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의 옛날.오늘날 모습(사진)과 설명 (각각3개씩 부탁드립니다)...

대구광역시의 옛날.오늘날 모습(사진)과 설명 (각각3개씩 부탁드립니다)...

작성일 2016.05.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대구광역시의 옛날.오늘날 모습(사진)과 설명 (각각3개씩 부탁드립니다) 급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구광역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광역시
휘장 슬로건

대구광역시의 지도

대구광역시 위치
좌표 북위 35° 52′ 17″ 동경 128° 36′ 05″ / 북위 35.87139° 동경 128.60139°좌표: 북위 35° 52′ 17″ 동경 128° 36′ 05″ / 북위 35.87139° 동경 128.60139°
행정
나라 대한민국
행정구역 1군
자치구 7
시장 권영진(새누리당)
인구
인구 2,518,467 명 (2015년)
인구밀도 2,850 명/km2
지리
면적 883.56 km2
상징
시목 전나무
시화 목련
시조 독수리
기타
시청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웹사이트 http://www.daegu.go.kr/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자 대한민국의 제3도시이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청송군, 서쪽으로 고령군, 성주군, 북쪽으로 군위군, 칠곡군, 남쪽으로는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과 인접한다. 팔공산비슬산 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편에 속하는 도시이며, 대구 특수형 기후 지역으로 분류된다.[주 1]조선시대에는 경상 감영 소재지로서 영남 지방의 중심지였다.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도시가 성장하면서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달성군 월배읍·성서읍·공산면, 칠곡군 칠곡읍, 경산군 안심읍·고산면을 편입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3월 1일 달성군을 편입하였다. 동성로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심을 형성하고 있다. 인구는 약 250만 명이고, 행정구역은 7 1이다. 시청중구 동인동에 있다.

역사[편집]

선사시대 ~ 남북국 시대[편집]

  • 대구의 옛 이름엔 (다벌)多伐, 달벌(達伐), (달불성)達弗城, (달구벌)達句伐, 달구화(達句火). 대구(大丘) 등이 있다. 모두 어딘가 비슷한 이름인데 한자의 뜻과는 관계없는 고유어의 음차. 이 가운데 물론 달구벌과 대구(大丘)가 가장 유명하다.
  • 달구벌이라는 말의 어원에 대한 설명은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 '달구'의 '달'에 "높다", "크다"의 의미가 있고, 신라의 계림사상에서 기원된 새로움 혹은 철기 문화의 상징인 '닭'에서 유래하였다는 연구자료가 있다. 그래서 달구벌은 대체로 '크고 넓은 벌판'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 선사시대 달구화(達句火)[주 2], 달구벌(達句伐), 달불(達弗), 달성(達城)으로 성읍이 형성되었다.
  • 청동기시대 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 261년(신라 첨해이사금 15년) 달벌성이 축조되었다. (244년 축성 시작)
  • 5세기말~6세기초 달구벌이 신라에 병합되어 달구화현(達句火縣, 達弗城)이라 칭하였다.
  • 689년(신라 신문왕 9년) 신라의 수도를 서라벌에서 달구벌로 천도하려 하였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위화군(喟火郡)을 수창군(壽昌郡)으로, 달구화현(達句火縣, 達句伐)이라 칭하던 것을 대구현으로 개칭하였다. 양주 관하에 두었다.
  • 927년(신라 경순왕 원년) 후백제 견훤고려 왕건 사이의 공산 전투가 현재의 팔공산 일대에서 있었다.
대구의 지방조직 변천
- 달구벌
5C말~6C초
양주 위화군 달구화현
757년
양주 수창군 대구현
940년
영남도 수성군 대구현
1018년
영남도 경산부 대구현
1394년
경상도 대구현
1419년
경상도 대구군
1466년
경상도 대구도호부
1895년
대구부 대구군
1896년
경상북도 대구군
1910년
경상북도 대구부
1949년
경상북도 대구시
1981년
대구직할시 -
1995년
대구광역시 -

고려[편집]

조선[편집]

조선 시대에는 대구도호부의 영역이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구, 서구, 동구 (안심동 제외), 북구 (옛 칠곡동 지역 제외), 수성구 (고산동 제외), 달서구, 달성군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제외), 청도군 각북면, 풍각면, 각남면에 이를 정도로 넓었다.

대한제국[편집]

  • 1899년(광무 3년) 2월 대구제일교회가 대구 최초 서양식 병원 제중원(동산병원의 전신)이 설립되었다.
  • 1899년(광무 3년) 7월 대구 최초 근대 중등교육기관 달성학교(1916년 대구고등보통학교 계승, 1950년 경북중학교와 경북고등학교로 분리, 1970년 경북중학교 폐교, 현 경운중학교 계승)가 설립되었다.
  • 1902년(광무 6년) 애덤스 선교사에 의해 신명여자소학교가 여성교육기관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 1905년(광무 9년) 달성공원이 조성되었다.
  • 1906년(광무 10년) 9월 24일 대구군 소속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은 청도군으로 이속하였다.[4]
  • 1906년(광무 10년) 10월 대구읍성 성벽이 대구군수 겸 관찰사 서리였던 박중양에 의해 황제의 윤허없이 철거되었다.[5] 또한, 경상감영의 선화당 정남쪽에 위치했던 포정문(布政門)의 문루인 관풍루를 지금의 달성공원으로 옮겼다.[6]
  • 1906년(광무 10년) 일제 통감부 이사청이 설치되었다.
  • 1907년(광무 11년) 2월 대구에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중심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하여 전국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 1907년(광무 11년) 대구 첫 영화관 금좌(錦座)가 현재 태평로2가에 문을 열어 12년 동안 번창하였다.
  • 1907년(광무 11년) 애덤스 선교사의 부인 부르엔(Marda Bruen)에 의해 여자중등학교로 신명여학교가 문을 열였다.[7]
  • 1908년(융희 2년) 경상감영의 객사와 주요 건물이 파괴되었고, 약령시를 현재 남성로로 이전하였다.
  • 1909년 경상북도관찰사로 부임한 박중양은 이른바 십자도로(포정동에서 서문로에 이르는 동서 도로와 종로에서 대안동에 이르는 남북 도로)를 개통하였으며, 공사비는 국고에서 지원됐다.[5]

일제 강점기[편집]

일제 강점기에 대구는 일본어로 다이큐(일본어: 大邱(たいきゅう))라고 불렀다.

미군정기[편집]

대한민국[편집]

대한군사원조(AFAK)의 자재원조로 지어지는 대구시청사 감사식(1955년)

※ 이후의 행정구역 변경에 대한 내용은 각 구별 문서로 대신한다.

지리[편집]

위치[편집]

대구는 영남 내륙지방의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서쪽으로 고령군, 성주군, 북쪽으로 군위군, 칠곡군, 남쪽으로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과 경계를 접한다.

지형[편집]


대구광역시 (지산동과 범물동)

대구는 높고 규모가 큰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북쪽에는 팔공산(1,193m)의 산줄기가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비슬산(1,084m)의 높은 산줄기가 이어져 있다. 하천으로는 신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북쪽에서 금호강과 합쳐진다. 대구 시가지는 신천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기후[편집]

전체적인 강수량은 적다. 최고기록기온이 41˚C, 최저기록기온이 -20.2˚C에 달한 적이 있었다. 대구는 대한민국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편이다. 1994년도에 기록한 41도는 관측 이래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최고 기온 기록이기도 하다. 이런 특수한 기후로 인해 지리적 기후 구분으로는 남부 내륙 중에서도 대구 특수형 기후에 속한다.

[숨기기]대구 (1981-2010)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최고기온℃ (℉) 5.5 (41.9) 8.3 (46.9) 13.5 (56.3) 20.6 (69.1) 25.3 (77.5) 28.3 (82.9) 30.3 (86.5) 31.0 (87.8) 26.7 (80.1) 21.9 (71.4) 14.7 (58.5) 8.2 (46.8) 19.5 (67.1)
일평균기온 ℃ (℉) 0.6 (33.1) 2.9 (37.2) 7.8 (46) 14.3 (57.7) 19.1 (66.4) 22.8 (73) 25.8 (78.4) 26.4 (79.5) 21.7 (71.1) 15.9 (60.6) 9.0 (48.2) 2.9 (37.2) 14.1 (57.4)
평균최저기온 ℃ (℉) −3.6 (25.5) −1.6 (29.1) 2.8 (37) 8.4 (47.1) 13.5 (56.3) 18.2 (64.8) 22.3 (72.1) 22.8 (73) 17.6 (63.7) 10.8 (51.4) 4.2 (39.6) −1.5 (29.3) 9.5 (49.1)
강수량 mm (inches) 20.6
(0.811)
28.2
(1.11)
47.1
(1.854)
62.9
(2.476)
80.0
(3.15)
142.6
(5.614)
224.0
(8.819)
235.9
(9.287)
143.5
(5.65)
33.8
(1.331)
30.5
(1.201)
15.3
(0.602)
1,064.4
(41.906)
습도 54.4 53.6 54.1 53.2 58.7 65.5 73.8 72.9 71.3 64.5 60.3 56.8 61.6
평균강수일수 (≥ 0.1 mm) 4.5 5.2 7.3 7.8 8.6 9.5 14.4 12.8 9.6 5.1 5.0 4.3 94.1
일조시간 193.5 185.2 202.9 220.4 229.7 183.8 151.3 165.3 161.1 203.2 180.0 189.7 2,266.0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29]

행정 구역[편집]

대구광역시청

대구광역시는 7개 ''와 1개 ''으로 이루어져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 등록 외국인 25,203명을 포함한 주민등록 인구는 970,618세대, 2,518,467명이다. 성별 인구는 남성 1,255,516명, 여성 1,262,951명이다.[30]

번호 자치구·군 한자 세대 인구 (명) 면적 (㎢) 행정구역
1 중구 中區 37,220 79,610 7.05
2 동구 東區 141,918 349,619 182.16
3 서구 西區 90,413 213,136 17.48
4 남구 南區 75,028 164,483 17.44
5 북구 北區 167,760 449,157 94.08
6 수성구 壽城區 165,197 457,976 76.47
7 달서구 達西區 224,083 615,140 62.34
8 달성군 達城郡 68,999 189,346 426.61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970,618 2,518,467 883.63

대구권[편집]

자치단체장[편집]

주거 지구[편집]

상인지구

택지개발사업은 대구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무주택 시민에게 양질의 택지를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수도·전기·통신·도시가스·난방 등 생활기반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고, 공원·학교·녹지·운동장 등 공공시설과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도시공사 시행 한국토지공사 시행 대한주택공사 시행
지산지구 (1992년)
범물지구 (1993년)
상인지구 (1994년)
노변지구 (1995년)
시지지구 (1997년)
용산지구 (1998년)
장기지구 (1999년)
동서변지구 (2002년)
죽곡1지구 (2007년)
죽곡2지구
불로지구 (1986년)
월배지구 (1987년)
안심1지구 (1987년)
천내1지구 (1988년)
천내2지구 (1990년)
칠곡1지구 (1993년)
칠곡2지구 (1994년)
성서지구 (1997년)
칠곡3지구 (2000년)
동호지구 (2002년)
칠곡4지구 (2005년)
율하1지구 (2008년)
신서지구
송현지구 (1987년)
월성지구 (1992년)
안심2지구 (1994년)
대곡지구 (1997년)
명곡1지구 (2001년)
명곡2지구 (2002년)
본리지구 (2004년)
매천지구 (2008년)
율하2지구
금호지구
옥포지구
연경지구

인구[편집]

대구광역시(에 해당하는 영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31]

연도 총인구  
1925년 76,534명
1930년 93,319명
1935년 107,414명
1940년 178,923명
1944년 206,638명
1949년 313,705명
1955년 487,252명
1960년 676,692명
1966년 845,189명
1970년 1,063,553명
1975년 1,310,768명
1980년 1,604,934명
1985년 2,029,853명
1990년 2,229,040명
1995년 2,449,420명
2000년 2,480,578명
2005년 2,464,547명
2010년 2,446,418명
2013년 2,501,588명
2015년 2,507,432명

교육[편집]

  • 고등학교
대구광역시의 학교 · 학생 · 교직원 현황 (2008년)
유치원(초등敎育) 초등학교(초등敎育) 중학교(중등敎育) 고등학교(중등敎育)
(일반계)
고등학교(중등敎育)
(전문계)
전문대학(고등敎育) 교육대학(고등敎育) 대학교(고등敎育) 대학원(고등敎育) 기타학교 합계
303개교 215개교 123개교 71개교 20개교 9개교 1개교 3개교 36개교 9개교 790개교
27,570명 178,029명 110,449명 86,544명 23,701명 60,161명 2,351명 48,797명 11,843명 1,965명 551,408명
2,406명 9,611명 5,896명 5,470명 1,816명 1,374명 147명 2,399명 278명 509명 29,906명
자료 : 대구통계연보[32]

문화·관광[편집]

문화재[편집]

종교[편집]

  • 대구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천주교 대목구가 설치된 곳이었다. 대구대교구의 대주교는 영남지역 전체를 관할하는 대구관구 관구장 주교도 맡는다. 주교좌 성당인 계산성당은 1899년 건립되었다.

시민들의 종교 중에선 불교 인구가 제일 많다. 2005년 기준으로 82만명이 불교를 믿는다고 응답했으며, 천주교의 24만명보다 4배 정도 앞선다. 대구뿐 아니라 영남 지역 전반이 불교 인구가 우세한 편이다.

시티투어[편집]

대구시의 관광자원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2일 시작된 시티투어는 각종 문화유적, 관광지, 시정현장 등을 순회하며 대구의 문화와 역사, 관광지 등을 둘러볼 수 있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

공원[편집]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성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2·28학생민주의거를 기념하여 조성된 2·28기념중앙공원, 조선시대 경상감영이 위치하였던 장소에 조성된 경상감영공원, 곽재우 장군의 호로 공원명을 지은 망우당공원, 동구 봉무동에 위치한 봉무공원, 달서구 두류동에 위치한 두류공원, 테마파크 이월드 83타워등이 있다.

교통[편집]

대구는 버스와 지하철이 주요한 이동 수단이다. 외부 지역 및 국가와는 항공, 철도, 버스 등으로 연결된다.

도로[편집]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이 대구를 관통하고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등 7개 고속도로 노선 및 5개 국도 노선이 시가지를 방사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신천대로,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등 도시고속도로로 확충되어 있다.

버스[편집]

  • 시외버스 : 두 개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다섯 개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전국 각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 시내버스 : 수입금의 분배는 대구광역시에서 맡아 하고, 버스의 운행은 개별 회사가 맡아 하는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도시 규모에 비해 도시철도망이 부족한 대구의 대중교통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버스 운임은 다음과 같다. 일반/좌석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200원, 청소년 900원, 어린이 5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100원, 청소년 770원, 어린이 400원이다. 급행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60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8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450원, 청소년 1,010원, 어린이 65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와 도시철도 모두 최초 교통 수단의 하차부터 30분 이내에 다음 교통 수단으로 갈아탈 경우 무료/할인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택시[편집]

중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8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10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1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소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2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5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5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경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1,8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2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2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 나드리콜 : 대구시에서 중증장애인, 만65세이상의 사람으로서 대중교통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콜택시이다. 기본요금이 1,000원이고 거리당 요금이 책정되며, 시내는 최대 3,300원 시외는 최대 6,600원이 한도이다.

철도[편집]

대구역동대구역에서 경부선, 경북선, 대구선, 동해남부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KTX 이용은 동대구역에서만 가능하다.

공항[편집]

동구 지저동에 대구국제공항이 있다. 제주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등 국내 및 상하이, 오사카, 베이징 등 외국 도시를 운행한다.

경제[편집]

2012년 대구의 지역내 총생산(GRDP)은 38조7천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2.4%이다.[33][34][35] 2013년 대구광역시의 1인당 개인소득은 16개 시도 중 6번째로 상위권이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은 1천538만원으로 울산 1천916만원, 서울 1천869만원, 부산 1천618만원, 대전 1천576만원, 제주 1천564만원에 이어 16개 시ㆍ도중 6번째로 높았다. 시ㆍ도 전체 명목 개인소득은 796조원으로 1년 전보다 30조원(3.9%)이 늘었다. 실질 지역 내 총생산 성장률(경제성장률)도 3.8%로 전국 5위를 나타냈다. 이밖에 대구의 지역 총소득은 52조6천억원으로 전국의 3.7%를 차지했으며 지역 내 총생산 대비 지역 총소득 비율은 117.3 수준이었다.[36][37]

기업[편집]

반월당

산업 단지[편집]

산업단지 명 위치(구·군) 면적(천㎡) 업체수 등급 비고
성서산업단지 달서구, 달성군 다사읍 10,835 2,566 지방 1, 2, 3, 4, 5차
달성산업단지 달성군 논공읍, 구지면 6,820 316 지방 1, 2차
대구염색산업단지 서구 비산7동 855 124 지방 비산염색공단
검단산업단지 북구 검단동 796 323 지방
옥포농공단지 달성군 옥포면 160 38 농공
구지농공단지 달성군 구지면 193 23 농공
제3공단 북구 노원동 1,094 991 일반
서대구공단 서구 상중이동 2,417 533 일반
현풍공단 달성군 현풍면 265 8 일반
대구 사이언스 파크 달성군 구지면 265 8 국가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동구 신서동 1,030 0 국가 2009~2038년

의료 기관[편집]

1000여개 병상 규모의 동산동에 있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대명동에 있는 929병상 규모의 영남대학교 의료원, 삼덕동에 있는 880병상의 경북대학교병원, 775병상 규모의 대명동에 위치한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신암동에 위치한 503병상 규모의 대구파티마병원, 상동에 위치한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등이 있다.

의료관광산업[편집]

2008년 10월 대구광역시는 '메디시티: 대구'를 선언하고 의료관광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대구시는 첨단의료 복합단지를 조성하고 의료기기, 의약품 등 의료산업 전반에 걸친 투자, 기존 관광자원을 개선하여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중이며,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의료관광클러스터 조성 사업지로 대구광역시를 지정하였다.

언론·통신[편집]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인 TBC, 공영 방송사인 KBS 대구방송총국, 대구문화방송이 주요 방송사이다. 그 밖에 라디오방송사는 대구교통방송, CBS대구방송, 대구극동방송, 대구평화방송, 대구불교방송, 대구원음방송, 대구국악방송, SBS 대구지국 등이 있다. 케이블방송사는 CMB 대구방송, HCN 금호방송, TCN 대구방송, 푸른방송 등이 있다.

주요 신문사로는 매일신문영남일보, 대구신문, 대구일보 등이 있다.

스포츠[편집]

프로야구단 삼성 라이온즈2002년에 창단된 K리그 챌린지 대구 FC(최초의 시민구단)가 대구를 연고지로 한다.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프로 야구 삼성 라이온즈 1982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K리그 챌린지 대구 FC 2002년 대구 스타디움
대구시민운동장[38]

군사[편집]

역대 시장[편집]

출신 인물[편집]

자매우호도시[편집]

다음 도시와 자매결연 또는 우호협력 관계를 맺었다. [39]

자매결연도시[편집]

도시 국가 자매결연시기
조지아 주 애틀랜타 미국 1981년 11월 10일
알마티 카자흐스탄 1990년 11월 26일
산둥 성 칭다오 시 중화인민공화국 1993년 12월 4일
미나스제라이스 주 브라질 1994년 6월 21일
히로시마 현 히로시마 시 일본 1997년 5월 2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1997년 11월 3일
플로브디프 불가리아 2002년 10월 14일
타이베이 시 중화민국 2010년 11월 4일
저장 성 닝보 시 중국 2013년 6월 8일
밀라노 이탈리아 2015년 7월 2일
사천 성 청두 시 중국 2015년 11월 10일

자매우호도시[편집]

도시 국가 자매우호시기
양저우 시 중화인민공화국 2003년 3월 21일
옌청 시 중화인민공화국 2003년 12월 7일
선양 시 중화인민공화국 2003년 12월 9일
다낭 시 베트남 2004년 10월 21일
고베 시 일본 2010년 7월 23일
호치민 시 베트남 2015년 5월 29일

참고[편집]

내용주[편집]

  1. 이동 1942년 8월 11일에 대구의 최고 기온이 40도였다.
  2. 이동 달구벌, 달구화, 달불 등은 모두 똑같은 한국말을 각기 다른 한자로 표기했을뿐인 차자표기이다. 벌이란 벌판의 뜻으로 伐(벌), 弗(불) 등은 우리말 벌과 비슷한 소리를 빌려적은 음차표기이고, 火은 한자의 뜻인 <불>을 빌려적은 석차(釋借)표기이다.

참조주[편집]

  1. 이동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7)대구읍성(상)
  2. 이동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3. 이동 칙령 제36호 (1896년 8월 4일)
  4. 이동 칙령 제49호 (1906년 9월 24일)
  5. 이동: 김종욱의 달구벌 이야기 (8) 대구읍성(하)
  6. 이동 <대구 자랑.3> 경상감영(慶尙監營)
  7. 이동 스토리가 있는 대구 도심 (14) 동산 스토리 ③여성, 주인공으로 서다
  8.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9. 이동 경상북도령 제10호 (1911년 11월 14일)
  10. 이동 경상북도 고시 제38호 (1911년 11월 14일)
    경상북도고시 제38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구부 서상면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달성동, 쇄환동, 서내동, 북내동, 동산동, 계산동, 남산동, 남하동, 남중동, 남외동 대구부 대구면 팔운정·수정(壽)·명치정1정목·명치정2정목·시장정·북내정·횡정·시장북통·서내정·남성정·수정(竪)·달성정·본정1정목·본정2정목·서성정1정목·서성정2정목·팔중원정·경정1정목·원정2정목·서천대전정·금정2정목·상서정·하서정·신정·남산정
    대구부 동상면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사일동, 사이동, 남성리, 칠성리, 신전리, 용덕리,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대구부 대구면 덕산정·경정2정목·대화정·원정1정목·동천대전정·금정1정목·동운정·행정·궁정·삼립정·남용강정·북용강정·동성정1정목·동성정2정목·동성정3정목·남정·동본정·남욱정·북욱정·전정(田)·전정(前)·영정·봉산정·촌상정·칠성정·상정·동문정·신상동·신천동·신하동·가암동
  11. 이동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한길사, 2004) 27쪽.
  12.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52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구부 대구면 팔운정 등 대구부 팔운정 등
    대구부 대구면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달성군 수성면 신천동·신암동
  13.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9호 (1917년 2월 15일) (53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9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 일부, 봉덕동 일부 대구부 대봉정
  14.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년 9월 27일) (81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성북면 침산동·산격동·검단동·복현동 대구부 침산동·산격동·검단동·복현동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봉덕동·두산동·지산동·범물동·황청동·범어동·효목동·만촌동·상동·중동·하동·신천동·신암동 대구부 대명동·봉덕동·두산동·지산동·범물동·황청동·범어동·효목동·만촌동·상동·중동·하동·신천동·신암동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조야동·평리동·비산동·노곡동·성당동·내당동·상리동·중리동·이현동 대구부 원대동·조야동·평리동·비산동·노곡동·성당동·내당동·상리동·중리동·이현동
  15. 이동 대구부 조례 제22호 (1938년 11월 2일)
  16. 이동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부 팔운정·수정(壽)·명치정1정목·명치정2정목·시장정·북내정·횡정·시장북통·서내정·남성정·수정(竪)·달성정·본정1정목·본정2정목·서성정1정목·서성정2정목·팔중원정·덕산정·경정1정목·경정2정목·대화정·원정1정목·원정2정목·동천대전정·서천대전정·금정1정목·금정2정목·동운정·행정·궁정·삼립정·남용강정·북용강정·동성정1정목·동성정2정목·동성정3정목·남정·동본정·남욱정·북욱정·전정(田)·전정(前)·영정·봉산정·촌상정·칠성정·상정·동문정·상서정·하서정·신정·남산정·대봉정 대구부 수창동·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동산동·북내동·서야동·시장북로·서내동·남성로·인교동·달성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도원동·덕산동·종로1가·종로2가·대안동·북성로1가·북성로2가·동일동·장관동·태평로2가·태평로3가·동인동·태평로1가·사일동·삼덕동·공평동·완전동·동성로1가·동성로2가·동성로3가·남일동·교동·문화동·상덕동·화전동·전동·용덕동·봉산동·향촌동·칠성동·포정동·동문동·상서동·하서동·대신동·남산동·대봉동
  17. 이동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18. 이동 대구시 조례 제10호 (1951년 6월 9일)
  19. 이동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동인동, 삼덕동, 칠성동 대구시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칠성동1가·칠성동2가
  20. 이동 대구시 조례 제26호 (1953년 4월 1일)
  21. 이동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1월 6일)
  22. 이동 (11출장소 148법정동)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동촌면 지저동·도동·입석동·불로동·봉무동·검사동·둔산동·방촌동·부동·평리동 대구시 지저동·도동·입석동·불로동·봉무동·검사동·둔산동·방촌동·부동·신평동→동촌출장소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상동·하동·대천동 대구시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월성동·월암동·대천동→월배출장소
    달성군 성서면 파호동·파산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용산동·죽전동·갈산동·장동·장기동·본리동·송현동·감삼동 대구시 파호동·파산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용산동·죽전동·갈산동·장동·장기동·본리동·송현동·감삼동→성서출장소
    달성군 가창면 파동·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 대구시 파동·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가창출장소
    달성군 공산면 덕산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지묘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도학동·진인동·능성동·평광동·동변동·서변동·연경동 대구시 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지묘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도학동·진인동·능성동·평광동·동변동·서변동·연경동→공산출장소
    시조례 제108호 동명개칭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하동(동부출장소) 대구시 수성동
  23. 이동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24. 이동 (5구 101법정동)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봉산동·교동·태평로1가·용덕동·상덕동·완전동·동성로2가·동문동·문화동·공평동(중부출장소) 대구시 중구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봉산동·교동·태평로1가·용덕동·상덕동·완전동·동성로2가·동문동·문화동·공평동
    대구시 덕산동·상서동·하서동·남성로·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장관동·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1가·동성로3가·전동·종로1가·종로2가·북성로1가·북성로2가·서내동·북내동·대안동·포정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야동·인교동·동산동·시장북로·대신동·달성동·수창동·도원동·화전동·향촌동·태평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종로출장소) 대구시 중구 덕산동·상서동·하서동·남성로·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장관동·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1가·동성로3가·전동·종로1가·종로2가·북성로1가·북성로2가·서내동·북내동·대안동·포정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야동·인교동·동산동·시장북로·대신동·달성동·수창동·도원동·화전동·향촌동·태평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
    대구시 신암동·신천동·효목동·만촌동·범어동·황청동·지산동·범물동·두산동·상동·중동·수성동(동부출장소)·파동 대구시 동구 신암동·신천동·효목동·만촌동·범어동·황청동·지산동·범물동·두산동·상동·중동·수성동·파동
    대구시 평광동·봉무동·불로동·도동·지저동·입석동·검사동·방촌동·둔산동·부동·신평동(동촌출장소) 대구시 동구 평광동·봉무동·불로동·도동·지저동·입석동·검사동·방촌동·둔산동·부동·신평동 → 동구 동촌출장소
    대구시 성당동·내당동·비산동·평리동·중리동·이현동·상리동·원대동·노곡동·조야동(서부출장소) 대구시 서구 성당동·내당동·비산동·평리동·중리동·이현동·상리동·원대동·노곡동·조야동
    대구시 남산동·대봉동·봉덕동·대명동(남부출장소) 대구시 남구 남산동·대봉동·봉덕동·대명동
    대구시 칠성동1가·칠성동2가·태평로3가·침산동·산격동·복현동·검단동(북부출장소)·서변동·동변동 대구시 북구 칠성동1가·칠성동2가·태평로3가·침산동·산격동·복현동·검단동·서변동·동변동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지묘동·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진인동·도학동·능성동·연경동(공산출장소) 달성군 공산면 지묘동·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진인동·도학동·능성동·연경동
    대구시 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가창출장소) 달성군 가창면 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
    대구시 갈산동·파산동·파호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본리동·감삼동(성서출장소) 달성군 성서면 갈산동·파산동·파호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본리동·감삼동
    대구시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월암동·월성동·송현동(월배출장소)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월암동·월성동·송현동
  25. 이동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년 1월 27일)
  26. 이동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 (1981년 4월 13일)
  27. 이동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28. 이동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29. 이동 “평년값자료(1981-2010) 대구(143)”.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7일에 확인함.
  30. 이동 주민등록인구통계(2015)
  31. 이동 통계옥, 인구주택총조사
  32. 이동 2009년도 대구통계연보 "14.교육 및 문화 (학교 총개항)"
  33. 이동 대구경제수준 꼴찌? 유시민의 심각한 오해《대자보》2008년 1월 17일 홍헌호 시민경제사회연구소 연구위원
  34. 이동 대구경제 전국 꼴찌 이유있네《CBS》2009년 10월 29일 정인효 기자
  35. 이동 대구, 생산은 `꼴찌` 소비는 `최고`《경북매일》2013년 5월 8일 김영태 기자
  36. 이동 대구 작년 개인소득 전국 6위·경제성장률 5위《대구일보》2014년 12월 25일 김명환 기자
  37. 이동 수직상승한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대구신문》2014년 12월 25일
  38. 이동 제2 홈구장
  39. 이동 자매우호도시

바깥 고리[편집]

대구광역시의 유.무형의 문화자원...

... 공모소재가 대구광역시의 유.무형의 문화자원이네요... ㅜㅜㅜ 이름,설명,사진 부탁드립니다! 내공... 현 모습으로 고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관청건물은 남아있는 것이...

대구광역시에있는 경관명소들

대구에 있는 관광지나 유적지를 사진으로 전부찍어서... 올려드립니다. (대구광역시 동구의 문화재) 1.동화사 입구... 개성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부피감을 느낄 수 있는...

음식에 대해서 설명&사진 부탁드립니다..

... 옷 사진이랑 음식 사진있는곳 알려주세요.. 급합니다. 그리고 터키의 경제에 대해서도 부탁드립니다. 인터넷에... 케밥 오늘날 세계는 한지붕 밑에 사는 사람들처럼 거리상...

여러가지 민속놀이 사진,설명좀요

여러가지 민속놀이 사진,설명부탁드립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저포는 오늘날의 윷놀이를 말하는 것으로... 팽이치는 모습 팽이라는 말은 18~19세기에 생긴 말이며, 그...

백제,고구려,신라,가야의 문화재

... 문화재를 사진,설명과 함께 각각3개씩 알아보려고... 사진: 이런식으로 부탁하겠습니다. 삼국과 가야의... 왼손의 세번째와 네 번째 손가락을 구부리고 있는 모습은...

대구의 유형 무형문화재 좀 ...ㅎ

대구광역시 유형&무형의 문화자원 좀 찾아주세요@ ex)... 약간의 설명사진부탁드립니다 ^^ 8월 11일 수요일... 현 모습으로 고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관청건물은...

신라의 도읍지 경주의 유적과 유물

경주의 유적과 유물 각각 3개씩 사진과 간단한 설명부탁드립니다. 최대한 오늘... 첨성대 첨성대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 된 천문대로서 1350년이 지나고도 옛날의 그 모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