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작할수있는농작물좀알려주세요

이모작할수있는농작물좀알려주세요

작성일 2014.01.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저는 결혼정보회사를 운영하는데요.

 

이모작 가능한 농산물: 벼, 보리, 감자, 상추, 쑥갓, 아욱, 호박, 옥수수, 파, 강남콩, 밀, 옥수수 등

 

동일한 농장에 두 종류의 농작물을 1년 중 서로 다른 시기에 재배하는 농법. 예를 들면, 논에 여름에는 벼를 재배하여 가을에 수확한 후 그 자리에 보리나 평지(유채)를 봄까지 재배하는 경작형태가 이에 속한다. 경영목적의 중요성에 따라서 주작(主作)과 이작(裏作)으로 나누어지며 재배계절에 따라 여름작물과 겨울작물로 나누기도 한다. 이모작은 농경지 면적이 좁은 지역에서 토지의 이용률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다.

 

한국의 논에서는 벼―보리, 벼―평지, 벼―감자 등의 2모작이 시행되고 있으나 경기도 남부지방이 2모작 한계지대로 알려져 있어 그 이남 지역이 안전한 2모작 지대이며, 밭의 경우에는 강원도의 산간 고랭지(高冷地)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여러 형태의 2모작이 실시되고 있다.

 

기후가 온난한 남부지방에서는 3모작까지도 가능한데, 이와 같은 다모작(多毛作)형태의 농업경영은 농가의 수익이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만 시행된다. 2모작 이상의 다모작농업형태는 농경지의 지력을 크게 소모시키기 때문에 지력보존을 위한 대책이 병행되어야 하며 농업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계화 또는 노동생력화(勞動省力化) 방안도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2&docId=112502846&qb=7J2066qo7J6R64aN7J6R66y8&enc=utf8&section=kin&rank=2&search_sort=0&spq=0&sp=1&pid=RV8VYF5Y7uGssZ96ZclsssssstV-304464&sid=Us8sqHJvLC8AAFnTF6o

 

이모작

- 개념 : 같은 땅에서 1년에 두 번 곡물을 재배하여 수확하는 토지 이용법.

- 기원 : 우리 나라의 논 이모작에 관한 기원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아마도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식량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전된 것 같다.

이와 같은 근거는 15세기 초에 저술된 정초의 <농사직설>이나 15세기 말에 저술된 강희맹의 <금양잡록> 등 중요한 농서에 논의 이모작에 관한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17세기 초에 허균이 편찬한 <한정록>의 치농조(治農條)에 비로소 보리를 논의 이모작으로 재배한다는 기록이 있다. 그 뒤에 저술된 <산림경제> 등 각종 농서에 이모작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근거로 할 때 우리 나라에서의 논의 이모작은, 겨울철에 보리싹이 얼어 죽을 염려가 비교적 적은 서남해안지방에서 16세기 말경부터 서서히 발전되어 조건이 그리 좋지 않은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까지 보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2년 3작

2년에 걸쳐 3가지 작물을 결합시켜 재배하는 경작 방식입니다. 관서지방중에서도 황해안 평야지대와 관북지방중에서 동해안의 평야지대에서 2년3작이 행해집니다.

우리 나라의 중부 지방에서 관서 지방에 이르는 곳에서 행해지는 윤작의 양식입니다. 봄에 조를 심어 가을에 수확하고 거기에 밀을 심어 다음해 봄에 수확하고 그 해의 여름 작물로는 콩을 심어 가을에 수확한 후 봄까지 휴경함으로써 2년에 걸쳐 3가지 작물을 결합시켜 재배하는 경작 방식입니다. 이모두가 일조량과 관련이 있지요.

2년 4작이 가장 많은 일조량이 필요하고 그다음 2년 3작, 그 다음 1년 1작이 되겠습니다

 

 

이앙법(移秧法)

벼농사에서, 못자리에서 모를 어느 정도 키운 다음에 그 모를 본논으로 옮겨 심는 재배방법을 말한다.  고려시대 때부터 시행된 농법이기는 하지만, 수리시설의 미비로 조선 전기까지는 삼남지방 일부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었을 뿐이었다. 그때까지는 본논에 직접 파종을 하는 직파법이 주종을 이루었다. 이앙법이 전국적으로 보급된 것은 임진왜란 이후부터였으며, <농가집성>에서 이앙법의 기술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 이양법의 장단점

직파법과 이앙법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파법에서는 4, 5차의 제초 작업이 필요하고, 작업도 대단히 어려워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이에 비해 이앙법은 2, 3차로 족하고, 또 그 작업이 상대적으로 편해 비교적 적은 노동력으로도 가능하였다. 둘째, 이앙법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직파법보다 훨씬 높았다. 셋째, 이앙법에서는 벼농사를 추수한 뒤에 보리를 경작하는 이모작이 가능하였다.
이상과 같은 이앙법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당시 조정에서는 이앙법을 법령으로 금지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첫째 가뭄의 피해 때문이었다. 직파법에서의 가뭄 피해는 아무리 심해도 어느 정도 수확이 가능한 데 비해, 이앙법은 가뭄이 심하면 수확량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더구나 당시는 수리 시설이 미비해, 가뭄의 피해를 면할 길이 없었는데, 이앙법의 보급으로 더욱 심각해졌다. 이 결과 대규모 기근이 발생함에 따라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것이다. 둘째, 이앙법은 직파법에 비해 경작 노동이 2할 밖에 필요하지 않아 경작 능력을 약 4배로 증가시켰다. 이에 직파법에서 필요하던 노동력이 불필요하게 되어 필요 이외의 노동력은 농촌을 떠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이들은 어쩔 수 없이 유민이 되어 도둑·유개(流瞰 : 거지)·거사(居士 : 도덕과 학문이 높으면서도 숨어살며 벼슬을 하지 않던 선비)·사당(社黨 : 2인 이상이 모여 결속한 무리)·전대군(錢帶軍) 등으로 전락해 갔다. 이 때문에 정부는 이앙법의 이점을 알면서도 금지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효과가 없었다. 당시 광작은 적어야 60두락 내지 80두락이고, 크면 120두락 내지 140두락이나 되었다. 이러한 광작은 토지가 없는 농민으로 하여금 병작도 얻기가 어렵게 만들었다. 그리고 농촌 사회의 분화를 촉진시켜 토지를 잃는 농민이 갈수록 증가하였다.

 

 

윤작

같은 땅에 여러 가지 농작물을 해마다 바꾸어 심는 일. 돌려짓기라고도 한다. 농업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고대에는 1년에 한 번, 한 가지 작물을 경작하고 한 해 또는 두 해를 쉬었으나(휴경하였으나), 점차 농업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려 시대에는 2년 3작(2년 동안에 3가지 작물을 돌려지음)의 윤작법이 행해졌다. 이것은 2년 4작, 즉 이모작의 전단계라 할 수 있다. 이모작은 조선 초에 등장한다.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58271743&qb=7J2066qo7J6R64aN7J6R66y8&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V8VYF5Y7uGssZ96ZclsssssstV-304464&sid=Us8sqHJvLC8AAFnTF6o

이모작할수있는농작물좀알려주세요

이모작할수있는농작물좀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결혼정보회사를...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만 시행된다. 2모작 이상의 다모작농업형태는 농경지의 지력을 크게...

농작물손해평가사 전망 어떤가요

...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혹시 준비하는데 어려울까요... 방법좀 알려주세요!! 농작물손해평가사 아무래도... 들어갈 있어요 시험 보실때는, 손평패스에서 준비하시길...

농작물 종류

... 일단농작물의 종류 좀 알려주세요 또 초보 농부에게 뭘... 생길 있습니다 기상청 예보를 가까이하는 습관을... 한해살이 농작물로 서너 개의 씨앗이 들어 있는 꼬투리...

화학 발표

... 좀 알려주세요ㅠㅠ p.s 답변 빨리 해주신 분은 채택 해드려요 농업과 관련된 화학 주제는 다양하게 선택할 ... •목적: 농작물 보호와 생산성 증대. 슬라이드 4...

농작물 개발이나 식물개발하는 직업

식물개발이나 농작물개발하는 직업좀 알려주세요 아래와 같이 아는 되로 적어 봄니다. 1... 3, 수원에 있는 농촌진흥청의 각 연구관들, 이들은 각 전공에 따라서 각 작물의...

주식 선물뜻좀 알려주세요

... 쉽게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통 세계에서는... 밭의 농작물을 전속 계약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통 사는 것들은 현물이라고 부르고, 미래에 살 수 있는 계약이...

농작물 절도범 대처방법좀 알려주세요.

... 최근들어서 농작물을 자꾸 누군가가 뽑아가버리고 있어서, 큰 피해가 있습니다. 한 두... 절실함에 드릴 수 있는 내공이라도 많이 걸겠습니다. 앎을 나눔 - 안녕하세요.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