882.47 ㎢이고, 평균기온은 10.4 °C 강수량은 1500.4 ㎜ 평균상대습도 67 % 입니다.

[내토, 내제, 제주현, 제천현, 제천면, 읍내면, 제천읍〕

【시】충북 북부지역에 위치하며 현재 행정구역상 1시 1읍 7면을 통칭한다. 본래 제천현의 오른쪽이 되므로 현우면(懸右面)이라 하여 한사(寒寺), 갈마(渴馬), 서당(書堂), 화산(花山), 관전(官前), 백야(白夜), 동문외(東門外), 청전(靑田), 소근(素近)의 9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그 뒤 읍부(邑部), 교동(校洞), 사천(沙川), 하소(下所), 상소(上所), 월백(越百), 행백(杏百)의 7개 동리를 더 두어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현좌면(縣左面)의 모산(茅山), 토구지(土九之), 장락(長樂), 고암(古岩), 도티(道峙), 신월(新月), 진야(陳夜), 둔전(屯田)의 8개 동리와 동면(東面)의 흑석(黑石), 송티(松峙), 상봉(上鳳), 하봉(下鳳), 응동(應洞), 유곡(酉谷), 부곡(釜谷), 삼거(三巨), 증계(曾溪), 한천(寒泉), 송현(松峴), 백양(白陽)의 12개 동리와 북면(北面)의 신담리(新潭里) 일부와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의 자작리(自作里) 일부를 병합하여, 제천 읍내의 이름을 따서 읍내면(邑內面)이라 하여 읍부, 화산, 하소, 청전, 신백(新百), 신월(新月), 모산, 장락, 고암, 흑석(黑石), 두학(頭鶴), 고명(高明)의 12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17년에 제천면으로 고치고, 1940년 읍으로 승격하는 동시에 읍부리를 갈라서 대성정(大成町), 화천정(和泉町), 소화정(昭花町), 서정(西町), 대화정(大和町), 영정 일정목(榮亭一丁目), 영정 이정목(榮亭二丁目)으로, 화산리를 갈라서 남현동(南峴洞), 영정(榮町)으로 하였다가, 1946년 왜식 동명 변경에 의하여 소화정을 명동(明洞)으로, 서정을 서부동(西部洞)으로, 대화정을 의림동(義林洞)으로, 대성정을 교동(校洞)으로, 화천정을 동현동(東峴洞)으로, 영정 일, 이 정목을 중앙로 일, 이 가(中央路一,二街)로 고쳤다가 현재 행정동 9개동과 법정동 27개동을 관할하고 있다. 제천시내는 동쪽은 단양군(丹陽郡) 어상천면(魚上川面)과 강원도 영월군(寧越郡) 남면(南面), 남쪽은 금성면(錦城面), 서쪽은 봉양읍(鳳陽邑), 북쪽은 송학면(松鶴面)에 닿아 있으나 1995년 시군 통폐합에 따라 제천시?군 전역을 제천시라 칭함.

2005년 1월 기준으로 현재 제천에는 138,718 명이 살고 있으며 이중 남자는 70,034명, 여자는 68,684명 입니다.

제천의 특산물로는 약초를 꼽을 수 있는데 전국에서 생산되는 약초양의 대부분이 제천에서 나는 약초라고 합니다.

올해에는 제천을 약초에 관한 웰빙특구 지정을 위해 시에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http://210.96.116.139/bbs/download.php?id=pds_general&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filenum=1

위 주소는 "제천지역 탐구자료"라는 제목으로 제천여자중학교 홈페이지 자료실란에 박미숙선생님께서 「2000년 제천지역 중학교에 계시는 사회과선생님들이 우리 학생들로하여금 제천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역사 등을 제대로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1년간 연구한 자료입니다. 중학교 들어와서 맨처음 배우는 "1단원 지역과 사회탐구"를 배우면서 꼭 필요한 자료이기도 하고, 내년에 우리학교에 입학할 제천여중 신입생 여러분이 "중학생 길잡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라는 말과 함께 올리신 자료의 웹상 주소입니다.

저 주소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넣은뒤에 엔터를 치면 다운로드 받으 실 수 있을 겁니다.

받고 싶은데 안될 시엔 제천여중 홈페이지(http://210.96.116.139/) 자료실 란에 가보세요.

아래는 백과사전에서 나온 내용입니다.

면적은 882.45㎢, 인구는 14만 1385명(2003)이다. 동쪽으로는 단양군과 강원도 영월군, 서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으로는 강원도 원주시와 접한다. 수리적으로는 동경 127°55′∼128°20′, 북위 36°48′∼37°25′에 있다. 1995년 제천군과 통합시를 이루어 현재 1읍 7면 9동으로 이루어졌고 시청소재지는 천남동이다.

제천시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지형이다. 시의 북쪽으로는 차령산맥이 지나고, 남쪽으로는 소백산맥이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루어 북쪽과 남쪽이 높고 서쪽과 동쪽은 낮다. 동쪽은 호명산(虎鳴山:475m)·작성산(鵲城山:820m), 서쪽은 삼봉산(三峰山:910m)·시랑산(侍郞山:691m), 남쪽은 문수봉(文繡峰:1,162m)·월악산(月岳山:1,094m)·하설산(夏雪山:1,028m), 북쪽은 백운산(白雲山:1,087m)·구학산(九鶴山)·송학산(松鶴山:820m)으로 둘러싸여 있다. 험준한 산악지대로, 평야는 남한강을 비롯한 하천을 따라 극히 미미하게 발달하였으나, 충주댐 건설로 인해 하천 주변에 발달한 하안단구가 수몰되어 경작지가 줄어들었다.

충청북도의 지질구조는 충주를 중심으로 크게 옥천계와 조선계로 나뉘는데, 제천 지방은 이 옥천계와 조선계의 분기점에 속한다. 조선계는 두터운 석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송학면 일대에서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였고, 이러한 지질적 특성으로 인해 석회암층이 풍부해 시멘트 제조업이 잘 발달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 화성암과 변성암이 분포한다.

시의 대부분이 급사면을 이루어 하천의 흐름이 매우 급하고, 남한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남한강이 시 중앙부를 동서로 흐르고, 그 지류인 제천천 등이 산간 침식분지를 형성하나 평야는 좁다.

해발고도가 높고, 비교적 바다와도 거리가 멀어서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연평균 기온은 10.3C, 1월 평균기온 -2.7℃, 8월 평균기온 23.4℃이며, 연교차 26.1℃로 기후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연평균 강수량은 1,453㎜로서 전국 평균 강수량보다 많다. 이는 장마철에 습윤한 기류가 차령·소백산맥의 서쪽 사면을 따라 유입될 때 지형성 강우로 인해 집중호우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제천지역의 행정구역도 등...

... 1 제천지역의 행정구역도를 그려봅시다. 행정구역도가 무엇이죠? 이건 어떻게... 자원과 산업 설명 제천시는 충청북도의 북부, 차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중간에...

강원도의 전통문화

...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도 재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충청도 제천까지 50리, 북쪽은 함경도 안변까지 597리의... 양구군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두벌 매는 소리로...

강원도의 역사에 대해서 알려주삼요

... 치악산 유명한 산들이 도내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내제군(제천)내령군(영주)압산군(풍기)가평군 (가평)...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도 재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강원도의 역사적 유래

... 치악산 유명한 산들이 도내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명 주치소 속군 속현 삭주 춘천 - 내제군(제천)...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도 재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수능 원서 접수

...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고 수혐생 유의사항 등... 일정 지역에 파견되어 접수하는 장소를 말함.... 충주, 제천, 옥천 (4) 부산 동부, 서부 (2) 충남 천안, 공주, 보령...

재수생 수능원서접수

... 일정지역에 파견되어 접수하는 장소를 말함.... 충주, 제천, 옥천(4) 대구 대구(1) 충남 천안, 공주, 보령, 서산... 6㎝} - 짙은 색 안경, 모자 착용 금지 - 디지털 사진의 경우...

강원도의 역사

... 치악산 유명한 산들이 도내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명 주치소 속군 속현 삭주 춘천 - 내제군(제천)...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도 재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우리가 자랑하고 보존할만한 강원도...

... 치악산 유명한 산들이 도내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명 주치소 속군 속현 삭주 춘천 - 내제군(제천)...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도 재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강원도 유래를 알고싶습니다!!!

... 치악산 유명한 산들이 도내 곳곳에 위치하고 있다.... 주명 주치소 속군 속현 삭주 춘천 - 내제군(제천)... 다른 지역의 행정구역도 재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중2역사 요점정리

... 부여는 순장풍습도 있었구요 영고라는 제천 행사도... 요동지역으로 던지고 그리고 여러세력연맹으로 고구려가... 수도를 방위별로 구획한 행정구역도 설치햇는데 이녀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