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뜻좀 적어주세요

한문 뜻좀 적어주세요

작성일 2006.06.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뜻좀 적어주세요

ㅠㅠ;

빠르게 부탁드림

1. 論功行賞(논공행상)
2. 多多益善(다다익선)
3. 單刀直入(단도직입)
4. 簞食瓢飮(단사표음)
5. 大器晩成(대기만성)
6. 大同小異(대동소이)
7. 桃園結義(도원결의)
8. 獨不將軍(독불장군)
9. 三昧境(삼매경)
10. 同價紅裳(동가홍상)
11. 東奔西走(동분서주)
12. 同床異夢(동상이몽)
13. 同病相憐(동병상련)
14. 杜門不出(두문불출)
15. 忙中閑(망중한)
16. 萬頃蒼波(만경창파)
17. 滿身瘡痍(만신창이)
18. 茫然自失(망연자실)
19. 毛遂自薦(모수자천)
20. 矛盾(모순)
21. 目不忍見(목불인견)
22. 武陵桃源(무릉도원)
23. 門外漢(문외한)
24. 未曾有(미증유)
25. 門前成市(문전성시)
26. 拍掌大笑(박장대소)
27. 薄利多賣(박리다매)
28. 半信半疑(반신반의)
29. 拔本塞源(발본색원)
30. 背水之陣(배수지진)
31. 百年佳約(백년가약)
32. 百年河淸(백년하청)
33. 百年偕老(백년해로)
34. 白衣從軍(백의종군)
35. 白眼視(백안시)
36. 夫唱婦隨(부창부수)
37. 附和雷同(부화뇌동)
38. 非夢似夢(비몽사몽)
39. 仁義禮智(인의예지)
40. 四面楚歌(사면초가)


 

객관식 : 읽고 무슨 뜻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함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難兄難弟(난형난제)
莫上莫下(막상막하)
晩時之歎(만시지탄)
無用之物(무용지물)
封庫罷職(봉고파직)
焚書坑儒(분서갱유)
砂上樓閣(사상누각)

주관식 : 읽고 쓰고 해석까지 알아야 함
狼狽(낭패)
簞食瓢飮(단사표음)
忙中閑(망중한)
矛盾(모순)
門外漢(문외한)
彌縫策(미봉책)
白眼視(백안시)
鼻祖(비조)
四端(사단) 38쪽
三昧境(삼매경)
仁義禮智(인의예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論功行賞(논공행상) – 공로를 조사하여 상을 줌


2.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을수록 좋다.


3.

單刀直入(단도직입) – 앞뒤의 사설은 빼고 요점만 말함


4.

簞食瓢飮(단사표음) – 한 소쿠리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말로 매우 소박한 생활

 

5.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

 

6. 大同小異(대동소이) – 크게보면 서로 같지만 작게보면 서로 다르다는 뜻


7.
桃園結義(도원결의) – 복숭아 밭에서 결의를 맺는다는 말로 뜻이 맞는 사람끼리 행동을

                       같이 할것을 약속하는 것


8.

獨不將軍(독불장군) – 남의 의견을 듣지도 않고 자기 멋대로 모든일을 처리하는 사람


9.

三昧境(삼매경) – 오직 한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하는 경지


10.

同價紅裳(동가홍상)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조건(條件)이라면 좀 더 낫고  편리(便利)한 것을 택함

 

11. 東奔西走(동분서주) – 사방으로 이리저리 바쁘게 돌아다님


12.

同床異夢(동상이몽) –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다른생각을 하는 것


13.

同病相憐(동병상련) –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불쌍히 여겨 동정하고 서로 도움


14.

杜門不出(두문불출) -
문을 닫고 나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집에만 틀어박혀 사회(社會)

일이나 관직(官職)에 나아가지 않음을 이르는 말

 

15. 忙中閑(망중한) – 바쁜 와중에도 한가로운 때


16.

萬頃蒼波(만경창파) -
만 이랑의 푸른 물결이라는 뜻으로, 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


17.

滿身瘡痍(만신창이) - 온몸이 성한 데 없는 상처투성이라는 뜻으로, 아주 형편없이 엉망임을 이르는 말

 

18. 茫然自失(망연자실) – 제정신을 잃고 어리둥절한 모양


19.

毛遂自薦(모수자천) – 자기 자신이 자신을 추천함을 말함


20.

矛盾(모순) – 창과 방패란 뜻으로 말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을 뜻함


21.

目不忍見(목불인견) – 차마 눈으로 볼수 없을만큼 불쌍하고 참혹한 상황


22.

武陵桃源(무릉도원) – 이 세상을 떠난 별천지를 이르는 말


23.

門外漢(문외한) – 어떤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24.

未曾有(미증유) – 지금까지 아직 한번도 있어 본적이 없음


25.

門前成市(문전성시) -
대문 앞이 저자를 이룬다는 뜻으로, 세도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저자를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


26.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27.

薄利多賣(박리다매) – 이익을 적게보고 많이 팔아 이문을 올림


28.

半信半疑(반신반의) – 반은 믿고 반은 의심


29.
拔本塞源(발본색원)- 근본을 빼고 원천을 막아버린다는 뜻으로 사물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서 그 뿌리째 뽑아버린다는 말


30.

背水之陣(배수지진) – 물러설 곳이 없으니 목숨을 걸고 싸울수밖에 없는 지경을 가르키는 말


31.

百年佳約(백년가약)- 백년을 두고 하는 아름다운 언약


32.

百年河淸(백년하청) – 오랫동안 기다려도 바라는 일이 이루어 지지 않음을 뜻하는말


33.

百年偕老(백년해로) – 부부가 서로 사이좋고 화락하게 늙는 것을 뜻함


34.

白衣從軍(백의종군) -
벼슬이 없는 사람으로 군대를 따라 싸움터에 나감을 이르는 말

 

35. 白眼視(백안시) –업신여기거나 냉대하여 흘겨봄


36.

夫唱婦隨(부창부수) -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따른다는 뜻으로, 가정에서의 부부 화

합의 도리를 이르는 말

37. 附和雷同(부화뇌동) -

38. 非夢似夢(비몽사몽) – 꿈인지 생시인지 어럼풋한 상태

39. 仁義禮智(인의예지) -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마음가짐

40. 四面楚歌(사면초가) – 적에게 둘러싸인 상태나 누구의 도움도 받을수 없는 고립

상태에 빠짐을 이르는 말

 

 

 

 

 

 

객관식 : 읽고 무슨 뜻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함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
오십보 도망(逃亡)한 자가 백보 도망(逃亡)한 자를 비웃는다라는 뜻으로, 조금 낫고 못한 차이(差異)는 있지만 본질(本質)은 같은 것

難兄難弟(난형난제)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①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사물(事物)의 우열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莫上莫下(막상막하) - 어느 것이 위고 아래인지 분간(分揀)할 수 없음

晩時之歎(만시지탄) - 때늦은 한탄(恨歎)이라는 뜻으로, 시기(時期)가 늦어 기회(機會)를 놓친 것이 원통(寃痛)해서 탄식(歎息)함을 이르는 말

無用之物(무용지물) - 아무 소용(所用)이 없는 물건(物件)이나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사람

封庫罷職(봉고파직) - 부정(不正)을 저지른 관리(官吏)를 파면(罷免)시키고 관고(官庫)를 봉하여 잠그는 일

焚書坑儒(분서갱유) - 책을 불태우고 선비를 생매장(生埋葬)하여 죽인다는 뜻으로, ()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학자(學者)들의 정치(政治) 비평(批評)을 금하기 위하여 경서(經書)를 태우고 학자(學者)들을 구덩이에 생매장(生埋葬)하여 베푼 가혹(苛酷)한 정치(政治)를 이르는 말

砂上樓閣(사상누각) - 모래 위에 세운 다락집이라는 뜻으로, 기초(基礎)가 약하여 무너질 염려(念慮)가 있을 때나 실현(實現)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두고 이르는 말

 

주관식 : 읽고 쓰고 해석까지 알아야 함
狼狽(낭패) -
계획(計劃)하거나 기대(期待)한 일이 실패(失敗)하거나 어긋나 딱하게 됨 또는 그러한 형편(形便)을 이르는 말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좋지 못한 적은 음식(飮食)

忙中閑(망중한)- 위에 있습니다.

矛盾(모순) – 이것도 위에 있구요

門外漢(문외한) – 이것도 있습니다.

彌縫策(미봉책) - 꿰매어 깁는 계책(計策)이란 뜻으로, 결점(缺點)이나 실패(失敗)를 덮어 발각되지 않게 이리 저리 주선하여 감추기만 하는 계책(計策)

白眼視(백안시) – 이것도 있어요

鼻祖(비조) -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 원조(元祖)

 

四端(사단) 38 - ()은 실마리의 뜻으로, 사람의 본성(本性)에서 우러나는 네 가지 마음씨란 뜻 곧, ①()에서 우러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②()에서 우러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③()에서 우러나는 사양지심(辭讓之心) ④()에서 우러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三昧境(삼매경) – 이것도 있구요

仁義禮智(인의예지) – 이것도 있어요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賣羊六豕八 以買五牛 錢不足六百. 매양육시팔 이매오우 전부족육백. 양 6마리와 돼지 8마리를 팔아서 소 5마리를 사면 600전이 모자란다. 問...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方程式 방정식 今有賣牛二羊五 以買十三豕 有餘錢一千, 賣牛三豕三 以買九羊 錢適足 금유매우이양오 이매십삼시 유여전일천, 매우삼시삼...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眼鏡 안경 不能視遠物者 爲近視 此 因目中之水晶體 太凸故也 불능시원물자 위근시 차 인목중지수정체 태철고야 멀리 있는 사물을 잘 볼 수 없는...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한문 음이랑뜻좀적어주세요 眼鏡 안경 不能視遠物者 爲近視 此 因目中之水晶體 太凸故也 불능시원물자 위근시 차 인목중지수정체 태철고야 멀리 있는 사물을 잘 볼 수 없는...

한문 뜻좀 적어주세요

뜻좀 적어주세요 ㅠㅠ; 빠르게 부탁드림 1. 論功行賞... 다르다는 7. 桃園結義(도원결의) – 복숭아 밭에서... (條件)이라면 더 낫고 편리(便利)한 것을 택함 11. 東奔西走...

이름 한문 뜻좀 적어주세요

... 여자 )관계없이 그런데 한문이나 뜻을 찾을려고 하니 제 지식으로는 너무 힘들어서 이렇게 글을씀니다 도와주세욤 ㅜㅜ 世稀(세상세, 드물희) 세상에서 특별한 사람이 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