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에 대해 질문합니다

한글날에 대해 질문합니다

작성일 2003.10.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금 한글날에대해 정보를 찾을려고 하는데.

찾지 못하겠네요. 한글날의 유래밖에 없고..

그래서 한글날의 역사, 한글날의 유래(적기 싫으면 안적어도 되요), 한글의

자랑거리, 세종대왕, 훈민정음등등 한글날에 관한걸 답변으로 가르쳐 주심

좋겠네요. 긴글같은거 복사해서 답변해도 되는데요.

자기 스스로 하라고 답변으로 그렇게 말하면서 태클ㅡㅡ 걸지말구요.

답변해주세요. 이 질문보시면 그냥 넘어가지 말고 답변해주시면 좋겠어요.

오늘까지 해야하거든요^^; 죄송합니다. 아무튼 답변 부탁드려요.


#한글날에 대해서 #한글날에 대해 알아보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글의 우수성★
우리말도 세계언어 될 수 있다

우리 눈으로 세계를 보고 개인과 민족의 주체·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이 시급해졌다. 특히 600만 재외동포 문제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며 바람직한 삶을 가꿔나가기 위해서는 말글(모국어)을 통하는 것이 개중 낫다고 한다. 이민·망명·취업·입양 등 오래 전에 국외에 나가 살아온 동포들은 어떤 모습으로 얼마나 전통문화와 모국어를 지켜쓰거나 멀어져 있는지, 어떤 방식과 틀로 어려움들을 풀어가는지, 서로 배우고 도울 길은 무엇인지 등을 살펴 전달하고자 한다. 편집자

세계속의 한국어 - 1. 한국어의 위상

◇ 무엇이 1위인가

한국어가 세계 언어에서 차지하는 자리는 어느 정도일까 이 물음은 한국인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아울러 우리 자신을 객관화해 살펴보는 데 주요한 잣대가 될 것이다. 나아가 한국어가 제자리를 잡으면, 이를 바탕으로 한민족의 정체성을 높이고, 높은 문화 창조를 통하여 세계인들을 두루 이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한글은 글자의 됨됨이에서 세계 언어의 맨 윗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기본 자음 14자와 모음 10자, 나아가 겹자음과 모음을 합쳐 모두 40자로 구성된 한글은 먼저 말(한국어)이 있고서 이를 바탕으로 인위적으로 만든 글자라는 점에서 세계 언어에서 견줄 문자가 없고, 소리내는 사람의 기관과 하늘·땅·사람을 결합시켜 만든 과학·철학적인 글자라는 점에서 각 나라 언어학자들이 세계 언어를 얘기할 때 칭송하고 반드시 짚고 넘어가는 본보기로 통한다.

아울러 그로써 나타내지 못할 소리가 없어 국어정보학회나 한글문화 세계화 운동본부 등에서는 국제 음성기호를 한글로 답변확정하자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인터넷의 발달과 세계화는 언어를 획일화하는 부정적인 구실을 하고 있는데, 유네스코에서는 지난해 ‘바벨계획’을 제안하여 ‘언어 다양성과 정보 이용의 공평성’을 높이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말은 있되 이를 적을 글자가 없는 소수민족 언어 사용자들에게 그들의 말을 쓰도록 함으로써 소수언어의 사멸을 막는 것도 언어 다양성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할 것이라는 제언도 나오고 있다.유네스코에서는 1989년에 ‘세종대왕상’(킹 세종 프라이스)을 만들어 해마다 인류의 문맹률을 낮추는 데 공적을 끼친 단체나 개인을 뽑아 상을 주고 있기도 하다. 이는 세계 언어에서 한국어가 차지하는 위치가 어디인지를 드러내주는 몇몇 사례들이다.

◇무엇이 12위인가>

한국어를 쓰는 사람 수나 영향력은 얼마나 되는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삼아 쓰는 이의 수는 표준중국어, 에스파냐어, 벵갈어, 영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오어, 자바어 다음으로 프랑스말 앞인 12위에 해당한다. 서울대 조동일 교수 같은 이는 이를 일컬어 ‘다수가 쓰는 언어의 말석, 소수가 쓰는 언어의 선두’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로써 생산하고 있는 지식 정보의 양(인쇄물, 인터넷 보급률)은 이 순위를 앞지른다. 물자 교역량 역시 10위권을 넘나든다.(2001년 한국은 교역량 2915억달러로 13위임. 세계무역기구 통계)우리말글의 경쟁력을 연구하는 이들은 “한글과 한국어는 쓰는 인구와 글자의 과학성, 경제력, 컴퓨터 등의 활용을 바탕으로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영향력 면에서 중국어와 일본어 등 동양언어뿐만 아니라 영어 등 로마자를 바탕으로 쓰는 언어들과 충분한 경쟁관계에 있게 될 것으로 본다.”(유재원 한양대 언어인지학과 교수) 물론, 이를 위한 교육과 연구, 제도화 등에서 민관 두루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인과 국가 두루 거품이 지나친 영어투자 일변도의 의식도 많이 누그려뜨려야 한다는 지적을 곁들인다.

◇ 한국어 쓰임의 실제 모습들

재외동포들과 외국인 쪽으로 눈길을 돌려보자.

재외동포들과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동기는 무엇일까 재외동포들은 한국어가 모국어이니까 당연히 배우고 쓸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 외국인과 다르며, 필요성은 그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동기는 필요성이나 호기심이 먼저다. 이웃을 알고 같이 살아가기 위해서, 취직이나 사업, 학문상 필요하여 배우게 된다. 이런 것을 통틀어 언어의 ‘영향력’이라고 할 것이다.우리나라가 남북 통일이 되고, 나아가 경제대국, 군사대국이 되면 이런 영향력도 더욱 커질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옛소련이나 지금의 미국처럼 세계 패권국으로 가고자 하는 한국인은 많지 않을 것이다. 다만 ‘문화대국’으로 가자는 데 반대할 한국인들은 없을 것이다. 그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이고, 한글과 한국어의 발전은 그런 ‘큰나라’로 가는 데 썩 중요한 몫을 할 것이다. 한글문화 세계화운동 본부 서정수 본부장은 “우리가 요즘 영어 배우는 데 쓰는 돈의 절반만 우리말글과 문화를 갈고닦고 펴는 데 쓰면, 영어를 잘해서 얻는 이득의 몇 배는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힘주어 말한다.

재외동포들 가운데 러시아나 중앙아시아, 중국 쪽에 사는 이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뿌리를 잊지 않기 위해 부족하나마 고려말, 조선어를 지켜왔으며, 이로써 최소한의 정체성을 확인해 온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조국과의 오랜 단절 끝에 3, 4세로 넘어갈수록 정체성의 의미도, 필요성도 멀어지게 되어 제2, 3의 동화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목격되며, 이는 상당 부분 조국인 남북한의 책임으로 돌려야 마땅한 것으로 보인다.좀더 잘산다는 미국 쪽은 다민족 국가로서 다중 언어정책을 쓸 수밖에 없는데, 1994년을 전후하여 동양 3국인 중국, 일본, 한국어를 외국어로 대접하여 대학 입학자격 시험의 하나인 ‘에스에이티2’ 시험과목에 올린다. 물론 그들의 세계경영 필요에 따라 국방언어교육원(DLI) 등 연방 차원에서 한국어 요원을 양성하는 프로그램들도 운영해 왔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60만 재일동포들이 피나는 노력에 더하여 교육부에서 설치한 한국 교육원만도 열네 곳에 이를 정도로 뿌리가 깊고 넓으며, 현재 170여 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외국어로 답변확정하여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한국어강좌나 한국어문학과가 설치된 대학이 200곳 안팎에 이르지만, 남한 쪽에서 재일동포들에 대한 교육·문화 투자가 생각보다 허술하기 짝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난다.이민사가 비교적 오래된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쪽에도 모국어 교육 연한이 이민사와 비슷한테, 이중·삼중언어 사용 현상이 나타난다.오스트레일리아나 동남아시아 쪽도 대학에서 한국어문학과를 설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고, 이로써 중고등학교에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가는 차례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은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학교(IB)가 있다. 이는 세계 곳곳에 세워져 국제학교 교육과정을 밟고 있는 각국 국제고등학교에서 답변확정해 시행하고 있다.

한글의 기원은 가림토 문자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들지 않았다
우리는 흔히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 선포했다고 알고 있다.그러나 이는 잘못 전해진 것으로 한글은 그보다 훨씬 이전인 단군 시대에 만들어진 유서 깊은 글자다. 정확히 말해 단군3세 가륵임금 때인 B.C 2181년에 정음 38자를 만들어 ‘가림토(加臨土)’ 문자라고 명명하여 발표한 것이 그 시초다.놀랍게도 과거 우리민족의 활동무대였던 만주에는 가림토 문자 비석이 우뚝 서 있다. 그 비석을 탁본한 것이 높이 2m, 폭이 32㎝인 것을 보면 비석은 이보다 조금더 클 것이다.세종대왕은 성삼문을 만주 방면으로 열세 번이나 보내어 가림토 문자를 기본으로 하는 우리글을 연구케 하였다. 그리하여 집현전 학자들인 성삼문, 박팽년, 최항, 신숙주 등과 가림토 문자를 실제 쓰기에 편리하도록 다듬어서 서기 1446년 병인 음력 9월 상한(양력 10월 9일)에 훈민정음 28자를 반포하였다.

한글은 음양오행의 원리로 만들어졌다

우리 민족 문화의 뿌리는 음양오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말과 글은 물론이요, 음식, 주거, 의복, 의학, 음악 등 어느 하나 음양오행과 관련되지 않은 분야가 없다.한글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 원리와 음양오행(陰陽五行) 원리를 바탕으로 창제되었다. 한글의 기본 형태는 천(天), 지(地), 인(人), 원(圓), 방(方), 각(角)의 형태로 나누어지는데, 천은 , 지는 ―, 인은 |로 표시하여 모음을 만드는 데에 이용한다. 하늘은 둥글어서 둥근 점이요. 땅은 평평하여 一자이고 천지간에서 있는 것이 사람이라 |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원(○), 방(□), 각(△)은 자음을 만드는 데에 이용한다. 원방각의 구조는 인간을 말한다. 원은 사람의 머리이고 방은 사람의 몸통이다. 각은 손발의 움직임을 상징한다.또한 각은 만물이 싹트는 모양이며, 방은 잎이 넓게 자라는 모양이며, 원은 열매 맺는 모양을 말한다.우주 만물은 오행의 원리에 따라 존재하는데, 우리말의 소리법칙도 이 원리에 맞추어 창제되었다. 따라서 한글은 이 세상의 온갖 소리를 그대로 표현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언어이다. 소리는 입안의 목구멍¹에서 시작되어 어금니², 혀³, 이⁴, 입술5 을 통해 나온다.

한글의 오행체계

한글의 자음은 오행의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본음이 있고 각 기본음에서 파생하여 계열음이 생김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음 ㄷ에서 ㅡ을 떼면 ㄴ이 된다.또한 ㄷ에 ㅡ을 보태면 ㅌ이 되고 ㄷ에 ㄱ을 보태면 ㄹ이 된다. 또 ㄷ에 ㄷ을 합치면 ㄸ이 된다. 한글이 얼마나 지혜롭게 이루어졌는가를 새삼 느낄 수 있다.

외국인도 극찬하는 한글의 우수성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리 지 1994년 6월호 「쓰기 적합함」이란 기사에서, ‘레어드 다이어먼드’라는 학자는 ‘한국에서 쓰는 한글이 독창성이 있고 기호 배합 등 효율 면에서 특히 돋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문자’라고 극찬한 바 있다.(조선일보 94.5.25). 그는 또 ‘한글이 간결하고 우수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고 말한다.또 소설 『대지』를 쓴 미국의 유명한 여류작가 ‘펄벅’은 한글이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글자이며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하였다. 그리고 세종대왕을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극찬하였다(조선일보 96.10.7).그런가 하면 시카고 대학의 메콜리(J. D. McCawley) 교수는 미국사람이지만 우리 나라의 한글날인 10월9일이면 매해 빠짐없이 한국의 음식을 먹으며 지내고 있다고 한다(KBS1, 96.10.9).

몇 년전 프랑스에서 세계언어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학술회의가 있었다. 안타깝게도 한국의 학자들은 참가하지 않았는데, 그 회의에서 한국어를 세계공통어로 쓰면 좋겠다는 토론이 있었다고 한다(KBS1, 96.10.9). 참으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이처럼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 글의 우수성을 정작 우리 자신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이다.1986년 5월, 서울대학 이현복 교수는 영국의 리스대학의 음성언어학과를 방문하였다.그때 리스대학의 제푸리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는 한글이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도 독특하지만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음성학적으로 동일계열의 글자를 파생해내는 방법(‘ㄱ-ㅋ-ㄲ’)은 대단히 체계적이고 훌륭하다고 극찬하였다.

그러면서 한글을 표음문자이지만 새로운 차원의 자질문자(feature system)로 분류하였다. 샘슨교수의 이러한 분류방법은 세계최초의 일이며 한글이 세계 유일의 자질문자로서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마침내 지난 1997년 10월1일, 유네스코에서 우리 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한글은 가장 발달한 음소문자

한글은 소리글자(표음문자) 중에서도 가장 발달한 음소 문자이다. 즉, 글자 하나하나가 낱소리(하나의 소리)를 표기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은 모음이 열자이고 자음이 열넉자이다. 그리고 받침이 27종 있다. 모음과 자음을 합치면 하나의 글자가 되고 여기에 받침을 더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한글은 그 구성 원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배우기가 대단히 쉽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전에 모든 어린이들이 한글을 알고 있다. 또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나라이기도 하다.한글은 글자 그대로 읽을 뿐 아니라, 인쇄체나 필기체 등이 따로 없다. 이에 반해 영어는 인쇄체와 필기체가 서로 다르다. 또한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있고 글자대로 읽지 않는다.

예를 들어 speak(말한다)를 ‘스피-크’라고 발음한다.ea를 ‘이-’로 발음하는 것이다. 그런데 head(머리)는 ‘헤드’라고 발음한다.
같은 ea인데도 ‘에’라고 발음한다. 또 knee(무릎)를 ‘니-’라고 발음하는데, 여기서는 K자가 있는데도 발음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영어는 알지 못 하면 읽을 수조차 없다.국제어로 그 위상을 뽐내고 있는 영어에 비해 우리의 한글이 더 없이 우수한 글임에 틀림없다. 그렇기에 한글의 우수성이 세계에 널리 알려질수록 영어는 국제어의 자리를 한글에 양보해야 할 것이다.

한글은 가장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고 있다

한글 문화권에 사는 우리가 외국어를 배우기는 쉽다. 영어발음을 90%이상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소리의 표현을 우리말은 8800개를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어는 300개, 중국말(한자)은 400여개라고 하니 우리말의 표현력이 무려 20배가 넘는다. 세계언어 중에 단연 독보적인 존재인 것이다.(조선일보, 96.10.7, 재미동포 박춘양의 발표기사)외국인이 말을 할 때 흔히 제스츄어를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언어의 표현력이 부족하여 생기는 습관이다. 우리는 말로써 충분히 표현되기 때문에 제스츄어를 굳이 쓸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제스츄어 쓰는 것이 세련된 문화인 것처럼 인식되어 한 때는 흉내 내려고 했던 사람들도 있었으니 재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혹자는 우리말은 외국어로 번역이 안되는 것이 너무 많아서 나쁘다고 불평을 늘어놓는다. 사실 우리말의 표현 그대로는 세계 어느 나라 언어로도 번역을 못한다.우리말은 표현력도 세계 으뜸이지만 어감(語感), 정감(情感), 음감(音感) 등도 으뜸이다.외국에서 우리말을 번역 못하는 것은 우리말이 뒤떨어져서가 아니다. 외국어가 표현력이 부족하여 우리말을 번역하지 못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 책임이라 할 수 있을까?“가자미 냄비에 물을 잘잘 부어 살근살근 끓이고 졸졸 졸여서 노리끼한 고기를 보시기에 소복하게 담아서 괴괴한 달빛 아래에 사랑하는 님과 둘이서 술 한 잔 곁들이니 살살 목을 넘는 요맛이 달콤하기도 하다.” 너무나 다양하고 아름다운 표현법이다. 이 표현과 어감을 어떻게 외국어로 제대로 번역해 내겠는가?

한자도 우리가 만든 우리의 문자


삼라만상(森羅萬象)에 음양(陰陽)이 있듯이, 우리글에도 음양의 짝이 있다.한글은 양이요, 한자는 음이다.한자의 시조로 불리는 창힐은 배달국시대 제14세 치우천황의 후손으로 동이사람이다. 초기의 문자로서 실증된 최초의 자료는 갑골문(甲骨文)이다. 거북이 배뼈와 소 어깨뼈에 주로 새겨진 갑골문자는 3천4백년전 중국 은(殷)나라 때 사용된 것으로, 황하 이북 은나라 도읍지였던 지금의 안양(安養)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명지대 진태하(陳泰夏) 교수(국문학, 한국 국어교육학회 회장)는 대만에서 문자학을 연구하면서 갑골문에서 북방민족이 아니면 도저히 만들어낼 수 없는 특징을 발견하고 지금까지 연구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그는 결론적으로 ‘漢字’라는 명칭은 옳지 않으며, 고대 한민족의 글이라는 ‘고한글(古韓契)’ 혹은 ‘동방문자(東方文字)’ 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진교수는 또 ‘한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표의문자도 만들었고, 가장 과학적인 표음문자도 만들었다. 세계에서 유일 무이한 이 일은 한민족의 큰 자랑이다’라고 강조한다.이것이 입증되는 날,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는 한글 전용론자들과 한자와 한글을 혼용해야 한다는 논쟁 자체가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 한글은 한글로서의 장점이 있고, 한자는 한자로서의 장점이 있다. 이 둘을 합하여 쓸 때 가장 합리적이고 완벽한 언어가 된다. 다시 말해 한자와 한글의 혼용은 음양의 합덕인 것이다.

자랑스런 우리 글의 이름, 한글

왜 한글이라고 할까?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한’이란 자를 애용해 왔다.현재 우리 나라의 국호가 한국(韓國)이라는 점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한의 뜻은 왕, 수장, 우두머리, 하나, 크다, 바르다, 많다, 밝다, 훌륭하다, 하느님 등 여러 가지 좋은 뜻이 담겨있다.한글은 세종대왕이 28자를 반포할 당시 훈민정음이라 불리어졌다.그런데 한편에서는 언문(諺文), 언서(諺書)라고도 했으며, 그 후에는 반절, 암클, 아랫글, 가갸글, 국서, 국문, 조선글 등의 이름으로 불리면서 근대에까지 이르렀다.그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불리던 명칭은 ‘언문(상말을 적는 상스러운 글자)’이었다.그러나 개화기에 접어들어, 언문이라는 이름은 사대주의에서 나온 이름이라 하여, 주시경 선생께서 비로소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고쳐 부르기 시작했다.

이 명칭이 일반화한 것은, 조선어학회에서 훈민정음 반포 8주갑이 되던 병인년 음력 9월 29일을 반포 기념일로 정하여 처음에는 ‘가갸날’이라고 부르다가 1928년에 ‘한글날’이라고 고쳐 부르게 되면서 부터이다.‘한글’이라는 명칭의 뜻은 ‘한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첫째 가는 글’등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한글’은 한나라, 한겨레와 함께 영원히 뻗어나갈 글이요, 큰 글이니, 남녀노소 모두 한가지로 넓고 크게 써야할 글이며, 세상에서 첫째 가는 글이라는 뜻이다.

★세종대왕과 한글날☆
세종 임금은 서기 1397년 5월 15일 (태조 6년 음력 4월 10일) 한성부 준수방 (지금의 서울 통인동 137번지 일대로 여겨짐: 경복궁 서쪽 영추문 맞은편)에서 조선 3대 임금인 태종(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휘(이름)는 도, 자는 원정이다. 세종 임금은 1418년 8월 10일(음력) 아버지 태종의 내선을 받아 조선 제 4대 임금에 올랐다. 천성이 어질고 부지런하였으며 학문을 좋아하고 취미와 재능이 여러 방면에 통하지 않음이 없었다. 정사를 펼침에 있어 국민을 사랑하고, 국민의 어려운 생활에 깊은 관심을 가져, 국민을 근본으로 한 왕도 정치를 베풀었다.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많은 인재를 길렀다. 특히 우리 겨레 문화를 높이는 데 기본이 된, 찬란한 문화 유산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세종대왕약력
1397년(태조 6년) 4월10일 이방원(후일 태종)의 셋째 아들로 출생
1400년 11월 태종 즉위
1418년(태종 18년, 22세) 6월 세자로 책봉, 8월10일 즉위
1419년(세종 1년, 23세) 6월 이종무 대마도 정벌
1420년(2년, 24세) 3월 집현전 확장, 영전사 대제학 직제학 직제설치
1421년(3년, 25세) 3월 금속활자 경자자 완성, 인쇄법 개량 10월 맏아들 향(후일 문종) 세자로 책봉
1424년(6년, 28세) 4월 불교종파를 선. 교 악종 36개 사찰로 통합
1427년(9년, 31세) 2월 박 연 편경제작
1430년(12년, 34세) 2월 농법 소개서 농사직설 반포
1432년(14년, 36세) 7월 함길도(지금의 함경도)에 경성도호부 설치
1433년(15년, 37세) 4월 최윤덕 압록강 이북 여진족 토벌
1440년(22년, 44세) 11월 함길도에 온성군 설치
1441년(23년, 45세) 8월 측우기 제작
1442년(24년, 46세) 3월 압록강, 두만강 일대에 성. 보 축조
1443년(25년, 47세) 12월 훈민정음 창제
1445년(27년, 49세) 10월 세계최대 한의학 백과사전 의방유취 편찬
1450년(32년, 54세) 2월 17일(양력 4월8일) 54세를 일기로 별세

* 창제의 동기와 목적
`훈민정음'이란 위대한 문화적 창조의 동기와 목적에 관하여는 `훈민정음' 가운데에서 세종대왕이 몸소 말씀하였다.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이 말씀이 지극히 간단하나 자세히 살펴보면,그 속에 우리가 알고자 하는 바가 다 들어 있음을 알겠다. 곧,

① 우리 나라에는 독특한 배달말이 있으니, 이 말을 적어 내기에 알맞은 글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당시 조선에 알려진 모든 다른 나라가 각각 제 나라 말에 알맞은 글자가 있는데, 우리 나라만은 글자가 없어, 남의 나라의 글자, 한문을 빌려 쓰니, 이는 안타까운 일이다

② 남의 글자 한문은 우리말과 서로 통하지 않는 글자일 뿐더러, 본디 어렵기 짝없는 글자이기 때문에, 우리 배달 겨레에게는 이중으로 어려워, 백성들이 다 배워 낼 수가
③ 일반 서민이 글자를 깨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제가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뜻을 펴지 못한다 함이다. 곧 아랫사람의 뜻이 위에 사무치지 못하기 때문에, 백성이 억울한 일이 많아 정치가 명랑하지 못하니, 어진 정치의 이상에 위반함이라고 생각함이다. 정인지의 꼬리글에서도 이를

治獄者病其曲折之難通, ……以是聽訟, 可以得其情

이라고 하였다.

④ 이 새 글은 상하 귀천을 막론하고 누구든지 쉽게 익혀서 일상 생활에 편리하게 쓰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라 하였다. 곧 민중 문화의 보급과 생활의 향상을 꾀함에 그 목적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위에 든 이유 밖에, 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인을 들 수 있지 아니할까 생각된다

① 고려 오백 년간에 끊임없이 다른 겨레들로 더불어 겨루는 살림을 하여 오다가, 끝장에는 몽골에게 큰 곤욕을 당하기까지 하였으니, 겨레 의식이 눈뜨게 되었음은 당연한 일이며,

② 원 나라, 명 나라의 갈음에 즈음하여, 왕조를 세운 조선 왕실에서는 저절로 자아 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며,

③ 세종대왕이 동북으로 `육진'을 개척하고, 서북으로 `사군'을 차려 놓고, 남쪽 백성들을 옮겨 심었으니, 자아 충실의 필요감이 강렬하게 되었으며,

④ 세종대왕이 전제, 세제를 개혁하여, 백성과 나라의 부강을 꾀하였으니, 경제적 및 사회적 발전에는 백성들의 지식의 보급이 앞서는 조건이 됨을 실감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원인에서, 만인을 뛰어넘는 밝은 지혜와 통찰력을 가진 세종대왕 은 제 겨레 특유의 말씨에 알맞고, 만백성이 깨치기 쉬운 민중의 글자를 만들어 내게 되었다할 만하다.

*창제 결과
실록에는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및 반포에 관한 극히 간단한 기사 만이 있을 뿐이다. 이렇듯 완미한 과학적 짜임을 가진 글자가 하루 아침에 되었을 리가 만무하니, 필연코 오랜 동안을 두고 고심 연구한 결과로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고심 연구의 경과에 관한 기록이 없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다만, 이 문화적 대발명을 반대한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의 상소문 가운데에,

且今 情州椒水之幸 特慮年斂 扈從諸事 務從簡約 比之前日
十減八九 至於啓達公務 亦委政府 若夫諺文
非國家緩急不得已及期之事 何獨於行在而汲汲爲之
以煩聖躬調攝之時乎

라 한 것은, 위대한 창작에 지성을 다하신 성덕의 한 끝을 보여 주는 재료가 된다. 곧 세종이 한글의 창제에 밤낮으로 애썼기 때문에 안질이 나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청주 초정에 거동하실새, 특히 연사가 나쁜 것을 염려하사, 시종이며 모든 절차를 열에 아홉은 덜고, 정무까지도 다 정부에 맏겨 버리게 되었는데, `훈민정음'의 연구 발명의 일만은 요양을 위주하는 행재소에까지 가지고 가서, 쉬지 않고 그 연구에 골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한 지성을 다하신 공으로 말미암아, `훈민정음'이 25년 계해 겨울에 다 되었으니, 오늘날 우리로서 상상하게 한다면, 그 때의 조야 민심은 이를 크게 반기고 기뻐하여, 세종대왕의 성덕의 가이없음을 우러러 기리어 마지아니하였을 것 같지마는, 사실은 이와 반대로, 곧 반대의 의논이 크게 일어났으니, 그 반포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의 파란 곡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 창제는 언제?
세종실록'에 의하면, 그 창제는 세종 25년 계해 12월이요, 그 반포는 그보다 3년 뒤인 28년 병인 9월이다. 곧 `세종실록'(권 102) 25년 계해 12월 졸가리에,
是月上親制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篆 分爲初中終聲
合之然後 乃成字 凡千文字及本國俚語 皆可得而書
雖簡要 轉換無窮 是訓民正音

이라고 하고, 또 정인지의 꼬리글 가운데에,

癸亥冬 我殿下創制二十八字

라 하였으니, 그 창제의 때를 알겠으며, 같은 책(권 113) 28년 병인 9월 졸가리에,

是月訓民正音成 御製曰 國之語音異乎中國……

라 하여, `훈민정음' 전문을 적어 놓았으니, 이로써 그 완성하고 반포한 때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의 때를 적되 날짜는 밝히지 아니하였음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그 창제의 날은 꼭 적기 어렵다 하더라도, 그 반포의 날은 분명한 것 이었을 터인데, 이를 밝혀 적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오백 년 뒤 우리들로 하여금 쓸데없는 모색과 시비를 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고한 바에 따르면 그 해의 9월이 작은 달이었으므로, 위에 적은 `훈민정음' 반포의 기사는 음 9월 29일로 미루어 볼 수 있다. 그래서 조선어 연구회(1908년 창립, 1931년에 조선어 학회로, 1949년에 다시 한글 학회로 개칭함)에서는 음 9월 29일(양력 10월 29일)로써, `훈민정음' 반포 기념일, 곧 한글날(처음에는 `가갸날')로 정하고 이를 해마다 기념하게 되었으니, 이는 한글 반포 제8주갑인 병인년(1926)에 비롯된 일이다. 그러다가 1940년에 발견된 진정한 `훈민정음' 원본의 꼬리글 끝에

"正統十一年九月上浣, 資憲大夫禮曹判書集賢殿大堤學知春秋館事,
世子右賓客臣鄭麟趾, 拜手稽首謹書"

란 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정통 11년은 세종 28년 병인에 해당하고, `상한'은 곧 `상순'인즉, 늦어도 10일에는 반포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9월 10일로써 그 반포일이라 할 만하다. 그래서, 이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니, 1940년에 조선어 학회(한글 학회) 에서는 10월 9일로써 한글날로 개정하였다.
재미있는 사실.

"한글"이란 이름은 누가 지어준 것인가
우리 겨레가 사용하는 글자의 이름을 말하며, 겨레의 가장 빛나는 문화유산이다. 세종(조선 제 4대 임금)이 1443년(세종 25년)에 창제하여 1446년(세종 28년)에 "훈민정음"이란 이름으로 반포한 글이다. 훈민정음은 발음기관과 삼재(하늘, 땅, 사람)를 본떠서 만든 독창적인 글자이다. 처음에는 28 글자였으나 현재는 "ㆍㆆㅿㆁ" 등 4 글자는 쓰지 않고 24 글자만 쓴다. 한글은 낱소리 글자이면서 음절 글자의 특징도 아울러 지닌 세계에서 으뜸가는 과학적인 글자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이 지구에는 여러 종류의 글자가 쓰이고 있지만, 이러한 여러 글자 가운데 훈민정음과 같이 만든 목적과 만든 사람이 분명한 글자는 흔치 않다. "한글"이란 이름은 주시경 선생이 1913년에 만든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한글 사랑(기타)★
1.한글의 뜻과 유래

한글은 1443년에 우리 제4대 임금이신 세종대왕님이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말을 대표하는 훈민정음을 1446년에 반포 하셨습니다.

▶한글모습의 변천

‘훈민정음’,‘정음’, 상놈의 글이라 하여 천대하던 ‘언문’, 아녀자들의 글이라는 뜻의 ‘암클’등으로도 불리웠다.

▶한글의 의미

‘한’은‘하나의’‘큰’‘바른’이라는 뜻이며, 순수한 의미는 ‘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큰 글자요, '바른글자’라는 뜻이다.

2.한글의수난

▶훈민정음 반포 당시: 한학자들의 반대(언문, 암클 등으로도 불림)
▶일본 식민지 시절 : 한글말살정책(우리말과 글을 사용하지 못하게 함.)
▶오늘날 : 각종 외국어, 외래어의 남발, 컴퓨터 통신 언어로 인한 오염

3.한글의 우수성, 독창성, 과학성

▶글자를 가진 민족은 겨우 50여 개 정도
▶과학적이고, 독창적 (닿소리와 흩소리로 무슨 말이든지 구성)

4.언어의 중요성

▶사람과 사람의 고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 의사소통
▶사회를 보존하고 발전
▶문명의 혜택과 과학의 발전
▶인류를 발전시키고 윤택하게 하는 원동력

한글날에 대해 질문합니다

지금 한글날에대해 정보를 찾을려고 하는데. 찾지 못하겠네요. 한글날의 유래밖에... 이 질문보시면 그냥 넘어가지 말고 답변해주시면 좋겠어요. 오늘까지 해야하거든요...

이번 한글날에 대해 질문합니다

...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이번 한글날이 공휴일이 재지정 되어 휴일이 됐다고 뉴스보도 된것을 보았습니다. 헌데 저희 회사에서는 한글날이 관공서만 쉬는날이라며...

한글날에 대해 마랳주세요 ㅠㅅㅠ 10분...

한글날에 대해좀 말해주세요 ㅠ ㅅ ㅠ 10 안까지요 !!!!!!!! ◈ 올해의 한글날... 1450(세종32) 성삼문, 신숙주, 손수산 들이 명나라 사신에게 운서에 대해 질문함. 음력 2월...

한글날에 대해 (심각합니다. 장난아님)

제가 오늘 한글날에 대해 봣습니다. 13살이구요,,, 질문 석가탄신일이나 크리스마스는 공휴일이 되어야 하고 한글날은 왜 찬밥신세여야 하는것 정말 의문입니다 . 우리는 한글을...

한글날 글쓰기

... 한글과 한글날에 대해서 간단하게(너무 간단하게는 말구)요약해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모든 질문에 답변을 달아 주신다면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꼭...

한글날에대해 (질문)

1. 세종대왕님은 한글을 ( ) 년 (세종25년) 에 ( ) 학자들과 함께 처음으로 만들고 , 몇년간 보충 연구 기간을 거쳐 ( ) 년 (세종28년)에 반포하였습니다 2. 한글이 처음...

한글날 글쓰기

... 학교에서 이번에 한글날 이라는 주제로 글쓰기를 해야하는데 뭘 쓰면 좋을지 감이 안잡혀서 질문합니다..ㅜㅠ... 하지만, 다시 생각해서 주제에 대해 곰곰히 생각하고, 그...

한글날에 대하여 백일장을 하는데요...

... 질문 3. 기타 한글날에 대해... *참고* 제 IQ 96 밖에 안됩니다. 5학년이구요. 제 수준에 맞게 해 주세요.오늘 외워 나가야 해요. 부탁입니다 도와주세요^^ 세종대왕의...

한글날 ...

... 혹시 몰라서 이런 질문 갑니다 (악플 다실 꺼면 보지를 마세요. 림들도 보려고... 잘 생각은 안나지만,,, 한글날에 대해선가?? 무슨 주장하는 글을 쓰라나?? 뭐 욕은 하면...

한글날에 대해

... 잘 못찾겠어가지고 질문합니다. 한글날에 대해 그림자료나 글자료를 올려주시면 제일 생각하기에 좋다. 그런 자료를 올려주신분께 채택갑니다 참고 하세요.... 올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