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가족에 관한 성어(급해요!)

친구와 가족에 관한 성어(급해요!)

작성일 2010.07.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방학숙제를 할려고 하는데요

 

1.친구와 관련된 성어(10개정도)

 

 

 

2.가족과 관련된 성어(10개정도)

 

 

 

↑위 질문에만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친구와 관련성어

 

 

관포지교 管鮑之交 [대롱 관/절인 생선 포/어조사 지/사귈 교]

친구 사이의 매우 다정하고 허물 없는 교제.
[출전]史記』 管晏列傳
[내용] 제(齊)나라의 관중(管仲)이 포숙(鮑叔)과 함께 장사할때 이익을 많이 가져도 포숙이 나를 욕심이 많다고 여기지 않았고, 일을 도모하다가 곤궁해져도 어리석다 여기지 않았으며, 세 번 벼슬을 하였다가 세 번 쫓겨나도 못났다고 하지 않았고, 세 번 싸움에 세 번 도망갔으나 포숙은 관중을 겁장이라 여기지 않았다. 관중이 말하기를,「나를 낳아 주신 분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 준 사람은 포숙이다(生我者父母, 知我者鮑叔也).」라고 했다.


 

간담상조 肝膽相照[간 간/쓸개 담/서로 상/비출 조]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귄다.

[출전]『柳子厚墓誌銘』
[내용]唐나라 유종원(柳宗元;773∼819, 字 : 子厚)이 유주자사(柳州刺史)로 임명 되었는데 그의 친구 유몽득(劉夢得)도 파주자사(播州刺史)로 가게 되었다. 유종원이 그것을 알고 울먹이면서“파주는 몹시 궁벽한 변방인데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갈 수도 없을 것이고 또한 그 사실을 어떻게 어머님께 알릴 수 있겠는가? 내가 간청하여 몽득 대신 파주로 가는 것이 좋겠다.”라고 말했다. 유종원이 죽은 후 한유(韓愈)가 그 우정에 감복하여 유종원의 묘지명을 썼는데‘[ 韓愈柳子厚墓誌銘에 握手出肝膽하여 相示라하다. 韓(나라이름 한) 愈(나을 유) 厚(두터울 후) 誌(기록할 지) 銘(새길 명) 握(잡을 악)] 사람이란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참된 절의(節義)가 나타나는 것이다. 평소에는 서로 그리워하고 같이 술을 마시며 놀고 즐겁게 웃는데 마치 간담(肝膽)을 내보이는 것처럼 하고 죽는 한이 있어도 우정만은 변치 말자고 맹세한다. 그러나 이해관계가 있으면 눈을 돌려 모르는 듯한 얼굴을 한다…….’라고 하였다.


죽마고우 竹馬故友 [대나무 죽/말 마/옛 고/벗 우]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고 함께 놀던 옛 친구. 젊을 때부터 함께 놀며 자란 오래된 친구.
[유] 斷金之交(단금지교) /.金蘭之交(금란지교)./芝蘭之交(지란지교)/.知己之友(지기지우)./知音(지음)-백아와 종자기의 고사./刎頸之交(문경지교)./水魚之交(수어지교)--유비와 제갈량의 고사./膠漆之交(교칠지교)-아교와 옻처럼 떨어질 수 없는 가까운 사이/관포지교(管飽之交)-관중과 포슥아의 고사

[출전]《世說新語》〈品藻篇〉《晉書》〈殷浩專〉

[내용]진(晉:東晉)나라 12대 황제인 간문제(簡文帝:371∼372) 때의 일이다. 촉(蜀) 땅을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桓溫)의 세력이 날로 커지자 간문제는 환온을 견제하기 위해 은호(殷浩)라는 은사(隱士)를 건무장군(建武將軍) 양주자사(揚州刺史)에 임명했다. 그는 환온의 어릴 때 친구로서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인재였다. 은호가 벼슬길에 나아가는 그 날부터 두 사람은 정적이 되어 반목(反目)했다. 왕희지(王羲之)가 화해시키려고 했으나 은호가 듣지 않았다.
그 무렵, 오호 십육국(五胡十六國) 중 하나인 후조(後趙)의 왕 석계룡(石季龍)이 죽고 호족(胡族)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자 진나라에서는 이 기회에 중원 땅을 회복하기 위해 은호를 중원장군에 임명했다. 은호는 군사를 이끌고 출병했으나 도중에 말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결국 대패하고 돌아왔다. 환온은 기다렸다는 듯이 은호를 규탄하는 상소(上疏)를 올려 그를 변방으로 귀양 보내고 말았다. 그리고 환온은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은호는 나와 '어릴 때 같이 죽마를 타고 놀던 친구[竹馬故友]'였지만 내가 죽마를 버리면 은호가 늘 가져가곤 했지. 그러니 그가 내 밑에서 머리를 숙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환온이 끝까지 용서해 주지 않음으로 해서 은호는 결국 변방의 귀양지에서 생애를 마쳤다고 한다.

금란지교 金蘭之交 [쇠 금/난초 란/어조사 지/사귈 교]

☞쇠를 자를 정도로 견고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사귐. 견고한 벗 사이의 우정.

[고사]두사람이 마을을 합하면 그 날카로움은 쇠도 끊을 것이요, 마음을 같이 한 말은 그 냄새가 난초의 향기와 같다.[二人同心이면 其利斷金이요, 同心之言은 其臭如蘭이라]-『주역(周易)』

[유]管鮑之交(관포지교)/竹馬故友(죽마고우)/,斷金之交(단금지교) /芝蘭之交(지란지교)/.知己之友(지기지우)./知音(지음)./刎頸之交(문경지교)./水魚之交(수어지교)./膠漆之交(교칠지교)-아교와 옻처럼 떨어질 수 없는 가까운 사이

수어지교 水魚之交 [물 수/고기 어/어조사 지/사귈 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 임금과 신하 사이의 두터운 교분. 부부의 친밀함.
[동]金蘭之交(금란지교),/管鮑之交(관포지교)/,斷金之交(단금지교),/刎頸之交(문경지교)/,金石之交(금석지교)/,膠漆之交(교칠지교)-아교와 옻/,芝蘭之交(지란지교)/,知己之友(지기지우)/,知音(지음)-백아와 종자기/ 魚水之親(어수지친). 猶魚有水(유어유수) /風雲之會(풍운지회) : 구름이 용을 만나고 바람이 범을 만났다는 뜻으로 명군(明君)과 현상 (賢相)이 서로 만나다.

[속담]구름 가는 곳에 비도 내린다. /바늘 가는 데 실도 간다.

[출전]『三國誌 』
[내용] 劉備(유비)가 諸葛亮(제갈량)을 찾던 三顧草廬(삼고초려) 때의 이야기다.두번이나 허탕치고 세번째에야 비로소 가까스로 만났는데 사실 관우와 장비는 처음부터  유비가 친히 찾아가는 것에 대해 내심 못마땅해 했다.  "일개 촌부에 불과한 것 같은데 사람을 보내 불러 오게 합시다." 장비의 말이었다.  결국 두번째도 허탕치자 이번에는 관우도 참을 수 없다는 듯이 한마디했다.  "두번이나 찾았다면 예를 다한 셈입니다. 보아하니 제갈량은 有名無實(유명무실)한 인물이라  일부러 피하는지 모릅니다. 너무 애착을 갖는 것은 아닌지요."   그러자 장비도 이때다 싶어 크게 말했다. "이젠 정말 가실 필요가 없습니다.  녀석이 안오겠다면 제가 밧줄로 꽁꽁 묶어서라도 잡아 오겠습니다."   결국 유비의 정성에 감복한 제갈량은 하산해 그를 위해 犬馬之勞(견마지로)를 다한다.   後에 유비는 제갈량을 師父(사부)로 모시면서 침식을 같이 할 정도로 극진히 모셨다.

 날이 갈수록 유비가 제갈량을 신뢰하고 교분이 더욱 두터워 지니 결의형제(結義兄弟)한 관우(關羽)와 장비(張飛)가 몹시 불만스러워 했다. 어느 날 유비가 그것을 알고 그들을 불러「선왕이 말하기를“나에게 공명이 있는 것은 고기가 물에 있는 것과 같다.  원컨데 다시는 말하지 말아라.”라고 말하고 또한 관우와 장비를 위로 하였다.관우와 장비는 달리 대꾸할 말이 없었다. 이렇듯이 주군과 신하가 마치 물과 물고기처럼 돈독한 관계를 맺을때를 수어지교라고 한다. 이때 유비의 나이는 마흔일곱살이고 제갈량은 스물일곱살이었다이처럼 수어지교는 본디 군신간의 관계가 친밀한 것을 비유했던 것이 후에는 친구나 심지어 부부간의 관계에도 사용하게 되었다. '극도로 가까운 사이'를 뜻한다

 

문경지교 刎頸之交 [목벨 문/목 경/어조사 지/사길 교]

☞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벗.
[동]管鮑之交(관포지교): 齊(제)나라 재상 管仲과 鮑叔牙의 사귐. 매우 친한 사이의 사귐. /金蘭之交(금란지교) : 쇠를 끊을 만큼 견고하고 향기로운 난초와 같은 우정. /芝蘭之交(지란지교) : 지초와 난초의 사귐. 맑고도 고상한 사귐. /竹馬故友(죽마고우):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친구.

[출전]史記』 廉頗藺相如傳)
[내용] : 전국시대 趙의 혜문왕(惠文王) 때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가 있었다. 두 사람 모두 큰 공을 세웠지만 환관 무현(武賢)의 식객에 불과했던 인상여를 경대부(卿大夫)에 임명하자 염파는 불만이 대단하였다. 그래서 인상여를 만나면 망신을 주리라 생각하였다. 그 말을 전해들은 인상여는 염파와 마주치지 않으려고 피하니 부하들이“왜 그렇게 염장군을 두려워 합니까?”라고 물으니 인상여가“秦나라가 공격하지 못하는 이유는 나와 염장군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둘이 서로 헐뜯고 싸운다면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염파는 그 이야기를 전해듣고「염파가 옷을 벗어 살을 드러내고 곤장을 지고 인상여의 집에 이르러 사죄하며 말하기를“비천한 사람이 장군의 너그러움이 이와 같음을 알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인상여와 염파가 문경지우가 되었다.

가족과 관련된 속담이나 고사성어

 

*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자자효(父慈子孝)

* 형제우애(兄弟友愛)

* 형우제공(兄友弟恭)

* 신겸처자(身兼妻子): 나와 처자, 즉 가족을 이름

* 낙애처자(樂愛妻子): 가족을 사랑하고 즐거움을 함께 나눔

* 가급인족(家給人足): 집안에 살림이 넉넉하고 부족함이 없음

* 가족화목(家族和睦)

* 일심동체(一心同體)

 

 

아버지에 대한 고사(사자)성어


父慈子孝 (부자자효 ).

아비는 자애를 주로 하고 아들은 효를 주로 한다. 


子爲父隱[자위부은] 

자식은 아버지를 위해 숨긴다는 뜻으로,

부자지간(父子之間)의 천리 인정(天理人情)을 말함.



어머니에 대한 고사(사자)성어


지독지애( 舐犢之愛).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아서 귀여워하다.


백유지효(伯兪之孝) 

韓伯兪(한백유)는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로부터 종아리를 맞아도 아프지 않다하여 어머니의 노쇠함을 탄식함.


 

부모에 대한 고사(사자)성어


노우지독지애(老牛砥犢之愛).

늙은 소가 송아지 새끼를 핥아 주는 사랑, 즉 자식에 대한 깊은 사랑의 비유.

어버이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을 나타낸 말.


석과불식( 碩果不食 ).

큰 과일은 다 먹지 않고 남긴다.

곧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도 복을 누리도록 한다는 뜻.


연익지모( 燕翼之謀 ).

자손을 위한 지략.


호천망극( 昊天罔極 ).

끝없는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공이 끝이 없음.


望雲之情(망운지정)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의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冬溫夏淸(동온하정)

부모에 효도함. 겨울은 따뜻하게 여름은 시원하게 해드림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밖에 나갈 때 가는 곳을 반드시 아뢰고, 되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을 보여 드린다. 出告反面

 

子路負米[자로부미]

공자의 제자인 자로(子路)가 가난하여 매일 쌀을 등짐으로 백 리(百里) 밖까지 운반하여 그 운임으로 양친을 봉양하였다는 고사에서, 지극한 효성을 이르는 말.


昏定晨省[혼정신성]

자식이 부모님께 아침 저녁으로 잠자리를 보살펴 드리는 것.


班衣之戱[반의지희]

늙은 부모를 위로하려고 색동 저고리를 입고 기어가 보임.

늙어서도 효도함.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어미가 늙으면 새끼가 먹이를 물어다 먹이는 효성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커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을 이르는 말.


風樹之嘆[풍수지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풍수지감.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나무는 멈추고자 하나 바람은 그치지 아니하고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리지 아니한다.

 

 

* 남편은 두레박, 아내는 항아리

- 두레박이 물을 길어다 항아리에 채우듯이 남편은 밖에서 돈을 벌어 집에 가져오면 아내는 그것을 잘 모으고 간직하여 치부한다는 말

 

* 씨암탉 잡은 듯하다

- 집안이 매우 환락할 때를 이르는 말

 

* 팔은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지 않는다

- 가족이나 일가붙이(친족)를 소중하게 생각한다는 말

 

* 열 손가락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 없다

- 부모는 모든 자식에게 애착을 가진다는 말

 

* 부모가 온 효자가 되어야 자식이 반 효자

- 자식은 부모가 하는 것을 보고 따라 하게 된다는 말

 

*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

- 부모는 자식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말

 

* 한 다리가 천리(千里)

- 조금이라도 가까운 사람, 즉 가족에게 먼저 정이 쏠린다는 말

 

* 나간 놈의 집구석

- 집안이 어수선하고 질서가 없음을 뜻함

 

* 떡해 먹을 집안

- 불화한 집안

 

* 가장(家長)이 확고하게 지배하는 기족 속에는 다른 곳에서 찾아보기 힘든 평화가 깃

 든다.-----------------------------------------------------  -괴테-

 

http://kin.naver.com/

친구와 가족에 관한 성어(급해요!)

... 방학숙제를 할려고 하는데요 1.친구와 관련된 성어(10개정도) 2.가족과 관련된 성어(10개정도) ↑위 질문에만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친구와 관련성어 관포지교...

친구와 가족에 관한 성어 10개이상...

이게 방학숙제인데 친구와 가족에 관한 성어 10개 이상 조사하려고 합니다. 좀 알려주세요 친구와 관련성어 관포지교 管鮑之交 [대롱 관/절인 생선 포/어조사 지/사귈 교] ☞친구...

친구와 가족에 관한 한자성어

친구와 가족에 관한 한자성어 10개만 써주세요 내공 추가드립니다ㅜ 다음에서 열 개 고르셔요^&^ 송무백열(松茂栢悅) : “소나무가 무성한 것을 잣나무가 기뻐함” 소나무와...

가족에관한 고사성어

급해요!! 내일까지 해야가는데 일단 아빠에관한 고사성어 엄마에관한 고사성어 빨리 알려주세요!!!!! 어찌 아빠와 엄마를 따로 분류 하리오만 굳이 나누어서 한다면... 아빠에...

가족에 관한 고사성어/사자성어

가족에 관한 고사성어나 사자성어 좀 가르켜주세요!! 馬頭衲采(마두납채) 재래식... 陸績懷橘(육적회귤) 친구집에 초대를 받아 간 육적이 집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에게 드리려고...

부모님 또는 가족에 관한 사자성어...

부모님 또는 가족에 관한 사자성어 ,고사성어 , 한문 좀 알려주세요 ..^^ 타투 할려구... 陸績懷橘(육적회귤) 친구집에 초대를 받아 간 육적이 집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에게...

친구와 관한 고사성어[50]

친구와 관한 고사성어 가 한문숙제인데요 친구와 관한 고사성어 만약 죽마고우면요... 포숙아는 아주 잘사는 집안의 외동아들이었지만 관중은 가난한 집안의 장자이면서 가족도...

(급해요!!!)우정에관한성어10개부탁드...

우정에 관한 한자성어 좀 부탁하겠습니다.10개!! *주의 만약 죽마고우라면 의미,뜻... 두터운 친구 사이를 이르는 말. = 단금지계(斷金之契) 斷(끊을 단) 金(쇠 금) 之(갈 지) 交(사귈...

친구관한 속담이나 한자성어

친구관한 속담이나 한자성어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10가지만 가르쳐 주세요...... 다른 사람에게는 가족이 있지만 고독한 사람이나 유랑자에게는 친구가 전부인것이다. - 윌라...

고사성어(사자성어)5개만요!!급해욤 >ㅡ<

... 고사성어 5개만요 급해요 빨리좀부탁 고사성어 50개를 올려드립니다. 1. ◐ 각주구검(刻舟求劍)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검. > ☆직역 - 배에 새겨 칼을 찾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