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대하여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울산에대하여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작성일 2020.02.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울산에대하여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마니마니 줍니다 사회 숙제예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울산광역시

면적 : 1057.1 Km2

인구 : 1,147,037명 (2020년 1월기준)

동경 129˚15´~129˚27´, 북위 35˚27´~35˚36´에 있다. 동쪽은 동해에 면하며, 서쪽은 경북 청도군과 밀양시·양산시, 남쪽은 부산 기장군, 북쪽은 경북 경주시와 접한다.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공업도시다. 행정구역은 1군 4구 4읍 8면 44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아시아의 중앙부와 한반도의 동남단에 있다. 천혜의 온난한 기후를 가진 항구도시이며, 도심지는 신·구시가지와 배후 도시로 구분되고, 농어촌 지역과는 그린벨트로 나뉘어 있다. 특히 울산 주변 동해안과 내륙지에는 천혜의 자연경관이 있어 자연 속에 둘러싸인 관광도시로도 유명하다.

울산만에는 울산항·온산항·방어진항이 연이어 있으며, 이들 항구는 일찍부터 동아시아로 뻗어나가는 한반도의 관문 구실을 해왔고, 현재에도 세계 각 나라들과 교류·협력 관계를 넓혀가고 있다. 재정자립도 87.2%를 자랑하는 한국 7대 도시의 하나이다. 연평균기온 13.8℃, 연평균강수량은 1,274.6mm이다

2. 울산광역시 자연

경상계지층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부분적으로 제3계의 지층이 분포한다. 구릉성산지가 발달한 동부를 제외하고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태백산 줄기가 동해안을 따라 힘차게 내려오다가 마지막으로 끊어진 곳에 위치한 시의 지형은 서부에 문복산·가지산·능동산·신불산 등이 남북으로 달리고 남부에 정족산·문수산이, 북부에 천마산·마석산이 각각 동서로 달리는 형태다.

이들 산지 사이를 동류하여 동해로 유입하는 태화강·회야강과, 남류하여 낙동강에 유입하는 양산천이 하안평야를 이루고, 북에서 뻗은 동천강이 하류에서 태화강과 합류하여 울산항으로 흘러 든다.

항만의 양끝에는 방어진항과 장생포항이 마주하고 있다. 이들 항구를 빠져 내안을 이룬 양항 구릉지는 800만 평의 공업용지로 조성되어 있어 공업용수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지반 또한 경암질로 되어 있어 공장건설이 용이하다.

겨울 계절풍을 막아주는 서북부의 산지와 난류의 영향을 받아 연평균기온 13.8℃, 최고기온 38.6℃, 최저기온 -16.7℃를 보인다. 연강수량은 1,274.6mm이다(평년값 기준). 식생은 주로 낙엽활엽수림대의 남부 수종이 분포한다.

3. 울산광역시 연혁

삼한시대 진한의 굴아화촌(掘阿火村)으로 불리다가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고려 태조 때 흥례부로 승격되었다가 공화현으로 강등되었다.

1018년(현종 9) 울주로 개칭하여 방어사를 두었다가, 1397년(태조 6)에 진을 두고 병마사가 지주사를 겸임하였다. 1413년에 울산으로 개칭하였고, 1599년(선조 32) 도호부로 승격한 뒤, 1895년(고종 32) 도호부가 군으로 바뀌었다.

1914년 부·군을 정리폐합하는 지방제도 개편시 언양군을 울산군에 병합하였다.

1931년 울산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1934년 동·면을 읍으로 올려 방어진읍으로 승격했다. 1962년 울산읍이 시로 승격함에 따라 시·군이 분리되었고, 1991년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울산시와 울산군이 합쳐 도농복합형 통합시가 되면서, 울산군 전역이 울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97년 7월 15일자로 울산광역시로 승격하였으며, 2001년 현재 중구·남구·북구·동구·울주군의 4구 1군 체제로서 4읍 8면 46개 동의 행정구역을 이룬다

4. 울산광역시 산업

태화강이 조성한 비옥한 토지와 울산만에 연이어 있는 울산항, 온산항, 방어진항, 그리고 이들 항구의 내안 구릉지에 형성된 약 62.7㎢(1,900만 평)의 공업용지는 발전하는 공업도시의 기틀이 되어 왔다.

1962년 공업특정지구로 결정되기 전에는 삼양사 울산공장을 비롯한 소수 식료품 공장들만이 입지하였을 뿐 주민의 대부분이 농·수산업에 종사하였다. 제1차 경제개발계획의 첫 사업으로 1962년에 공업특정지구로 결정되어 정유·비료·자동차·조선 등의 공업이 입지하여, 기간산업 기지로 급속히 변모함에 따라 1차 산업인구가 크게 감소한 반면 2·3차 산업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였고, 특히 공업인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농가 인구가 적고 경지율도 낮지만 근교에서는 기계화가 잘 이루어져 쌀·보리·콩 등의 곡물뿐만 아니라 근교농업도 발달해 고추·무·배추·파·참깨·감·대추 등의 재배가 성하고, 한우·돼지·젖소·닭·사슴 등의 사육도 성하다. 전국적으로 알려진 배는 공업화로 인한 재배면적의 축소와 공해로 인해 명맥만을 겨우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동해안에서는 극소수의 주민들이 영세적인 연안어업에 종사하여 어류와 연체동물을 어획하고 있으나 생산량은 많지 않다. 장생포를 거점으로 성행하였던 포경업도 고래 보호를 위한 포경금지 결정에 따라 1986년부터 활동이 중단되었다.

화학과 기계공업이 중심을 이루는 약 894개의 기업체가 장생포·염포·미포·온산 등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입지해 있다. 장생포지구에는 대규모 정유·비료·화학·석유화학 등의 공업이 집중해 있고, 염포 및 미포지구에는 현대그룹 계열의 기계·자동차·조선 등 중공업 및 관련 공장 등 500여 개의 기업체가 집중해 있다.이 가운데 명촌동에 있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고, SK에너지는 단일 정유소 규모로는 세계 최대 수준인 연간 90만 배럴을 생산한다.

최근 중심도시의 팽창에 따른 공업분산으로 온산공업단지에 국내 유일의 동제련업체인 LS니꼬동제련(주) 등 비철금속과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비롯하여 서로 연관되는 크고 작은 공장들이 2000년 현재 약 108개소 가동되고 있다. 상북·두서·두동·달천 등의 농공단지는 총 조성면적 596.8㎢에 약 100여 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가행중인 16개 광산에서는 납석·수정·철광석·규사 등이 채굴된다.

5. 울산광역시 교통관광

경부고속도로가 남북으로 통과하고, 울산-언양 간 고속도로가 언양에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중앙부로 부산과 경주, 부산과 울산을 연결하는 2개 국도가 남북으로 통과하고, 밀양·언양·울산을 연결하는 국도가 동서로 통과한다. 서부로 부산·양산·경주를 연결하는 국도가 남북으로 통과하고 동부 동해안을 따라 감포·구룡포·포항을 연결하는 국도가 남북으로 지난다.

문화재 현황은 국보 2점, 보물 5점, 사적 5점, 천연기념물 3점, 민속자료 1점 등의 국가지정문화재가 있고 기념물 24점, 문화재자료 11점, 무형문화재 1점, 유형문화재 10점 등의 도지정문화재가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두동면 천전리 각석(국보 147)을 비롯한 국가지정문화재와 삼남면 상천리 국장생석표(지방유형문화재 16)가 있다. 관광지로는 울산공업단지, 학성공원, 가지산도립공원, 신불산, 석남사, 작천정, 대운산, 대송등대, 울기등대, 진하해수욕장, 일산해수욕장, 울산온천 등의 명소가 많고, 유적지로서 신라 진덕여왕(647∼654 재위)대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여 법맥을 이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폐사되었다고 하는 간월사와 남구 황성동에 있는 처용암이 유명하다.

교통이 편리하고 신라시대의 많은 유적지가 산재해 있을 뿐 아니라 산과 사찰들이 많아 해마다 관광객의 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6. 울산광역시 사회문화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중구 교동에 조선시대의 울산향교가 있다. 1652년(효종 3)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현재의 위치에 다시 중건하였다. 향교 이외에도 현종 때 지방유림 박종민(朴宗民) 등이 세웠다고 하는 삼일당(三一堂)은 1878년(고종 15) 이름을 양사재(養士齋)로 바꾸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1678년(숙종 4) 울산의 사림 54명이 세운 구강서원은 1694년 사액서원이 되었다. 그외에도 난곡서원(蘭谷書院)·학호서원(鶴湖書院)·용연사(龍淵祠)·다산사(茶山祠)· 지고사(芝皐祠)·충효사(忠孝祠) 등이 있었으나 조선 말기에 모두 철폐되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7년 설립된 현재의 울산초등학교가 최초이다. 1937년 울산공립농업학교가 설립되었고, 1969년 설립된 울산공과대학은 현재의 울산대학교이다. 1973년에는 울산대학교 병설 공업전문대학도 설립되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18개교, 중학교 61개교, 고등학교 53개교, 특수학교 3개교, 전문대(울산과학대학교·춘해보건대학교) 2개교, 대학교(울산대학교, 울산과학기술) 2개교 등이 있다.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5개소, 치과병(의)원 178개소, 한방병(의)원 146개소, 조산소 1개소, 부속부설병원 9개소, 보건소 5개소 등이 있다. 종교기관으로는 그리스도교 411개소, 천주교 18개소, 불교 208개소, 유교 1개소 등이 있다.

문화행사로서, 울산연극협회에서 주관하는 전국연극제가 2000년 제18회를 맞이했다. 해마다 15일간 열리는 울산예술제와 울산의 대표적인 전통 문화행사로서 처용문화제가 매년 10월에 열린다.

그 외에도 민속예술축제, 울산다향제, 정월대보름 달집살이, 일산진과 방어진 별신굿 등 전통문화행사가 해마다 개최되고 있다. 구에서 열리는 문화행사로는 중구의 건강식단전시회, 새천년맞이시계탑축제, 울산 태화강 축제, 주말거리패션쇼, 청소년어울마당 등이 있고, 남구의 고래축제, 동구의 동구 봉대산 지킴이 축제, 문화유적지 탐방, 자주 평화통일염원 구민 걷기대회, 해변축제 등이 있으며 각종 축제와 이벤트가 해마다 다양하게 개최된다.

출저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0898&cid=40942&categoryId=3383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이후로 지역발전이 ?구요 해외 수출 1호차 포니 라는 차가 울산공장에서 만들어진거였습니다..

울산에 화학공단 , 자동차 공장등 너무 공장이 많아서

태화강 오염이 심했습니다 전국에서 유명할정도였구요..

그리고 그당시 장관(이름이 기억안나여)께서 울산대학교를 만들죠

그이후로 1997년도에 울산광역시로 바뀝니다 (그전까지는 울산시였습니다)

1997년도 이후 imf라는 경제적 위기가오는데요..

유일하게 경제가 안정적이었던곳이 울산이었습니다 .. 현대관련 공장들이 있어서 다들 imf와 상관없이

지역이 발전하게됩니다.. (TV보시면 나오죠 울산 imf가 와도 경제가 안정적이었다구요)

저렇게 발전을하다보니 지금의 울산은 우리나라에서 돈 젤많이 버는 지역으로 발전했구요..

울산 평균 연봉 4000만원 넘어가죠.. 다른지역은 평균 2천만정도인데 ㅋㅋ..

지금울산은 현대중공업 , 화학공단 , 현대자동차덕분에 부자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더러웠던 태화강 물도 다시 1급수물로 바뀌었죠 (시장님께서 노력한결과입니다)

거기다가 지금 울산은 건물들도 엄청 짓고있죠 혁신도시 만든다고 아직까지도 발전중입니다..

울산 1인당 GNP 4만불이구요 세계적 top10에 들어갑니다.. 그만큼 잘사는도시로말이죠..

요약하자면.. 과거의 울산은 촌동네였다가 현대, 화학공단등 공업도시로 발전해서

지금은 세계 최고의 부자도시중 하나로 발전했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울산에대하여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울산에대하여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마니마니 줍니다 사회 숙제예요!!! 그이후로 지역발전이 ?구요 해외 수출 1호차 포니 라는 차가 울산공장에서 만들어진거였습니다.....

가는길좀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20

울산 남구 삼산동 롯데백화점 앞에서부터 동부산대학교 가는 길좀 알려주세요 급해요 ㅠㅠ 낼 2시까지 도착해야되요 대학교홈페이지에 오시는길에는 대학교 근처밖에...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울산 현대청운고, 명덕초등학교, 일산중학교 교가 좀 알려주세요~ 급해요 내공 마니드림ㅋㅋ 현대청운고 교가 (1절)화랑의 숨결 어린 무룡산 큰-자락에 청운의 꿈을 이뤄...

밀양역까지 가는길 좀알려주세요 급해요

... 제가원하는건 울산에서 밀양역으로 최대한빨리 도착하는겁니다 1시 이전에말이죠 어떻게 가능한방법이없는지 알려주세요 내공은 걸수잇는만큼다걸께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