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의 건국 이야기

창원의 건국 이야기

작성일 2008.03.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ㄷㄷ

지금 창원의 건국이야기를 조사해오는게 숙제인데요

예를들어 마한 삼한 진한 그정도에서 통일신라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까지 창원이 어떤이름인지도 궁금하고요

또 창원시에 중요한 역사 라든지 그리고 창원시가 왜 특별시가 안되는건지

그리고 지금 경남에서 창원이 1위 마산,진해가 2,3위를 다툰다는데 창원사람이 집값싼 김해로 다 가서 김해가 2위되서 창원 노리고 있는게 사실인가요? 뭐 같은한국이지만 지역 자존심 ;;

마지막으로 제가 창원에 살아서 창원의 장점만 쏙쏙 적어주신다면 내공 드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조금 늦은감이 있지만 도움이 된다면^^

 

우선 첫번째의 조선이전의 창원역사는 창원시  홈페이지 역사란에 가면 자세히 나옵니다..

저도 학교다닐 때 이런 숙제가 있어서 했던 경험이있는데요.. 음.. 가장 정확한건 역시 시청에

전화&방문해서 알아보는거에요^^;; 너무 허망한가요? 하지만 실제 시립,도립도서관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찾는게 쉽지 않아요.. 그리고 창원이 마산이나 대구, 부산 처럼 지역특색의 역사가

깊다고는 할수없어요.. 즉, 일반적으로 알려진...사람들이 상식 수준으로 알수있는 부분이 굉

장히 적죠.. 그래서 시청에 알아보는게 가장 정확하다는거에요^^

 

두번째.. 창원시가 특별시가 될뻔 했다, 아니다~를 놓고 논쟁이 조금은 있는 편인데요..

이는 창원,마산,진해.. 3곳의 통합과 함께 거론되었다고 알려져 있어요...

우선.. 창,마,진의 통합의 90년대 초부터 꾸준히 거론되어왔고 작년(2007)년 마산시의 강력한

주장으로 한번더 언론을 통해 추진이 될 뻔했지만 창원시의 반대로 무산되었어요.

마산시가 90년대중반쯤을 시작으로 계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불과 10여년이 지난 지금은

창원과의 격차가 더욱 커졌을 뿐만 아니라 시(市) 자체의 경쟁력까지 너무 떨어져 버렸죠..

도심의 노후화와 일자리의 감소는 마산시로썬 충격적이었고 창원시와의 통합을 통해 이를 극복해

나갈생각이었죠.. 창원은 우선 일자리가 풍부하고 주거환경도 전국에서 손꼽히는 지역이기에 그런

욕심을 부렸지만 창원시 입장에선 마산시의 그러한 요청을 받아들일 이유가 전혀 없었던 것입니다.

'창원시+마산시 = (***)시' 라는 것이.. 평균을 따져봤을 때 상승하는 효과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장점이 전혀 없었던 것이죠.. 궁극적으로 창원시민들도 전혀 관심이 없었구요..

 

김해시의 발전은 부산시과 밀접한 연관이있어요.. 이는 90년대 중반쯤으로 부산이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외각지역으로 눈을 돌렸어요.. 김해시는 지리적으로 그러한 부산사람들의 입맛에

맞아떨어진거죠.. 실제 김해에서 부산가는 버스는 창원과 마산가는 버스와 비교해도 절대 적지 않을 만큼

굉장히 많아요.. 부산의 배드타운 역할을 한것이죠...

게다가 90년대 말.. 창원시가지의 과포화에 맞춰 김해시가 장유면의 신도시로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창원시의 집값은 크게 상승했고 인근 마산,김해시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보였습

니다.. 또한 그 시기가 창원이 산업, 문화적으로 크게 팽창했던 시기라서 인구유입도 많았죠..

결국 장유는 김해시이지만 창원공단에서 일하는 가정을 흡수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무분별한 아파트 건축이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로부터 7~8년이 지났을까요? 2003~2004년쯤을 시작으로 장유->창원으로

유입되는 인구가 조금씩 들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장유 신도시가 아파트가 많이 건축되기는 했지만 미분양율이

높아 비어있는 가구가 많음으로써 상주인구가 적고 그로인해 병원, 상점등 생활적인 인트라 구축이 되지 못했

습니다. 삭막한 지역이 되어버린거죠... 김해시가 인구 40만까지는 가파른 상승율을 보였으나 그 이후 조금씩

줄어들고 있습니다...

왜냐?

창원이 그동안 미루어왔던 북면, 동읍쪽 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뉴스에서 보셨는지 모르겠는데요.. 에코타운이라는 이름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게다가 창원 곳곳의

노후화된 아파트들의 재개발은 인구상승효과+삶의 질 상승 효과까지 더해져 굳이 돈 조금 아끼기 위해

다른 도시로 갈 이유가 없어진거죠...

 

 

창원의 장점은

1. 자체경쟁력이 굉장히 높습니다.

 자체경쟁력이 가장 높은 곳은 누가뭐래도 울산입니다. 현대라는 대기업의 고향과 같은 도시거든요^^

하지만 현대라는 대기업과 그 밑을 구성하는 하청으로 독점적인 시장입니다..

하지만 창원은 stx, 두산, lg, 현대, gm대우, 대림등.. 여러개의 대기업과 다양한 분야의 중소기업이 창원공단에

상주하면서 경쟁과 공존의 체제를 교묘하게 이루어놓고 있습니다.

창원과 울산이 공단산업이라는 공통된 점을 가지고있긴 하지만 구성되어있는 요소가 굉장히 다릅니다.

이는 경제불황이었던 imf때 그 차이를 많이 보여주었습니다..

 

2.녹지율이 굉장히 높습니다.

전국 어느곳을 가셔도 창원만큼 공원이 많은 도시는 없습니다.

(이부분은 다음 장점과 연계해서..)

 

3.도로가 잘 정비되어있습니다(보행자도로,자전거도로 포함)

전국어디에서도 창원만큼 보행자도로와 자전거도로가 포함된 도로정비...보기 힘듭니다.

제가 살았던 내동.. 창원대로는 보행로,자전거도로,편도5~7차선이 포함된 도로였죠...

뭐 다른곳 1~2차선의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지역들보다 도로 자체가 정말 잘 정비되어있습니다.

서울,부산에서 자전거타고 1시간 달릴곳 몇군대있을거 같습니까? 창원에선 1~2km우습게

걸어다니고 왠만한 거리 자전거 타고 다녔습니다... 하지만.. 다른곳으로 이사오니 그게 힘듭니다^^;;;

정말 그립네요 ㅜ.ㅜ

창원의 건국 이야기

안녕하세요 ㄷㄷ 지금 창원의 건국이야기를 조사해오는게 숙제인데요 예를들어 마한 삼한 진한 그정도에서 통일신라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까지 창원이 어떤이름인지도...

가야의 건국 이야기빨리여!!!...

가야의 건국이야기 아주아주아주아주아주아주 간략하게 적어주세요 해드리면... 고대에는 화폐경제가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철을 화폐처럼 사용하기도 하였다.창원...

창원 성당 바자회

이번달에 창원에 있는 성당에서 바자회를 여나요? 성당... 홍익인간 ~ 국조 제1대 단군인 "왕검"의 건국이념이며... 그러므로, 존재하는 모든, 저승세계와 귀신(영혼) 이야기는...

6학년 1학기 사회

... 단군의 건국 이야기에서 알 수 있는 사실 ◎ 고조선 영역의 변화 ◎ 고조선의... 1917년 일본인이 처음으로 조사한 뒤에 1992∼1994년까지 창원 문화재연구소가 3차례에 걸쳐...

창원황씨 서담공파가있나요?

... 그 후 신간회(新幹會) 간부로 있다가 병사 하였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단산면 병산(丹山面 屛山) 창원 황(昌原 黃)씨 고려때 大相을 지낸 석주(石柱)를...

가야에 대해서

... ^^ 가야의 시조: 수로왕 가야의 건국 이야기: 가락국의 수로왕 탄강 설화에 대해서... 하였다.창원 다호리 1호분에서는 날을 세우지 않은 자루없는 도끼, 그리고 김해 양동리...

가야의 대하여 자세하게

... 가야의 시조: 수로왕 가야의 건국 이야기: 가락국의 수로왕 탄강 설화에 대해서... 고대에는 화폐경제가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철을 화폐처럼 사용하기도 하였다.창원...

가야에 대하여

... 가야의 건국 이야기: 가락국의 수로왕 탄강 설화에 대해서 자세히 전하고 있는 것은... 하였다.창원 다호리 1호분에서는 날을 세우지 않은 자루없는 도끼, 그리고 김해 양동리...

가야의 건국 ,발전,멸망,

... 가야의 시조: 수로왕 가야의 건국 이야기: 가락국의 수로왕 탄강 설화에 대해서... 고대에는 화폐경제가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철을 화폐처럼 사용하기도 하였다.창원...

6학년 1학기 과학 1~3단원/사회 1-(1)...

... 단군의 건국 이야기에 담긴뜻은 교과서에 나와있습니다 고조선의 발전 발전과정... 붓 : 창원 다호리에서 발견된 우리 나라 최초 붓 8개조의 법은 고조선에서 백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