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정보!!

독도 정보!!

작성일 2011.10.11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독도 사세한 정보까지 쓰는 숙제라.. 좀 도와주세요

 

1.독도 대체 에너지 자원 개발의 필요성

2.'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활용

3.독도에 사는 주민 이름(5명 정도)

4.독도 천연기념물 번호

5.독도에서 잘 잡히는 어종 10여가지

6.옛날에 독도를 부르던 이름 4개

7.독도와 관련된 옛날 중요인물

8.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 수 있는 역사적 근거

9.독도에 대한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5~6문제만이라두...


#독도 정보 플랫폼 #독도 정보 #독도 정보 종합 시스템 #독도 관련 정보 #독도 일출전망대 정보 #독도 관한 정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체에너지 개발 필요성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 에너지인 석유, 석탄은 매장량에 한계가 있어 앞으로 100년정도면 고갈이 예상되며 이 연료를 사용 할때 이산화탄소 및 공해물질들을 배출하여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원자력의 경우 비교적 매장량이 풍부 하고 화학적인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방사능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고 방사능오염의 경우 수만년이란 긴 정화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체르노빌과 같은 사고의 경우 그 피해가 전쟁 만큼이나 심합니다. 발전 금액이 저렴하다고 하나 추후 폐기할때의 비용을 생각하면 화력발전보다 비싸다고 한다.

태양의 이용

지구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중 원자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에너지는 태양으로 비롯된 것이다. 과거 주 연료인 나무는 태양 에너지에 의해 광합성 된 것이고, 화석연료 역시 먼 옛날의 동식물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구에 쏟아지는 태양광의 일부만 제대로 활용한다고 하여도 인류가 충분히 사용할수 있다.

태양에너지의 가장 간편한 이용은 태양 전지이다. 이는 반도체에 태양을 비추어 전기가 흐르도록 한 것이다. 유럽에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경주대회가 있는가 하면 태양전지를 단 소형 무인비행기도 있다. 특히 우주선의 전력은 거의 태양 전지에 의존한다. 그렇나 태양 전지의 가격이 비싸고 효율도 그리 높지 않아 석유나 석탄을 대체 하는데 한계가 있고 날씨에도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붕에 태양 전지를 배열한 가정이 있고 일부 가로등에 낮에 햇빛으로 충전을 하였다가 밤에 가로등을 켜는데 사용 한다.

거울의 반사로 태양열을 집광하여 물을 끓여 터빈을 돌리는 태양열 이용 방법도 있다. 그렇나 아직 대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바이오 에너지

생체전지:귤, 고구마 등에 아연판과 구리판을 꼽으면 전기가 흐른다. 그러나 효울도 낮고 원료가 비싸 실용화 하긴 어렵다.
브라질의 경우는 차에 알콜과 희발유를 반반식 섞어 자동차 연료로 사용 한다고 한다. 알콜은 자주감자 등에서 발효로 얻을수 있기 때문에 바이오 에너지로 분류될 수 있다.
* 말을 부려 마차를 끌게 하면 비이오 에너지가 할 수 있을지...^.^;

풍력

풍력은 과거 범선 동력원, 네덜란드의 풍차 등에서 이미 에너지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풍력의 이용은 그동안 기술발전등을 통하여 풍력으로 발전하여 전력 회사에 판매하는 회사가 생길 정도로 성장 되었다. 그러나 바람이 많은 지역에 설치해야 하는등 제약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낙도등에 풍력을 사용하여 지체 발전하여 전기를 사용 하는곳도 있다.

수소 와 연료전지

수소를 이용하여 달리는 차가 있다. 초기의 수소차는 일반 자동차엔진과 비슷한 구조로 수소와 공기를 섞어 폭파시켜 움직였다. 이때를 1차 수소 차라고 한다.
요즈음 수소차를 2차 수소차라고 하는데 이는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이다. 연료전지란 물을 전기로 분해하면 수소와 산소가 나오는 것을 역으로 수소와 산소를 혈합하여 전기를 얻는 장치를 말 한다.
미국의 포드사에서는 2006년쯤 연료전지를 이용한 상용차를 출시 한다고 한다.
연료전지는 차량 뿐만 아니고 낙도등의 소규모 발전에도 이용된다.
또한 수소는 그 보관에 두꺼운 용기등 돈이 많이 든다.
수소차는 물만 배출하는 무공해 차 이다.
연료전지는 수소 이외에도 메탄올(알콜), 청정가솔린을 사용 하기도 한다.

전기 자동차
연료전기자동차도 일종의 전기자동차 이다. 전기 자동차의 2차 전지 대신에 연료 전지를 사용 한다.

하이브리드카
전기자동차의 충전용으로 가솔린 엔진 등을 탑제 한 것이다.
아직 2차전지의 효율 문제로 전기차가 실용화 되기 어려운 단점을 극복 할 수 있다. 전기차에 가솔린 엔진까지 가추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나 가솔린 보다 고 효율의 차가 가능하다.

기타 조수간만으 차이를 이용하는 조력발전, 파도으 힘을 이용하는 파력발전, 바닷물의 표면과 물속 깊이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온도차 발전 등이 연구되고 있다.

수소나 전기를 이용한 차는 공해가 없기 때문에 환영 받을만 하나 궁궁적인 대체 에너지는 아니다. 왜냐하면 수소나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또 다른 에너지가 소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독도에는 하이드레이트라는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는데요.전세계가 100년이상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어마어마한 양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런이유 때문에 일본이 자기 땅이라 우긴것이죠.또다른 이유는 수많은 어류가 살기 때문이라 합니다. 그래서 황금어장이라고 불리는 것이죠. 심지어 해리로봐도 확실히 우리땅인데[울릉도로부터약20해리정도  일본은아주멉니다.일본이 독도를자기땅이라고하는이유는 독도에 좋은점이 많때문입니다.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202&docid=348117

독도에사는 사람으로는 경찰인 독도경비대 40여명과 독도등대 직원 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울릉도 어민인

김성도씨 부부와 시인 편부경씨 들 4명이 독도에 주민들록을 가지고있는 주민입니다.

3.우리독도의 역사

신라 지증왕13년 (512년)에 이사부에 의해 신라 영토로 편입되었습니다.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및 '팔도총도라는 지리지에 울릉도와 우산도(독도)가 함께 기재되었으며, 이외 조선시대 각종 고지도에 우산도의 표기가 발견됩니다.

조선은 태종대에 이르러 일본 왜구의 지속적인 침략에 독도에 대해 '공도정책(빈섬정책)'을 펼쳤는데, 일본은 현재 이를 조선이 독도를 포기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으나, 실상 조선이 이땅을 포기 했다면, 굳이 공도'정책'이라는 이름을 썼을리도 없겠죠.

17세기 숙종대에 이르러 울릉도지역에까지 일본 왜구가 기승을 부리자, 숙종은 울릉도를 강원도 삼척영장의 관할아래로 편성하여 울릉도와 우산도에 대한 지배를 강화시켰고,

안용복이 왜구를 토벌한 후 쓰시마섬을 방문하여 독도가 조선땅임을 확인하였습니다.

1787년 프랑스의 탐험대가 독도를 발견하고 '디젤레'라는 이름으로 명명하였으며,

1849년 프랑스 함대가 독도에 '리앙투르'라 명명했고, 같은 해 영국의 상선은 독도를 '호넷'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했스빈다.

1895년 울릉도에 도장을 파견하였고, 1898년엔 도감을 파견하였으며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조 제 2호에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승격시켜 울릉도를 비롯한 독도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시켰습니다.

1905년 2월 조선내 군사요충지 선점에 대한 일본의 특권을 인정한 '한일의정서'의 내용을 빌미로, 일본의 시마네현이 현령고시 40조에 독도를 '무주지(무인도)'라 주장하며 독도를 일본영토에 편입시키려 하였는데, 이 '무주지'의 주장은 독도가 역사적으로 자신들의 땅이라는 일본의 주장을 오히려 반증하는 내용입니다. 이에 대한 한국학자들의 주장에 일본학자들은 시마네현쪽이 '실수'였다는 어이없는 주장을 내어놓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 사실을 1906년 2월 대한제국 정부에 통보하였으나,

대한제국 정부는 1906년 5월 지령 3호를 통해 독도영유권을 확인하였으며,

이 사실에 대해 일본정부의 확인을 받았습니다.

해방후인 1946년 연합국 최고 사령부 지령에 ' 독도를 일본영토에서 제외한다'라는 규정이 포함되었고, 1948년 UN의 승인을 얻었습니다.

 

----------------------------------------------------------------

답변확정부탁

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지금 독도에 살고 있는 주민은?(살고 있는 분들의 이름을 써 보세요)

현재는 1991년 11월 17일 이후부터 김성도,김신열씨 부부 1세대 2명이 위의 울릉읍 독도리 20[구 도동리 산63]번지에서 어로활동에 종사하며 거주하고 있다.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20[구 도동리 산63]번지에 거주하였던 주민들은 아래와 같다.
최종찬(91. 6. 21∼93. 6. 7), 김병권(93. 1. 6∼94. 11. 7),
황성운(93. 1. 7∼94. 12. 26), 전상보(94. 10. 4∼94. 12. 18).

2. 독도의 총 면적은? 

 

독도의 면적 187,554㎡  
동도, 서도, 부속도서의 면적 73,297㎡, 88,740㎡, 25,517㎡


3. 독도의 주소를 적어보세요.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

 

4. 독도는 천연기념물 제( 336 )호이다.

1982년 11월 16일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해조류번식지로 지정되었다.

 

5. 독도에서 잘 잡히는 어종 10가지를 쓰세요.

명태, 오징어, 가오리, 열어, 광어, 홍게, 새우, 강치 등


6. 독도 캐릭터 6 가지의 이름을 모두 적어보세요.

독도랑, 태장군(신라장군 이사부), 안장군(민간외교관 안용복),

홍대장(독도의용수비대장 홍순칠), 아라(강치), 독도나래(괭이갈매기)

 

7. 옛날에 독도를 부르던 이름 4개를 모두 써보세요.

삼봉도, 석도(石島:당시에 널리 불려지던 '돌섬'의 한자식 표기),

 송도(松島), 우산도(于山島) 혹은 자산도(子山島)


8. 독도와 관련된 옛날 중요한 인물 4분을 모두 써보세요.

이사부(異斯夫), 안용복(安龍福)과 박어둔(朴於屯), 독도의용수비대장 홍순칠, 부대장 황영문, 그리고 미국의 포경선 Cherokee호(號) 선장 제이콥 L.클리브랜드(항해일지 기록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우리 독도의 위치의 중요성

독도는 일본 중국 러시안 등 여러나라로 진출할수 있습니다.

 

2.우리 독도의 해양적 가치

답변:배타적경재 수역도 더넒어지고 여러가지 천년 자원가 해산물들이 많습니다.

 

3.우리독도의 역사

신라 지증왕13년 (512년)에 이사부에 의해 신라 영토로 편입되었습니다.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및 '팔도총도라는 지리지에 울릉도와 우산도(독도)가 함께 기재되었으며, 이외 조선시대 각종 고지도에 우산도의 표기가 발견됩니다.

조선은 태종대에 이르러 일본 왜구의 지속적인 침략에 독도에 대해 '공도정책(빈섬정책)'을 펼쳤는데, 일본은 현재 이를 조선이 독도를 포기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으나, 실상 조선이 이땅을 포기 했다면, 굳이 공도'정책'이라는 이름을 썼을리도 없겠죠.

17세기 숙종대에 이르러 울릉도지역에까지 일본 왜구가 기승을 부리자, 숙종은 울릉도를 강원도 삼척영장의 관할아래로 편성하여 울릉도와 우산도에 대한 지배를 강화시켰고,

안용복이 왜구를 토벌한 후 쓰시마섬을 방문하여 독도가 조선땅임을 확인하였습니다.

1787년 프랑스의 탐험대가 독도를 발견하고 '디젤레'라는 이름으로 명명하였으며,

1849년 프랑스 함대가 독도에 '리앙투르'라 명명했고, 같은 해 영국의 상선은 독도를 '호넷'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했스빈다.

1895년 울릉도에 도장을 파견하였고, 1898년엔 도감을 파견하였으며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조 제 2호에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승격시켜 울릉도를 비롯한 독도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시켰습니다.

1905년 2월 조선내 군사요충지 선점에 대한 일본의 특권을 인정한 '한일의정서'의 내용을 빌미로, 일본의 시마네현이 현령고시 40조에 독도를 '무주지(무인도)'라 주장하며 독도를 일본영토에 편입시키려 하였는데, 이 '무주지'의 주장은 독도가 역사적으로 자신들의 땅이라는 일본의 주장을 오히려 반증하는 내용입니다. 이에 대한 한국학자들의 주장에 일본학자들은 시마네현쪽이 '실수'였다는 어이없는 주장을 내어놓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 사실을 1906년 2월 대한제국 정부에 통보하였으나,

대한제국 정부는 1906년 5월 지령 3호를 통해 독도영유권을 확인하였으며,

이 사실에 대해 일본정부의 확인을 받았습니다.

해방후인 1946년 연합국 최고 사령부 지령에 ' 독도를 일본영토에서 제외한다'라는 규정이 포함되었고, 1948년 UN의 승인을 얻었습니다.

 

4.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은 독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세계 여러나라 사람들은 독도를 우리나라 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일본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고 섬보다는 암초라고 부릅니다.   *예:리앙쿠르 락스(암초를 뜻하는말)

5.독도를 지킨 사람

최종덕,심흥택,독도의용수비대 등

6.일본의 억지주장

무주지성전론의로 독도에 사람이 안산다면서 지들땅이라고 우리고있습니다.

또한 샌프라시스코강화조약 을할때 실수로 독도를 넣지않아서 지들땅이라고도 우기고 있습니다.

 

7.독도가 우리 땅 인 까닭

답변:삼국유사 라는 역사책에 나와 있는 것을 보면 512년 지증왕이 이사부를 보내서 정벌을 했다고 나와잇습니다. 

* 독도는 울릉도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경 131° 52′. 행정 구역상으로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산 421번지에서 산75번지에 속해있습니다.


 

울진군 죽변에서는 약 217km, 울릉도에서는 약 87km 떨어져 있는 반면, 일본의 오키제도에서는 약 158km, 시마네현 히노미사끼에서는 약 211km 떨어져 있습니다.


 

울릉도에서는 독도가 가시거리에 들어오지만 일본에서는 가시거리에 독도가 없습니다. 이것은 국경개념이 명확하지 않았던 고대사회에서 '보이는 곳까지가 삶의 터전'이었다는 한·일 양국의 공통된 인식(관습)에 근거하여 독도가 우산국 사람들의 생활 터전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고려사에 보면'우산도(于山島)와 무릉도(武陵島)는 본래 두 섬으로 서로 거리가 멀지 않아 바람이 불고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산도는 독도를 말하는 지칭합니다. 또 조선 초기에 관찬된 세종실록 지리지(1432년)에도 '우산(독도)·무릉(울릉)... 두 섬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풍일이 청명하면 바라볼 수 있다'는 구절이 나옵니다.


 

독도가 울릉도에서 날씨가 맑은 날 육안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우리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도서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도 독도가우리땅이라는걸증명

 

8.독도에사는 생물

답변: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등 많은 해산물이 있습니다.

 

경제적인 면

  • 독도주변해역이 풍성한 황금어장이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북쪽에서 내려오는 북한한류와 남쪽에서 북상하는 대마난류계의 흐름들이 교차하는 해역인 독도주변해역은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회유성 어족이 풍부 하기 때문에 좋은 어장을 형성한다.
  • 어민들의 주요 수입원이 되는 회유성 어족인 연어, 송어, 대구를 비롯해 명태, 꽁치, 오징어, 상어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오징어잡이 철인 겨울이면 오징어 집어등의 맑은 불빛이 독도 주변 해역의 밤을 하얗게 밝히곤한다.
  • 또한 해저암초에는 다시마, 미역, 소라, 전복 등의 해양동물과 해조류들이 풍성히 자라고 있어 어민들의 주요한 수입원이 되며, 특히 1981년 서울대 식물학과 이인규 교수팀의 조사에 의하면, 독도의 해조식생이 남해안이나 제주도와 다른 북반구의 아열대지역이나 지중해 식생형으로 볼 수 있기에, 별도의 독립생태계 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을 정도로 특유의 생태계를 구성 하고 있다.

군사적 및 해양 과학적인 면

  • 1905년 노일전쟁의 최후를 장식한 이른바 '동해의 대해전'에서 독도의 군사적 가치는 유감없이 발휘되었다고 한다. 당시 일본은 한국령 독도를 일본령 '다케시마'로 개명하며 시마네현 은기도(隱岐島)의 소관으로 1905년 2월 15일에 일본내무성의 결정으로 독도를 강제적으로 일본령으로 편입하였으며, 1905년 8월 19일에는 독도에 망루를 준공하였<극비 명치삼십칠팔년 해전사>기에,러시아 함대를 맞아 대승을 거두게 되었다.
  • 현재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독도에 고성능 방공레이더 기지를 구축하여 전략적 기지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곳 관측소에서 러시아의 태평양함대와 일본 및 북한 해·공군의 이동상황을 손쉽게 파악하여 동북아 및 국가안보에 필요한 군사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 또한 경상북도에 의하면 1998년부터 2001년까지 72억원을 들여 독도 북서쪽 800m 해상에 50평 규모의 철골 구조물인 해양과학기지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대구매일신문.98년 12월 4일자) 이 독도 해양과학기지를 통해 독도주변 해역의 해양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여 기상예보모델의 초기값 중 해양 상태를 나타내는 값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시킴으로서 보다 적중률 높은 기상 예보가 가능함은 물론, 지구환경 연구, 해양산업활동 지원과 해양오염방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실제 1993년 10월 북한 청진항 동쪽 300km 해상에서 러시아가 핵 폐기물을 투기한 행위가 환동해권 국가인 한국 및 일본을 극도로 자극하였으며, 이후 동해 내에 투기된 오염물질의 이동, 확산, 분해, 해저 침적과정 등을 이해하고 정확히 예측하는 과학적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동해의 해수 및 물질순환에 관한 연구 3차년도 최종보고 서. 과학기술처. 1997)

지질학적인 면

  • 독도의 생성연도는 지금으로부터 약 450만년 전부터 250만년 전 사이인 신생대3기의 플라이오세(Pliocene epoch)기간의 해저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되어졌으며, 이 시기는 울릉도(약 250만 전∼1만년 전)및 제주도(약 120만년 전∼1만년 전)의 생성시기 보다 앞선 시기이다. 생성시기로 따진다면 울릉도,제주도의 형인 셈이다. 애국가의 표현대로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은다면', 독도는 더 이상의 작은 바위섬이 아니고, 높이 2천여m의 거대한 산의꼭대기라고 한다.
  • 지질학적으로 보면 독도는 동해의 해저로부터 해저의 지각활동에 의해 불쑥 솟구친 용암이 오랜 세월동안 굳어지면서 생긴 화산성 해산이다. 이러한 독도는원래 동도, 서도가 한 덩어리인 화산섬이었다. 몇 십 만년의 세월이 흐르며 바닷물에 의해 침식작용 과 바람에 의한 풍화작용을 거듭하며 원래 부드러운성질의 돌이 천천히 깍여 들어갔다.(파랑에 의한 해식작용) 이러한 해식작용의결과로 칼로 깍은 듯 날카롭고 가파른 해식애(sea cliff)들이 만들어졌으며, 한편에서는 서도의 북쪽과 서쪽 해안처럼 파식대지(wave-cut platform:파도에깎여 만들어진 바닷가 해저의 평탄면) 가 형성되었다.
  • 이러한 지질구조를 갖는 독도는 지질학적으로 큰 중요성을 갖고 있다. 독도는해저 밑바닥에서 형성된 벼개용 암과 급격한 냉각으로 깨어진 부스러기인 파쇄각력암이 쌓여 올라오다가 해수면 근처서 폭발적인 분출을 일으켜 물위로솟다가 대기와 접촉할 때 생기는 암석인 조면암, 안산암, 관입암 등으로 구성된'암석학의 보고'라고 한다.
  • 해저산이 수면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는 드문 예이며, 또한 오랜 세월 동안 파식 및 침강작용에 의해 원래 의 모양을 간직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독도는 해저산의 진화과정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세계적인 지질유적이라고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설명을 하자고 하면 이와 같습니다.

 

1. 독도란 무엇인가요?(2줄)

-> 독도는 대한민국 국토의 막내라고도 가리키며, 울릉도에서 87km, 日 오키제도에서 152km 떨어진 외딴 섬으로 현재 한국이 실효 지배중이지만 일본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고 북한도 한국의 지지를 받아 한국측의 손아귀를 든다고 나와 있습니다.

 

2. 독도의 위치

-> 독도는 울릉도에서 뱃길로 2시간 떨어진 곳이자 87km 떨어진 바윗섬이라고 합니다.

 

3. 독도의 경위도

-> 독도는 동도(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 서도(동경 131도 51분 54.6초, 북위 37도 14분 30.6초)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동경 131도 51~52분 사이에 위치한 외딴 섬으로 암석 등 천혜의 자원과 각종 생태계의 보고로 널리 유명합니다.

 

4. 독도의 면적

-> 면적은 187,554제곱킬로미터로 서도가 동도보다 더 큰 섬이라고 합니다.

 

5. 일본이 자기네 땅이라고 하는이유 -2~3줄로 부탁드려요.2가지정도..

-> 일본은 1905년 을사조약 때부터 시마네 현에 강제로 편입된 것으로 보이지만 울릉도는 대상이 아니며 일본에서의 관여권을 가진 섬으로는 독도가 맞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본 측 주장대로라면 「다케시마는 일본의 고유영토이다. 대한민국의 주장은 억지에 일조하고 있다.」고 전해진 바 있었습니다. 그러나 독도는 1952년 이승만 라인 선포 이전때까지만 하여도 日 어부들이 가끔씩 독도 인근 해역에 일본 어선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꽤 유명하였으나 이후 한국측 감시 선박에 의해 나포되고 어부들도 많이 죽는 일이 있었다고 들었죠.

 

6. 독도를 지키는 방법 -1줄씩 2가지

-> 독도를 지킬려면 백령도 등 서해 5도에 해병대가 주둔하는 것처럼 독도도 서해 5도와 같은 용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경비대의 파견 인력을 늘리는 것 외에도 감시용 선박의 대형화도 대안이 됩니다.

 

7.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  -2줄 정도..

-> 독도의 우리 영토로 인정된 경우는 자랑스러운 고유 영토 다운 것으로 보시면 되구요. 우리 문화의 후손이자 미래를 비출 수 있는 지름길, 대한민국의 마지막 해양 생태계의 보고라는 결론으로 단정될 수 있다고 하시면 됩니다.

 

8. 독도의 역사 *3~4줄

-> 조선 전기부터 우산도(于山島) 또는 삼봉도(三峯島)로 불리면서 울릉도와 함께 강원도 울진현(蔚珍縣)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성종실록(成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등의 문헌에도 그 사실이 남아 있는 것을 시초로 하여, 17세기말 안용복의 독도 한국 영유권 주장을 하는 것도 그의 전례가 있었지만 19세기때에는 한국 영토와 일본 영토 사이에 어정쩡한 위치에 자리잡을 정도로 울릉도와 함께 운명에 시달리는 섬으로 매우 유명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9. 일본이 독도를 빼앗으려는 이유

-> 일본은 독도를 갖고 싶어하는 이유로는 "시마네 현"에 있는 오키 제도(한국의 울릉도와 일본 열도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자리잡은 섬 가운데 하나)에서 조례안에 따라 정해졌고, 1905년 러일전쟁의 승리를 계기로 영토의 주권을 삼아서 하는 것이 그의 시초가 되는 셈이었던 것을 고집으로 하여 「러시아에서의 남쿠릴열도 불법 조업이 가시화하게 되면서 러시아와 함께 한국에게 불법으로 점령당하고 있다. 한국 측의 주장이 억지이다. 국제법에도 이치가 맞지 않는다.」고 하소연하는 등 한국정부의 질타가 우려되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그것 뿐만이 아니지만, 이외에도 "영토를 넓힐려고 탐욕하는 것, 한국에 빼앗긴 섬을 되돌린다는 의지"를 근거로 하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라고 자리잡기 때문입니다.

 

이래서 독도는 동해안에 자리잡은 영토 분쟁지역이고 참고로 영어권 국가에서는 "독도"를 "리앙쿠르 암초"라는 명칭을 부여하게 됩니다.

 

참고하세요.

독도 정보

... 학교에서 독도 사랑 글쓰기를 하는데 자료가 필요해서요 독도에 대해 알리는 글을... 독도에는 사람이 사는지, 독도의 자연환경이나 독도의 특징, 독도는 우리땅에 바뀐...

독도 정보

... 국가적 노력 : 독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서 국민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 국제적 노력 : 독도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주장한다....

독도 관련 정보

... 독도 관련 정보 ~ ~ 자세한 정보 주세요!!!!!! ㅡ 독도문제가 왜 생겼는지 부터 알아야 될겁니다~ ㅡ 본래 ㅡ 한/일 해상경계는 독도 밖으로 있었음~ (이때는 문제 읖었음) ㅡ...

독도 정보!!

독도 사세한 정보까지 쓰는 숙제라.. 좀 도와주세요 1.독도 대체 에너지 자원 개발의 필요성 2.'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활용 3.독도에 사는 주민 이름(5명 정도) 4.독도...

독도 정보모두다

독도 정보좀요 정확하고 신속하고 많이 독도 [獨島, Dokdo] 독섬이라고도 하며, 면적은 18만 7,554㎡이다.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 떨어진 해상에 있으며, 동도(東島)...

교내 독도 정보 검색

교내 독도 정보 검색이라는 숙제를 하기위해 지식인을 이용합니다.. 1.독도의 주소를 번지까지 적으시오. 2.독도의 우편번호는? 3.독도는 동도와 서도,그리고...

독도정보검색대회 기출문제 좀...

독도정보검색대회를 나가려는데 문제가 별로 없네요. 도와주세요 내공 50드려용 안녕 하세요^^ 교내에서 열리는 독도 정보 검색 대회 인가요? 문제 자체는 별로 나와 있는 곳이...

독도정보 좀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입니다 제가 내일 독도에 대하여 글짓기를 하거든요 그래서 그러는데 독도에 관해서 여러 정보를 받았으면 해서요....

독도정보좀알려주세요.

교내독도정보검색대회를 지금컴퓨터실에서 하고있는데요. 막히는게좀있어서 어디서찾으면좋을지좀알려주세요. 20분이내로.. 독도의 역사 1)삼국사기 신라 지증왕 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