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대한 사자성어 25가지 정도

교육에 대한 사자성어 25가지 정도

작성일 2010.08.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초등학교 6학년되는 여자아이 입니다.

제가 요즘 학습지로 한자를 배우고 있는데(사자성어 포함)갑자기 우리의 교육에 관련된 사자성어가 궁금한거 있죠???

가능하면 빨리  사자성어 25개 정도만 가르켜주세요~~~

부탁드립니다!!!

 

 


#교육에 대한 명언 #교육에 대한 생각 #교육에 대한 관점 #교육에 대한 시 #교육에 대한 정의 #교육에 대한 책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에 대한 권리 #교육에 대한 관심 #교육에 대한 관심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당구삼년폐풍월(當狗三年吠風月) : 서당개 삼 년에 풍월한다는 말로,

①무식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과 같이 오래 지내면 자연히 견문이 생긴다는 말.
②무슨 일을 하는 것을 오래오래 보고 듣고 하면 자연히 할 줄 알게 된다는 말.

 

대기만성(大器晩成) : 큰 인물로서 대성하는 사람을 보면 젊었을 때는 알 수 없지만, 마지막에 가서 성공을 거머 쥐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재에 불우한 여건에 빠져있는 사람을 고무하고 격려할 때 곧잘 사용하는 말이다.

 

만단개유(萬端改諭) : 만 가지로 깨닫게 가르침.

 

무지몽매(無知蒙昧) : 지식이 없고 일체 만물에 대한 도리가 어두운 것에의 비유. 몽매는 뜨지 않고 어두운 상태. 무지문맹. 몽은 도리에 어두운 것. 몽한 상태를 계도하는 것이 계몽
[유사어] 暗遇魯鈍(암우노둔)

 

박학상설(博學詳說) : 博學은 '여러가지를 배워 많이[博] 안다'로 博識과 같다. 詳說은 '자세히 설명하다[說]'이니, 博學詳說은 '널리 배우고, 상세하게 해설한다'는 말이다.
《盟子》의 '博學而詳說之 將以反說約也'(여러 학문을 배우고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장차 반대로 간단 명료함을 설명키 위해서다)에서 나온 成語다.
'……詳說之'의 '之'는 詳說의 목적어로 앞의 博學을 나타낸다. '反'은 (앞에 서술한 내용에 대해) '오히려' '도리어' '반대로'라는 뜻으로 쓰이며, 說約은 '요점을 추려 간략히 하다'는 의미다.
배우고 연구하는 것은 博學을 자랑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진리를 얻어 생활에 활용키 위해서다. 인류문명은 간단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갔다가, 다시 복잡한 것에서 간단한 것으로 되돌아 간다. 그러니까 博學은 說約의 과정인 셈이다.


삼천지교(三遷之敎) :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 거처를 옮겼다는 고사로, 생활환경이 교육에 있어 큰 구실을 함을 말함. 전국시대, 유학자(儒學者)의 중심 인물로서 성인(聖人) 공자에 버금가는 아성(亞聖) 맹자는 공자처럼 생이지지(生而知之)했다고 추앙되지도 않았고, 태어나자마자 걸음을 걸으며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存)이라고 했다는 신화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스승이 유명한 분도 아니어서 증자(曾子)의 문인(門人)에게서 사숙(私淑)했다는 것을 보면, 기초는 스승에게서 배웠으나 그의 독특한 이론인 성선설(性善說), 사단설(四端說), 호연지기설(浩然之氣說)은 다 그의 독학에서 얻은 독창적인 것이다.
맹자는 독학자였기에 노력과 의지 못지 않게 교육 환경이 중요했고, 이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그의 어머니는 가난한 형편임에도 불구하고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 번씩이나 이사를 한 것이다.

 

선행후교(先行後敎) : 선인(先人)의 행위를 들어 후학을 가르침.

 

소년이로 학난성(少年易老 學難成) :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말.
이 말은 남송(南宋:1127∼1279)의 대유학자(大儒學者)로서 송나라의 이학(理學)을 대성한 주자(朱子:朱熹)의《주문공문집(朱文公文集)》〈권학문(勸學文)〉에 나오는 시의 첫 구절이다.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 [少年易老 學難成(소년이로 학난성)] 순간 순간의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마라 [一寸光陰 不可輕(일촌광음 불가경)] 연못가의 봄풀이 채 꿈도 깨기 전에 [未覺池塘 春草夢(미각지당 춘초몽)] 계단 앞 오동나무 잎이 가을을 알린다 [階前梧葉 已秋聲(계전오엽 이추성)]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이 말은"漢書" '河間獻王德傳'에 실려 있는, '학문을 닦아 예를 좋아하고, 일을 참답게 하여 옳음을 구함.(修學好古 實事求是)'에서 나온 말이다.
19세기 초기, 즉 청나라 말기에서부터 중화민국 초기에 걸쳐 계몽사상가로서 활약한 양계초(梁啓超)는"淸代學術槪論"을 써서 淸代 학술의 개론을 시도한 사람이다
양계초는 다시 능정감(凌廷堪)이 대진(戴震)을 위하여 지은《事略狀》에서 다음과 같은 논평을 이용하여 대진의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을 드러내 밝히고 있다.
"옛날 하간(河間)의 헌왕(獻王)은 실사(實事)에 대하여 옳음을 구하였다. 도대체 실사(實事)의 앞에 있으면서 내가 옳다고 하는 것도 사람들은 억지로 말하여 이것을 그르다고 하지 못하고, 내가 그르다고 하는 것도 사람들은 억지로 말하여 이것을 그르다고 하지 못한다." (《교례당집》35권 )
더구나 '실사구시(實事求是)'를 학문의 표적으로서 존중한 것은 대지 혼자만의 일이 아니다. 그보다도 후배에 해당하는 청나라 왕조의 학자들 중에는 주대소(朱大韶)나 왕정진(王廷珍)과 같이, 스스로를 '實事求是?'라고 아호를 붙인 사람들도 있었다.
실사구시(實事求是)'란 사실을 토대로 하여 진리를 탐구하는 것을 말하며, 청조(淸朝)의 고증학파가 공론(空論)만 일삼는 양명학(陽明學)에 대한 반동으로 내세운 표어이다.
고증학자(考證學者)들은 정확한 고증을 존중하는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학문연구의 입장을 취했다.


맹모삼천(孟母三遷) : 자식 교육에 적당한 장소를 찾아 세번 옮김.
(비)삼천지교(三遷之敎)

 


온고지신(溫故知新) : 溫故는 '옛 것[故]을 배우다[溫]'이다. 溫에는 '배우다'는 뜻도 있다.
知新은 '새 것[新]을 알다[知]'이니 溫故之新은 '옛 것을 공부하면 새 것을 알게 된다'는 말이다. 20년 전만 해도 웬만한 집 대청에 걸려 있던 글이다.
《論語》의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알면 가히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를 줄인 말이다. 溫故는 '단순히 古典을 달달 외우는' 것이 아니다. 현재나 미래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도리, 즉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 것이다. 이 글에서 師(스승)의 자격을 규정한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새로운 지식이 있을 때 그것을 감추고 자신만을 위하는 利己的 태도를 버리지 못한다면 師의 자격이 없다. 師는 萬人을 위한 역할을 해야 한다.

 

有敎無類(유교무류)   가르침에 있어서 종류가 없다는 말로, 
     가르침만 있다면 모든 사람이 선(善)한 곳으로 돌아올 수 있어 차별이 없다는 뜻.
     가르침에는 차별이 없다는 것은 열심히 가르치되 차별을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배움의 문이 개방되어 있다는 뜻이다.


【출 전】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편

 


절차탁마(切磋琢磨) : 옥, 돌, 상아 따위를 자르고 쪼고 갈고 닦아서 빛낸다는 뜻으로, '학문, 덕행을 갈고 닦음'의 비유
"論語" '學而篇'에는 "詩經"에 실려 있는 시가 인용되고 있다.
자공(子貢)이 孔子께 여쭈었다.
"가난해도 아첨함이 없고, 부유하면서 교만함이 없는 것은 어떠합니까?"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도다. 그러나 가난해도 도(道)를 즐거워하고, 부유하면서 도 예절을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느니라." 자공(子貢)이 다시 여쭈었다.
"시경에 이르기를, 끊는 듯이 하고, 닦는 듯이 하며, 쪼는 듯이 하고, 가는 듯이 하라고 하였습니다. 그것은 이것을 이름입니까?"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賜)야, 비로소 더불어 시를 논할 만하구나. 지난 일들을 일러 주었더니 닥쳐올 일까지 아는구나."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子曰 可也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 子曰 賜也 始可 與言詩已矣 告諸往而知來 者.
"원 말" 여절여차 여탁여마(如切如磋 如琢如磨)
"준 말" 절마(切磨)


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이나 이사를한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교육에는 주위 환경이 중요하다는 가르침을 이르는 말. 처음에 공동묘지 가까이 살다가 맹자가 장사지내는 흉내를 내서, 시장터 가까이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고사에서 유래. 맹모삼천( 孟母三遷 ). 삼천지교( 三遷之敎 ).

 

역자교지( 易子敎之 ).
나의 자식과 남의 자식을 바꾸어서 교육하다. 부자의 사이에는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 역자이교지( 易子而敎之 ).

 

홍익인간( 弘益人間 ).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뜻. 국조(國祖) 단군의 건국이념으로 고조선개국 이래 우리나라 정치 교육의 기본정신임.

교육에 대한 사자성어 25가지 정도

... 있는데(사자성어 포함)갑자기 우리의 교육에 관련된... 가능하면 빨리 사자성어 25개 정도만 가르켜주세요... 무지몽매(無知蒙昧) : 지식이 없고 일체 만물에 대한 도리가...

골든벨에 나올많한 문제 25가지 정도를...

... 문제 25가지 정도를 골라 답과 함께 알려주세요. 1번... 말로 '위대한 강' 이라는 뜻을 가진 이 강은 미네소타주... 가지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정답 이열치열...

독사경의 25가지 큰 두려움과 32가지가...

독사경의 25가지 큰 두려움과 32가지가 먼가요 살해를... 또한 현재의 대한민국 교육의 기본적 교육이념이기도... 어느 정도 알고 가야 하는 것입니다. 1. 성경은, 천동설에 의한...

사자성어 만들기

학교수행평가가 사자성어 5개 만들긴데 넘어려워요 한자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학문을 중도에서 중지하는 일에 대한 훈계를 이르는...

춘추전국시대에 대한 사자성어와 그에...

... 춘추전국시대에 대한 사자성어와 그에대한 일화를 10개... 맹모단기 맹자 어머니의 아들 교육에 관한 일화이다.... "네 공부가 어느 정도 되었느냐?” “아직 마치지는...

사자성어좀 알려주세요

제가 겨울방학 숙제 선택과제에 사자성어 10개 이상...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학문을 중도에서 중지하는 일에 대한 훈계를 이르는 말. 22....

사자성어 알려주세요!

뜻 좋은 사자성어 알려주세요ㅠ 1. 사자성어 01. 街談巷說... 刻骨難忘(각골난망) : 입은 은혜에 대한 고마운 마음이... 犬馬之勞(견마지로)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란...

사자성어 만들어주세요

아는 언니 학교 과제인데 사자성어를 아예 만들으라고...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학문을 중도에서 중지하는 일에 대한 훈계를 이르는 말. 22....

교육과 관련된 사자성어 50개좀...

위에서 쓴 글과같이 사자성어 50개 알려주세요 -- 가... 정도가 너무 지나친 것은 목표에 이르지 못함과 같다.... 內憂外患(내우외환) : 내부의 근심과 외부에 대한 걱정. 累卵之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