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2학기 말듣쓰 51쪽

5학년2학기 말듣쓰 51쪽

작성일 2008.10.0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말듣쓰책을 놓고와서 그런데요.

 

51쪽좀 가르쳐주세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상도 사투리(1)

호칭 및 인칭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할아버지

할부지, 할배

할머니

할무이, 할마시, 할매

아버지

아부지

어머니(시어머니)

어무이, 어매(시어마이)

형아

히야, 시야

누나

누부

첩사이

아범

아바이

애들을 낮추어 부를때

종내기

아주머니

아지매, 아주무이

이놈아

임마

 

 

저놈아

절마

아이들

아들

이 아이가

야가

너하고, 나하고

니캉, 내캉

오라버니

오라바이

어린애

얼라, 알라

어미

어마이

그 아이가
그아이가 그아인가

가가
가가 가가

계집애, 가시내

지지바, 가시나

아이

사나이, 사내

머스마, 머시마

다른사람

다리

올케

월깨

저, 제가

지, 지가

자기가

지가(지가 기면서)

곱사등이

곱사디, 꼽사디

벙어리

버버리, 뻘찌

점쟁이

점바치

문둥이

문디

거지

걸배이, 거러지

쌍둥이

쌍디

땜장이

때임재이

놈팡이

놈패이

깍쟁이

깍재이

멋장이

멋재이

엿장수

엿재이

시매부

시매시

미치광이

미친개이

장돌림

장똘배이

여편네(여편네들)
아낙네들

인네, 안들
(인네들,  안들들)

말랐는 사람

빼빼, 빼빼장구

잠을 많이 자는 사람

잠충이, 잠치이

뚱뚱보(뚱보)

뚱땡이,뚱띠

잘 조는 사람

자부래미

병신

빙시

절름발이

찐빠리

앉은뱅이

안질배이

 

 

 

 

 

신체부위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다리

달구지


(손등, 발등)

등더리, 등어리
(손등더리. 발등더리)

정수리

짱배이, 짱배기

손목

손모가지(저속어)

목아지

발목

발모가지(저속어)

콧잔등, 콧등

코빼기(저속어), 콧디
코짱배이, 코짱배기
코등떠리

정갱이

정개이

무릎

무르팍

뼉다귀

삐다구, 삑다구

엉덩이

 궁디

겨드랑이

자드랭이

가르마

가르매

눈시울
눈두덩

눈떠버리
눈티

뺨, 뺨따귀

빼마리, 빼말때기

입술

입시불

팔뚝

팔띠

볼때기

볼태기

창자

창시

코딱지

코따가리

주둥이, 주둥아리

주디

머리끄덩이

머리끄대이(끄대기)

대가리(머리)

대갈배이, 대갈바리
댁바리

혹뿔

보드라지(뾰루지)

뽀드락지

간덩이

간띠

방귀

방구

눈깔

 눈까리

머리카락

멀꺼디

터럭(털)

터리, 터리기

살집

살짐, 살찌미

 멱살

멱사리

등때기

등떠리, 등어리
등떠버리

귀싸대기

귀퉁배기, 귀퉁배이

눈동자중 흰 부분

흰창, 흰채이

눈썰미

눈살미

귀에지(귀지)

귀체이

몸뚱이

몸띠

 

감      각

표  준  말

사  투  리

표  준  말

사  투  리

짜다(짜워서 못 먹는다)

짭다(짜버서 못 먹는다)

시다

새그랍다

쓰다

씹다

구수하다

구시다

깔끄럽다

까끄랍다, 까꺼럽다

고소하다

고시다, 꼬시다

시리다

시럽다

추워서

추버서

더워서

더버서

 

 


경상도 사투리(2)

그      릇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종지

종바리, 종지기

대접

대지비

뚝배기

툭수바리

 

버지기

바리

옥바리

접시

접시기

양푼

양푸이

 

널비기, 널비

뚜껑(밥뚜껑, 솥뚜껑)

띠비,디비(밥띠비, 솥디비)

함지

반티

 

양재기

 

옹가지

쪽박

쪽배기

 

 

 

농기구 및 생활도구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수군포

괭이

께이

호미

호매이

소쿠리

소구리

명경

밍경

 

바소구리, 바지게

쟁기(극젱이)

훌치이

고무래

곰배

갈퀴

까꾸리

부지갱이

부지깨이

어레미(눈금이 굵은체)

얼기미

키(곡식등을 까부는 도구)

곡괭이

못깨이

꽹과리

매구

참빗

챔빗

얼레빗

얼기빗

똬리(또아리)

 따배이, 따뱅이

가위

가시개, 까시개

주걱

주개

다래끼

대래끼

도롱이

도리

포대기

두디기, 두디

보자기

바쁘재, 보재기

베개

비개

시렁

실겅

베틀(베)

비틀(비)

길마(소등에 얹어 짐 옮길 때 사용하는 도구)

질매

자귀

짜구

옹구(소등에 얹어 짐 옮길 때 사용하는 도구)

옹기

써래

서리

부리망(소의 입마개)

머거리

표준말 모름(겨울에 소가 춥지 않도록 멍석 같은 것으로 소의 등과 배를 따뜻하게 보호하는 물건)

삼장

구유, 여물통
(쇠죽, 쇠고기)

소죽통
(소죽, 소고기)

지팡이

지패이

금줄(인줄)

건구

끈(끄나풀)

끄내끼
끄나파리

바느질
(반짇고리, 바느질고리)

반질
(반질당시개)

비짜리

서랍

빼다지

미닫이 창문

밀창문, 밀창

작두

짝두

곡식을 말리기 위하여 고르게 깔 때 사용하는 도구

밀개

뒤주

두지

쌔끼 동강이

새끼대이

깔때기

초래

말(식용 수초) 건질때 사용하는 도구

그네에 사용하는 발판

깔깨

보자기

바쁘재

보퉁이

보티, 보따리

쇠시랑이

소시랭이, 소시래이

이엉

인기

코뚜레

코끈대기

꽹과리

매구

비누

사분

거적때기

거죽대기

 

 

 

곡식 및 식품, 채소, 나물, 과일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두부

조포

부침개

찌짐

메밀

미물, 메물

부추

정구지

수수

수끼

쌀밥

이밥

쇠고기

소고기

무말랭이

오그락지

무시

국수

국시

밀가루(가루)

밀가리(가리)

수제비

수지비

기름(참기름)

지름(참지름)

도라지

돌개

고추장

꼬장

콩나물

콩지름

메주

미주

엿기름

 엿질금

김치

짐치

강냉이

 강내이

모과

모개

오이

 무리

복숭아

복숭. 복상

달래

달내이

씀바귀

신내이

냉이

날새이

잎(잎사귀),이파리

이퍼리(잎사구)

외, 참외

겉절이

지러지, 지래기

밀기울

밀지불

머루

멀구

뿌리

뿌렁거지

간장

장물, 지렁, 지렁물

무청

무시이퍼리

밥알

밥띳거리, 바띳기

밤송이

밤시

간장

장리름, 지렁

 

가      축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강아지

강새이

망아지

망새이(말 망새이)

병아리
햇 병아리

삐아리, 삐가리, 삐개이
해 삐개이


닭새끼


달구새끼

토끼

토깨이, 토까이

염소

얌새이

고양이

꼬내이, 고내이

 

 


경상도 사투리(3)

동물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징거미(민물새우)

징기미

잠자리

철배이

다슬기

꼴부리, 골부리.고디,    사고디

우렁이

못꼴부리, 논고디

우렁쉥이(멍게)

멍기

거미

거무

풀무치

국매

메뚜기

밀띠

매미

매리(뻘찌-숫컷)

방아개비

황굴레, 홍굴레-암컷
때때-수컷

개구리

깨구리

올챙이

올채이

호랑이

호래이

여우

야시(야시 비, 야시골)

지렁이

껄깨이, 거시

 

 

도토리

꿀밤

빵게

빵끼

구렁이

구리

매구(천년묵은 여우가 변하여 된 짐승)

미구

누에(누에 고치)

뉘비(뉘비 꼬치)

서캐(이의 알)

씨가리, 씨개이

구더기

구디기, 구디

모기

모개이

파리

파래이

굼뱅이

굼비

까치

깐채이 깐치

까마귀

까마구

뱀장어

배미재이

바구미
(쌀속에 사는 벌레)

바기미

회충

거시
뱃속에 거시 들었나

갈치

칼치

멸치

며르치

조기

쪼구

말조개

칼조개

재첩

밤조개

거머리

검처리

노루

놀개이


경상도 사투리(4)

일반용어

표  준  말

사  투  리

ㄱ, ㄴ

 

가루

가리

가을

가실

가팔막(가풀막)
가파르다

깨끌막
깨끌막지다

솔가리(소나무 낙엽)

깔비

강변

갱분

개울, 내

거렁

건더기

건디기, 건디

껍데기

껍디기. 껍디

껍질

꺼풀

겨릅대

지릅대, 지립대

고삐(소 고삐)

이까리(소 이까리)

고리

골개이

꼬리

꼬랑댕이, 꼬랑대기
꼬랑대이

고수레

고시내

고쟁이

꼬장주

꼴(모양)

꼬라지

꼴찌

꼬빼이, 꼼바리, 꼬빠리

꼬챙이

꼬쟁이, 꼬재이
꼬장가리, 꼬장개이

꼬투리

꼬타리

 

 

꼭대기

꼭두배이. 꼭두배기

꼭지

꼭다리, 꼭대기

소풀

꽁지

꽁다리

곰팡이

곰패이

구덩이

구디. 구디기

구역질

꽤악질

군것질

군입질

굴렁쇠

동테

귀퉁이

귀티

그늘

거렁지

끄내끼

끄티

기겁(하다)

식겁(하다)

길이

지리기

냄새

내미

눈썰미

 눈살미

 ㄷ

 

딱지

때기

딸꾹질

깔딱질


(고춧 대, 수수대)

대공, 대궁
(꼬치대공, 수끼대공)

대님

가붓댕이

대문

삽작

땡볕

땡빝

더미(짚 더미)

삐까리(짚삐까리)

덩쿨

덤불

덩어리

덩거리

덩이

디이

돌삐

됫박

도배기

동강이(토막)

동가리, 동개이

동그라미

동글배이, 똥글배이

뚜껑
(병 뚜껑)

따까리, 따깨이
(병 따까리, 따깨이)

뜨럭

등걸

등거리

등겨

등개

 ㅁ

 

마을

마실

매일

맨날

모래(보드러운 모래)

몰개(보몰개)

모이

모시

모퉁이

모티

목욕

목간

무더기

무디, 무디기

뭉텅이, 뭉치

뭉티기, 뭉티

 

 

 ㅂ

 

바느질

반질

바느질고리(반짇고리)

반질당시개

바람개비

팔랑개비

바위

방구

바퀴

바꾸, 바끼

밖에

한대

반두(물고기 잡을 때 쓰는 도구)

반도, 반디

버르장이(버릇)

버르재이,
버르장머리

비탈(에)

비알(비아래, 삐아래)

표  준  말

사  투  리

 

벌레

벌개이, 벌거지

빌박, 비림박, 비릴박

변소(변소에 가다)

정낭, 통시(통세 가다)

봉지

봉다리

부엌(부엌에)

정지(정제)

북더기

뿍디기, 뿍대기
뿍디

 

 

 ㅅ

 

사금파리
(사기조각)

새금파리

 삭정이

 삭다리

새경(머슴의 품삯)

새강

새미

서까래

서까리

성냥(당황)

다황

소꿉놀이소꿉놀이하자)

빵깨이(빵깨이살자)

속(배추 속)

꼬개이, 속꼬개이(배추 꼬개이, 배추 속꼬개이)

솔가리

깔비

솔방울

솔방구리

수숫깡, 수숫대

수낏대, 수꿋대
수꿋대기

수염

심지

시멘트

돌가리(돌까리)

식견
(그 애는 식견 들었다)

시건
(가는 시건 들었다)

 ㅇ

 

아궁이

부석

아귀

어구

아망

아구망대이
아구망대기

안짝

안쪽

야마리, 얌통머리

얌퉁머리,얌똥머리

어리광

어릉정

열쇠

쇳대, 싯대

여불때기

올가미(올무)

홀개이, 홀깨이

우스개

우시개

위(위에, 위로)

우(우에. 우로)

이야기

이바구, 이예기. 이애기

이웃

이부재

알맹이

알매이

 

 

 ㅈ, ㅊ

 

짜깁기

짜집기

작대기

짝대기

장대

짱때

정상

만대이
(산만대이, 고개만대이)

 

 

족집게

쪽찝깨

주머니

주머이

주점부리(군것질)

주점머리. 주점버리

쭉정이

쭉디, 쭉디기, 쭉대기

 

 

찌꺼기

찌끄리

찜질

뜸질

천정

천장

칠기

침(침뱉어라)

춤(춤 밭아라)

 

 

 

 

 ㅌ. ㅍ. ㅎ

 

태무심

태머심

 

 

 

 

팽이

팽댕이, 팽대이

포대기

두디, 두디기

풀무

 불매

호롱(호롱불)

호랑(호랑불

호루루기(호각)

호로라기, 호그라기

회오리바람

돌개바람

혹뿔

흉(흉보다)

숭(숭보다)

흉년

숭년

힘(힘쓰인다

심(심신다)

 

 



경상도 사투리(5)

일반용어

표  준  말

사  투  리

 

가끔

간가이(간간이)

가만히

가마이

가에(양가에)

가세(양가세)

가운데

복판

갑자기

각중에. 각제

거꾸로

꺼꿀로

곁에

저테

괜히

백지, 맥지

그리고

그라고

그만

고만

그저깨, 그그저깨
4일전

아래, 저아래
그아래

글피, 그글피

저모래, 그모래

 ㄴ

 

나중에

냉재

 

 

 

단단히(단단하다)

단디

데리고

디리고(딜꼬, 들꼬)

들어가면
 ~하면

드가쁘면
~해쁘면

 

 

 

만큼

만츰

많이

마이

매일

맨날

 

 

모두

마카

모조리

모지리

무었때문에

만대

무었이라고

뭐라꼬

무었할렸고
무었할려고 하느냐?

말라꼬. 만다꼬
말라꼬 하노(부정적 의미)

뭐냐

뭐꼬

드문 드문

뜨문 뜨문

ㅂ, ㅅ

 

빨리

새기, 퍼뜩, 얼른, 날래

벌써

하매

별로

빌로

수시로

삣삣내로

 

 

표  준  말

사  투  리

 

아까(조금전)과 같이

아까 맨치로

아니요

언지예, 어데예

아무리 그렇게 해도

암만 그캐도

아주(아주 많다)

억시기(억시기 많다)

어서

어떡

어째(어찌하여)
어째서

우예
우예서

어찌할래
어찌하나, 어떻게하나
어떻게 하지요

우짤래, 어짤래, 우야노
우야꼬, 우짜꼬, 우짜노
우야지예

엄청나게

엄심이

여불때기

왜 그렇게 하나
왜 이렇게 하나

와 그카노
와 이카노
와 카노

워낙

원캉

이따위(그따위)

이따구(그따구)

이쪽으로, 이리로

일로

 ㅈ,  ㅊ, ㅍ, ㅎ

 

자세히

자시

장난질

곡개이 짓

재빠르게

재바르게

저무드록
(해가)저무드록 일한다

점드록
점드록 일한다

저쪽

저짜

저쪽으로, 저리로

절로

조금

째매이, 쪼깨이, 쪼매이
섯나(서낫개이)

조금만하게

째매나케, 쪼매하게

조금후

이따, 째매이 이따

좀(좀 좋으냐)

쫌(쫌 ***)

처음에

지대

팽하게
(팽하게 갔다 올께)

패나케
(패나케 갔다 올께)

함께, 같이

한태

함부로

벌로

해코지

해꼬지

후텁지근(하다)

후덥지근(하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함경도사투리

가새비 : 장인

가세 : 가위

가자미식혜 : 소금에 절인 가자미로 만드는 발효 음식

간나 : 가시나. 여자 아이

갓주지 : 갓을 쓴 젊은 주지. 아이들에게 무서운 대상의 상징

개당이 없다 : 깔끔하지 못하다

갯돌 : 배를 육지로 올리거나 바다로 내릴 때 끌고 갈 방향 앞쪽에 받치는 나무토막

건치 : 멍석. 거적

구름깔개 : 참나무를 엷게 밀어서 결은 자리

귀성스럽다 : 귀인(貴人)성스럽다

그기 : 그것이

글거리 : 그루터기. 풀이나 나무 또는 곡식 따위를 베고 남은 밑동

글거리 : 줄거리. 줄기. 그루터기

까막조개 : 바지락

깡태밭 : 갯벌

껍지 : 껍질

꼬마. 꾸마. 구마 : -입니다. -습니다. -어요. 명, 형, 동사의 뒤에 붙어 존칭으로 대답하는 데 쓰는 토



나무리다 : 나무라다

날래 : 빨리

낭 : 낭떠러지

낭그 : 나무

내내로 : 늘. 항상

녹마 : 녹말

녹마국수 : 녹말국수

누데기 : 포대기

누베 : 누에

눈포래 : 눈보라

늠 : 놈



다쪼매 : 대님

돌대구리 : 돌대가리.

두렝이 : 두루마기

두루. 두뤄 : 들. 들판

두주리 : 둥우리

둔대 : 큰배를 움직이게 할 때 일종의 지렛대로 쓰는 나무토막

둥글소 : 황소

뒤울안 : 뒤란

뒤잽이줄 : 배를 선창에 묶어두는 밧줄

들뿌리 : 팬티

따발 : 똬리



로덕 : 부인

르. 루 : -를 (목적격)



말띠 : 허리띠

맥히다 : 막히다

맨들다 : 만들다

멀기 : 파도

메늘아. 아가 : 며느리를 부르는 호칭 (함북)

메늘이 : 며느리 (함북)

메에진다 : 찢어진다

명태식혜 : 소금에 절인 명태로 만드는 발효 음식

무시기 : 무슨. 그것 등. 전라도의 '거시기'와 유사함



바수개 : 혼수품

바탕 : 부엌

반지그릇 : 바느질 그릇

발귀 : 발구. 걸채. 마소가 끄는 운반용 썰매

발써 : 벌써

발자옥 : 발자국

버들방천 : 작은 하천

버레 : 벌레

52페이지

 

제주도지역의방언

 

조사방법-인터넷검색

 

 

조사한내용

호칭>>

남자-소나리

여자-지집아이

할아버지-하르방

할머니-할망

아버지-아방

친척-괸당

홀아비-홀아방

 

동물>>

송아지-송애기

주-중이

고양이-고냉이

새-생이

개구리-골개비

벌레-배랭이

 

인사말>>

어디서오셨습니까?

-어데서옵데강?

수고하세요

-수고헙서에

쉬여가세요!

-쉬영갑서

안녕하세요?

-혼자옵서

어디로 모실까요"?

-어디가고마시?

5학년2학기말듣쓰51쪽

5학년 2학기 말듣쓰 51쪽 5번좀,.. 내공 완전많이드림당~ 내가부탁하잖아 이것들아!!!정보 압수^^ 조사하고싶은방언:제주도 지역의 방언 조사기간:2009년0월00일 ~ 2009년 0월 0일...

5학년 2학기 말듣쓰 51쪽

5학년 2학기 말듣쓰 51쪽 오늘까지 해야 되요~ㅠ_ㅠ 그리고 제주도로 해주세욧!!급해요!!3시간 안에 해 주세요~!!!!! 제가 쓸 주제예요. 답변하실 분들은 참고하세요. 모둠별로...

5학년 2학기 말듣쓰 51쪽

안녕하세요 5학년 소녀입니다. 선생님께서 말듣쓰 51쪽을 숙제로 내 주셨는데 저희 모둠은 강원도지역의 방언을 조사해 오라는데 제가 강원도에 대해서는 잘 몰라서요 최대한...

5학년2학기 말듣쓰51쪽 경상도방언

5학년말듣쓰 51쪽에 방언조사여....경상도 방언을 하기로했음 그런데 말끝에자주 붙는말이나 자주 나타나는말을 좀 알아볼려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없어여ㅠㅠ 근데지금...

5학년2학기 말듣쓰 51쪽

제가 말듣쓰책을 놓고와서 그런데요. 51쪽좀 가르쳐주세요.. ㅠㅠ 경상도 사투리(1) 호칭 및 인칭 표준말 사투리 표준말 사투리 할아버지 할부지, 할배 할머니 할무이, 할마시...

5학년 2학기 말듣쓰 51쪽5번!!(내공20)

... 제발좀 알려주세욤!!9시40분 전까지는 해야되염>< 5학년2학기 말듣쓰 51쪽5번!!!! 책을놓고와같궁,...ㅠㅠ 죄숑,...ㅠㅠ 꼿 알려주세욤!!! 안녕하세요 저랑똑같은나이네욤>3...

5학년2학기말듣쓰51쪽제주도방언

5학년 2학기 말하기 듣기 쓰기 책 51쪽 제주도방언을 조사하거든요. 저는 <문장끝에자주나타나는말>인데요 답변부탁요~ <1> 제주도방언으로!(꼭) <2> 문장끝에 자주나타나는 말...

5학년2학기 말듣쓰 51쪽부터59쪽까지...

말듣쓰 좀 알려주세요 오늘 ㄱ까지여~~ 51쪽부터 해드릴게요.. 조사하고 싶은 방언 : (충청도)지역의 방언 조사기간 : 0월 0일~0월 0일 조사 방법 : 할아버지, 할머니 들께서...

5학년2학기말듣쓰51쪽 (강원도 지역의...

말듣쓰 51쪽 방언에요 1.방언에 사용되는 끝부분 말 2.방언을 표준어로 바꾼말 3.감탄사 제발 빨리 도와주세요, 강원도 사투리는말끝에대부분 ~드래요를 붙이지만 사실~뭐래요...

5학년2학기말듣쓰51쪽

저는 00초등학교에 다니는 5학년인데요.. 51쪽에 제주도 방언을 조사하기로 했는데 과일과 채소를 조사해야 되용.. 도와주세욤.. 최대 12개 각각 올려주시길 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