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있는 문예창작과??

서울에있는 문예창작과??

작성일 2013.12.1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서울권에 문예창작과가있는대학이 어디어디인가요??
2.수시등급이 어느정도 인가요?
3.정시등급은 어느정도 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서울권 문창과 대학

 

중앙대 동국대 단국대 명지대 숭실대 한신대 과기대 추계예대 서울예대

 

한양여대 명지전문대 숭의여대 등.

 

1. 수시 실기 있는 학교 :

동국대(언외 3) 

단국대(언외사 4) 

중앙대(내신 3, 수능 최저 2 한과목) 

서울예대(내신 5) 

한양여대(내신 5)

 

2. 수시 문학특기자로 선바하는 학교

명지대 /중앙대 /과기대 /숭실대 /한신대 /추계예대 /경희대 국문과

* 문학특기자 전형은 모두 내신 상관없음. 수상한 백일장 규모가 더 중요.

 

3. 정시 실기로 선발하는 학교

명지대(수능 언외수사4)

숭실대(수능 언외3) 

단국대(수능 언외사4) 

추계예대(수능 언외4) 

서울예대(내신 4-5)

 

 

문창과 수시 실기는 매년 경쟁률이 거의 30:1입니다.

 

문창과가 목표라면 일찍부터 준비하여 내신과 관계없이 대학 진학하는 문학특기자 전형을 노리시는 게

 

유리합니다.

 

 

고도창작원은 2013년 삼십여 명의 학생으로 백일장&공모전 180회 수상하였고,

 

전국 규모 백일장에서 장원을 16회 수상하였습니다.

 

8년간 260명 이상 경희대 중앙대 동국대 단국대 숭실대 명지대 한예종 서울예대 등 합격하였습니다.

 

대한민국 1등 창작원, 고도창작원.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명지, 숭실, 동국, 추계예대입니다.

 

2. 아래 전부 적었습니다^^ (주요 문창과 등급)

 

3. 아래 전부 적었습니다.

 

 

 

 

답변확정 후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 댓글 바로 달아드립니다^^

(맨 아래 사진 누르시면 됩니다^^)

 

연말에 콩기부하고 있습니다. (답변확정 버튼 꼭 눌러주세요. 소외된 이웃들을 도와주세요!!!ㅠ)

 

 

 

 

 

 

 

<<<多:1 수업 받으면 그냥 돈 버립니다.>>>

 

문예창작은 학과 이름에서 벌써 정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창작--------> 정답이 없다. 너네가 마음껏 기량을 발휘해라. 너희들의 참심한 눈을 보겠다.

 

문장은 기본이고요.

 

서사로 갈지, 묘사로 갈지는 본인의 마음입니다.

 

이 학교는 묘사를 많이 본다? 예, 그건 서울예대입니다.

 

다른 대학은 그런거 없습니다.

 

마음껏 용지에 너희들의 창작물을 그려봐라입니다.

 

누구한테 배워서 실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그런거 절대 없습니다.

 

수능 언수외탐은 가능합니다. 그건 공식을 문제에 적용하는 과목이니까요.

 

문예창작은 창작입니다.  

 

배워서 실력이 느는게 아닙니다. ----------->> 시험장 들어가기 전까지 독서를 하셔야됩니다.

 

힘내시고요!!!!

 

다 읽고 답변확정 부탁 드려요!!!

 

<아래는 대학별 등급 및 문창과 실기에대한 조언을 적었습니다>

 

 

1, 2 학년이시면 당연히 우선적으로 독서가 정말 중요합니다.

 

보통 정신나간 과외나 이상한 기관들은 맹목적으로 글을 작성하라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다른데 있는게 아니라 수업을 채우기 위해서입니다.

 

회비를 챙겨서, 그 돈으로 술을 퍼마시거나 커피를 사먹기 위해서죠.

 

위에도 말했듯이 정신나간 과외나 기관을 말하는 겁니다.

 

그런 돌팔이들에게 당하지 않기위해서는 독서를 하셔야 됩니다.

 

본인이 독서량이 낮으면 질질 끌려답니다.

 

(예를들어서 외국작품들 몇개 추천해주면 그 사람이 굉장한 독서량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문창과 입시만큼은 문단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글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작년 신춘문예 당선작 펑키록스타일 빨대에 관한 연구, 젤리피시 --> 대박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가르치는 사람들은 누구나 추천할 수 있는 작가들만 추천합니다.

 

본인이 철저하게 신인작가들 소설까지 읽고, 그중에 좋은 작품을 학생들에게 권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선생들은 권위적인 척 하면서 학생들에게 이런저런 요구만 해대죠.

 

필사해라, 과제 꼭 해와라 등등, 그런 말은 초등학생도 할 수 있습니다)

 

본인 스스로 책 뒷부분에 평론까지 제대로 정독을하고,

 

소설을 보는 안목을 높이면 절대로 그런 일은 없습니다.

 

과외 선생님과 맞먹는 정도까지는 아니라도 적당한 선에서 토론정도는 해야됩니다.

 

과외는 위와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학생들은 어리고 순박해서 절대로 과외선생이나 잡기관에게 요구를 못 합니다.

 

일단 어른한테 맹목적으로 공손해야된다는 생각이 뇌속에 박혀있기 때문이죠.

 

90%는 그냥 돈만 갖다 줍니다.

 

주입식 교육에 익숙하기 때문이겠죠.

 

문예창작은 말그대로 창작입니다.

 

창작은 이론을 암기하고 문제풀이를 하는 행위가 아닙니다.

 

정신없이 독서하면서 틈틈이 자신만의 독특한 글을 써나가야 됩니다.

 

그리고 그 옆에 조언자 (과외선생)을 둬야 됩니다.

 

간혹, 자신을 굉장히 과대포장하는 과외 선생도 있는데

 

그 양반들이 그렇게 잘났다면 진작에 등단해서 이미 작가로서 활동하고 있겠죠.

 

입시는 입시답게 가르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교수흉내를 내면서 가르치는 사람한테는 절대로 과외를 받으면 안 됩니다.

 

그리고 대학생활에 대해서 말해주는 사람들, 어차피 대학생이고 만나는 사람 뻔한데 굳이

 

귀한 수업시간에 말하는 건 말이 안되죠.

 

저는 단지 소설을 절실하게 좋아하는 독자에 불과히지만 그런 짜집기 과외 및 잡스런 기관에

 

역겨움을 느껴왔기에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 아래 작성한 글을 천천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공부 방향을 잡아드리겠습니다. 대학별 등급도 적었습니다.

 

 

 

* 多 : 1 수업 위험성 * 

 

과제에 대해 한 사람당 10분씩 첨삭을 한다고 가정합시다.

6명 정도를 앉혀 놓고 수업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6 X 10 = 60분

(이런저런 시간 다 치면 80분도 날라갈 겁니다.)

보통 주2회 회당 2시간 30분 ~ 3시간 수업이 이루어집니다.

180분 - 80분 = 100분이 남습니다.

 

100분으로 시간을 어떻께 때울까요? 글을 쓰겠죠.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ㅋㅋㅋ

 

집에서 연습해도 충분한데 왜 수업시간에 쓰게 만들까요? 본인이 편하기 때문이죠. 

 

 

그럼 수업을 듣고 집에 갈때 남는 건 뭘까요? 결론은 없습니다.

 

 

두 시간 동안 글씨 연습하고 집에 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 어떤 식으로 가르치는지 궁금하시면 1회 다녀보시기 바랍니다. ***

 

----> 아마 충격 받으실 겁니다.

 

 

 

 

 

 

* 인터넷에 떠도는 이력들 *

 

100명 투입해서 10명 합격 ------> 광고

 

그리고 운문인지, 산문인지, 대회규모 정확하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나머지 90명 ------> 돈 시간 날리고 재수, 삼수, 군대 등등등

 

질문자님께서 문학특기자 이력을 쌓으시려면 다른 건 다 제쳐두시고

   

독서를 하셔야 됩니다.

   

多 : 1 수업이 무서운 이유는 독서가 아닌 맹목적으로 글을 쓰라고만 강요합니다.

 

이유는 위에서도 말했지만 그냥 자신들이 편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이유 없습니다.

 

--> 10분이면 첨삭 끝, 다음 시간에 만나요^^ 라고 리드미컬하게 안내방송 때리면 그만이니까요.

 

모든 多:1 과외가 잘못된 건 아닙니다.

 

多:1 과외가 좋은 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그냥 앉아있다 옵니다.

 

생각해보세요. 6명중에서 한명이 첨삭받는 동안 다른 학생들은 뭐할까요?

 

그냥 무슨 얘기하나 듣고만 있는 겁니다.

 

제가 들은게 있어서 그렇습니다.

 

 

 

 

 

 

 

독서 없이 글을 쓰는 건 중학생이 기본도 없이, 수능 문제를 푸는 짓입니다.

 

문학특기자로 가기 위해서는 수상경력이 중요합니다.

 

수상실적을 쌓고 싶으실 겁니다.

 

백일장 수준을 알고 싶으시다면

 

백일장 모음집, 대산청소년문학상 모음집을 구입하거나 도서관에 빌려서 보시기 바랍니다.

 

잘 썼나요? 

 

창의성이 엿보이는 글들도 많지만 이게 왜 수상했지? 라는 글들도 태반입니다.

 

대회 수준에 따라서, 그리고 운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죠.

 

그럼 그 정도라도 쓰기 위해서는 어떤 행동을 취해야 될까요?

 

지겹게 말씀드리지만 독서를 하셔야 됩니다.

 

책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상문학상 2006~2013, 젊은작가상 1회~4회

 

전부 빌려서 재미있게 보시기 바랍니다.

 

단, 책을 재미로만 읽지 마시고, 도입부를 중점으로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 정도 읽어주시면 좋아하는 작가님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작가님들 단편집을 본인이 선별해서 읽어주시면 됩니다.

 

단, 중간고사, 기말고사는 철저하게 준비하셔야 됩니다.

 

내신이 낮으면 고3 때 정말 후회합니다.

 

최소 시험 2주 전부터는 준비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3학년 겨울방학에 과외 선생님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당연히 문학특기자로 대학에 들어간 대학교 고학년한테 받으셔야 됩니다.

 

(과외도 돌팔이가 많기때문에 수상했던 서류들, 학생증 등 전부 확인하시고

 

1회 시범과외를 받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과외를 받으라는 이유는 다른데 있는게 아닙니다.

 

제대로 된 공부 방향과 백일장 준비를 위해서죠.

 

과외, 혹은 누군가에게 배워서 글을 잘 쓰게 된다는 건 사기입니다.

 

선생은 옆에서 도와주는 조력자에 불과합니다.

 

본인이 다독, 다작, 사고를 통해서 글을 만들어 내야 됩니다.

 

(김중혁, 김언수 작가님 소설도 추천합니다. 백일장,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창의성입니다.)

 

입시에 대한 걱정이 많을 것 같아서 덧붙이면

 

독서 많이하세요. 정말 자신감이 생깁니다 ------> 정말 해보시면 압니다.

 

헬스해서 몸을 부풀리면 자신감이 생기는 것과 비슷하다고나 할까요? ㅎㅎ

 

하지만 꾼들에 의해서 질질 끌려다니면..... 재수하셔야 됩니다.....

 

누구도 그런 불행한 결과에 대해서 보상해주지 않습니다.

 

쓸데없이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예창작 정시 지원 변경

 

 

 

 

 

 

 

 

 

 

숭실대 문예창작 - 다군 수능 50%(국어 영어) + 실기 50%

이전 합격자 기준으로 국어 영어3등급 확보하셔야 됩니다.

수시 : 문학특기자

 

 

 

 

 

 

 

 

 

명지대 문예창작 - 나군 1단계 학생부50% + 수능50% <6배수>
2단계 학생부25% + 수능25% + 실기50%

국어 수학 영어 최소 -> 최소 4등급 극초반은 확보하셔야 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최소입니다.

수시 : 문학특기자

 

 

 

 

 

 

 

 

 

 

추계예대 문예창작 - 가군 학생부 20% + 수능 20% + 실기 60%

국어 영어 최소 -> 최소 4~5등급 극초반은 확보하셔야 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최소입니다.

단, 실기를 상당히 잘 보셔야 됩니다. 추계 백일장을 봐도 창의력을 상당히 많이 봅니다.

진부하거나 어정쩡한 글을 쓴다면 곧바로 탈락입니다.

(수시는 수상실적 100%입니다)

수시 : 문학특기자

 

 

 

 

 

 

 

 

 

동국대 (수시1 차만 지원가능) - 1단계 (5배수) : 학생부 40% + 실기 60%

2단계 : 1단계 점수 90% + 면접 10%

학생부 국어, 영어만 반영합니다.

5등급도 합격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는 하지만 내신 국어 영어 3등급을 필요할 듯 합니다.

정시 폐지됐습니다. 수시에서만 인원을 모집합니다.

 

 

 

 

 

 

 

 

 

 

단국대 문예창작 - 나군 학생부 30% + 수능 20% + 실기 50%

언외탐 4~5등급

 

 

 

 

 

 

 

 

 

 

 

중앙대 - 수시 : 학생부 50% + 실기 50% - (최저학력기준 언 수 외 중 1개 영역 2등급 이내)

                   수상실적 80% + 20% (최저학력기준 없음)

정시 : 수능 100%

 

 

 

 

 

 

 

 

 

과기대 (서울) - 수시 : 학생부 20% + 수상실적 80% - (최저학력기준 언어영역 5등급 이내)

정시 : 수능 100%

 

 

 

 

 

 

 

 

 

 

한신대 - 수시 : 학생부 20% + 수상실적 40% + 면접 40%

정시 : 언외탐 3~4등급 선

 

 

 

 

 

 

 

 

 

 

 

서울예대 - 실기가 절대적입니다.

내신은 국어 영어만 반영합니다. 6등급 이하만 아니면 상관 없습니다.

 

 

 

 

 

 

 

 

 

고대 (세종) : 정시 언외탐 3등급 극 초반

 

답변확정 부탁 드립니다^^

 

전국 대학 문예창작과 현황

 

 

문예창작학과 (2,3,4년제, 일부 관련 전공 포함)

 

 

 

강원대학교 스토리텔링학과 /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2 192-1)<200-701>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커뮤니케이션 문화학부 미디어문예창작전공트랙 / 충주시 충원대로 268 <380-701>

건양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충남 논산시 대학로 119<320-711>

경기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 94-6 <442-270>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1 <130-701>

계명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대구시 남구 대명 7 2139 <705-701>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 208 <339-700>

광주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광주시 남구 진월동 592-1 <502-703>

국제대학교 문예창작과 / 경기도 평택시 장안동 산45 <459-070>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29 <330-714>

대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대전시 동구 용운동 96-3 <300-716>

대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대진대학교 <487-711>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중구 필동 3 26 <100-715>

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성북구 월곡동 23-1 <136-714>

동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2 840번지 <604-714>

동의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부산시 부산진구 가야동 산24 <614-714>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방송문예학과 /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동 318-18 <120-090>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50-3 <120-728>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3 356-1 <120-776>

백제예술대학교 방송시나리오극작과 / 전북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산30 <565-90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172 <139-743>

서울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전공 / 서울 강남구 신사동 634-10번지 <135-895>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 640 <425-020>

서일대학교 문예창작과 / 서울시 중랑구 면목 8 49-3 <131-208>

세명대학교 미디어창작학과 / 충북 제천시 신월동 579번지 <390-711>

순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전남 순천시 매곡동 315 <540-742>

숭실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동작구 상도 5 1-1 <156-743>

숭실사이버대학교 방송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 369 <156-743>

숭의여자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과 / 서울시 중구 예장동 8-3 <100-751>

신흥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과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117 <480-020>

우석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전북 완주군 삼례읍 490번지 <565-701>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전북 익산시 신룡동 344-2 <570-749>

장안대학교 디지털문예창작과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상리 460 <445-756>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광주시 동구 서석동 375 <501-759>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내리 <456-756>

추계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190-1 <120-763>

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안성읍 석정동 67 <456-749>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충북 충주시 대학로 72 <380-702>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 성북구 예술길 120-3 <136-716> *서사창작과(협동과정), 극작과(연극원)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133 <300-791>

한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충남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 360 <352-820>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 411 <447-791>

한양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17 <133-793>

협성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상리 14번지 <445-745>

호서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문화콘텐츠창작전공 /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120-1 <330-713>

 

 

일반대학원 문예창작학과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대학원 동화미디어창작학과(협동과정) / 충주시 충원대로 268 <380-701> ,박사

경기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 94-6 <442-270> 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대구시 달서구 신당동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704-701>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 성북구 안암동 <136-701> ,박사

광주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광주시 남구 진월동 592-1 <502-703> ,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26 <448-701> ,박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대전시 동구 용운동 96-3 <300-716> 석사

대진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대진대학교 <487-711> 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2 840번지 <604-714> ,박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대문구 남가좌동 50-3 <120-728>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172 <139-743> 석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전공 / 서울시 노원구 공릉2 126 <139-774>,박사

순천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전남 순천시 매곡동 315 <540-742> 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동작구 상도5 1-1 <156-743>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전북 익산시 신룡동 344-2 <570-749> ,박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광주시 동구 서석동 375 <501-759>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221 <156-756> ,박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190-1 <120-763> ,박사

한남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133 <300-791> ,박사

협성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상리 14번지 <445-745> 석사

 

 

 

특수대학원 문예창작학과

고려대학교 예술대학원 문학예술학과 /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 208 <339-700>

국민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861-1 <136-702>

동국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중구 필동 3 26 <100-715>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성북구 월곡동 23-1 <136-714>

명지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대문구 남가좌동 50-3 <120-728>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221 <156-756>

한국교통대학교 인문대학원 한국어문학과 / 충북 충주시 대학로 72 <380-702>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문학예술과 /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133 <300-791>

한신대학교 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 / 서울 동작구 사당동 1007-39 우석빌딩 3.4 <156-090

서울에있는 문예창작과??

1.서울권에 문예창작과있는대학이 어디어디인가요?? 2.수시등급이 어느정도 인가요? 3.정시등급은 어느정도 인가요?? 1. 명지, 숭실, 동국, 추계예대입니다. 2. 아래 전부...

고1 문예창작과 실기 입시

... 문예창작과 주요 대학들(동국대 서울예대 중앙대) 이 대학들 꼭 가고싶습니다(실기... 안정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과목별 내신 등급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뭐...

서울에있는 문예창작과

... 한예종이나 서울예대 문창과쪽을 지원하려 하는데... 제가... 인망있는 대학을 준비하고 싶은데 도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작성자님. 문예창작과 입시와...

고2 자퇴자 문예창작과

... 문예창작과는 실기 전형으로 학생 대부분을 선발합니다. 서울예대 같은 곳은 실기 비중이 90% 될 정도입니다.... 자신이 목표하는 학교에서 수학 경험이 있는 선생님이 그...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 서울예대 문예창작과의 수시 정시 전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그리고... 문예창작 교육과 문학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는 링크를 글 말미에...

문예창작과 입시 학원

경기 서울에 있는 문예창작과 입시 학원 추천 부탁드려요 이제 고2 이고 글에 대해서는 취미로 시를 쓰는 것 외에는 딱히 없는 희망적이지 못한 상태입니다 그리 높은 곳을...

서울 문예창작과

서울 대학 중에 문예창작과 있는 대학교는 어디 어디인가요? 내신은 어느 정도면 갈 수 있고, 모고 등급은 어느 정도면 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백석예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