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학년 환경 신문 만들기

육학년 환경 신문 만들기

작성일 2007.10.12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 숙제인데

 

월요일 까지 해야 합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 이미지도 있으면 좋구요.. ^^

 

 

내공 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환경신문/정부의 환경정책,환경상식,환경 실천 우수 사례 들...

 

1..하천/동물

1-세계는 지금 생물자원 전쟁 중~!

□ 생물다양성은 지구 생태계 안정의 기반을 이루고, 인류 생존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인간의 문화적·정신적 가치 이외에도 생물자원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인류가 처해있는 식량 및 에너지 부족, 난치병 등의 주요 난제를 생물자원으로부터 해결할 수 있으며, 인류의 지속가능한 생존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물산업은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의 토대이자 21세기 기간산업으로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생물자원을 이용한 상품의 연간 세계시장 규모는 5천~8천억 달러이며, 의약품의 70~80% 이상이 식물 등 천연물질에서 추출되고 있다

 

 

2.“川生人生.... 하천이 살아야 사람도 산다”~!

□ 앞으로 콘크리트 고수부지, 주차장, 수로의 직선화 등 인공적인 구조물로 치장된 하천은 사라지고, 옆새우, 가재, 버들치, 쉬리, 은어 등이 아이들과 함께 어우러져 노는 생태 하천이전국적으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 환경부는 국가 및 자치단체 등에서 추진중인 하천정화(정비)사업이 하천의 생태계 복원에 초점을 두어 시행될 수 있도록 「생태하천 가이드북(川生人生....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건강한 하천 만들기)」를 마련하고, 자치단체 등으로 하여금 생태하천 복원의 지침서로 활용토록 하였다.

 

3.멸종위기종 바다사자 복원 연구 추진~!

□ 환경부는 동해에 회유하는 해양포유류(기각아목)의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조사 연구 결과, 물개류와 물범류의 이동경로가 예측되었다고 밝혔다.

* 우리나라 연안에서 확인된 기각아목의 목록

- 바다사자과 : 물개, 바다사자, 큰바다사자
- 물범과 : 물범, 고리무늬물범, 흰띠박이물범, 잔점무늬물범

○ 동해안에서 혼획되는 해양포유류에 대한 현지조사(’06.10~‘07. 6) 및 과거자료(’01년~‘06년)
분석에 의하면, 물개류는 북위 42° 이북의 북태평양의 동서 연안 및 해양지역의 도서지역에서 번식한 후, 월동을 위해 강릉시 주문진까지 남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바다사자는 1970년대까지 동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으나 2001년 이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바다사자에 대한 기록은 1건도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토양/소음

 

1.동일건물내 소음다량 발생사업장 소음기준 마련 추진/소음

1.환경부는 노래연습장 등 동일건물에서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으로 인한 소음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생활소음 규제기준을 신설하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일부개정령안을 ‘07.10.1일 입법예고 하였다.

2.이번 개정은 동일건물에 소음을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과 병원·독서실 등과 같이 정온을 요하는 주택·사업장이 인접한 경우, 소음피해 민원이 지속 증가(’04년 105건→’05년 149건→‘06년 245건)하고 있으나, 현행 소음·진동규제법령에서는 건물외부에서 발생되는 생활소음에 대해서만 규제하고 있어 동일건물내에서 발생하는 소음피해에 대한 예방과 보호가 어려움에 따라 추진하게 된 것이다.

 

2."방음벽 설치해도 장기간 소음땐 피해 인정"

1.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대구 수성구 아파트 신축공사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박모씨 등 1,283명 인근 주민들이 정신적 피해 및 물질적(건물도색비 등) 피해를 입었다며 시공사측에 배상을 요구한 사건에 대해 주민 329명의 정신적 피해를 인정, 5천여 만원을 배상하도록 결정했다.

2.위원회는 시공사측이 소음저감을 위해 방음벽 설치 등 노력을 했지만 토목공사시 암반제거를 위해 브레이커를 1일 최대 7대까지 사용하는 등 장기간에 걸쳐 소음을 발생시켰고, 평가소음도가 최고 73데시벨로 나타나 수인한도(70데시벨)를 초과해 피해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1.전국 90곳 토양오염 기준 초과, 대체로 '양호'/토지

1.폐광산 토양 오염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2.환경부와 지자체는 전국 3,794개 지점에 대한 토양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90개 지점(2.4%)만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지만, 이중 37개 지점(1.0%)이 대책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3.이번 토양오염도 조사는 환경부가 토양측정망 1,500지점을 지자체가 오염우려지역 2,294지점을 각각 조사했다.

4.환경부가 실시한 토양측정망 1,500지점 조사 결과, 4개 지점(0.3%)에서 아연(Zn)과 니켈(Ni)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전반적인 기준초과율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나, 비소(As), 아연(Zn), 니켈(Ni) 등은 전년도보다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오염가능성이 높은 공장, 도로, 철도용지에서는 카드뮴(Cd), 구리(Cu), 납(Pb) 등 중금속 항목이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고, 농약을 사용하는 논, 밭, 과수원의 경우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전국 평균치보다 낮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2.토양오염 복원기술 '주목'

1.최근 광산지역 주변 농산물의 오염과 미군기지 토양오염 등이 이슈화되면서 토양오염 복원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2.10일 특허청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작년까지 오염토양 복원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은 모두 220건으로 이 가운데 85%인 186건이 2001년 이후 출원됐다.

3.기술분야 별로는 단독처리기술이 55%, 복합처리기술이 45%를 차지했으며 단독처리기술은 생물학적 처리가 18.6%, 액체를 이용한 추출이 16.4%, 화학적 처리가 15.5%, 열에 의한 탈착이 4.5% 등의 순이었다.

4.출원인 별로는 외국인의 출원이 2004년 20.8%까지 늘었으나 해마다 10% 안팎에 그치고 있고 내국인 출원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5.특허청 관계자는 "이 기술은 '토양정화업'이라는 독자적인 자리를 잡아갈 정도로 높은 수익과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아직 외국기업의 참여도가 높지 않은 만큼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여건이나 조건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1.환경 관련 노래

1.붉은바다.

이제는 차갑게 식어버린 기름에 더럽혀진
돌고래가 누워있는 모래밭 위엔
그토록 오랜 세월동안 간직한 어부들의 조각난 꿈이
파도에 쓸려 나가네

하얀 파도와 춤추며 날으던 갈매기 노래 소리들
그 언제던가 피빛으로 붉게 물든 바다여
수 천과 수 만의 죽음이여
이제 여기서 멈추게 하라
어머니인 저 바다의 피눈물을 멈추게 하라

우린 지금 이 세상을 잠시 스쳐 가지만
이 땅위의 모든 것 태어났던 그 곳 바다 저 고향의 바다

이 세상의 끝까지라도 영원히 우리를 지키며 숨쉬네
저 멀리 떠나버린 수많은 생명들이 이젠 돌아오게 하라

 

2.더 늦기전에..

생각해보면 힘들었던 지난 세월
앞만을 보며 힘차게 달려 여기에 왔지
가야할길이 아직도 남아있지만
이제 여기서 걸어온길을 돌아보네

어린시절에 뛰놀던 정든 냇물은
회색거품을 가득 싣고서 흘러가고
공장굴뚝에 자욱한 연기 속에서
내일의 꿈이 흐린 하늘로 흩어지네

하늘끝까지 뻗은 회색 빌딩숲
이것이 우리가 원한 전부인가
그 누구가 미래를 약속하는가
이젠 느껴야하네 더 늦기전에

그언젠가 아이들이 자라서 밤하늘을 바라볼때에
하늘 가득 반짝이는 별들을 두 눈 속에 담게 해주오.

저 하늘 촘촘히 박혀있던 우리의 별들을
하나둘 헤아려 본지가 얼마나 되었는가
그 별들이 하나둘 떠나고 힘없이 펼쳐지는 작은 별하나
자 이제 우리가 할 일이 무어라고 생각하나
우리는 저별 마저 외면해 버리고 떠나 보내야만 하는가

 

3.nowNnew - 하나 되어

뜻하지 않은 아픔을 겪었어 너무 앞만 보고 달렸던거야
이제 그 누구도 탓하지 말고 나의 부족함을 다시 생각해
우리에겐 아직 희망은 있어 어려울수록 강해지는 믿음
그래 다시 시작해보는거야 다시 태어나는 그런 맘으로
워~우린 해낼 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이겼어

세상이 우릴 지켜보고 있어 우리의 시작을 의심할꺼야
그런 그들에게 보여줘야해(보여줘야해)
우리도 몰랐던 또다른 힘을 워~~
우린 해낼 수 있어(해낼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이겼어

오~저 높이 떠오르는 태양을 봐 우릴 비춰주고 있잖아 예~
우리 모두(우리 모두) 손을 잡고(손을 잡고) 희망의 미랠 향해 워~~
우린 해낼 수 있어(해낼 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우린 하나되어 우린 하나 되어 우린 하나되어
하나되어 이겼어

 

1.환경 관련 설문조사

 

1. 환경오염 에 대하여


 1) 가장 오염이 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2)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 환경 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 이라고 생각 하는 것

 

1)쓰레기 문제


2)매연문제


3)소음공해


4)폐수문제


5)기타- - - -자신의 생각


3.환경에 대한 인식


1. 내가 행동하고 있는 행동 중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2. 폐수, 매연, 음식 찌꺼기, 등 이런 것 말고 거리에 쓰레기 버리는 일,

 

침과 껌을 뱉는 일도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을 알고 계시나요?


3. 평소에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시나요?


4. 환경 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제일먼저 생각하는 것이 뭔가요?


〈4.일회용품 설문조사〉

1. 일회용품이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그래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2. 여행을 갈 때 주로 일회용품을 가져가는지?


3. 일회용품을 주로 얼마나 사용하는지?


4.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이유는?



< 5.대기오염에 대한 생각>

 

1. 별로 중요한 문제는 아닌 것 같다.

 

2. TV나 신문에 나올 때 그 순간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순간이 지나버리면 별 상관없다.

 

3. 심각하다고 생각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4. 정말 그 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다.

 

1. 자원의 의미와 환경오염

(1) 가정 자원의 뜻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모든 수단과 방법

 

(2) 자원의 종류

① 인적자원 : 인간 내부에 있거나 인간과 떨어질 수 없는 자원

ㄱ. 개인적 자원 :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창의력, 시간

ㄴ. 대인적 자원 : 가족간의 협동심, 의사소통, 친밀감 등

 

* 시간 : 누구에게나 똑같은 양이 주어지지만, 활용 정도에 따라 질과 양이 달라지는 자원

 

② 비인적 자원 : 인적 자원을 제외한 물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소유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ex) 금전, 동력 에너지, 가정 기기 및 설비, 사회 공공시설(도서관, 보건소, 놀이터 등)

 

(3) 자원의 효율적 활용

가정 자원은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으로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① 교환하여 사용한다 - 필요한 자원을 타인이나 다른 가족에게 빌려서 사용한다.

② 활용가능성을 높인다 - 자원을 잘 간수하여 사용 기간을 늘인다.

ex) 1시간에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면서 동시에 청소를 하였다.

③ 낭비하지 않는다.

④ 대체해서 사용한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 중에서 많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사용하고 적게 가진 자원을 절약하는 것

⑤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4) 가정을 둘러싼 환경

① 가정 환경 : 가정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

ex) 주택, 가정 기기 및 설비, 가족의 수입, 가족구성원, 친척, 이웃 등

② 근접 환경 : 가족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환경

ex) 직장, 학교, 병원, 동사무소, 놀이공원 등

③ 광역 환경 :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범위의 환경

ex) 자연환경, 정치, 종교 제도 즉, 태양, 물, 불국사, 석굴암 등

 

(5) 환경오염

① 수질오염 :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이 원인

ex) 적조현상

② 대기오염 : 가정의 난방, 공장, 자동차 매연, 냉장고나 에어컨의 프레온 가스 등이 원인

ex) 온실효과, 스모그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

③ 토양오염 : 농약, 비료, 각종 폐기물, 수질 오염 및 대기오염을 통한 오염 물질의 유입

→ 한번 오염되면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고, 인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6) 환경보건을 위한 실천 사항

① 수질오염방지 : 물과 합성세제의 사용량 줄이기, 기름기는 종이로 닦은 후 씻기, 음식 찌꺼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기

② 대기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프레온 가스를 사용한 물건 쓰지 않기, 대중 교통 이용하기

③ 토양오염 :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하기

 

(7) 재활용하기

① 종이류 : 신문, 잡지, 사무용지 등 종류별로 묶어서 분리 수거

② 캔류 및 고철류 : 내용물을 비운 뒤 납작하게 눌러 부피를 줄이고, 가스통은 구멍을 뚫은뒤 쭈그러뜨림

③ 병류 : 내용물을 비우고 뚜껑을 제거하여 씻은 후 배출

④ 플라스틱류 :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이 씻어 배출

⑤ 음식 및 채소류 : 물기를 빼서 음식물 수거함에 넣음

 

(8) 환경 마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표시하는 마크

---------------------------------------------------------------------------------------------------------------------------

 

한반도 상공 오존층 회복세                         2006-10-25 10:14


기상청(청장 이만기)은 지난 1979년부터 작년까지 우리나라 상공의 오존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90년 초반까지는 감소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 최근까지는 회복되는 경향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기상청 위탁관측소로 운영되고 있는 연세대학교에서 오존 분광광도계와 TOMS 위성의 오존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1979년∼2005년 오존량의 장기변화 경향은 10년동안 0.2%의 감소됐다. 또 1992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기는 10년동안 4.9% 감소된 반면 후반기부터는 1.43% 증가됐다.

또한 지난 2002년부터 4년간 포항기상대에서 오존 존데를 이용한 오존 연직 구조의 관측에서는 오존층이 18km∼25km 고도에 위치하고 있고 겨울과 봄에 오존 전량이 많고 가을에 가장 적은 계절적 변동이 있음이 분석됐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의 발표에 의하면 지난달 남극 오존홀이 지난 1979년 위성관측 개시 이래 가장 큰 오존홀로 기록됐다. 연도별로 가장 큰 오존홀 7개년도가 최근 10년에 몰려 있는 등 아직도 남극의 오존층 파괴는 계속되고 있어 극동지역의 오존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

 

지하상가 실점수기질 '심각'                         2006-10-19 09:16


이산화질소 등 환경기준치 초과


지난달 8일 발생한 종각역 일산화탄소(CO) 누출사고는 미리 예견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을)에 따르면 지하상가에서의 인명피해 위험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선교 의원실에서 강남, 영등포로터리, 종로4가 등 3개 지하상가에 대해 실점수기질을 측정한 결과,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했다.

영등포로타리, 동대문 지하상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환경기준치인 500㎍/㎥을 초과했으며, 동대문 4.3배, 영등포로타리 지하상가는 1.7배, 강남 지하상가의 환경부 자료는 기준치보다 무려 3.7배나 높게 검출됐다.

이산화질소는 강남, 영등포로타리 및 동대문 지하상가 모두 기준치인 0.05ppm을 초과했다. 강남과, 영등포로타리는 1.4배, 동대문은 1.2배 높게 나왔다. 이산화탄소는 환경기준치는 1,000ppm이나 강남 지하상가 982ppm, 동대문 980ppm 등 거의 기준치에 육박했다.

동대문 지하상가는 포름알데히드 역시 120.6㎍/㎥을 기록 기준치인 120㎍/㎥를 넘어섰으며 일산화탄소 역시 4.9ppm을 기록 5ppm의 저농도에 20분간만 노출할 경우 신경계 장애 불러일으켜, 체내 혈액 10% 기능 상실, 시각 및 정신 기능 장애, 종래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런 물질의 경우 국민들에게 생소해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한선교 의원은 "작년 법개정을 통해 우리나라도 세계보건기구 및 선진국들의 실점수기질 관리 방향에 발맞추어 실점수기질 관리에 나섰으나, 정작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환경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피로감에서부터 서서히 시작해 두통, 구토로 이어져 중추신경의 마비 등 심각한 사태에까지 이를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에 급급해 물청소, 공조기의 휠터 교체 횟수 증대 등의 미봉에 그치는 대책마련 보다는 환기설비를 최악의 조건을 가정해 변경해 설계, 시공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원인을 규명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수도권대기질 개선정책 문제점 추궁            2006-10-23 02:1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등 사회적 피해가 연간 10조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대기환경개선대책과 관련한 미비점과 문제점이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수도권은 호흡기질환, 조기사망 등을 유발하는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오염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국토의 12%인 수도권에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돼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연간 11,127명으로 추정된다.

23일 오전 10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수도권대기질 개선 정책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먼저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성남 중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환경부 조기폐차사업의 집행률 저조를 추궁할 예정이다. 환경부 조기폐차사업 집행률은 금년 9월 15일 현재 2.7%에 불과하다.

신 의원은 배출가스저감사업과 관련, 수도권 미세먼지에서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실제보다 고평가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서 경유차 배출가스 규제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대기질 개선대책의 실효성도 물을 예정이다.

또한 일부 저감장치 성능이 부실하다는 주장도 확인할 계획이다. 현재 매연여과장치(DPF)를 온도조건이 맞지 않는 청소차 등 저속주행 차량에 부착시 매연과다 배출 및 출력·연비저하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저공해자동차 보급 부진과 ▲대형사업장은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엄격 관리하는 총량관리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의 부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위한 추가재원 확보 방안 등을 물을 예정이다.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수도권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진행률이 저조한 것을 추궁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사업평가를 장치 보급대수에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얼마큼 기여했는가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최용규 의원(인천 부평을)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대수에만 급급해 저감장치 기능에 대한 점검이 없었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예정이다. 단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책을 바이오디젤의 보급 확산을 통한 연료대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그다음은.. 환경에 관련된 시를 올릴게여^^&*

 

----------------------------------------------------------------------------------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아무데나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슬쩍슬쩍 몰래몰래 버려도

보는 사람 없으니까.

꽃이 알고 나쁜 어린이

눈을 흘겨요.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여기저기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썩어 가는 흙도 물도

가만가만 있으니까.

나무가 알고 나쁜아이

혼내 줄 거야.


---------------------------------------------

 

이슬같이 맑은 물


마구 버린 쓰레기로

물이 울부짖는 소리를

귀기울여 들어 보세요

몰래 버린 폐수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아 주세요

펑펑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코로 냄새 맡아 보세요.

이슬같이 맑은 물

쪽빛 투명한 물

우리들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병들어 썩어 가는

물이 울부짖는 소리

귀기울여 보세요

합성세제 샴푸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

자세히 보아 주세요

쏟아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깊이깊이 냄새 맡아 보세요.

진주같이 맑은 물

옥같이 깨끗한 물

유리빛 투명한 물

우리들의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

 

빙하가 녹아 내리고


지구가 더워지면

빙하가 녹아 내리고


남극 북극 빙산이

녹으면

해수면이 높아져

바닷물이 넘치게 되고


바닷물이 넘치면

육지가 잠겨 버리고


육지가 잠기면

우리 삶의 터전 잃게 되지.


프레온가스 석유 석탄이

뿜어내는 연기 때문이지.


세계 인구 불어나

백억 된다면

지구가 더 더워지고

이대로 가면

이천이십년쯤엔 어떻게 될까

상상의 날개를 펴 보자.


알프스 빙하 베링 빙하가

녹아 내리면

쾌적한 환경은 사라지고

아무도 살 수 없게 될 거야.


21세기는

환경의 시대

미리 대비해야 한단다.


*알프스 빙하 : 스위스에 있는 빙산 이름

베링 빙하 : 미국 알래스카의 빙산

 

------------------------------------------------------------------------------

 

 

 

 

<수질오염>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중앙일보 2005.12.09]    

서울고법 민사22부는 "이웃집 개짖는 소리 때문에 수면장애.식욕저하 등을 겪었다"며 표모씨가 개주인인 이모(42)씨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병원 치료비와 위자료(100만원) 등 모두 147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8일 밝혔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비교적 개 사육이 자유로운 농촌 지역에 살고 있지만 옆집 개들이 짖는 소리에 잠을 못 자는 등 사회통념을 벗어날 정도로 권익을 침해당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는 항의받은 뒤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만큼 배상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개들이 짖어 발생한 소음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므로 금전으로나마 이를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그러나 "수면장애 등이 원고의 기질적.유전적 요인 때문에 악화된 점을 감안해 피고 책임을 50%만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개소음 법원판례

소음, 합의서 있어도 배상

합의서만으로 소음피해 보상 거부못해

급배수설비소음 배상판결

아파트 인근 소음 유발로 ‘구류’

층간소음 폭력 행사한  ‘벌금형’선고

층간소음 배상판례

법률 제정 아파트도 층간소음피해 배상

대로변아파트 소음 분양사가 배상

차량소음 배상

아파트 건축 전 기존도로 소음피해 보상

'수인한도' 초과 고속도로소음배상 판결

집회 확성기 소음 법원판례

주택가 인근 공장소음 벌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소음피해 배상

공연장 소음 난청상해 배상

부산 소음 피해 건축허가기관 연대 책임

아파트 신축공사 소음피해 건설사 배상

 

 

구미시 고속도로변 아파트 소음피해 배상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

 

유원지에 버려진 쓰레기들

 

 

강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들

 

 

버려진 음식물쓰레기(수진오염의 주범)

 

바닷가에 밀려온 쓰레기

 

버려진 폐선으로 인한 바다오염

폐선으로 인한 수질오염 2

 

수질오염으로 인해 폐사된 조개들..

 

숲속에 버려진 양심들..

미철거된 골재로 인한 오염물들

 

 

사업장 폐기물 불법 처리로 인한 오염

중간에 죄송하지만////

만드는방법 대강 알려드릴게요...

 

<!--// 타이틀 -->

<환경신문만드는 방법>
 
이런식으로 만들면 되는데요~
 
순서

● 만드는 방법

A4용지를 4장정도 준비한다.

A4용지의 크기로 4면이상으로 한다. (보통은 4절스케치북에 합니다^^)

신문의 제목을 정하고 가편집을 한다.(신문제목: 어쩌구저쩌구)

주제가 4가지 이상으로 한다.

신문의 내용은 사설 쓰기, 신문기사 활용, 공익 광고, 집중 취재, 환경 상식, 독자 한마당, 학교 내 현장 고발 사진 찍기, 환경을 깨끗하게 한 실천사례, 편집 후기, 광고 등 각자 창의적이고 특징 있게 한다.

● 주의사항 : 자기의 의견이나 실제로 문제시되는 것을 기사로 쓴다. 컴퓨터의 내용이나 신문기사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된다. (컴퓨터의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조금 보충해서 적는건 상관없어요^^)

준비물은요 그냥 간단하게 꾸밀꺼잇죠?>싸인팬,색연필,가위,색종이로 꾸미는것도 갠찬아요^^,물론 용지는 잇어야겟죠?,그리고 사진이랑 글의 배율은 3:7이좋아여^^

● 참고자료

1) 한국사이버자연사박물관 - http://kcnhm.yeungnam.ac.kr

2) 환경운동연합 - http://www.kfem.or.kr

3)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4) 재활용전망대 - http:// www.sanghun82.pe.kr 등


2. 주제선정

주제1. 수질오염(미군생활하수 및 독극물 방류)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2. 대기오염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3. 쓰레기 매립, 토양오염에 대한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4. 소음, 전자파, 환경 호르몬 등에 대한 피해사례 및 해결방안

주제5. 내가 버린 매점쓰레기, 교실쓰레기 실태조사, 해결방안

주제6. 어떤 기상 이변이 우리에게 다가왔을까?(라니냐, 엘리뇨, 적조, 녹조, 온난 화 현상 등) 우리가 해야할 일

주제7. 학교의 환경 관련 행사 및 보도기사

주제8. 환경 관련 논단, 생활과학 및 교과

주제9. 기획기사, 지역사회의 실태, 환경 정보

주제10. 환경관련 학생 문예작품

주제11. 기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것


3. 기사 쓰기

① 6하 원칙을 지키고 결론을 앞으로

② 문장은 단순하고 간결하게

③ 기사가 너무 길지 않게

④ 중간 제목은 뽑을 수 없다.

⑤ 서술식 전개를 피할 것

⑥ 존칭이나 높임말 사용하지 말 것 (꼭 높인말을 사용하지말아야 할것은 아닙니다^^)

⑦ 주관적 감정을 담지 말 것

⑧ 결론을 내리지 말 것

⑨ 사진도 보도기사임

⑩ 논평기사(주제설정→현황설명→결론도출)

⑪ 탐방 기사

⑫ 분석 기사

⑬ 스케치 기사


4. 제목 정하기

① 기사의 결론 부분이 제목이다

② 조사와 동사는 생략

③ 현재형으로 쓴다.

④ 의미 표현은 정확히

⑤ 제목 사이에 의미의 긴밀성 유지

⑥ 단어의 중복 사용 금지

⑦ 강조할 단어가 앞으로

⑧ 부제목은 큰 제목의 보충 설명

⑨ 동사가 올 수 있는 문자


5.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6.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7.환경사설(신문)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8.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 프레온 가스                               등^ ^

 

 

************

그리고 환경 자료

 

1.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해결

예를 들겠습니다.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이중에서 몇개 하시구요...


2.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정도로...

3.환경사설(신문)

뭔말이신지... 신문 종류? 우선 신문싸이트 종류를 쓰겠습니다.
쪽지 보내주시면 수정하죠.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이정도로...

4.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이건 쉽죠......ㅎㅎ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우선은 생각나는대로 쓴거임 제발 답변확정해주세요 힘들었요 부탁

글구 똑같은 내용이 반복되없다면 죄송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환경신문/정부의 환경정책,환경상식,환경 실천 우수 사례 들...

 

1..하천/동물

1-세계는 지금 생물자원 전쟁 중~!

□ 생물다양성은 지구 생태계 안정의 기반을 이루고, 인류 생존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인간의 문화적·정신적 가치 이외에도 생물자원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인류가 처해있는 식량 및 에너지 부족, 난치병 등의 주요 난제를 생물자원으로부터 해결할 수 있으며, 인류의 지속가능한 생존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물산업은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의 토대이자 21세기 기간산업으로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생물자원을 이용한 상품의 연간 세계시장 규모는 5천~8천억 달러이며, 의약품의 70~80% 이상이 식물 등 천연물질에서 추출되고 있다

 

 

2.“川生人生.... 하천이 살아야 사람도 산다”~!

□ 앞으로 콘크리트 고수부지, 주차장, 수로의 직선화 등 인공적인 구조물로 치장된 하천은 사라지고, 옆새우, 가재, 버들치, 쉬리, 은어 등이 아이들과 함께 어우러져 노는 생태 하천이전국적으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 환경부는 국가 및 자치단체 등에서 추진중인 하천정화(정비)사업이 하천의 생태계 복원에 초점을 두어 시행될 수 있도록 「생태하천 가이드북(川生人生....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건강한 하천 만들기)」를 마련하고, 자치단체 등으로 하여금 생태하천 복원의 지침서로 활용토록 하였다.

 

3.멸종위기종 바다사자 복원 연구 추진~!

□ 환경부는 동해에 회유하는 해양포유류(기각아목)의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조사 연구 결과, 물개류와 물범류의 이동경로가 예측되었다고 밝혔다.

* 우리나라 연안에서 확인된 기각아목의 목록

- 바다사자과 : 물개, 바다사자, 큰바다사자
- 물범과 : 물범, 고리무늬물범, 흰띠박이물범, 잔점무늬물범

○ 동해안에서 혼획되는 해양포유류에 대한 현지조사(’06.10~‘07. 6) 및 과거자료(’01년~‘06년)
분석에 의하면, 물개류는 북위 42° 이북의 북태평양의 동서 연안 및 해양지역의 도서지역에서 번식한 후, 월동을 위해 강릉시 주문진까지 남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바다사자는 1970년대까지 동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으나 2001년 이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바다사자에 대한 기록은 1건도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토양/소음

 

1.동일건물내 소음다량 발생사업장 소음기준 마련 추진/소음

1.환경부는 노래연습장 등 동일건물에서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으로 인한 소음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생활소음 규제기준을 신설하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일부개정령안을 ‘07.10.1일 입법예고 하였다.

2.이번 개정은 동일건물에 소음을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과 병원·독서실 등과 같이 정온을 요하는 주택·사업장이 인접한 경우, 소음피해 민원이 지속 증가(’04년 105건→’05년 149건→‘06년 245건)하고 있으나, 현행 소음·진동규제법령에서는 건물외부에서 발생되는 생활소음에 대해서만 규제하고 있어 동일건물내에서 발생하는 소음피해에 대한 예방과 보호가 어려움에 따라 추진하게 된 것이다.

 

2."방음벽 설치해도 장기간 소음땐 피해 인정"

1.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대구 수성구 아파트 신축공사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박모씨 등 1,283명 인근 주민들이 정신적 피해 및 물질적(건물도색비 등) 피해를 입었다며 시공사측에 배상을 요구한 사건에 대해 주민 329명의 정신적 피해를 인정, 5천여 만원을 배상하도록 결정했다.

2.위원회는 시공사측이 소음저감을 위해 방음벽 설치 등 노력을 했지만 토목공사시 암반제거를 위해 브레이커를 1일 최대 7대까지 사용하는 등 장기간에 걸쳐 소음을 발생시켰고, 평가소음도가 최고 73데시벨로 나타나 수인한도(70데시벨)를 초과해 피해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1.전국 90곳 토양오염 기준 초과, 대체로 '양호'/토지

1.폐광산 토양 오염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2.환경부와 지자체는 전국 3,794개 지점에 대한 토양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90개 지점(2.4%)만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지만, 이중 37개 지점(1.0%)이 대책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3.이번 토양오염도 조사는 환경부가 토양측정망 1,500지점을 지자체가 오염우려지역 2,294지점을 각각 조사했다.

4.환경부가 실시한 토양측정망 1,500지점 조사 결과, 4개 지점(0.3%)에서 아연(Zn)과 니켈(Ni)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전반적인 기준초과율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나, 비소(As), 아연(Zn), 니켈(Ni) 등은 전년도보다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오염가능성이 높은 공장, 도로, 철도용지에서는 카드뮴(Cd), 구리(Cu), 납(Pb) 등 중금속 항목이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고, 농약을 사용하는 논, 밭, 과수원의 경우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전국 평균치보다 낮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2.토양오염 복원기술 '주목'

1.최근 광산지역 주변 농산물의 오염과 미군기지 토양오염 등이 이슈화되면서 토양오염 복원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2.10일 특허청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작년까지 오염토양 복원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은 모두 220건으로 이 가운데 85%인 186건이 2001년 이후 출원됐다.

3.기술분야 별로는 단독처리기술이 55%, 복합처리기술이 45%를 차지했으며 단독처리기술은 생물학적 처리가 18.6%, 액체를 이용한 추출이 16.4%, 화학적 처리가 15.5%, 열에 의한 탈착이 4.5% 등의 순이었다.

4.출원인 별로는 외국인의 출원이 2004년 20.8%까지 늘었으나 해마다 10% 안팎에 그치고 있고 내국인 출원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5.특허청 관계자는 "이 기술은 '토양정화업'이라는 독자적인 자리를 잡아갈 정도로 높은 수익과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아직 외국기업의 참여도가 높지 않은 만큼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여건이나 조건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1.환경 관련 노래

1.붉은바다.

이제는 차갑게 식어버린 기름에 더럽혀진
돌고래가 누워있는 모래밭 위엔
그토록 오랜 세월동안 간직한 어부들의 조각난 꿈이
파도에 쓸려 나가네

하얀 파도와 춤추며 날으던 갈매기 노래 소리들
그 언제던가 피빛으로 붉게 물든 바다여
수 천과 수 만의 죽음이여
이제 여기서 멈추게 하라
어머니인 저 바다의 피눈물을 멈추게 하라

우린 지금 이 세상을 잠시 스쳐 가지만
이 땅위의 모든 것 태어났던 그 곳 바다 저 고향의 바다

이 세상의 끝까지라도 영원히 우리를 지키며 숨쉬네
저 멀리 떠나버린 수많은 생명들이 이젠 돌아오게 하라

 

2.더 늦기전에..

생각해보면 힘들었던 지난 세월
앞만을 보며 힘차게 달려 여기에 왔지
가야할길이 아직도 남아있지만
이제 여기서 걸어온길을 돌아보네

어린시절에 뛰놀던 정든 냇물은
회색거품을 가득 싣고서 흘러가고
공장굴뚝에 자욱한 연기 속에서
내일의 꿈이 흐린 하늘로 흩어지네

하늘끝까지 뻗은 회색 빌딩숲
이것이 우리가 원한 전부인가
그 누구가 미래를 약속하는가
이젠 느껴야하네 더 늦기전에

그언젠가 아이들이 자라서 밤하늘을 바라볼때에
하늘 가득 반짝이는 별들을 두 눈 속에 담게 해주오.

저 하늘 촘촘히 박혀있던 우리의 별들을
하나둘 헤아려 본지가 얼마나 되었는가
그 별들이 하나둘 떠나고 힘없이 펼쳐지는 작은 별하나
자 이제 우리가 할 일이 무어라고 생각하나
우리는 저별 마저 외면해 버리고 떠나 보내야만 하는가

 

3.nowNnew - 하나 되어

뜻하지 않은 아픔을 겪었어 너무 앞만 보고 달렸던거야
이제 그 누구도 탓하지 말고 나의 부족함을 다시 생각해
우리에겐 아직 희망은 있어 어려울수록 강해지는 믿음
그래 다시 시작해보는거야 다시 태어나는 그런 맘으로
워~우린 해낼 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이겼어

세상이 우릴 지켜보고 있어 우리의 시작을 의심할꺼야
그런 그들에게 보여줘야해(보여줘야해)
우리도 몰랐던 또다른 힘을 워~~
우린 해낼 수 있어(해낼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이겼어

오~저 높이 떠오르는 태양을 봐 우릴 비춰주고 있잖아 예~
우리 모두(우리 모두) 손을 잡고(손을 잡고) 희망의 미랠 향해 워~~
우린 해낼 수 있어(해낼 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우린 하나되어 우린 하나 되어 우린 하나되어
하나되어 이겼어

 

1.환경 관련 설문조사

 

1. 환경오염 에 대하여


 1) 가장 오염이 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2)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 환경 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 이라고 생각 하는 것

 

1)쓰레기 문제


2)매연문제


3)소음공해


4)폐수문제


5)기타- - - -자신의 생각


3.환경에 대한 인식


1. 내가 행동하고 있는 행동 중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2. 폐수, 매연, 음식 찌꺼기, 등 이런 것 말고 거리에 쓰레기 버리는 일,

 

침과 껌을 뱉는 일도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을 알고 계시나요?


3. 평소에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시나요?


4. 환경 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제일먼저 생각하는 것이 뭔가요?


〈4.일회용품 설문조사〉

1. 일회용품이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그래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2. 여행을 갈 때 주로 일회용품을 가져가는지?


3. 일회용품을 주로 얼마나 사용하는지?


4.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이유는?



< 5.대기오염에 대한 생각>

 

1. 별로 중요한 문제는 아닌 것 같다.

 

2. TV나 신문에 나올 때 그 순간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순간이 지나버리면 별 상관없다.

 

3. 심각하다고 생각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4. 정말 그 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다.

 

5. 기타

 

재발 답변확정부탁 존나 힘들었음 ㅠㅠ

 

 

 

 

 

ths2768작성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자원의 의미와 환경오염

(1) 가정 자원의 뜻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모든 수단과 방법

 

(2) 자원의 종류

① 인적자원 : 인간 내부에 있거나 인간과 떨어질 수 없는 자원

ㄱ. 개인적 자원 :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창의력, 시간

ㄴ. 대인적 자원 : 가족간의 협동심, 의사소통, 친밀감 등

 

* 시간 : 누구에게나 똑같은 양이 주어지지만, 활용 정도에 따라 질과 양이 달라지는 자원

 

② 비인적 자원 : 인적 자원을 제외한 물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소유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ex) 금전, 동력 에너지, 가정 기기 및 설비, 사회 공공시설(도서관, 보건소, 놀이터 등)

 

(3) 자원의 효율적 활용

가정 자원은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으로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① 교환하여 사용한다 - 필요한 자원을 타인이나 다른 가족에게 빌려서 사용한다.

② 활용가능성을 높인다 - 자원을 잘 간수하여 사용 기간을 늘인다.

ex) 1시간에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면서 동시에 청소를 하였다.

③ 낭비하지 않는다.

④ 대체해서 사용한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 중에서 많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사용하고 적게 가진 자원을 절약하는 것

⑤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4) 가정을 둘러싼 환경

① 가정 환경 : 가정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

ex) 주택, 가정 기기 및 설비, 가족의 수입, 가족구성원, 친척, 이웃 등

② 근접 환경 : 가족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환경

ex) 직장, 학교, 병원, 동사무소, 놀이공원 등

③ 광역 환경 :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범위의 환경

ex) 자연환경, 정치, 종교 제도 즉, 태양, 물, 불국사, 석굴암 등

 

(5) 환경오염

① 수질오염 :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이 원인

ex) 적조현상

② 대기오염 : 가정의 난방, 공장, 자동차 매연, 냉장고나 에어컨의 프레온 가스 등이 원인

ex) 온실효과, 스모그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

③ 토양오염 : 농약, 비료, 각종 폐기물, 수질 오염 및 대기오염을 통한 오염 물질의 유입

→ 한번 오염되면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고, 인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6) 환경보건을 위한 실천 사항

① 수질오염방지 : 물과 합성세제의 사용량 줄이기, 기름기는 종이로 닦은 후 씻기, 음식 찌꺼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기

② 대기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프레온 가스를 사용한 물건 쓰지 않기, 대중 교통 이용하기

③ 토양오염 :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하기

 

(7) 재활용하기

① 종이류 : 신문, 잡지, 사무용지 등 종류별로 묶어서 분리 수거

② 캔류 및 고철류 : 내용물을 비운 뒤 납작하게 눌러 부피를 줄이고, 가스통은 구멍을 뚫은뒤 쭈그러뜨림

③ 병류 : 내용물을 비우고 뚜껑을 제거하여 씻은 후 배출

④ 플라스틱류 :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이 씻어 배출

⑤ 음식 및 채소류 : 물기를 빼서 음식물 수거함에 넣음

 

(8) 환경 마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표시하는 마크

---------------------------------------------------------------------------------------------------------------------------

 

한반도 상공 오존층 회복세                         2006-10-25 10:14


기상청(청장 이만기)은 지난 1979년부터 작년까지 우리나라 상공의 오존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90년 초반까지는 감소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 최근까지는 회복되는 경향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기상청 위탁관측소로 운영되고 있는 연세대학교에서 오존 분광광도계와 TOMS 위성의 오존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1979년∼2005년 오존량의 장기변화 경향은 10년동안 0.2%의 감소됐다. 또 1992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기는 10년동안 4.9% 감소된 반면 후반기부터는 1.43% 증가됐다.

또한 지난 2002년부터 4년간 포항기상대에서 오존 존데를 이용한 오존 연직 구조의 관측에서는 오존층이 18km∼25km 고도에 위치하고 있고 겨울과 봄에 오존 전량이 많고 가을에 가장 적은 계절적 변동이 있음이 분석됐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의 발표에 의하면 지난달 남극 오존홀이 지난 1979년 위성관측 개시 이래 가장 큰 오존홀로 기록됐다. 연도별로 가장 큰 오존홀 7개년도가 최근 10년에 몰려 있는 등 아직도 남극의 오존층 파괴는 계속되고 있어 극동지역의 오존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

 

지하상가 실점수기질 '심각'                         2006-10-19 09:16


이산화질소 등 환경기준치 초과


지난달 8일 발생한 종각역 일산화탄소(CO) 누출사고는 미리 예견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을)에 따르면 지하상가에서의 인명피해 위험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선교 의원실에서 강남, 영등포로터리, 종로4가 등 3개 지하상가에 대해 실점수기질을 측정한 결과,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했다.

영등포로타리, 동대문 지하상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환경기준치인 500㎍/㎥을 초과했으며, 동대문 4.3배, 영등포로타리 지하상가는 1.7배, 강남 지하상가의 환경부 자료는 기준치보다 무려 3.7배나 높게 검출됐다.

이산화질소는 강남, 영등포로타리 및 동대문 지하상가 모두 기준치인 0.05ppm을 초과했다. 강남과, 영등포로타리는 1.4배, 동대문은 1.2배 높게 나왔다. 이산화탄소는 환경기준치는 1,000ppm이나 강남 지하상가 982ppm, 동대문 980ppm 등 거의 기준치에 육박했다.

동대문 지하상가는 포름알데히드 역시 120.6㎍/㎥을 기록 기준치인 120㎍/㎥를 넘어섰으며 일산화탄소 역시 4.9ppm을 기록 5ppm의 저농도에 20분간만 노출할 경우 신경계 장애 불러일으켜, 체내 혈액 10% 기능 상실, 시각 및 정신 기능 장애, 종래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런 물질의 경우 국민들에게 생소해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한선교 의원은 "작년 법개정을 통해 우리나라도 세계보건기구 및 선진국들의 실점수기질 관리 방향에 발맞추어 실점수기질 관리에 나섰으나, 정작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환경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피로감에서부터 서서히 시작해 두통, 구토로 이어져 중추신경의 마비 등 심각한 사태에까지 이를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에 급급해 물청소, 공조기의 휠터 교체 횟수 증대 등의 미봉에 그치는 대책마련 보다는 환기설비를 최악의 조건을 가정해 변경해 설계, 시공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원인을 규명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수도권대기질 개선정책 문제점 추궁            2006-10-23 02:1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등 사회적 피해가 연간 10조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대기환경개선대책과 관련한 미비점과 문제점이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수도권은 호흡기질환, 조기사망 등을 유발하는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오염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국토의 12%인 수도권에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돼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연간 11,127명으로 추정된다.

23일 오전 10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수도권대기질 개선 정책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먼저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성남 중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환경부 조기폐차사업의 집행률 저조를 추궁할 예정이다. 환경부 조기폐차사업 집행률은 금년 9월 15일 현재 2.7%에 불과하다.

신 의원은 배출가스저감사업과 관련, 수도권 미세먼지에서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실제보다 고평가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서 경유차 배출가스 규제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대기질 개선대책의 실효성도 물을 예정이다.

또한 일부 저감장치 성능이 부실하다는 주장도 확인할 계획이다. 현재 매연여과장치(DPF)를 온도조건이 맞지 않는 청소차 등 저속주행 차량에 부착시 매연과다 배출 및 출력·연비저하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저공해자동차 보급 부진과 ▲대형사업장은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엄격 관리하는 총량관리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의 부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위한 추가재원 확보 방안 등을 물을 예정이다.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수도권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진행률이 저조한 것을 추궁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사업평가를 장치 보급대수에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얼마큼 기여했는가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최용규 의원(인천 부평을)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대수에만 급급해 저감장치 기능에 대한 점검이 없었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예정이다. 단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책을 바이오디젤의 보급 확산을 통한 연료대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그다음은.. 환경에 관련된 시를 올릴게여^^&*

 

----------------------------------------------------------------------------------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아무데나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슬쩍슬쩍 몰래몰래 버려도

보는 사람 없으니까.

꽃이 알고 나쁜 어린이

눈을 흘겨요.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여기저기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썩어 가는 흙도 물도

가만가만 있으니까.

나무가 알고 나쁜아이

혼내 줄 거야.


---------------------------------------------

 

이슬같이 맑은 물


마구 버린 쓰레기로

물이 울부짖는 소리를

귀기울여 들어 보세요

몰래 버린 폐수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아 주세요

펑펑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코로 냄새 맡아 보세요.

이슬같이 맑은 물

쪽빛 투명한 물

우리들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병들어 썩어 가는

물이 울부짖는 소리

귀기울여 보세요

합성세제 샴푸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

자세히 보아 주세요

쏟아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깊이깊이 냄새 맡아 보세요.

진주같이 맑은 물

옥같이 깨끗한 물

유리빛 투명한 물

우리들의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

 

빙하가 녹아 내리고


지구가 더워지면

빙하가 녹아 내리고


남극 북극 빙산이

녹으면

해수면이 높아져

바닷물이 넘치게 되고


바닷물이 넘치면

육지가 잠겨 버리고


육지가 잠기면

우리 삶의 터전 잃게 되지.


프레온가스 석유 석탄이

뿜어내는 연기 때문이지.


세계 인구 불어나

백억 된다면

지구가 더 더워지고

이대로 가면

이천이십년쯤엔 어떻게 될까

상상의 날개를 펴 보자.


알프스 빙하 베링 빙하가

녹아 내리면

쾌적한 환경은 사라지고

아무도 살 수 없게 될 거야.


21세기는

환경의 시대

미리 대비해야 한단다.


*알프스 빙하 : 스위스에 있는 빙산 이름

베링 빙하 : 미국 알래스카의 빙산

 

------------------------------------------------------------------------------

 

 

 

 

<수질오염>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중앙일보 2005.12.09]    

서울고법 민사22부는 "이웃집 개짖는 소리 때문에 수면장애.식욕저하 등을 겪었다"며 표모씨가 개주인인 이모(42)씨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병원 치료비와 위자료(100만원) 등 모두 147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8일 밝혔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비교적 개 사육이 자유로운 농촌 지역에 살고 있지만 옆집 개들이 짖는 소리에 잠을 못 자는 등 사회통념을 벗어날 정도로 권익을 침해당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는 항의받은 뒤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만큼 배상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개들이 짖어 발생한 소음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므로 금전으로나마 이를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그러나 "수면장애 등이 원고의 기질적.유전적 요인 때문에 악화된 점을 감안해 피고 책임을 50%만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개소음 법원판례

소음, 합의서 있어도 배상

합의서만으로 소음피해 보상 거부못해

급배수설비소음 배상판결

아파트 인근 소음 유발로 ‘구류’

층간소음 폭력 행사한  ‘벌금형’선고

층간소음 배상판례

법률 제정 아파트도 층간소음피해 배상

대로변아파트 소음 분양사가 배상

차량소음 배상

아파트 건축 전 기존도로 소음피해 보상

'수인한도' 초과 고속도로소음배상 판결

집회 확성기 소음 법원판례

주택가 인근 공장소음 벌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소음피해 배상

공연장 소음 난청상해 배상

부산 소음 피해 건축허가기관 연대 책임

아파트 신축공사 소음피해 건설사 배상

 

 

구미시 고속도로변 아파트 소음피해 배상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

 

유원지에 버려진 쓰레기들

 

 

강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들

 

 

버려진 음식물쓰레기(수진오염의 주범)

 

바닷가에 밀려온 쓰레기

 

버려진 폐선으로 인한 바다오염

폐선으로 인한 수질오염 2

 

수질오염으로 인해 폐사된 조개들..

 

숲속에 버려진 양심들..

미철거된 골재로 인한 오염물들

 

 

사업장 폐기물 불법 처리로 인한 오염

중간에 죄송하지만////

만드는방법 대강 알려드릴게요...

 

<!--// 타이틀 -->
<환경신문만드는 방법>
 
이런식으로 만들면 되는데요~
 
순서

● 만드는 방법

A4용지를 4장정도 준비한다.

A4용지의 크기로 4면이상으로 한다. (보통은 4절스케치북에 합니다^^)

신문의 제목을 정하고 가편집을 한다.(신문제목: 어쩌구저쩌구)

주제가 4가지 이상으로 한다.

신문의 내용은 사설 쓰기, 신문기사 활용, 공익 광고, 집중 취재, 환경 상식, 독자 한마당, 학교 내 현장 고발 사진 찍기, 환경을 깨끗하게 한 실천사례, 편집 후기, 광고 등 각자 창의적이고 특징 있게 한다.

● 주의사항 : 자기의 의견이나 실제로 문제시되는 것을 기사로 쓴다. 컴퓨터의 내용이나 신문기사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된다. (컴퓨터의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조금 보충해서 적는건 상관없어요^^)

준비물은요 그냥 간단하게 꾸밀꺼잇죠?>싸인팬,색연필,가위,색종이로 꾸미는것도 갠찬아요^^,물론 용지는 잇어야겟죠?,그리고 사진이랑 글의 배율은 3:7이좋아여^^

● 참고자료

1) 한국사이버자연사박물관 - http://kcnhm.yeungnam.ac.kr

2) 환경운동연합 - http://www.kfem.or.kr

3)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4) 재활용전망대 - http:// www.sanghun82.pe.kr 등


2. 주제선정

주제1. 수질오염(미군생활하수 및 독극물 방류)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2. 대기오염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3. 쓰레기 매립, 토양오염에 대한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4. 소음, 전자파, 환경 호르몬 등에 대한 피해사례 및 해결방안

주제5. 내가 버린 매점쓰레기, 교실쓰레기 실태조사, 해결방안

주제6. 어떤 기상 이변이 우리에게 다가왔을까?(라니냐, 엘리뇨, 적조, 녹조, 온난 화 현상 등) 우리가 해야할 일

주제7. 학교의 환경 관련 행사 및 보도기사

주제8. 환경 관련 논단, 생활과학 및 교과

주제9. 기획기사, 지역사회의 실태, 환경 정보

주제10. 환경관련 학생 문예작품

주제11. 기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것


3. 기사 쓰기

① 6하 원칙을 지키고 결론을 앞으로

② 문장은 단순하고 간결하게

③ 기사가 너무 길지 않게

④ 중간 제목은 뽑을 수 없다.

⑤ 서술식 전개를 피할 것

⑥ 존칭이나 높임말 사용하지 말 것 (꼭 높인말을 사용하지말아야 할것은 아닙니다^^)

⑦ 주관적 감정을 담지 말 것

⑧ 결론을 내리지 말 것

⑨ 사진도 보도기사임

⑩ 논평기사(주제설정→현황설명→결론도출)

⑪ 탐방 기사

⑫ 분석 기사

⑬ 스케치 기사


4. 제목 정하기

① 기사의 결론 부분이 제목이다

② 조사와 동사는 생략

③ 현재형으로 쓴다.

④ 의미 표현은 정확히

⑤ 제목 사이에 의미의 긴밀성 유지

⑥ 단어의 중복 사용 금지

⑦ 강조할 단어가 앞으로

⑧ 부제목은 큰 제목의 보충 설명

⑨ 동사가 올 수 있는 문자


5.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6.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7.환경사설(신문)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8.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 프레온 가스                               등^ ^

 

 

************

그리고 환경 자료

 

1.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해결

예를 들겠습니다.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이중에서 몇개 하시구요...


2.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정도로...

3.환경사설(신문)

뭔말이신지... 신문 종류? 우선 신문싸이트 종류를 쓰겠습니다.
쪽지 보내주시면 수정하죠.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이정도로...

4.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이건 쉽죠......ㅎㅎ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만약에 같은게 반복돼있다면은

죄송합니당당당

우선 

생각나는대로

쓴거니까

뽑아주시면은 

감사해용~

열공해서

멋지게 만들어

가세요요요용

저도옛날에

그거 

만들었었는뎈ㅋㅋ

 

도움돼셧으면 저는이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자원의 의미와 환경오염

(1) 가정 자원의 뜻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모든 수단과 방법

 

(2) 자원의 종류

① 인적자원 : 인간 내부에 있거나 인간과 떨어질 수 없는 자원

ㄱ. 개인적 자원 :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창의력, 시간

ㄴ. 대인적 자원 : 가족간의 협동심, 의사소통, 친밀감 등

 

* 시간 : 누구에게나 똑같은 양이 주어지지만, 활용 정도에 따라 질과 양이 달라지는 자원

 

② 비인적 자원 : 인적 자원을 제외한 물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소유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ex) 금전, 동력 에너지, 가정 기기 및 설비, 사회 공공시설(도서관, 보건소, 놀이터 등)

 

(3) 자원의 효율적 활용

가정 자원은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으로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① 교환하여 사용한다 - 필요한 자원을 타인이나 다른 가족에게 빌려서 사용한다.

② 활용가능성을 높인다 - 자원을 잘 간수하여 사용 기간을 늘인다.

ex) 1시간에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면서 동시에 청소를 하였다.

③ 낭비하지 않는다.

④ 대체해서 사용한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 중에서 많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사용하고 적게 가진 자원을 절약하는 것

⑤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4) 가정을 둘러싼 환경

① 가정 환경 : 가정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

ex) 주택, 가정 기기 및 설비, 가족의 수입, 가족구성원, 친척, 이웃 등

② 근접 환경 : 가족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환경

ex) 직장, 학교, 병원, 동사무소, 놀이공원 등

③ 광역 환경 :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범위의 환경

ex) 자연환경, 정치, 종교 제도 즉, 태양, 물, 불국사, 석굴암 등

 

(5) 환경오염

① 수질오염 :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이 원인

ex) 적조현상

② 대기오염 : 가정의 난방, 공장, 자동차 매연, 냉장고나 에어컨의 프레온 가스 등이 원인

ex) 온실효과, 스모그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

③ 토양오염 : 농약, 비료, 각종 폐기물, 수질 오염 및 대기오염을 통한 오염 물질의 유입

→ 한번 오염되면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고, 인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6) 환경보건을 위한 실천 사항

① 수질오염방지 : 물과 합성세제의 사용량 줄이기, 기름기는 종이로 닦은 후 씻기, 음식 찌꺼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기

② 대기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프레온 가스를 사용한 물건 쓰지 않기, 대중 교통 이용하기

③ 토양오염 :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하기

 

(7) 재활용하기

① 종이류 : 신문, 잡지, 사무용지 등 종류별로 묶어서 분리 수거

② 캔류 및 고철류 : 내용물을 비운 뒤 납작하게 눌러 부피를 줄이고, 가스통은 구멍을 뚫은뒤 쭈그러뜨림

③ 병류 : 내용물을 비우고 뚜껑을 제거하여 씻은 후 배출

④ 플라스틱류 :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이 씻어 배출

⑤ 음식 및 채소류 : 물기를 빼서 음식물 수거함에 넣음

 

(8) 환경 마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표시하는 마크

---------------------------------------------------------------------------------------------------------------------------

 

한반도 상공 오존층 회복세                         2006-10-25 10:14


기상청(청장 이만기)은 지난 1979년부터 작년까지 우리나라 상공의 오존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90년 초반까지는 감소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 최근까지는 회복되는 경향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기상청 위탁관측소로 운영되고 있는 연세대학교에서 오존 분광광도계와 TOMS 위성의 오존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1979년∼2005년 오존량의 장기변화 경향은 10년동안 0.2%의 감소됐다. 또 1992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기는 10년동안 4.9% 감소된 반면 후반기부터는 1.43% 증가됐다.

또한 지난 2002년부터 4년간 포항기상대에서 오존 존데를 이용한 오존 연직 구조의 관측에서는 오존층이 18km∼25km 고도에 위치하고 있고 겨울과 봄에 오존 전량이 많고 가을에 가장 적은 계절적 변동이 있음이 분석됐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의 발표에 의하면 지난달 남극 오존홀이 지난 1979년 위성관측 개시 이래 가장 큰 오존홀로 기록됐다. 연도별로 가장 큰 오존홀 7개년도가 최근 10년에 몰려 있는 등 아직도 남극의 오존층 파괴는 계속되고 있어 극동지역의 오존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

 

지하상가 실점수기질 '심각'                         2006-10-19 09:16


이산화질소 등 환경기준치 초과


지난달 8일 발생한 종각역 일산화탄소(CO) 누출사고는 미리 예견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을)에 따르면 지하상가에서의 인명피해 위험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선교 의원실에서 강남, 영등포로터리, 종로4가 등 3개 지하상가에 대해 실점수기질을 측정한 결과,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했다.

영등포로타리, 동대문 지하상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환경기준치인 500㎍/㎥을 초과했으며, 동대문 4.3배, 영등포로타리 지하상가는 1.7배, 강남 지하상가의 환경부 자료는 기준치보다 무려 3.7배나 높게 검출됐다.

이산화질소는 강남, 영등포로타리 및 동대문 지하상가 모두 기준치인 0.05ppm을 초과했다. 강남과, 영등포로타리는 1.4배, 동대문은 1.2배 높게 나왔다. 이산화탄소는 환경기준치는 1,000ppm이나 강남 지하상가 982ppm, 동대문 980ppm 등 거의 기준치에 육박했다.

동대문 지하상가는 포름알데히드 역시 120.6㎍/㎥을 기록 기준치인 120㎍/㎥를 넘어섰으며 일산화탄소 역시 4.9ppm을 기록 5ppm의 저농도에 20분간만 노출할 경우 신경계 장애 불러일으켜, 체내 혈액 10% 기능 상실, 시각 및 정신 기능 장애, 종래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런 물질의 경우 국민들에게 생소해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한선교 의원은 "작년 법개정을 통해 우리나라도 세계보건기구 및 선진국들의 실점수기질 관리 방향에 발맞추어 실점수기질 관리에 나섰으나, 정작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환경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피로감에서부터 서서히 시작해 두통, 구토로 이어져 중추신경의 마비 등 심각한 사태에까지 이를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에 급급해 물청소, 공조기의 휠터 교체 횟수 증대 등의 미봉에 그치는 대책마련 보다는 환기설비를 최악의 조건을 가정해 변경해 설계, 시공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원인을 규명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수도권대기질 개선정책 문제점 추궁            2006-10-23 02:1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등 사회적 피해가 연간 10조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대기환경개선대책과 관련한 미비점과 문제점이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수도권은 호흡기질환, 조기사망 등을 유발하는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오염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국토의 12%인 수도권에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돼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연간 11,127명으로 추정된다.

23일 오전 10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수도권대기질 개선 정책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먼저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성남 중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환경부 조기폐차사업의 집행률 저조를 추궁할 예정이다. 환경부 조기폐차사업 집행률은 금년 9월 15일 현재 2.7%에 불과하다.

신 의원은 배출가스저감사업과 관련, 수도권 미세먼지에서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실제보다 고평가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서 경유차 배출가스 규제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대기질 개선대책의 실효성도 물을 예정이다.

또한 일부 저감장치 성능이 부실하다는 주장도 확인할 계획이다. 현재 매연여과장치(DPF)를 온도조건이 맞지 않는 청소차 등 저속주행 차량에 부착시 매연과다 배출 및 출력·연비저하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저공해자동차 보급 부진과 ▲대형사업장은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엄격 관리하는 총량관리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의 부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위한 추가재원 확보 방안 등을 물을 예정이다.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수도권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진행률이 저조한 것을 추궁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사업평가를 장치 보급대수에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얼마큼 기여했는가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최용규 의원(인천 부평을)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대수에만 급급해 저감장치 기능에 대한 점검이 없었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예정이다. 단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책을 바이오디젤의 보급 확산을 통한 연료대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그다음은.. 환경에 관련된 시를 올릴게여^^&*

 

----------------------------------------------------------------------------------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아무데나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슬쩍슬쩍 몰래몰래 버려도

보는 사람 없으니까.

꽃이 알고 나쁜 어린이

눈을 흘겨요.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여기저기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썩어 가는 흙도 물도

가만가만 있으니까.

나무가 알고 나쁜아이

혼내 줄 거야.


---------------------------------------------

 

이슬같이 맑은 물


마구 버린 쓰레기로

물이 울부짖는 소리를

귀기울여 들어 보세요

몰래 버린 폐수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아 주세요

펑펑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코로 냄새 맡아 보세요.

이슬같이 맑은 물

쪽빛 투명한 물

우리들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병들어 썩어 가는

물이 울부짖는 소리

귀기울여 보세요

합성세제 샴푸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

자세히 보아 주세요

쏟아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깊이깊이 냄새 맡아 보세요.

진주같이 맑은 물

옥같이 깨끗한 물

유리빛 투명한 물

우리들의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

 

빙하가 녹아 내리고


지구가 더워지면

빙하가 녹아 내리고


남극 북극 빙산이

녹으면

해수면이 높아져

바닷물이 넘치게 되고


바닷물이 넘치면

육지가 잠겨 버리고


육지가 잠기면

우리 삶의 터전 잃게 되지.


프레온가스 석유 석탄이

뿜어내는 연기 때문이지.


세계 인구 불어나

백억 된다면

지구가 더 더워지고

이대로 가면

이천이십년쯤엔 어떻게 될까

상상의 날개를 펴 보자.


알프스 빙하 베링 빙하가

녹아 내리면

쾌적한 환경은 사라지고

아무도 살 수 없게 될 거야.


21세기는

환경의 시대

미리 대비해야 한단다.


*알프스 빙하 : 스위스에 있는 빙산 이름

베링 빙하 : 미국 알래스카의 빙산

 

------------------------------------------------------------------------------

 

 

 

 

<수질오염>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중앙일보 2005.12.09]    

서울고법 민사22부는 "이웃집 개짖는 소리 때문에 수면장애.식욕저하 등을 겪었다"며 표모씨가 개주인인 이모(42)씨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병원 치료비와 위자료(100만원) 등 모두 147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8일 밝혔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비교적 개 사육이 자유로운 농촌 지역에 살고 있지만 옆집 개들이 짖는 소리에 잠을 못 자는 등 사회통념을 벗어날 정도로 권익을 침해당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는 항의받은 뒤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만큼 배상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개들이 짖어 발생한 소음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므로 금전으로나마 이를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그러나 "수면장애 등이 원고의 기질적.유전적 요인 때문에 악화된 점을 감안해 피고 책임을 50%만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개소음 법원판례

소음, 합의서 있어도 배상

합의서만으로 소음피해 보상 거부못해

급배수설비소음 배상판결

아파트 인근 소음 유발로 ‘구류’

층간소음 폭력 행사한  ‘벌금형’선고

층간소음 배상판례

법률 제정 아파트도 층간소음피해 배상

대로변아파트 소음 분양사가 배상

차량소음 배상

아파트 건축 전 기존도로 소음피해 보상

'수인한도' 초과 고속도로소음배상 판결

집회 확성기 소음 법원판례

주택가 인근 공장소음 벌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소음피해 배상

공연장 소음 난청상해 배상

부산 소음 피해 건축허가기관 연대 책임

아파트 신축공사 소음피해 건설사 배상

 

 

구미시 고속도로변 아파트 소음피해 배상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

 

유원지에 버려진 쓰레기들

 

 

강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들

 

 

버려진 음식물쓰레기(수진오염의 주범)

 

바닷가에 밀려온 쓰레기

 

버려진 폐선으로 인한 바다오염

폐선으로 인한 수질오염 2

 

수질오염으로 인해 폐사된 조개들..

 

숲속에 버려진 양심들..

미철거된 골재로 인한 오염물들

 

 

사업장 폐기물 불법 처리로 인한 오염

중간에 죄송하지만////

만드는방법 대강 알려드릴게요...

 

<!--// 타이틀 -->

<환경신문만드는 방법>
 
이런식으로 만들면 되는데요~
 
순서

● 만드는 방법

A4용지를 4장정도 준비한다.

A4용지의 크기로 4면이상으로 한다. (보통은 4절스케치북에 합니다^^)

신문의 제목을 정하고 가편집을 한다.(신문제목: 어쩌구저쩌구)

주제가 4가지 이상으로 한다.

신문의 내용은 사설 쓰기, 신문기사 활용, 공익 광고, 집중 취재, 환경 상식, 독자 한마당, 학교 내 현장 고발 사진 찍기, 환경을 깨끗하게 한 실천사례, 편집 후기, 광고 등 각자 창의적이고 특징 있게 한다.

● 주의사항 : 자기의 의견이나 실제로 문제시되는 것을 기사로 쓴다. 컴퓨터의 내용이나 신문기사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된다. (컴퓨터의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조금 보충해서 적는건 상관없어요^^)

준비물은요 그냥 간단하게 꾸밀꺼잇죠?>싸인팬,색연필,가위,색종이로 꾸미는것도 갠찬아요^^,물론 용지는 잇어야겟죠?,그리고 사진이랑 글의 배율은 3:7이좋아여^^

● 참고자료

1) 한국사이버자연사박물관 - http://kcnhm.yeungnam.ac.kr

2) 환경운동연합 - http://www.kfem.or.kr

3)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4) 재활용전망대 - http:// www.sanghun82.pe.kr 등


2. 주제선정

주제1. 수질오염(미군생활하수 및 독극물 방류)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2. 대기오염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3. 쓰레기 매립, 토양오염에 대한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4. 소음, 전자파, 환경 호르몬 등에 대한 피해사례 및 해결방안

주제5. 내가 버린 매점쓰레기, 교실쓰레기 실태조사, 해결방안

주제6. 어떤 기상 이변이 우리에게 다가왔을까?(라니냐, 엘리뇨, 적조, 녹조, 온난 화 현상 등) 우리가 해야할 일

주제7. 학교의 환경 관련 행사 및 보도기사

주제8. 환경 관련 논단, 생활과학 및 교과

주제9. 기획기사, 지역사회의 실태, 환경 정보

주제10. 환경관련 학생 문예작품

주제11. 기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것


3. 기사 쓰기

① 6하 원칙을 지키고 결론을 앞으로

② 문장은 단순하고 간결하게

③ 기사가 너무 길지 않게

④ 중간 제목은 뽑을 수 없다.

⑤ 서술식 전개를 피할 것

⑥ 존칭이나 높임말 사용하지 말 것 (꼭 높인말을 사용하지말아야 할것은 아닙니다^^)

⑦ 주관적 감정을 담지 말 것

⑧ 결론을 내리지 말 것

⑨ 사진도 보도기사임

⑩ 논평기사(주제설정→현황설명→결론도출)

⑪ 탐방 기사

⑫ 분석 기사

⑬ 스케치 기사


4. 제목 정하기

① 기사의 결론 부분이 제목이다

② 조사와 동사는 생략

③ 현재형으로 쓴다.

④ 의미 표현은 정확히

⑤ 제목 사이에 의미의 긴밀성 유지

⑥ 단어의 중복 사용 금지

⑦ 강조할 단어가 앞으로

⑧ 부제목은 큰 제목의 보충 설명

⑨ 동사가 올 수 있는 문자


5.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6.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7.환경사설(신문)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8.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 프레온 가스                               등^ ^

 

 

************

그리고 환경 자료

 

1.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해결

예를 들겠습니다.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이중에서 몇개 하시구요...


2.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정도로...

3.환경사설(신문)

뭔말이신지... 신문 종류? 우선 신문싸이트 종류를 쓰겠습니다.
쪽지 보내주시면 수정하죠.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이정도로...

4.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이건 쉽죠......ㅎㅎ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환경신문/정부의 환경정책,환경상식,환경 실천 우수 사례 들...

 

1..하천/동물

1-세계는 지금 생물자원 전쟁 중~!

□ 생물다양성은 지구 생태계 안정의 기반을 이루고, 인류 생존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인간의 문화적·정신적 가치 이외에도 생물자원으로써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인류가 처해있는 식량 및 에너지 부족, 난치병 등의 주요 난제를 생물자원으로부터 해결할 수 있으며, 인류의 지속가능한 생존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물산업은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의 토대이자 21세기 기간산업으로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생물자원을 이용한 상품의 연간 세계시장 규모는 5천~8천억 달러이며, 의약품의 70~80% 이상이 식물 등 천연물질에서 추출되고 있다

 

 

2.“川生人生.... 하천이 살아야 사람도 산다”~!

□ 앞으로 콘크리트 고수부지, 주차장, 수로의 직선화 등 인공적인 구조물로 치장된 하천은 사라지고, 옆새우, 가재, 버들치, 쉬리, 은어 등이 아이들과 함께 어우러져 노는 생태 하천이전국적으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 환경부는 국가 및 자치단체 등에서 추진중인 하천정화(정비)사업이 하천의 생태계 복원에 초점을 두어 시행될 수 있도록 「생태하천 가이드북(川生人生....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건강한 하천 만들기)」를 마련하고, 자치단체 등으로 하여금 생태하천 복원의 지침서로 활용토록 하였다.

 

3.멸종위기종 바다사자 복원 연구 추진~!

□ 환경부는 동해에 회유하는 해양포유류(기각아목)의 실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조사 연구 결과, 물개류와 물범류의 이동경로가 예측되었다고 밝혔다.

* 우리나라 연안에서 확인된 기각아목의 목록

- 바다사자과 : 물개, 바다사자, 큰바다사자
- 물범과 : 물범, 고리무늬물범, 흰띠박이물범, 잔점무늬물범

○ 동해안에서 혼획되는 해양포유류에 대한 현지조사(’06.10~‘07. 6) 및 과거자료(’01년~‘06년)
분석에 의하면, 물개류는 북위 42° 이북의 북태평양의 동서 연안 및 해양지역의 도서지역에서 번식한 후, 월동을 위해 강릉시 주문진까지 남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바다사자는 1970년대까지 동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으나 2001년 이후 자료를 조사한 결과 바다사자에 대한 기록은 1건도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토양/소음

 

1.동일건물내 소음다량 발생사업장 소음기준 마련 추진/소음

1.환경부는 노래연습장 등 동일건물에서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으로 인한 소음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생활소음 규제기준을 신설하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일부개정령안을 ‘07.10.1일 입법예고 하였다.

2.이번 개정은 동일건물에 소음을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업장과 병원·독서실 등과 같이 정온을 요하는 주택·사업장이 인접한 경우, 소음피해 민원이 지속 증가(’04년 105건→’05년 149건→‘06년 245건)하고 있으나, 현행 소음·진동규제법령에서는 건물외부에서 발생되는 생활소음에 대해서만 규제하고 있어 동일건물내에서 발생하는 소음피해에 대한 예방과 보호가 어려움에 따라 추진하게 된 것이다.

 

2."방음벽 설치해도 장기간 소음땐 피해 인정"

1.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대구 수성구 아파트 신축공사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박모씨 등 1,283명 인근 주민들이 정신적 피해 및 물질적(건물도색비 등) 피해를 입었다며 시공사측에 배상을 요구한 사건에 대해 주민 329명의 정신적 피해를 인정, 5천여 만원을 배상하도록 결정했다.

2.위원회는 시공사측이 소음저감을 위해 방음벽 설치 등 노력을 했지만 토목공사시 암반제거를 위해 브레이커를 1일 최대 7대까지 사용하는 등 장기간에 걸쳐 소음을 발생시켰고, 평가소음도가 최고 73데시벨로 나타나 수인한도(70데시벨)를 초과해 피해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1.전국 90곳 토양오염 기준 초과, 대체로 '양호'/토지

1.폐광산 토양 오염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2.환경부와 지자체는 전국 3,794개 지점에 대한 토양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90개 지점(2.4%)만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지만, 이중 37개 지점(1.0%)이 대책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3.이번 토양오염도 조사는 환경부가 토양측정망 1,500지점을 지자체가 오염우려지역 2,294지점을 각각 조사했다.

4.환경부가 실시한 토양측정망 1,500지점 조사 결과, 4개 지점(0.3%)에서 아연(Zn)과 니켈(Ni)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전반적인 기준초과율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나, 비소(As), 아연(Zn), 니켈(Ni) 등은 전년도보다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오염가능성이 높은 공장, 도로, 철도용지에서는 카드뮴(Cd), 구리(Cu), 납(Pb) 등 중금속 항목이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고, 농약을 사용하는 논, 밭, 과수원의 경우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전국 평균치보다 낮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2.토양오염 복원기술 '주목'

1.최근 광산지역 주변 농산물의 오염과 미군기지 토양오염 등이 이슈화되면서 토양오염 복원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2.10일 특허청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작년까지 오염토양 복원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은 모두 220건으로 이 가운데 85%인 186건이 2001년 이후 출원됐다.

3.기술분야 별로는 단독처리기술이 55%, 복합처리기술이 45%를 차지했으며 단독처리기술은 생물학적 처리가 18.6%, 액체를 이용한 추출이 16.4%, 화학적 처리가 15.5%, 열에 의한 탈착이 4.5% 등의 순이었다.

4.출원인 별로는 외국인의 출원이 2004년 20.8%까지 늘었으나 해마다 10% 안팎에 그치고 있고 내국인 출원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5.특허청 관계자는 "이 기술은 '토양정화업'이라는 독자적인 자리를 잡아갈 정도로 높은 수익과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아직 외국기업의 참여도가 높지 않은 만큼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여건이나 조건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1.환경 관련 노래

1.붉은바다.

이제는 차갑게 식어버린 기름에 더럽혀진
돌고래가 누워있는 모래밭 위엔
그토록 오랜 세월동안 간직한 어부들의 조각난 꿈이
파도에 쓸려 나가네

하얀 파도와 춤추며 날으던 갈매기 노래 소리들
그 언제던가 피빛으로 붉게 물든 바다여
수 천과 수 만의 죽음이여
이제 여기서 멈추게 하라
어머니인 저 바다의 피눈물을 멈추게 하라

우린 지금 이 세상을 잠시 스쳐 가지만
이 땅위의 모든 것 태어났던 그 곳 바다 저 고향의 바다

이 세상의 끝까지라도 영원히 우리를 지키며 숨쉬네
저 멀리 떠나버린 수많은 생명들이 이젠 돌아오게 하라

 

2.더 늦기전에..

생각해보면 힘들었던 지난 세월
앞만을 보며 힘차게 달려 여기에 왔지
가야할길이 아직도 남아있지만
이제 여기서 걸어온길을 돌아보네

어린시절에 뛰놀던 정든 냇물은
회색거품을 가득 싣고서 흘러가고
공장굴뚝에 자욱한 연기 속에서
내일의 꿈이 흐린 하늘로 흩어지네

하늘끝까지 뻗은 회색 빌딩숲
이것이 우리가 원한 전부인가
그 누구가 미래를 약속하는가
이젠 느껴야하네 더 늦기전에

그언젠가 아이들이 자라서 밤하늘을 바라볼때에
하늘 가득 반짝이는 별들을 두 눈 속에 담게 해주오.

저 하늘 촘촘히 박혀있던 우리의 별들을
하나둘 헤아려 본지가 얼마나 되었는가
그 별들이 하나둘 떠나고 힘없이 펼쳐지는 작은 별하나
자 이제 우리가 할 일이 무어라고 생각하나
우리는 저별 마저 외면해 버리고 떠나 보내야만 하는가

 

3.nowNnew - 하나 되어

뜻하지 않은 아픔을 겪었어 너무 앞만 보고 달렸던거야
이제 그 누구도 탓하지 말고 나의 부족함을 다시 생각해
우리에겐 아직 희망은 있어 어려울수록 강해지는 믿음
그래 다시 시작해보는거야 다시 태어나는 그런 맘으로
워~우린 해낼 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이겼어

세상이 우릴 지켜보고 있어 우리의 시작을 의심할꺼야
그런 그들에게 보여줘야해(보여줘야해)
우리도 몰랐던 또다른 힘을 워~~
우린 해낼 수 있어(해낼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이겼어

오~저 높이 떠오르는 태양을 봐 우릴 비춰주고 있잖아 예~
우리 모두(우리 모두) 손을 잡고(손을 잡고) 희망의 미랠 향해 워~~
우린 해낼 수 있어(해낼 수 있어)
다시 일어날 수 있어(다시 일어날 수 있어)
그토록 힘들었던 지난 시련도 우린 하나되어
우린 하나되어 우린 하나 되어 우린 하나되어
하나되어 이겼어

 

1.환경 관련 설문조사

 

1. 환경오염 에 대하여


 1) 가장 오염이 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2)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 환경 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 이라고 생각 하는 것

 

1)쓰레기 문제


2)매연문제


3)소음공해


4)폐수문제


5)기타- - - -자신의 생각


3.환경에 대한 인식


1. 내가 행동하고 있는 행동 중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2. 폐수, 매연, 음식 찌꺼기, 등 이런 것 말고 거리에 쓰레기 버리는 일,

 

침과 껌을 뱉는 일도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을 알고 계시나요?


3. 평소에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시나요?


4. 환경 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제일먼저 생각하는 것이 뭔가요?


〈4.일회용품 설문조사〉

1. 일회용품이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그래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2. 여행을 갈 때 주로 일회용품을 가져가는지?


3. 일회용품을 주로 얼마나 사용하는지?


4.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이유는?



< 5.대기오염에 대한 생각>

 

1. 별로 중요한 문제는 아닌 것 같다.

 

2. TV나 신문에 나올 때 그 순간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순간이 지나버리면 별 상관없다.

 

3. 심각하다고 생각되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4. 정말 그 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다.

 

5. 기타

 

재발 답변확정부탁 존나 힘들었음 ㅠㅠ

 

 

 

 

 

ths2768작성

<!--- 출처 --->

출처 : 출처 : 출처 : 환경신문:http://fksm.co.kr/

<!--// 출처 -->

<!--// 답변 --><!--- 답변 --->
<!--- 타이틀 --->

re: 육학년 환경 신문 만들기

:show_id_layer(this,'gdc333','KIN','ING','1102','8889711');" href="javascript:void(0);">gdc333 (2007-10-17 19:31 작성)

신고

<!--// 타이틀 -->

1. 자원의 의미와 환경오염

(1) 가정 자원의 뜻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모든 수단과 방법

 

(2) 자원의 종류

① 인적자원 : 인간 내부에 있거나 인간과 떨어질 수 없는 자원

ㄱ. 개인적 자원 :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창의력, 시간

ㄴ. 대인적 자원 : 가족간의 협동심, 의사소통, 친밀감 등

 

* 시간 : 누구에게나 똑같은 양이 주어지지만, 활용 정도에 따라 질과 양이 달라지는 자원

 

② 비인적 자원 : 인적 자원을 제외한 물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소유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ex) 금전, 동력 에너지, 가정 기기 및 설비, 사회 공공시설(도서관, 보건소, 놀이터 등)

 

(3) 자원의 효율적 활용

가정 자원은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으로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① 교환하여 사용한다 - 필요한 자원을 타인이나 다른 가족에게 빌려서 사용한다.

② 활용가능성을 높인다 - 자원을 잘 간수하여 사용 기간을 늘인다.

ex) 1시간에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면서 동시에 청소를 하였다.

③ 낭비하지 않는다.

④ 대체해서 사용한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 중에서 많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사용하고 적게 가진 자원을 절약하는 것

⑤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4) 가정을 둘러싼 환경

① 가정 환경 : 가정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

ex) 주택, 가정 기기 및 설비, 가족의 수입, 가족구성원, 친척, 이웃 등

② 근접 환경 : 가족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환경

ex) 직장, 학교, 병원, 동사무소, 놀이공원 등

③ 광역 환경 :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범위의 환경

ex) 자연환경, 정치, 종교 제도 즉, 태양, 물, 불국사, 석굴암 등

 

(5) 환경오염

① 수질오염 :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이 원인

ex) 적조현상

② 대기오염 : 가정의 난방, 공장, 자동차 매연, 냉장고나 에어컨의 프레온 가스 등이 원인

ex) 온실효과, 스모그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

③ 토양오염 : 농약, 비료, 각종 폐기물, 수질 오염 및 대기오염을 통한 오염 물질의 유입

→ 한번 오염되면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고, 인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6) 환경보건을 위한 실천 사항

① 수질오염방지 : 물과 합성세제의 사용량 줄이기, 기름기는 종이로 닦은 후 씻기, 음식 찌꺼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기

② 대기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프레온 가스를 사용한 물건 쓰지 않기, 대중 교통 이용하기

③ 토양오염 :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하기

 

(7) 재활용하기

① 종이류 : 신문, 잡지, 사무용지 등 종류별로 묶어서 분리 수거

② 캔류 및 고철류 : 내용물을 비운 뒤 납작하게 눌러 부피를 줄이고, 가스통은 구멍을 뚫은뒤 쭈그러뜨림

③ 병류 : 내용물을 비우고 뚜껑을 제거하여 씻은 후 배출

④ 플라스틱류 :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이 씻어 배출

⑤ 음식 및 채소류 : 물기를 빼서 음식물 수거함에 넣음

 

(8) 환경 마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표시하는 마크

---------------------------------------------------------------------------------------------------------------------------

 

한반도 상공 오존층 회복세                         2006-10-25 10:14


기상청(청장 이만기)은 지난 1979년부터 작년까지 우리나라 상공의 오존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90년 초반까지는 감소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 최근까지는 회복되는 경향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기상청 위탁관측소로 운영되고 있는 연세대학교에서 오존 분광광도계와 TOMS 위성의 오존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1979년∼2005년 오존량의 장기변화 경향은 10년동안 0.2%의 감소됐다. 또 1992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기는 10년동안 4.9% 감소된 반면 후반기부터는 1.43% 증가됐다.

또한 지난 2002년부터 4년간 포항기상대에서 오존 존데를 이용한 오존 연직 구조의 관측에서는 오존층이 18km∼25km 고도에 위치하고 있고 겨울과 봄에 오존 전량이 많고 가을에 가장 적은 계절적 변동이 있음이 분석됐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의 발표에 의하면 지난달 남극 오존홀이 지난 1979년 위성관측 개시 이래 가장 큰 오존홀로 기록됐다. 연도별로 가장 큰 오존홀 7개년도가 최근 10년에 몰려 있는 등 아직도 남극의 오존층 파괴는 계속되고 있어 극동지역의 오존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

 

지하상가 실점수기질 '심각'                         2006-10-19 09:16


이산화질소 등 환경기준치 초과


지난달 8일 발생한 종각역 일산화탄소(CO) 누출사고는 미리 예견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을)에 따르면 지하상가에서의 인명피해 위험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선교 의원실에서 강남, 영등포로터리, 종로4가 등 3개 지하상가에 대해 실점수기질을 측정한 결과,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했다.

영등포로타리, 동대문 지하상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환경기준치인 500㎍/㎥을 초과했으며, 동대문 4.3배, 영등포로타리 지하상가는 1.7배, 강남 지하상가의 환경부 자료는 기준치보다 무려 3.7배나 높게 검출됐다.

이산화질소는 강남, 영등포로타리 및 동대문 지하상가 모두 기준치인 0.05ppm을 초과했다. 강남과, 영등포로타리는 1.4배, 동대문은 1.2배 높게 나왔다. 이산화탄소는 환경기준치는 1,000ppm이나 강남 지하상가 982ppm, 동대문 980ppm 등 거의 기준치에 육박했다.

동대문 지하상가는 포름알데히드 역시 120.6㎍/㎥을 기록 기준치인 120㎍/㎥를 넘어섰으며 일산화탄소 역시 4.9ppm을 기록 5ppm의 저농도에 20분간만 노출할 경우 신경계 장애 불러일으켜, 체내 혈액 10% 기능 상실, 시각 및 정신 기능 장애, 종래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런 물질의 경우 국민들에게 생소해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한선교 의원은 "작년 법개정을 통해 우리나라도 세계보건기구 및 선진국들의 실점수기질 관리 방향에 발맞추어 실점수기질 관리에 나섰으나, 정작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환경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피로감에서부터 서서히 시작해 두통, 구토로 이어져 중추신경의 마비 등 심각한 사태에까지 이를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에 급급해 물청소, 공조기의 휠터 교체 횟수 증대 등의 미봉에 그치는 대책마련 보다는 환기설비를 최악의 조건을 가정해 변경해 설계, 시공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원인을 규명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수도권대기질 개선정책 문제점 추궁            2006-10-23 02:1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등 사회적 피해가 연간 10조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대기환경개선대책과 관련한 미비점과 문제점이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수도권은 호흡기질환, 조기사망 등을 유발하는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오염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국토의 12%인 수도권에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돼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연간 11,127명으로 추정된다.

23일 오전 10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수도권대기질 개선 정책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먼저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성남 중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환경부 조기폐차사업의 집행률 저조를 추궁할 예정이다. 환경부 조기폐차사업 집행률은 금년 9월 15일 현재 2.7%에 불과하다.

신 의원은 배출가스저감사업과 관련, 수도권 미세먼지에서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실제보다 고평가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서 경유차 배출가스 규제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대기질 개선대책의 실효성도 물을 예정이다.

또한 일부 저감장치 성능이 부실하다는 주장도 확인할 계획이다. 현재 매연여과장치(DPF)를 온도조건이 맞지 않는 청소차 등 저속주행 차량에 부착시 매연과다 배출 및 출력·연비저하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저공해자동차 보급 부진과 ▲대형사업장은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엄격 관리하는 총량관리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의 부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위한 추가재원 확보 방안 등을 물을 예정이다.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수도권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진행률이 저조한 것을 추궁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사업평가를 장치 보급대수에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얼마큼 기여했는가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최용규 의원(인천 부평을)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대수에만 급급해 저감장치 기능에 대한 점검이 없었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예정이다. 단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책을 바이오디젤의 보급 확산을 통한 연료대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그다음은.. 환경에 관련된 시를 올릴게여^^&*

 

----------------------------------------------------------------------------------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아무데나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슬쩍슬쩍 몰래몰래 버려도

보는 사람 없으니까.

꽃이 알고 나쁜 어린이

눈을 흘겨요.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여기저기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썩어 가는 흙도 물도

가만가만 있으니까.

나무가 알고 나쁜아이

혼내 줄 거야.


---------------------------------------------

 

이슬같이 맑은 물


마구 버린 쓰레기로

물이 울부짖는 소리를

귀기울여 들어 보세요

몰래 버린 폐수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아 주세요

펑펑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코로 냄새 맡아 보세요.

이슬같이 맑은 물

쪽빛 투명한 물

우리들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병들어 썩어 가는

물이 울부짖는 소리

귀기울여 보세요

합성세제 샴푸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

자세히 보아 주세요

쏟아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깊이깊이 냄새 맡아 보세요.

진주같이 맑은 물

옥같이 깨끗한 물

유리빛 투명한 물

우리들의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

 

빙하가 녹아 내리고


지구가 더워지면

빙하가 녹아 내리고


남극 북극 빙산이

녹으면

해수면이 높아져

바닷물이 넘치게 되고


바닷물이 넘치면

육지가 잠겨 버리고


육지가 잠기면

우리 삶의 터전 잃게 되지.


프레온가스 석유 석탄이

뿜어내는 연기 때문이지.


세계 인구 불어나

백억 된다면

지구가 더 더워지고

이대로 가면

이천이십년쯤엔 어떻게 될까

상상의 날개를 펴 보자.


알프스 빙하 베링 빙하가

녹아 내리면

쾌적한 환경은 사라지고

아무도 살 수 없게 될 거야.


21세기는

환경의 시대

미리 대비해야 한단다.


*알프스 빙하 : 스위스에 있는 빙산 이름

베링 빙하 : 미국 알래스카의 빙산

 

------------------------------------------------------------------------------

 

 

 

 

<수질오염>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중앙일보 2005.12.09]    

서울고법 민사22부는 "이웃집 개짖는 소리 때문에 수면장애.식욕저하 등을 겪었다"며 표모씨가 개주인인 이모(42)씨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병원 치료비와 위자료(100만원) 등 모두 147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8일 밝혔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비교적 개 사육이 자유로운 농촌 지역에 살고 있지만 옆집 개들이 짖는 소리에 잠을 못 자는 등 사회통념을 벗어날 정도로 권익을 침해당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는 항의받은 뒤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만큼 배상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개들이 짖어 발생한 소음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므로 금전으로나마 이를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그러나 "수면장애 등이 원고의 기질적.유전적 요인 때문에 악화된 점을 감안해 피고 책임을 50%만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개소음 법원판례

소음, 합의서 있어도 배상

합의서만으로 소음피해 보상 거부못해

급배수설비소음 배상판결

아파트 인근 소음 유발로 ‘구류’

층간소음 폭력 행사한  ‘벌금형’선고

층간소음 배상판례

법률 제정 아파트도 층간소음피해 배상

대로변아파트 소음 분양사가 배상

차량소음 배상

아파트 건축 전 기존도로 소음피해 보상

'수인한도' 초과 고속도로소음배상 판결

집회 확성기 소음 법원판례

주택가 인근 공장소음 벌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소음피해 배상

공연장 소음 난청상해 배상

부산 소음 피해 건축허가기관 연대 책임

아파트 신축공사 소음피해 건설사 배상

 

 

구미시 고속도로변 아파트 소음피해 배상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

 

유원지에 버려진 쓰레기들

 

 

강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들

 

 

버려진 음식물쓰레기(수진오염의 주범)

 

바닷가에 밀려온 쓰레기

 

버려진 폐선으로 인한 바다오염

폐선으로 인한 수질오염 2

 

수질오염으로 인해 폐사된 조개들..

 

숲속에 버려진 양심들..

미철거된 골재로 인한 오염물들

 

 

사업장 폐기물 불법 처리로 인한 오염

중간에 죄송하지만////

만드는방법 대강 알려드릴게요...

 

<!--// 타이틀 -->
<환경신문만드는 방법>
 
이런식으로 만들면 되는데요~
 
순서

● 만드는 방법

A4용지를 4장정도 준비한다.

A4용지의 크기로 4면이상으로 한다. (보통은 4절스케치북에 합니다^^)

신문의 제목을 정하고 가편집을 한다.(신문제목: 어쩌구저쩌구)

주제가 4가지 이상으로 한다.

신문의 내용은 사설 쓰기, 신문기사 활용, 공익 광고, 집중 취재, 환경 상식, 독자 한마당, 학교 내 현장 고발 사진 찍기, 환경을 깨끗하게 한 실천사례, 편집 후기, 광고 등 각자 창의적이고 특징 있게 한다.

● 주의사항 : 자기의 의견이나 실제로 문제시되는 것을 기사로 쓴다. 컴퓨터의 내용이나 신문기사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된다. (컴퓨터의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조금 보충해서 적는건 상관없어요^^)

준비물은요 그냥 간단하게 꾸밀꺼잇죠?>싸인팬,색연필,가위,색종이로 꾸미는것도 갠찬아요^^,물론 용지는 잇어야겟죠?,그리고 사진이랑 글의 배율은 3:7이좋아여^^

● 참고자료

1) 한국사이버자연사박물관 - http://kcnhm.yeungnam.ac.kr

2) 환경운동연합 - http://www.kfem.or.kr

3)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4) 재활용전망대 - http:// www.sanghun82.pe.kr 등


2. 주제선정

주제1. 수질오염(미군생활하수 및 독극물 방류)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2. 대기오염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3. 쓰레기 매립, 토양오염에 대한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4. 소음, 전자파, 환경 호르몬 등에 대한 피해사례 및 해결방안

주제5. 내가 버린 매점쓰레기, 교실쓰레기 실태조사, 해결방안

주제6. 어떤 기상 이변이 우리에게 다가왔을까?(라니냐, 엘리뇨, 적조, 녹조, 온난 화 현상 등) 우리가 해야할 일

주제7. 학교의 환경 관련 행사 및 보도기사

주제8. 환경 관련 논단, 생활과학 및 교과

주제9. 기획기사, 지역사회의 실태, 환경 정보

주제10. 환경관련 학생 문예작품

주제11. 기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것


3. 기사 쓰기

① 6하 원칙을 지키고 결론을 앞으로

② 문장은 단순하고 간결하게

③ 기사가 너무 길지 않게

④ 중간 제목은 뽑을 수 없다.

⑤ 서술식 전개를 피할 것

⑥ 존칭이나 높임말 사용하지 말 것 (꼭 높인말을 사용하지말아야 할것은 아닙니다^^)

⑦ 주관적 감정을 담지 말 것

⑧ 결론을 내리지 말 것

⑨ 사진도 보도기사임

⑩ 논평기사(주제설정→현황설명→결론도출)

⑪ 탐방 기사

⑫ 분석 기사

⑬ 스케치 기사


4. 제목 정하기

① 기사의 결론 부분이 제목이다

② 조사와 동사는 생략

③ 현재형으로 쓴다.

④ 의미 표현은 정확히

⑤ 제목 사이에 의미의 긴밀성 유지

⑥ 단어의 중복 사용 금지

⑦ 강조할 단어가 앞으로

⑧ 부제목은 큰 제목의 보충 설명

⑨ 동사가 올 수 있는 문자


5.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6.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7.환경사설(신문)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8.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 프레온 가스                               등^ ^

 

 

************

그리고 환경 자료

 

1.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해결

예를 들겠습니다.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이중에서 몇개 하시구요...


2.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정도로...

3.환경사설(신문)

뭔말이신지... 신문 종류? 우선 신문싸이트 종류를 쓰겠습니다.
쪽지 보내주시면 수정하죠.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이정도로...

4.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이건 쉽죠......ㅎㅎ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만약에 같은게 반복돼있다면은

죄송합니당당당

우선 

생각나는대로

쓴거니까

뽑아주시면은 

감사해용~

열공해서

멋지게 만들어

가세요요요용

저도옛날에

그거 

만들었었는뎈ㅋㅋ

 

도움돼셧으면 저는이만...

<!--- 출처 ---><!--// 출처 -->

<!--// 답변 --><!--- 답변 --->
<!--- 타이틀 --->

re: 육학년 환경 신문 만들기

:show_id_layer(this,'lhs1169','KIN','ING','1102','8889711');" href="javascript:void(0);">lhs1169 (2007-10-17 21:40 작성)

신고

<!--// 타이틀 -->

1. 자원의 의미와 환경오염

(1) 가정 자원의 뜻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모든 수단과 방법

 

(2) 자원의 종류

① 인적자원 : 인간 내부에 있거나 인간과 떨어질 수 없는 자원

ㄱ. 개인적 자원 :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창의력, 시간

ㄴ. 대인적 자원 : 가족간의 협동심, 의사소통, 친밀감 등

 

* 시간 : 누구에게나 똑같은 양이 주어지지만, 활용 정도에 따라 질과 양이 달라지는 자원

 

② 비인적 자원 : 인적 자원을 제외한 물적 자원으로서 개인이 소유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ex) 금전, 동력 에너지, 가정 기기 및 설비, 사회 공공시설(도서관, 보건소, 놀이터 등)

 

(3) 자원의 효율적 활용

가정 자원은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자원으로 만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① 교환하여 사용한다 - 필요한 자원을 타인이나 다른 가족에게 빌려서 사용한다.

② 활용가능성을 높인다 - 자원을 잘 간수하여 사용 기간을 늘인다.

ex) 1시간에 세탁기를 이용하여 빨래를 하면서 동시에 청소를 하였다.

③ 낭비하지 않는다.

④ 대체해서 사용한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 중에서 많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사용하고 적게 가진 자원을 절약하는 것

⑤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4) 가정을 둘러싼 환경

① 가정 환경 : 가정과 가장 밀접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

ex) 주택, 가정 기기 및 설비, 가족의 수입, 가족구성원, 친척, 이웃 등

② 근접 환경 : 가족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환경

ex) 직장, 학교, 병원, 동사무소, 놀이공원 등

③ 광역 환경 :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범위의 환경

ex) 자연환경, 정치, 종교 제도 즉, 태양, 물, 불국사, 석굴암 등

 

(5) 환경오염

① 수질오염 :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이 원인

ex) 적조현상

② 대기오염 : 가정의 난방, 공장, 자동차 매연, 냉장고나 에어컨의 프레온 가스 등이 원인

ex) 온실효과, 스모그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

③ 토양오염 : 농약, 비료, 각종 폐기물, 수질 오염 및 대기오염을 통한 오염 물질의 유입

→ 한번 오염되면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고, 인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6) 환경보건을 위한 실천 사항

① 수질오염방지 : 물과 합성세제의 사용량 줄이기, 기름기는 종이로 닦은 후 씻기, 음식 찌꺼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기

② 대기오염 방지 : 에너지 절약, 프레온 가스를 사용한 물건 쓰지 않기, 대중 교통 이용하기

③ 토양오염 : 쓰레기 줄이기, 재활용하기

 

(7) 재활용하기

① 종이류 : 신문, 잡지, 사무용지 등 종류별로 묶어서 분리 수거

② 캔류 및 고철류 : 내용물을 비운 뒤 납작하게 눌러 부피를 줄이고, 가스통은 구멍을 뚫은뒤 쭈그러뜨림

③ 병류 : 내용물을 비우고 뚜껑을 제거하여 씻은 후 배출

④ 플라스틱류 :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이 씻어 배출

⑤ 음식 및 채소류 : 물기를 빼서 음식물 수거함에 넣음

 

(8) 환경 마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표시하는 마크

---------------------------------------------------------------------------------------------------------------------------

 

한반도 상공 오존층 회복세                         2006-10-25 10:14


기상청(청장 이만기)은 지난 1979년부터 작년까지 우리나라 상공의 오존층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90년 초반까지는 감소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 최근까지는 회복되는 경향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자료는 기상청 위탁관측소로 운영되고 있는 연세대학교에서 오존 분광광도계와 TOMS 위성의 오존전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1979년∼2005년 오존량의 장기변화 경향은 10년동안 0.2%의 감소됐다. 또 1992년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기는 10년동안 4.9% 감소된 반면 후반기부터는 1.43% 증가됐다.

또한 지난 2002년부터 4년간 포항기상대에서 오존 존데를 이용한 오존 연직 구조의 관측에서는 오존층이 18km∼25km 고도에 위치하고 있고 겨울과 봄에 오존 전량이 많고 가을에 가장 적은 계절적 변동이 있음이 분석됐다.

한편 세계기상기구(WMO)의 발표에 의하면 지난달 남극 오존홀이 지난 1979년 위성관측 개시 이래 가장 큰 오존홀로 기록됐다. 연도별로 가장 큰 오존홀 7개년도가 최근 10년에 몰려 있는 등 아직도 남극의 오존층 파괴는 계속되고 있어 극동지역의 오존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

 

지하상가 실점수기질 '심각'                         2006-10-19 09:16


이산화질소 등 환경기준치 초과


지난달 8일 발생한 종각역 일산화탄소(CO) 누출사고는 미리 예견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경기 용인을)에 따르면 지하상가에서의 인명피해 위험은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선교 의원실에서 강남, 영등포로터리, 종로4가 등 3개 지하상가에 대해 실점수기질을 측정한 결과,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이산화질소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했다.

영등포로타리, 동대문 지하상가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환경기준치인 500㎍/㎥을 초과했으며, 동대문 4.3배, 영등포로타리 지하상가는 1.7배, 강남 지하상가의 환경부 자료는 기준치보다 무려 3.7배나 높게 검출됐다.

이산화질소는 강남, 영등포로타리 및 동대문 지하상가 모두 기준치인 0.05ppm을 초과했다. 강남과, 영등포로타리는 1.4배, 동대문은 1.2배 높게 나왔다. 이산화탄소는 환경기준치는 1,000ppm이나 강남 지하상가 982ppm, 동대문 980ppm 등 거의 기준치에 육박했다.

동대문 지하상가는 포름알데히드 역시 120.6㎍/㎥을 기록 기준치인 120㎍/㎥를 넘어섰으며 일산화탄소 역시 4.9ppm을 기록 5ppm의 저농도에 20분간만 노출할 경우 신경계 장애 불러일으켜, 체내 혈액 10% 기능 상실, 시각 및 정신 기능 장애, 종래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런 물질의 경우 국민들에게 생소해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쉽지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한선교 의원은 "작년 법개정을 통해 우리나라도 세계보건기구 및 선진국들의 실점수기질 관리 방향에 발맞추어 실점수기질 관리에 나섰으나, 정작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환경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경우 피로감에서부터 서서히 시작해 두통, 구토로 이어져 중추신경의 마비 등 심각한 사태에까지 이를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에 급급해 물청소, 공조기의 휠터 교체 횟수 증대 등의 미봉에 그치는 대책마련 보다는 환기설비를 최악의 조건을 가정해 변경해 설계, 시공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원인을 규명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수도권대기질 개선정책 문제점 추궁            2006-10-23 02:16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등 사회적 피해가 연간 10조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대기환경개선대책과 관련한 미비점과 문제점이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수도권은 호흡기질환, 조기사망 등을 유발하는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오염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국토의 12%인 수도권에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돼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수는 연간 11,127명으로 추정된다.

23일 오전 10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수도권대기질 개선 정책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먼저 한나라당 신상진 의원(성남 중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환경부 조기폐차사업의 집행률 저조를 추궁할 예정이다. 환경부 조기폐차사업 집행률은 금년 9월 15일 현재 2.7%에 불과하다.

신 의원은 배출가스저감사업과 관련, 수도권 미세먼지에서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실제보다 고평가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서 경유차 배출가스 규제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대기질 개선대책의 실효성도 물을 예정이다.

또한 일부 저감장치 성능이 부실하다는 주장도 확인할 계획이다. 현재 매연여과장치(DPF)를 온도조건이 맞지 않는 청소차 등 저속주행 차량에 부착시 매연과다 배출 및 출력·연비저하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저공해자동차 보급 부진과 ▲대형사업장은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엄격 관리하는 총량관리제 실시에 따른 산업계의 부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위한 추가재원 확보 방안 등을 물을 예정이다.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은 수도권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진행률이 저조한 것을 추궁할 예정이다. 김 의원은 "사업평가를 장치 보급대수에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수도권 대기질 개선에 얼마큼 기여했는가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 최용규 의원(인천 부평을)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대수에만 급급해 저감장치 기능에 대한 점검이 없었다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다"고 꼬집었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요구할 예정이다. 단 의원은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책을 바이오디젤의 보급 확산을 통한 연료대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그다음은.. 환경에 관련된 시를 올릴게여^^&*

 

----------------------------------------------------------------------------------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아무데나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슬쩍슬쩍 몰래몰래 버려도

보는 사람 없으니까.

꽃이 알고 나쁜 어린이

눈을 흘겨요.


나 하나만은 괜찮을 거야.

여기저기 쓰레기 버려도

아무도 모를 거야.

썩어 가는 흙도 물도

가만가만 있으니까.

나무가 알고 나쁜아이

혼내 줄 거야.


---------------------------------------------

 

이슬같이 맑은 물


마구 버린 쓰레기로

물이 울부짖는 소리를

귀기울여 들어 보세요

몰래 버린 폐수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을

자세히 보아 주세요

펑펑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코로 냄새 맡아 보세요.

이슬같이 맑은 물

쪽빛 투명한 물

우리들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병들어 썩어 가는

물이 울부짖는 소리

귀기울여 보세요

합성세제 샴푸로

물이 앓고 있는 모습

자세히 보아 주세요

쏟아 버린 오물들로

숨쉬지 못하는 물

깊이깊이 냄새 맡아 보세요.

진주같이 맑은 물

옥같이 깨끗한 물

유리빛 투명한 물

우리들의 고운 손으로

되살리고 싶어요.

 

--------------------------------------------------------------------------------

 

빙하가 녹아 내리고


지구가 더워지면

빙하가 녹아 내리고


남극 북극 빙산이

녹으면

해수면이 높아져

바닷물이 넘치게 되고


바닷물이 넘치면

육지가 잠겨 버리고


육지가 잠기면

우리 삶의 터전 잃게 되지.


프레온가스 석유 석탄이

뿜어내는 연기 때문이지.


세계 인구 불어나

백억 된다면

지구가 더 더워지고

이대로 가면

이천이십년쯤엔 어떻게 될까

상상의 날개를 펴 보자.


알프스 빙하 베링 빙하가

녹아 내리면

쾌적한 환경은 사라지고

아무도 살 수 없게 될 거야.


21세기는

환경의 시대

미리 대비해야 한단다.


*알프스 빙하 : 스위스에 있는 빙산 이름

베링 빙하 : 미국 알래스카의 빙산

 

------------------------------------------------------------------------------

 

 

 

 

<수질오염>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중앙일보 2005.12.09]    

서울고법 민사22부는 "이웃집 개짖는 소리 때문에 수면장애.식욕저하 등을 겪었다"며 표모씨가 개주인인 이모(42)씨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병원 치료비와 위자료(100만원) 등 모두 147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8일 밝혔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가 비교적 개 사육이 자유로운 농촌 지역에 살고 있지만 옆집 개들이 짖는 소리에 잠을 못 자는 등 사회통념을 벗어날 정도로 권익을 침해당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피고는 항의받은 뒤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만큼 배상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개들이 짖어 발생한 소음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므로 금전으로나마 이를 위자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그러나 "수면장애 등이 원고의 기질적.유전적 요인 때문에 악화된 점을 감안해 피고 책임을 50%만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개소음 법원판례

소음, 합의서 있어도 배상

합의서만으로 소음피해 보상 거부못해

급배수설비소음 배상판결

아파트 인근 소음 유발로 ‘구류’

층간소음 폭력 행사한  ‘벌금형’선고

층간소음 배상판례

법률 제정 아파트도 층간소음피해 배상

대로변아파트 소음 분양사가 배상

차량소음 배상

아파트 건축 전 기존도로 소음피해 보상

'수인한도' 초과 고속도로소음배상 판결

집회 확성기 소음 법원판례

주택가 인근 공장소음 벌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소음피해 배상

공연장 소음 난청상해 배상

부산 소음 피해 건축허가기관 연대 책임

아파트 신축공사 소음피해 건설사 배상

 

 

구미시 고속도로변 아파트 소음피해 배상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

 

유원지에 버려진 쓰레기들

 

 

강가에 떠밀려온 쓰레기들

 

 

버려진 음식물쓰레기(수진오염의 주범)

 

바닷가에 밀려온 쓰레기

 

버려진 폐선으로 인한 바다오염

폐선으로 인한 수질오염 2

 

수질오염으로 인해 폐사된 조개들..

 

숲속에 버려진 양심들..

미철거된 골재로 인한 오염물들

 

 

사업장 폐기물 불법 처리로 인한 오염

중간에 죄송하지만////

만드는방법 대강 알려드릴게요...

 

<!--// 타이틀 -->

<환경신문만드는 방법>
 
이런식으로 만들면 되는데요~
 
순서

● 만드는 방법

A4용지를 4장정도 준비한다.

A4용지의 크기로 4면이상으로 한다. (보통은 4절스케치북에 합니다^^)

신문의 제목을 정하고 가편집을 한다.(신문제목: 어쩌구저쩌구)

주제가 4가지 이상으로 한다.

신문의 내용은 사설 쓰기, 신문기사 활용, 공익 광고, 집중 취재, 환경 상식, 독자 한마당, 학교 내 현장 고발 사진 찍기, 환경을 깨끗하게 한 실천사례, 편집 후기, 광고 등 각자 창의적이고 특징 있게 한다.

● 주의사항 : 자기의 의견이나 실제로 문제시되는 것을 기사로 쓴다. 컴퓨터의 내용이나 신문기사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된다. (컴퓨터의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조금 보충해서 적는건 상관없어요^^)

준비물은요 그냥 간단하게 꾸밀꺼잇죠?>싸인팬,색연필,가위,색종이로 꾸미는것도 갠찬아요^^,물론 용지는 잇어야겟죠?,그리고 사진이랑 글의 배율은 3:7이좋아여^^

● 참고자료

1) 한국사이버자연사박물관 - http://kcnhm.yeungnam.ac.kr

2) 환경운동연합 - http://www.kfem.or.kr

3) 국립환경연구원 - http://www.nier.go.kr

4) 재활용전망대 - http:// www.sanghun82.pe.kr 등


2. 주제선정

주제1. 수질오염(미군생활하수 및 독극물 방류)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2. 대기오염의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3. 쓰레기 매립, 토양오염에 대한 실태와 원인 해결방안

주제4. 소음, 전자파, 환경 호르몬 등에 대한 피해사례 및 해결방안

주제5. 내가 버린 매점쓰레기, 교실쓰레기 실태조사, 해결방안

주제6. 어떤 기상 이변이 우리에게 다가왔을까?(라니냐, 엘리뇨, 적조, 녹조, 온난 화 현상 등) 우리가 해야할 일

주제7. 학교의 환경 관련 행사 및 보도기사

주제8. 환경 관련 논단, 생활과학 및 교과

주제9. 기획기사, 지역사회의 실태, 환경 정보

주제10. 환경관련 학생 문예작품

주제11. 기타 환경과 관련된 모든 것


3. 기사 쓰기

① 6하 원칙을 지키고 결론을 앞으로

② 문장은 단순하고 간결하게

③ 기사가 너무 길지 않게

④ 중간 제목은 뽑을 수 없다.

⑤ 서술식 전개를 피할 것

⑥ 존칭이나 높임말 사용하지 말 것 (꼭 높인말을 사용하지말아야 할것은 아닙니다^^)

⑦ 주관적 감정을 담지 말 것

⑧ 결론을 내리지 말 것

⑨ 사진도 보도기사임

⑩ 논평기사(주제설정→현황설명→결론도출)

⑪ 탐방 기사

⑫ 분석 기사

⑬ 스케치 기사


4. 제목 정하기

① 기사의 결론 부분이 제목이다

② 조사와 동사는 생략

③ 현재형으로 쓴다.

④ 의미 표현은 정확히

⑤ 제목 사이에 의미의 긴밀성 유지

⑥ 단어의 중복 사용 금지

⑦ 강조할 단어가 앞으로

⑧ 부제목은 큰 제목의 보충 설명

⑨ 동사가 올 수 있는 문자


5.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6.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7.환경사설(신문)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8.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토양이란?

  흙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風化物)이다. 지표면이나 지표 근처에 노출된 암석이 산소 ·물 ·열작용을 받아 대 ·소의 입자로 깨진 혼합물과 화학반응 생성물(점토광물 ·탄산칼슘 등),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풍화퇴적물질(주로 암석의 입자) 사이는 공기와 물이 점유하고 있다. 이들 3상(三相) 사이에 침투 ·분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하므로 토양은 생명현상의 근원이 된다. 
  

그런데 토양에 대한 정의는 토양을 이용하는 각 분야에 따라 다르다. 농림업에서는 식물의 양분 ·수분 저장과 조절 ·방출, 식물체의 지지물로 보는가 하면, 지질학 분야에서는 풍화산물 ·풍화맨틀 또는 표토(表土:regolith)라 하고, 토목학회에서는 엔지니어링 물질로 본다.

 

화학분야에서는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造岩鑛物) 중의 이온 ·원자 ·분자 등이 물 ·산소 ·이산화탄소와 완만하게 작용하여 이들의 화학결합이 풀려서 용액에 녹거나 새로운 침전물(주로 점토광물)을 생성하여 더욱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전위상(轉位相)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토양의 정의는 각 분야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지만 1차적인 정의는 토양이 생명현상의 근원이 되므로 우선 인간의 의 ·식 ·주 생활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존적인 면에서의 정의는 토양이 3상계(三相系)이다.


  대부분의 토양에서는 고체상(固體相)은 광물질 입자로 되어 있고, 이들 입자 사이에는 틈이 있어서 기체와 액체가 점유하고 있다. 액체상(液體相)은 주로 강수(降水)이며,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수막(水膜)을 형성(토양입자와 물 사이의 정전기인력에 의한다)하여 미세한 틈을 점유하고 있다. 큰 틈에는 토양이 물에 의해서 포화되어 있지 않는 한, 공기가 들어 있어, 대기와 서로 가스교환을 한다.

  토양에는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이들의 호흡과 뿌리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산소는 토양 중으로 확산된다. 작물재배 ·잔디 ·정원 토양의 바람직한 3상분포는 고체상 45 %, 유기물 5 %, 물과 공기는 각각 25 % 정도가 좋다. 모든 자연토양이 이와 같은 분포율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재배토양은 인공적으로 위와 같은 비율이 되도록 표토 ·모래 ·유기물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농림업을 비롯하여 건축 ·도로 ·운동장 ·골프 코스 ·목장 ·저수지 ·토중배관 ·하수처리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토양의 공통적인 중요 인자로서 통기성(通氣性) ·보수력(保水力) ·배수(排水) 등을 들 수 있으며, 농림업 분야에서는 이 밖에 토양의 화학성도 중요시한다. 통기성 ·보수력 ·배수는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서, 이들 인자는 토성(土性) ·토양구조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토양을 척박하게 하는 토양침식도 이들 인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농림업에서 식물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다음 여섯가지, 즉 빛, 산소, 물, 온도, 적당량의 양분, 유해인자가 없어야 하는 것 등이다. 이 중에서 빛을 제외한 5가지 인자는 토양에 의한다. 식물의 뿌리는 땅 속에 침투 ·분포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므로, 농림업에서는 표토보다도 근권토양(根圈土壤)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흙의 얼굴인 토양단면(土壤斷面) 구조를 보고 특성을 알아야 한다


  토양은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오래된 토양(알피졸 ·얼티졸:이에 대해 최근 생성된 토양은 엔티졸이다)은 토층분화(土層分化)를 일으켜 표토에서 점토(粘土)가 밑으로 이동 ·집적하여 딱딱한 Bt 층을 형성한다. Bt 층에서는 뿌리의 투과 와 투수(透水)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생육을 저해한다. 투수가 안 되면 근권토양이 환원되어 유해물질이 생성되고 작물수확량을 감소시키며 토양의 색도 변한다. 요컨대, 어느 분야이건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물리화학성을 잘 이해하고, 어느 주어진 분야에서 어떤 성질이 더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국민식량 자급을 위해서 기존농경지의 단위면적당 증수(增收)는 물론이고, 간척사업(干拓事業) ·산지개발을 통한 농경지확대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데, 토양의 성질을 잘 알고 개량해야 할 것이다. 토양은 산림녹화 ·휴양 ·오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토양의 중금속오염 ·방사성오염 ·토양침식과 같은 토양악화를 방지해야 하며, 깨끗한 국토보전을 위해서 토양에 관한 깊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 본문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2. 토양의 오염

    - 토양오염의 특성

    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으로서 그리고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토양이 물이나 공기와 크게 다른 점은 유동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토양 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스스로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한 토양 공극내에 존재하는 토양수나 토양 공기에 의하지 않고는 거의 움직일 수 없는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폐기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묻히게 되면 쉽게 드러나지 않고 마치 청정한 환경인 것 같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생물 존재 기반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훼손되고, 물질의 이동성
    이나빠 장기간에 걸쳐 작물 오염 및 지하수 등의 수환경 오염을 유발시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 및 생활환경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그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 다는 점이다.

    - 토양오염 현황

    토양오염의 측정을 위하여 1987년 전국에 총 250개 토양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2년 2월말
    현재 전국망(국가)과 지역망을 토양오염실태조사 체계로 개편(지방자치단체)하여 총 3,500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그간 측정망운영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토양오염실태는 대체로 안전한 수준이나 폐금속광산, 폐기물매립지, 공장 등
    산업시설 주변지역의 토양오염도는 일반농경지 등에 비하여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토양환경관리 대책

    전국의 토양오염실태 파악을 위해 토양측정망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유류저장시설 등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 폐금속광산 지역 오염실태 정밀조사 및 오염방지사업 추진, 폐기물매립지 등 토양오염 우려지역에
    대한 조사강화를 통해 오염토양의 효율적인 색출과 오염토양의 개선대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오염원인자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사전 오염예방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법을 2001. 3. 28 개정을 하였음

 

제가 대충 보면서 복사해온 거구요~

 

 

  

 

 1. 소음이란??

소음이란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말하며,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음,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정의한다. 정온한 생활환경을 방해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상태를 소음공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한다. 소음ㆍ진동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1) 공장 폐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하천을 오염시키고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폐수가 너무 많이 흘러나와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된 경우는 정화 시설을 이용하여도 깨끗이 정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화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2)생활하수: 도시에 인구수가 증가하면서 생활하수도 함께 늘어났다. 세제나 기름,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하천의 오염은 이미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으며, 이렇게 오염된 하천은 식수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그 피해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3)식수부족: 상수원의 물을 정화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일은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하천이 오염되면 상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이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로 식수가 부족하게 되므로 결국 그 피해 는 다시 우리가 입게 된다.



해결방안 


1.음식물쓰레기는 물기를 제거한 후 버린다.


2.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3.실험을 하고난 화학물품들을 하수구에 버리지 않는다.


4.쓰고 남은 페인트를 땅에 버리지 않는다.


5.농사짓는 사람들은 농약을 치지 않는다.


6.합성세제나 샴푸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는 쓰지 않는다.)


7.빨래를 행굴 때 성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사용한다.


8.하수구가 막혔다면 강력세제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한다.


9.설거지를 할 땐 쌀뜬물을 사용한다. 쌀뜬물로 설거지를 하기 싫다면


세수를 해도 좋다.(피부에 좋음)


10.기름이 묻은 그릇은 휴지나 헝겊으로 닦아낸 후 설거지를 한다.



대기오염 


(1) 광화학 스모그


① 매연이나 안개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한다.


② 광화학 스모그는 광선 차단으로 열의 손실을 가져오고 , 호흡기 계통과 식물에 피해를 준다.



(2) 산성비


① SO₂, NO₂등이 비에 녹아내리는 것


② 삼림과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③ 식물의 잎 조직에 손상을 주어 광합성을 방해한다.



(3) 온실 효과


ⓛ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량이 증가하여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


② 지구 온난화 현상을 가져온다.


③ 화석 연료(석탄, 석유)의 과다한 사용이 원인


④ 기온 상승으로 인해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한다.



(4) 오존층 파괴


① 염화불화탄소 등이 오존층을 파괴한다.


② 자외선이 통과하여 암 유발 및 생물의 삶에 영향을 준다.



기타 환경오염


(1) 토양 오염


ⓛ 과다한 농약 살포


② 산성비에 의한 영향


③ 매립 쓰레기로 인한 오염



(2) 소 음


① 대도시, 공장, 공항 등에서 발생


② 난청, 정신 장애 등을 일으킨다.




(3) 방사능 오염


① 핵 폭발, 원자로 폐기물 등에 의한 오염


② 암, 돌연 변이 등을 일으킨다.



(4) 쓰레기 오염


* 폐기물


- 일반 쓰레기 = 쓰레기 (가연 쓰레기, 불연 쓰레기), 분뇨


- 산업 쓰레기 = 유해 산업 쓰레기, 폐유, 일반 쓰레기


* 프레온 가스                               등^ ^

 

 

************

그리고 환경 자료

 

1.우리고장 환경 문제(대기,물..)→해결

예를 들겠습니다.

1)대체로 공업도시라서, 대기오염이 심하다.
2)독성세제, 샴푸 등으로 인하여 강이 폐폐해지고, 수질오염이 심각하다.
3)땅에 마구 쓰레기를 매립하고, 태워서, 대기오염, 토질오염이 된다.
4)우리동네 주변에 쓰레기매립장이 있어서 냄새도 나고, 사람들이 싫어한다.
5)봄마다 오는 황사가 우리고장은 특히 심해서 호흡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

이중에서 몇개 하시구요...


2.정부 정책(환경문제)

1)환경오염 이벤트, 행사 마련
2)각 지역에 환경에 대해 의논하고 조치
3)황사에 대해 중국이랑 협의하기.
4)주민들에게, 적극적인보조, 또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정도로...

3.환경사설(신문)

뭔말이신지... 신문 종류? 우선 신문싸이트 종류를 쓰겠습니다.
쪽지 보내주시면 수정하죠.

환경시대신문- http://www.env-news.co.kr
환경일보- http://www.hkilbo.com
내외환경신문- http://www.wge21.com
한국일보=환경- http://news.hankooki.com/society/envir_ngo.htm

이정도로...

4.환경상식(환경보호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이건 쉽죠......ㅎㅎ

1)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2)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3)재활용이 되는 것은 재활용한다.
4)환경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5)환경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다
6)샴푸, 세제 등을 약간 적게 사용한다.
7)쓰레기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 출처 --->

출처 : 지식in

<!--// 출처 -->

<!--// 답변 -->

인쇄 | 담기 | :login_popup('L2luZy9kZXRhaWwucGhwP2QxaWQ9MTEmZGlyX2lkPTExMDImZWlkPXZObmVOK0FiZ3BsQTFGbWlZVmtLa2JsRTcrckpLK2hOJnFiPXlLK3c1cjNGdWE2NHVMWHBzZUk9');" href="javascript:void(0);">보내기

<FORM name=add_comment_form onsubmit="return add_comment_action();" action=/qna/comment_action.php method=post><INPUT type=hidden value=add name=work> <INPUT type=hidden value=1102 name=dir_id> <INPUT type=hidden value=8889711 name=docid> <INPUT type=hidden value=ING name=status> <INPUT type=hidden value=L2xpc3QvZGlyX2hvbWUucGhwP2QxaWQ9MTEmZGlyX2lkPTExMDI= name=l_url> <INPUT type=hidden value=0 name=opinion> <INPUT type=hidden value="yK w5r3Fua64uLXpseI=" name=qb> </FORM>
<INPUT style="MARGIN: 0px 0px -2px;" onclick=javascript:check_opinion(0); type=checkbox value=2 name=chkbox_opinion>내용 추가 <INPUT style="MARGIN: 0px 0px -2px;" onclick=javascript:check_opinion(1); type=checkbox value=3 name=chkbox_opinion>다른 의견
<TEXTAREA class=inputbox style=" WIDTH: 100%; HEIGHT: 37px;" onclick="javascript:login_popup('L2luZy9kZXRhaWwucGhwP2QxaWQ9MTEmZGlyX2lkPTExMDImZWlkPXZObmVOK0FiZ3BsQTFGbWlZVmtLa2JsRTcrckpLK2hOJnFiPXlLK3c1cjNGdWE2NHVMWHBzZUk9');" name=contents readOnly>로그인하신 후에 의견을 남겨주세요.</TEXTAREA>
<!-- //LEFT Contents -->
<!-- RIGHT BAR -->
<!--- 추천지식 ---><!--// 추천지식 --><!--- 가장 많이 본 지식 ---><!--// 가장 많이 본 지식 -->
<!-- //RIGHT BAR -->

육학년 환경 신문 만들기

... ^^ 내공 겁니다 1.환경신문/정부의 환경정책,환경상식,환경 실천 우수 사례 들... 1.....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건강한 하천 만들기)」를 마련하고, 자치단체 등으로 하여금...

청계천 드러운 사진

저......육학년 과학 환경신문 만들기 에서 청게천 옛모습과 지금 모습을 비교하게 사진을 찾으려고 하는데 없어서..... 되도록이면 빨리 올려주세요^^ 급해요>_< 빨리요...........

청계천 드러운 모습

저......육학년 과학 환경신문 만들기 에서 청게천 옛모습과 지금 모습을 비교하게 사진을 찾으려고 하는데 없어서..... 되도록이면 빨리 올려주세요^^ 급해요>_< 이거 이명박...

6학년 컴퓨터

... 육학년에서 무슨 신문만들기같은게 있거든요?? 주제가 환경신문인데.. 어떻게 만들지좀 갈쳐주세요.. 2장정도로 만들어야하거든욧!! ㅠ.ㅠ 정말 모르겠어요.. 채우긴 했는데......

방학숙제로 몰하면 좋을 까요??

... 저는 육학년 여학생입니다. 여름방학 방학숙제로... 광고지만들거나 환경신문을 만들어 보아요~ 2.... 5.가족신문만들기 6.발명품만들기 7.가족돕기:가족들의 부탁을...

6학년 2학기 중간고사 요점정리 #

육학년 이학기 중간고사 요점정리 - ''''질문 4가지만 할께요 ^ㅇ^..'''' 복사글말구요... 면담 준비하기 (1) 모둠 만들기 (2) 면담 대상 결정하기 ① 누구를 면담 대상으로 하면...

시험잘보는방법

... 다음주에 전국에 잇는 육학년 전부다 시험도 보잖아요 저랑 갑이군뇨!특별히 저도 공부 잘하는건 아니에요. 반애들이 못하는건지,, 시험문제가 쉬운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