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추석]

작성일 2011.09.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추석에 하는 놀이 집에서 할 수 있는거 뭐가 있을까요


#추석 일러스트 #추석 인사 #추석 인사말 #추석 2023 #추석 이미지 #추석 음식 #추석 날짜 2023 #추석 기차표 예매 #추석 인사 문구 #추석 연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가위의 뜻

 

한가위는 가배, 가위, 가윗날과 함께 추석을 일컫는 말.

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 또는 가을의 가운데를 의미하며 한가위의 ‘한’은 ‘크다’는 뜻이다. 크다는 말과 가운데라는 말이 합해진 것으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란 뜻이다. 또는 가을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가위란 큰 날 또는 큰 명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음력 8월을 중추지월(中秋之月)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한자음에 따른 것으로 가위는 곧 가을의 가운데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월석은 달빛이 가장 좋다고 하여 붙여진 말이다.

 

추석의 뜻

 

음력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추석의 유래

 

신라 유리왕이 왕녀 두 사람을 시켜 6부의 여자들을 반으로 나누어 7월 보름달부터 6부의 뜰에 모여 베를 짜는데, 을야(乙夜)에 이르러서야 헤어지곤 했다. 이렇게 하길 8월 보름날까지 하여 그 성적을 평가하여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을 대접했다. 이 때 노래하고 춤추며 온갖 놀이를 다 했는데 이를 "가배"라 했다.

 

이 "가배"가 오늘날 「한가위」라는 뜻의 「가위」에 해당하는 그 당시 한자의 음차표기로, 가을을 초추, 중추, 종추 3달로 나누었을 때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어가는 가을의 가운데 즉 "중추"의 우리말 표기이다. 즉, 「한가위」는 한"이라는 "크다"라는 뜻과 "가위"라는 가운데라는 뜻이 모여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추석의 의미

 

우리 나라의 명절은 서양과는 달리 음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특히 보름달과 연관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음력 팔월의 보름달은 일년 중 가장 밝은 달입니다.

 

추석은 '한가위' '가위' '가윗날' '중추절' 가배' 등 많은 명칭이 있습니다. 이 날은 설날, 단오절과 함께 우리나라 삼대 명절의 하나입니다.

추석이 다가오면 들판에는 오곡이 무르익고 과일들도 영그는 때입니다. 한 해 농사의 결실을 거두는 때이므로 모두들 새옷으로 갈아입고 햅쌀밥과 송편을 빚어 조상의 산소에 성묘하고 제사를 지냅니다.

 

우리 선조들은 조상님이 돌아가신 기제(忌祭)에 드리는 제사말고도 명절날 제사를 드리는 풍습이 있습니다. 정월 초하루의 설 차례, 한식날의 성묘, 백중에는 가까운 절을 찾아 제사 지내고, 추석, 음력 3월 3일, 9월 9일 등의 명절에 가족끼리 모여 제사를 지냈습니다.

서양의 명절과 가장 다른 점이 바로 이것으로 단순히 먹고 즐기는 축제가 아니라 생사가 둘이 아닌 도리를 되새겨 조상님과 후손이 함께 경건하게 치르는 차례의 문화였습니다.

 

만물이 풍성한 한가위 때는 만물이 다 풍성하게 열매 맺는 결실의 계절이므로 예로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날만 같아라.'하는 속담이 있습니다.

 

추석에 하는 일

 

( 1 ) 벌초

 

벌초는 무덤의 풀을 베어서 깨끗이 하는 것.

 

추석에 조상의 무덤에 가서 여름 동안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베어 주는데 이를 벌초라 한다. 옛날 조상의 묘를 풍수설에 의하여 명당에 쓰기 위하여 몇 십리 먼 곳에까지 가서 쓰는 수가 많았고, 또 묘를 쓴 다음 이사를 가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묘가 집근처가 아니라 먼 곳에 있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추석을 맞이하여서는 반드시 벌초를 하는 것이 자손의 효성의 표시와 도리로 여겼다. 한가위 때에 성묘를 와서 벌초를 안했으면 보기에도 흉할 뿐만 아니라 불효의 자손을 두었거나 임자없는 묘라 해서 남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 2 ) 성묘

 

조상의 무덤을 찾아가 돌보는 일. 전묘·배분·배소례·상묘의라고도 한다. 주자의 《가례》에, 성묘는 묘제의 한 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본래는 성묘에 제례의 절차가 합쳐져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에서 성묘는 봄·가을에 묘를 손질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가 당나라 이후에 봄의 성묘는 한식, 가을의 성묘는 10월 1일로 고정되었고, 그 뒤 제례의 형식이 첨가되어 묘제로 발전하였다. 한국의 경우 대체로 16세기 중반까지는 성묘가 묘제와 관계없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가례》의 영향에 따라 묘제의 형식으로 발전한 것으로 짐작된다. 성묘의 형식은 분묘의 손질과 배례로 나누어지며, 주로 설·한식·추석에 행해진다. 설에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했다는 인사를 조상의 묘에 고하며, 한식에는 겨울 동안 무너진 산소를 살펴보고, 추석에는 햇과일과 곡식을 조상께 바치는 의미를 가진다.

 

( 3 ) 차례

 

추석 이른 아침에 사당을 모시고 있는 종가에 모여 고조까지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 지내는 절차가 설날과 다른 것은 흰떡국 대신 메[밥]를 쓰는 점이다. 조상에 대한 추원 보본과 천신제를 겸하였기 때문에 제물은 신곡으로 만들어 진열된다. 고조 이상의 윗대는 10월에 시제라 해서 묘에서 제사를 지낸다.

 

추석에 하는 전통놀이

 

1. 강강술래

 

서남해안지역에 전승되는 추석놀이의 대표적인 부녀자들의 놀이이다. 이 강강술래는 수십 명의 부녀자들이 밝은 달밤에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노래하면서 춤을 추는데, 놀이의 구성은 늦은강강술래, 중강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되어 있으며, "강강술래"라는 후렴구로 받는 소리를 하면서 원무를 하고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부수적인 놀이로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기는 하나 남생아 놀아라, 청어 엮자, 청어 풀자, 지와 밟기, 덕속몰기, 쥔쥐새끼놀이, 문열어라, 가마등, 도굿대당기기 등이 있다. 이 같은 놀이를 번갈아 하면서 밤새 논다.

 

 

2. 줄다리기

 

한반도의 중남부 지역에 가장 널리 분포되었으며, 남녀노소가 함께 참여하는 대동놀이이다. 두 패로 나누어 굵은 줄을 서로 당겨 자기 편으로 끌어온 쪽이 이기는 경기 또는 놀이인 줄다리기는 예부터 대개는 정월 대보름날에 하며 지방에 따라서는 5월 5일 단오절이나 7월 보름날 백중절에 하였다.

 

한 고을이나 촌락이 서로 나누어 집집에서 모은 짚으로 새끼를 꼬아 수십 가닥으로 합사한 큰 줄을 한 가닥으로 하여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아 굵은 줄을 만들고, 줄에는 손잡이 줄을 무수히 매단다. 줄머리에는 양편 모두 도래라고 하는 고리를 만들어 연결하며 중앙에서 동서부의 고리를 교차하여 그 속에 큰 통나무를 꽂아 동서부의 줄을 연결한다. 마을 사람들은 노소를 막론하고 참가하여 줄을 당기어 승패를 겨룬다.

 

 

3. 씨름

 

개인놀이, 상대놀이, 소집단 놀이, 대동놀이로도 존재하였던 씨름은 단오와 백중 그리고 추석, 정월대보름에 행해졌다. 힘께나 쓰는 사람들은 씨름판을 벌이는데, 어린이들은 아기 씨름을 하고 장정들은 어른 씨름을 한다. 잔디밭이나 백사장에서 구경꾼에 둘러싸여 힘과 슬기를 겨루게 된다. 씨름에서 마지막 승리한 사람에게는 장사라 부르고 상으로 광목, 쌀 한가마 또는 송아지를 준다.

 

 

4. 활쏘기

 

서정에 모여 일정한 거리에 과녁을 만들어 놓고 활을 쏘아 과녁을 맞추는 경기이다. 활쏘기는 상무정신을 기르게 하고 심신을 단련하게 하는 운동이기도 하다. 여러 궁사들이 줄을 서서 차례로 쏘아 과녁에 맞으면 지화자 노래를 부르면서 격려하고 축하를 해준다.

 

 

5. 가마싸움

 

일명 자메쌈 또는 가마놀이라고도 하며 학동들의 놀이이다. 추석이 가까워지면 각 서당의 학동 중 대표를 뽑아 총사로 삼고 각기 가마와 기를 만들며 가마싸움을 하는데 마을 주민 모두가 나와 응원을 하고 박수를 치며 격려를 한다. 총사의 지휘에 따라 접전을 하며 전진하고 후진하고 좌우로 빙빙 돌다가 틈만 있으면 뚫고 들어가 가마와 가마를 부딪게 하거나 발로 가마를 차고 부순다. 또 적군의 기를 많이 빼앗으려고 한다. 승리한 측은 빼앗은 기를 높이 들고 기세도 당당하게 마을을 다시 누비고 다닌다.

 

 

6. 소먹이놀이

 

설에도 행해지는 놀이로 거북놀이와 비슷하나 이 놀이에는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들어 있다. 중부지방에 널리 퍼져 있으며 황해도 일부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놀이는 두 청년이 궁둥이를 서로 맞대어 엎드리면, 그 위에 멍석을 덮어 씌워 앞쪽이 되는 한 사람은 두 개의 막대기를 각각 손에 드는데 이는 소의 뿔을 나타내는 것이고, 뒤쪽 사람이 든 한 개의 막대기는 소의 꼬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두 사람은 멍석을 덮어 쓰고 뿔과 꼬리를 내놓은 채 소걸음으로 걸어가며 다른 한 사람이 이 소를 끌고 여러 집을 돌아다니며 집 주인이 내어 놓는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먹는다.

 

 

7. 반보기

 

추석이 지난 다음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들끼리 일자와 장소를 미리정하고 만나는 것을 반보기라 한다. 옛날에 시집간 여자들은 마음대로 친정 나들이를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모녀 사이에 중간 지점을 정해서 서로 즐기는 음식을 장만하여 만나 한나절 동안 그 동안 나누지 못했던 회포를 푸는 것이 반보기인 것이다.

 

또 한 마을의 여인들이 이웃 마을의 여인들과 경치 좋은 곳에 집단으로 모여 우정을 두터이 하며 하루를 즐기는 수도 있다. 이 때에 각 마을의 소녀들도 단장하고 참여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며느릿감을 선정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반보기란 중로에서 상봉했으므로 회포를 다 풀지 못하고 반만 풀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8.올게심니


추석을 전후해서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 곡식의 이삭을 한 줌 베어다가 묶어 기둥 이나 대문 위에 걸어 두는데 이것을 올게심니라고 한다. 올게심니를 할 때에는 주찬을 차려 이웃을 청해서 주연을 베푸는 수도 있다. 올게심니한 곡식은 다음해에 씨로 쓰거나 떡을 해서 사당에 천신하거나 터주에 올렸다가 먹는다. 올게심니를 하는 것은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달라는 기원의 뜻이다.

 


9.밭고랑 기기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8월 14일 저녁에 아이들이 밭에 가서 발가벗고 자기 연령 수대로 밭고랑을 긴다. 이 때에 음식을 마련해서 밭둑에 놓고 하는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그 아이는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고 밭농사도 잘된다는 것이다.

 

 

10. 거북놀이


거북놀이는 두 사람이 둥근 멍석을 쓰고 앉아 머리와 꼬리를 만들어 거북이시늉을 하고 느린 걸음으로 움직인다. 사람들이 거북이를 앞세우고 큰 집을 찾아가 "바다에서 거북이가 왔는데 목이 마르다"면서 음식을 청하고 들어가면 주인은 음식을 내어 일행을 대접한다.

 

추석음식

 

1.송  편

 

가장 먼저 나오는 햅쌀로 빚은 송편은 오려송편이라 하여 조상의 차례상과 묘소에 바쳤다. 색에 따라 흰송편, 쑥송편, 송기송편으로 구분하고 소의 종류도 팥고물, 밤, 풋콩, 대추, 깨고물 등 여러 가지가 있다.

 

  

 

2.토란탕

 

토란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계절이므로 토란탕을 끓이거나 쇠고기를 섞어    맑은 국을  끓여 먹기도 한다.

 

 


3.화양적

 

햇버섯, 도라지, 고기 등을 조미하여 볶아서 꼬챙이에 꿰어 만든 누름 적이다.

 

 

4.가배주
 

음력 8월 15일 한가위에 가무백희를 하면서 마시던 술을 말한다.

 

 


5.노티

 
익반죽한 찹쌀가루를 엿기름가루에 삭혀서 5센티미터 크기로 동글납작하게 빚어 참기름에 노릇노릇하게 지진 떡으로 완전히 식혀 사기항아리에 설탕이나 꿀을 뿌리면서 차곡차곡 담아두고 먹는 독특한 떡으로 놋티, 놋치라고도 한다. 평안도의 향토음식이며 평양지방의 이름난 음식이다.

 

 


6.누름적

 
채소, 고기 따위를 가늘고 길게 저며 꼬챙이에 색을 맞추어 꿰어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을 풀어 씌워 번철에서 전부치듯이 지진 요리를 총칭한다.

 

 


7.닭찜

 
닭을 잘 손질하여 갖은 양념을 넣고 푹삶은 음식. 추석차례에 올리는 제물로 장만하거나 절식으로 먹었다.

 

 


8.박나물

 
가을에 덜 여문 박을 따서 껍질을 벗기고 반을 갈라서 속을 긁어낸 다음에 얇게 저미거나 굵게 채쳐서 무친 음식으로 포채라고도 한다.

 

 


9.배숙

 
배를 통째로 또는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삶아 꿀물이나 설탕물에 담근 것으로 곶감 대신 배를 넣었다하여 배수정과, 익힌 배라하여 이숙이라고도 한다. 작은 배를 통째로 후추를 박아서 끓인 것은, 향설고라고도 한다.

 

  


10.숙주나물

 
콩나물 기르듯이 녹두의 싹을 틔워 기른것을 데쳐서 무친나물. 녹두나물이라고도 하며 특히 추석의 절식으로 알려져 있다.

 

 


11.신도주

 
햅쌀로 빚은 술로 백주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의 모든 술빚기는 연중 첫 수확물인 햅쌀을 이용한 이 신도주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12.율단자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반대기를 지어 찐 다음, 꽈리가 일도록 쳐서 소를 넣고 둥글게 빚어 꿀을 바르고 밤고물을 묻힌 떡으로 밤단자라고도 한다. 추석 즈음에 나오는 햇밤을 사용하여 만들어 추석차례에도 사용한다.

 

추석에 관한 속담

 

1.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보은에서는 대추 흉년이 들면 보은의 아가씨가 시집가기 힘들어 운다는 의미로 추석비를 반가워 하지않는다는 뜻이다.


추수철인 가을에 비가 오는 것을 농가에서는 매우 반갑지 않게 여긴다는 뜻의 속담. 곡식이나 과일이 결실을 맺어 수확할 때인 추석 무렵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들어 혼수를 장만하지 못하게 되므로 시집을 가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예부터 대추의 고장으로 이름 난 보은에서는 대추 흉년이 들면 보은의 아가씨가 시집가기 힘들어 눈물을 흘린다는 뜻의 속담이다.


2.푼주의 송편이 주발 뚜껑 송편 맛보다 못하다


푼주와 같이 좋은 그릇에 담긴 송편이라 할지라도 정성이 담기지 않으면 볼품없는 주발 뚜껑에 담긴 송편보다 못하다는 뜻의 속담이다.


푼주와 같이 좋은 그릇에 담긴 맛좋은 송편이라 할지라도 정성과 사랑이 담기지 않으면 값어치 없고 볼품없는 주발 뚜껑에 담긴 송편보다 맛이 좋을 리 없다는 뜻의 속담. 음식에는 무엇보다도 만든 사람의 정성과 따뜻한 사랑이 담겨야 하고 오붓한 정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3. 옷은 시집 올 때처럼, 음식은 한가위처럼


옷은 시집 올 때처럼 잘 입고, 음식은 한가위날 처럼 잘 먹고 살고 싶다는 말.

 
4. 설에는 옷을 입고 한가위에는 먹을 것을 얻어먹는다.


 비교적 한가하고 겨울철인 설에는 좋은 옷을 해입고 추수철인 추석에는 먹을것이 풍부하여 먹을것을 많이 얻어먹게 된다는 말.


5. 설은 질어야 좋고 추석은 맑아야 좋다.

 
음력 설에 눈이 자주 오면 보리 농사에 좋고 추석때는 벼의 등세기이므로 맑은날이 많아야 일조시간이 많고 적산온도가 높아 결실이 좋아 풍년이 든다는 뜻에서 유래됨.


6. 작년 팔월(추석)에 먹은 오려 송편이 나온다.


거만한 행동을 보니 아니꼬와서 속이 뒤집힐 것 같다는 말이다.

 
7. 더도말고 덜도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추수철인 한가위(추석)에는 먹을것이 많기 때문에 가장 기쁘고 즐거운 것이 우리풍속. 그렇기에 모든 사람들이 기분좋은 명절이기에 일년 365일이 한가위만 같아라 하는 바램이 나오게 된것.

 

송편

 

1.송편 모양이 반달인 이유

 

송편에 소를 넣을 때 둥글게 만들었다가 접으면 반달 모양이 됩니다. 소를 넣을 때 나의 소망을 넣고, 접을 때 나의 소망이 달아나지않게 하는 의미도 있고,둥근 달과 반달을 상징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2. 송편과 솔잎을 번갈아 놓는 까닭

 

전통적으로 송편을 찔 때 솔잎과 함께 쪄 냅니다.

솔잎을 먼저 시루에 깔아 시루 구멍을 덮고 그 위에 송편을 한 줄 놓아요.

켜켜로 솔잎과 송편을 놓으면 나중에 송편에는 향긋한 솔잎 향이 배어나와 그 맛이 더욱 근사해집니다.

 

또 솔잎을 사용하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그 유용성이 증명된 바 있습니다.

식물은 미생물로부터 자기 몸을 방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살균물질을 발산하는데,이를 통칭해 피톤치드 (phytoncide)라고 합니다. 소나무는 보통나무보다 10배 정도나 강하게 발산합니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한국에서는 소나무를 잡귀를 쫓는 정화의 상징으로 생각해왔어요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는 진통작용, 구충작용, 항생작용, 혈압강하, 살충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때문에 송편 시루에 다른 잎이 아닌 소나무 잎이 들어간 것만 봐도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ltah님
ag205
태양신
답변확정 7749 (98.7%)

입력된 URL이 없습니다.

입력된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주요활동분야
주요활동분야가 없습니다.

re: 한가위의 뜻

비공개
답변답변확정률100%
2011.09.15 01:18
<OBJECT style="POSITION: relative !important;" id=kinUp_6130103_136988289_3 class=F1316087531390873926_undefined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width=135 align=middle height=65 ?> <embed width="135" height="65" name="kinUp_6130103_136988289_3" class="F1316087531390873926_undefined" style="position:relative !important;" " src="http://static.kin.naver.net/static/flash/count_button_20110316.swf" align="middle" quality="high" bgColor="#FFFFFF" allowScriptAccess="always" wmode="transparent" menu="false" allowFullScreen="true" flashVars="url=http://kin.naver.com/ajax/kinupAnswer.nhn&count=0&maxCount=0&mode=n&isMax=true&isClick=true&isLogin=true&isMine=false&swfID=kinUp_6130103_136988289_3&__flashID=kinUp_6130103_136988289_3&nsc=kin.endpage&nArea=end.good&nCid=&__flashID=kinUp_6130103_136988289_3"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좋은 질문을 올렸습니다.

추석이란 말은 태호복희 하나님이 오시는 것을 후세인들에게 전할 방법이 없어 한자속에 그 뜻을 심고 날짜에 맞추어 행사를 하고 놀이 문화를 통하여 지각을 열어 깨우쳐 주기 위함입니다.

한자는 하늘의 뜻글자로 하늘의 천서이며 비서입니다.

우리의 약속은 문자입니다.

말로서 약속은 사람의 입을 통하여 전하고 전하다보면 변질이 되고 끝내는 엉뚱한게 변화게 되어 있습니다.

문자는 거짓말을 못합니다.

문서에 도장을 찍는 이유가 바로 약속입니다.

조선국 상계신 환인 중계신환웅 하계신 단군이 불가불 문자로서 약속을 하셨습니다.

(도장 인)= +1은 손으로 무릎을 꿇고 도장을 찍는 모습입니다.

(손톱 조)는 삼족오를 말하며 삼신을 말하며 환인 환웅 단군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삼족오로서 태양신을 말합니다.

秋夕?

?

+로 가을 추라 합니다. 가을은 수확의 계절입니다.

(벼 화)의 실체는 쌀(;쌀 미)입니다.

벼는 짚을 만들어 집을 짓고 가마와 돗자리등 다양하게 만듭니다.

도가에서는 짚으로 만든것을 계룡이라 하는데 일러줘도 모른다고 했습니다.

벼는 볏으로 닭의 벼슬도 되며 볏은 해볕으로 태양을 말하며 태양속에는 삼족오가 살며 삼족오는 삼신을 말합니다.

가마는 또한 검은 것으로 까마귀를 말해 삼족오이며 가마솥으로 가마솥은 세발솥으로 삼공으로 임금이라하며 벼는 닭의 집을 지으니 계룡이라합니다.

벼는 계룡을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은 우리의 주식입니다.

를 파자하면 八十八(88)로 도가에서 말하는 명덕관음88양을 말합니다.

또한 하늘의 8대문을 말하며 8괘를 말하며 48달의 우주원리를 말합니다.

도가에서는 88을 낙반사유(落盤四乳)라 하여 이 젖꼭지를 빨아야 산다고 말을 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제사에서 밥에다 수져를 꼽는 이치를 생각하면 알 수 있습니다.

수져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을 본뜬 것입니다.

북두칠성은 똥바가지라 하는 이유는 생문방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추석에는 대표적인 떡이 송병(송편)입니다.

소나무는 수리나무 솔나무 로 두목을 상징합니다.

송편을 만들 때 반죽을 편것은 보름달로 15(진주)를 말하며 주역에서는 중앙을 말합니다.

즉 가운데란 것입니다.

바둑판으로 말하면 천궁으로 태을궁이며 자미원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한가위라 하는데 은 크다라고 말을 합니다.

은 우물귀틀()로서 48달의 원리를 말합니다.

가위는 가운데를 말하지만 숫자로는 6으로 물을 말하며 을 말합니다.

즉 인존시대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송편을 절반 접고 소()를 넣으면 반달이 되어 88양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반달의 노래를 보면

계수나무는 우주목으로 하나님을 상징하며

토끼는 약방아를 찧는데 생명수를 말합니다.

=에서 가차 되어 왔습니다.

古字(고자) (가을 추)입니다.

+ 는 현무를 말해 하나님을 뜻합니다.

는 불로서 태양이며 삼이화가 되며

는 북현무로 거북을 상징합니다.

?

= ()도 아니며 밤()도 아닙니다.

은 해질무렵을 말합니다.

해질 무렵은 17~19시로 유시(酉時)를 말합니다.

닭이 둥지로 들어갈 시간대를 말하죠.

이 시간을 새가 귀소성하는 시간이라 말을 합니다.

태양이 동()쪽에서 뜨서 서(西)쪽으로 지는 것을 새가 둥지로 들어 간다고 옛선인들은 말했습니다.

이나 西는 모두 태양입니다.

=+로 나무에 태양이 걸려 있는 모습으로 삼족오가 나무에 앉아 있는 모습입니다.

은 우주목으로 상제님을 말하며 태양()은 삼족오로 태양새입니다.

西 에서 새가 뜨서 西쪽으로 들어가니 새가 둥지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새는 도가에서 계룡(鷄龍)을 말하며 태을(太乙)을 말합니다.

새는 사이(42=6)로 하늘과 땅을 잇는 역활을 합니다.

그러므로 추석은 하나님이 오시는 때를 알리기 위하여 우리 민족에게 심어 주었습니다.

파고파고 깊이파세요 얇게파면 죽습니다.

.

비공개
답변하신 분이 본인의 프로필 정보를 비공개로 하셨습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Fn(function() { new nhn.Kin.QnaEnd.CommentAndMenu($("_WPSRT16_qna_detail_answerList")); }).attach(document,"domready"); $Fn(function() { nhn.Utility.initializeUserListBoxBySPS($("_WPSRT16_qna_detail_answerList"), "#_WPSRT16_qna_detail_answerList", ".au_layer_idmenu", "_user_id"); nhn.Kin.QnaEnd.KinupFlash.display("http://static.kin.naver.net/static/flash"); }).attach(window,"load");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 제목 IE 노출 오류 보정 $Fn(function() { setTimeout(function() { document.title = document.title.replace(/#(.*)$/, ""); }, 10); }).attach(window, "load"); </SCRIPT>
  1. 설날음식 알라딘인터넷서점
    www.aladin.co.kr
    설날음식, 신간, 베스트셀러 최대 50%할인, 이벤트 진행, 2시 당일 무료배송.
  2. 각종 설날차례서식 예스폼
    www.yesform.com
    각종 설날차례서식, 설날차례서식 전문제공 및 각종 무료서식 다운로드 예스폼.
  3. 영광모시송편전문 천년마을송편
    www.songpyeon.com
    영광모시송편, 떡 전문떡집, 영광에서 어머님이 만드는 100%수제모시송편, 개떡.
Ads by NAVER | 클릭초이스 등록
<SCRIPT type=text/javascript> $Fn(function(){ var qb = "7ISk64Kg7JeQIOuoueuKlCDsnYzsi53snYAg662U6rCA7JqU".replace(" ", "+"); $("detailSearchFrame").src = "http://gw.kin.naver.com/api/search/searchInDetail.nhn?qb=" + qb + "&enc=utf8&section=kin&dirId=6130103&section=qna&spq=1&sp=1&sort=0&pid=&sid=&rank=1&docId=136988289&search_sort=0"; }).attach(window, "load");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rosAlertMessage = ""; var isRosActionInterest = "false";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 function LoadLoginFrame() { clearTimeout(loginFrameTimer); var frame = document.getElementById("loginframe"); if (frame && typeof(frame.loaded) == "undefined") { frame.loaded = true; var s = 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 frame.src="http://static.nid.naver.com/b4/b4login.nhn?svc=d278&url=" + 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 } } var loginFrameTimer = setTimeout(LoadLoginFrame, 1500); $Fn(function() { LoadLoginFrame(); nhn.Kin.RNB.LoginMyArea.initialize( nhn.Utility.initializeInterestKeyword( $("_WPSRT18_login") ) ); },this).attach(window,"load"); })(); </SCRIPT>

더보기

<SCRIPT id=tplRnbMobileqnaQuestion type=text/template>
  • {=contents}
    Time:
    {=dispWriteTime}
    Posted by:
    {=maskingUserId}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n(function() { namespace("nhn.Kin.MobileQna.MobileNewQuestion", function() /** * @scope nhn.Kin.MobileQna.MobileNewQuestion */ { if(!oData) var oData = {}; (function(){ oData.questionList = []; oData.current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52:11"); var oWriteTime,answerCnt,imagePath,contents,maskingUserId,reportedFlag,docId,mobileNumber,maskingUserId;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50:26");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15%EC%82%B4%EC%9D%B4%EA%B3%A0%20%ED%97%AC%EC%8A%A4%EC%97%90%20%EB%8B%A4%EB%8B%88%EB%8A%94%EB%8D%B0%EC%9A%94%20%ED%97%AC%EC%8A%A4%EC%97%90%20%EC%95%84%EB%8A%94%EC%95%84%EC%A0%80%EC%94%A8%EA%BB%98%EC%84%9C%20%ED%95%98%EB%A3%A8%EC%97%90%20%ED%8C%94%EA%B5%BD%ED%98%80%ED%8E%B4%EA%B8%B0%2010%EA%B0%9C%EC%94%A9%2010%EC%84%B8%ED%8A%B8%20%ED%95%98%EB%9D%BC%EB%8A%94%EB%8D%B0%20%EC%A0%80%EA%B0%80%20%EC%B2%AD%EC%86%8C%EB%85%84%EA%B8%B0%EB%8B%A4%EB%B3%B4%EB%8B%88%EA%B9%8C%20%ED%82%A4%EC%97%90%20%EC%A7%80%EC%9E%A5%EC%9D%B4%EC%9E%88%EC%9D%84%EA%B9%8C%20%EA%B6%81%EA%B8%88%ED%95%98%EB%82%B4%EC%9A%94%20%EC%A0%95%ED%99%95%ED%95%9C%EC%A7%80%EC%8B%9D%EC%9E%88%EB%8A%94%EB%B6%84%EC%9D%B4%20%EB%8B%B5%ED%95%B4%EC%A3%BC%EC%85%A8%EC%9C%BC%EB%A9%B4%20%EB%B0%94%EB%9E%8D%EB%8B%88%EB%8B%A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sun****");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739");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10-40**-****");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sun****");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45:32");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C%83%81%ED%99%A9%EB%B2%84%EC%84%AF%EC%9D%B4%EB%8B%B9%EB%87%A8%EC%97%90%EC%A2%8B%EB%82%98%EC%9A%9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jsi****");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705");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jsi****");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45:22");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1);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B%B9%85%EB%B1%85%20%EB%B6%89%EC%9D%80%EB%85%B8%EC%9D%84%20%EC%95%9E%EB%B6%80%EB%B6%84%20%EC%9D%91%EC%9B%90%EC%9D%B4%EB%AD%90%EC%97%BF%EC%A3%A0%3F%EA%B9%8C%EB%A8%B9%EC%9D%8C%E3%85%9C%E3%85%9C%EB%B7%94%EC%95%84%ED%94%BC%EB%82%98%20%EA%B2%80%EC%83%89%ED%95%B4%EB%B3%BC%EB%B6%84%EB%93%A4%20%EC%95%8C%EB%A0%A4%EC%A3%BC%EC%84%B8%EC%9A%9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ms****");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704");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10-47**-****");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ms****");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42:16");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B%8C%80%ED%95%99%EA%B5%90%EB%A5%BC%EB%B3%B4%EA%B5%AC%EC%9E%88%EB%8A%94%EB%8D%B0%EC%9A%94..%E3%85%9C%E3%85%A04.44%EB%93%B1%EA%B8%89%EA%B0%88%EC%88%98%EC%9E%87%EB%8A%94%EA%B2%BD%EA%B8%B0%EC%AA%BD%EB%8C%80%ED%95%99%EC%9E%88%EC%9D%84%EA%B9%8C%EC%9A%94%3F%0A%EA%B3%BC%EB%8A%94%EA%B2%BD%EC%98%81%EC%AA%BD%EC%95%84%EB%8B%88%EB%A9%B4%ED%8C%A8%EC%85%98%EB%94%94%EC%9E%90%EC%9D%B8%EC%AA%BD%EC%9C%BC%EB%A1%9C%EA%B0%80%EB%A0%A4%EA%B3%A0%ED%95%98%EB%8A%94%EB%8D%B0%E3%85%9C%E3%85%A0%0A%EB%8B%B5%EB%B3%80%EB%B6%80%ED%83%81%EB%93%9C%EB%A6%BD%EB%8B%88%EB%8B%A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m3j****");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680");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10-67**-****");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m3j****");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40:39");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1);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B%B6%88%EC%96%B4%EB%B6%88%EB%AC%B8%EA%B3%BC%EB%A5%BC%EC%A7%80%EC%9B%90%ED%95%98%EB%A0%A4%EB%8A%94%EB%8D%B0%EC%9A%94%20%EC%A7%80%EC%9B%90%EB%8F%99%EA%B8%B0%EC%97%90%20%ED%94%84%EB%9E%91%EC%8A%A4%EC%9A%94%EB%A6%AC%EB%95%8C%EB%AC%B8%EC%97%90%20%EC%A7%80%EC%9B%90%ED%96%88%EB%8B%A4%EA%B3%A0%EC%8D%A8%EB%8F%84%EB%90%A0%EA%B9%8C%EC%9A%94%3F%20%20%20%EC%82%AC%EC%8B%A4%20%EC%9A%94%EB%A6%AC%EC%A0%84%EA%B3%B5%ED%95%98%EA%B3%A0%EC%8B%B6%EC%9D%80%EB%8D%B0%20%EA%B7%B8%EB%9F%B0%EA%B3%BC%EA%B0%80%EC%97%86%EC%96%B4%EC%84%9C%20%EB%91%90%EB%B2%88%EC%A7%B8%EB%A1%9C%EA%B0%80%EA%B3%A0%EC%8B%B6%EC%97%88%EB%8D%98%20%EB%B6%88%EC%96%B4%EA%B3%BC%EC%A7%80%EC%9B%90%ED%95%9C%EA%B1%B0%EA%B1%B0%EB%93%A0%EC%9A%9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jji****");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666");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10-71**-****");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jji****");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40:33");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1);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C%9D%B4%ED%98%BC%EC%86%8C%EC%86%A1%EC%A4%91%EC%97%90%20%EB%B6%80%EC%9D%B8%EC%9D%B4%20%EB%B3%91%EC%9C%BC%EB%A1%9C%20%EC%82%AC%EB%A7%9D%ED%95%98%EB%A9%B4%20%EB%B3%B4%ED%97%98%EA%B8%88%EB%B0%8F%20%EC%9E%AC%EC%82%B0%20%EB%82%A8%ED%8E%B8%ED%95%9C%ED%85%8C%EA%B0%80%EB%82%98%EC%9A%94%20%EC%95%84%EB%8B%88%EB%A9%B4%20%EC%9C%A0%EC%96%B8%EC%9E%A5%20%EB%82%A8%EA%B8%B0%EB%A9%B4%20%EB%8B%A4%EB%A5%B8%EC%82%AC%EB%9E%8C%ED%95%9C%ED%85%8C%EA%B0%80%EB%8A%94%EC%A7%80"));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kjw****");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665");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kjw****");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30:19");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1);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1.%20%EC%96%BC%EA%B5%B4%EC%97%90%20%EB%B9%A8%EA%B0%9B%EA%B2%8C%20%EB%B6%80%EC%96%B4%EC%98%A4%EB%A5%B4%EA%B3%A0%20%EC%A2%81%EC%8C%80%3F%20%EC%A0%95%EB%8F%84%EB%A7%8C%ED%95%9C%20%EA%B2%83%EC%9D%B4%20%EB%B9%A8%EA%B0%9B%EA%B2%8C%20%EC%98%AC%EB%9D%BC%EC%98%A4%EA%B3%A0%20%EA%B0%80%EB%A0%A4%EC%9A%B4%EB%8D%B0%EC%9A%94.%20%EB%95%80%EB%9D%A0%EB%8A%94%20%EC%96%BC%EA%B5%B4%EC%97%90%20%EC%95%88%EC%83%9D%EA%B8%B4%EB%8B%A4%EA%B3%A0%20%ED%95%98%EB%8D%98%EB%8D%B0%20%EA%B7%B8%EB%9F%BC%20%EC%9D%B4%EA%B1%B0%20%EC%95%84%ED%86%A0%ED%94%BC%EC%9D%B8%EA%B0%80%EC%9A%94%3F%0A2.%20%EB%A7%8C%EC%95%BD%EC%97%90%20%EB%95%80%EB%9D%A0%EB%9D%BC%EB%A9%B4%20%EB%95%80%EB%9D%A0%20%EC%B9%98%EB%A3%8C%EB%B2%95%20%EC%A2%80%EC%9A%94.%20(%EC%95%84%EA%B8%B0%20%EC%95%84%EB%8B%88%EC%97%90%EC%9A%9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zem****");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594");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zem****");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27:32");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C%A0%9C%EA%B0%80%20%EC%98%A4%EB%8A%98%EB%B6%84%EA%B0%88%EC%9D%B4%EB%A5%BC%20%ED%95%98%EB%8B%A4%EA%B0%80%20%EB%AF%B8%EB%8B%88%EC%98%A4%EC%9D%B4%EC%A4%84%EA%B8%B0%EB%A5%BC%20%ED%95%98%EB%82%98%EB%A5%BC%EA%B1%B0%EC%9D%98%EB%8B%A4~%ED%86%A1%EB%BF%8C%EB%9F%AC%EB%9C%A8%EB%A0%B8%EB%8A%94%EB%8D%B0%E3%85%A0%E3%85%A0%EC%9D%BC%EB%8B%A8%EC%8B%AC%EC%97%88%EC%A7%80%EB%A7%8C%20%EC%95%88%EC%9E%90%EB%9D%BC%EB%82%98%EC%9A%94%3F%3F%E3%85%A0%0A%EA%B7%B8%EB%A6%AC%EA%B3%A0%20%EB%8B%A4%EB%A5%B8%EC%B1%84%EC%86%8C(%EB%B0%A9%EC%9A%B8%ED%86%A0%EB%A7%88%ED%86%A0%2C%EB%B0%A9%EC%9A%B8%EC%96%91%EB%B0%B0%EC%B6%94%2C%EB%AF%B8%EB%8B%88%EC%98%A4%EC%9D%B4)%EB%B6%84%EA%B0%88%EC%9D%B4%ED%95%98%EB%8B%A4%EA%B0%80%20%EB%BF%8C%EB%A6%AC%EA%B0%80%EB%8B%A4%EC%B3%A4%EC%9C%BC%EB%A9%B4%20%EC%96%B4%EB%9C%A8%ED%95%98%EC%A3%A0%3F%3F%E3%85%A0%E3%85%A0%E3%85%A0"));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koo****");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578");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koo****");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26:28");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1);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C%95%84%EC%9D%B4%ED%85%9C%EB%A7%A4%EB%8B%88%EC%95%84%20%EB%AC%B4%ED%86%B5%EC%9E%A5%EC%9E%85%EA%B8%88%EC%97%90%EB%8C%80%ED%95%B4%20%EC%9E%90%EC%84%B8%ED%9E%88%EC%84%A4%EB%AA%85%ED%95%B4%EC%A3%BC%EC%84%B8%EC%9A%9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zlt****");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575");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10-98**-****");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zlt****");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Utility_mobile.getDateObject("2011/09/15 20:25:51"); answerCnt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0); imagePath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contents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decodeURIComponent("%ED%94%BC%EC%95%84%EB%85%B8%EC%9E%85%EC%8B%9C%ED%95%99%EC%9B%90%EC%97%90%EC%84%9C%EC%95%84%EC%98%88%EC%B2%98%EC%9D%8C%EC%9D%B8%EA%B8%B0%EC%B4%88%EB%B6%80%ED%84%B0%EA%B0%80%EB%A5%B4%EC%B3%90%EC%A3%BC%EB%82%98%EC%9A%94%3F%3F%0A%EC%95%84%EB%8B%98%EB%8F%99%EB%84%A4%ED%95%99%EC%9B%90%EC%97%90%EC%84%9C%EA%B8%B0%EC%B4%88%EC%8C%93%EA%B3%A0%EA%B0%80%EB%8A%94%EA%B2%8C%EB%82%AB%EB%82%98%EC%9A%94%3F%EC%95%84%EC%9E%85%EC%8B%9C%ED%95%99%EC%9B%90%EB%B9%84%EB%8F%84%EC%95%8C%EB%A0%A4%EC%A3%BC%EC%84%B8%EC%9A%94"));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als****"); reportedFlag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N"); doc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3119571"); mobileNumber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Utility_mobile.getRealValue("als****");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 var getRandomData = function(){ return oData; }; if ( typeof window.nhn == "undefined" ) window.nhn = {}; nhn.loginId = "pdo204"; eval(namespace.exports("getRandomData")); }); }).attach(document, "domready"); </SCRIPT>

추석인사

추석인사 꼭 해야 하나요? 추석인사 문구 카톡으로 보내도 되죠? 예의없어 보일까요? 추석인사 꼭 해야 하나요? 추석인사 문구 카톡으로 보내도 되죠? 예의없어 보일까요?...

숙박세일페스타 추석편, 전국편 쿠폰...

... 다름이 아니라 현재하고있는 숙박세일페스타 추석편을 하고있는데 추석편에서... 다름이 아니라 현재하고있는 숙박세일페스타 추석편을 하고있는데 추석편에서 쿠폰을...

9월 추석 해외여행지

50대 부모님 모시고 해외여행 가보려고 하는데 9월 추석으로 기간을 생각합니다 우기나... 50대 부모님 모시고 해외여행 가보려고 하는데 9월 추석으로 기간을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