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란 무엇인가?

뇌사란 무엇인가?

작성일 2002.09.2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뇌사란 무엇인가요?


#뇌사란 무엇인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뇌사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뇌사 판정 요건입니다.

참고 출처
국립 장기 이식 센터 (www.konos.go.kr)
서울 아산 병원 장기 이식 센터 (www.amc.seoul.kr/~organ)

◆ 뇌사란 무엇인가

뇌는 크게 나누어 대뇌, 소뇌 및 뇌간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뇌가 어떤 질환이나 외상 때문에 그 기능이 장애를 받기 사작하여 점차 그 기능이 상실되어가면 의식을 잃어 혼수에 빠지게되며, 자발운동이 불가능하게되고 자발호흡까지도 하지 못하게 되어 사망(뇌사)에 이르게 됩니다. 이때 인공호흡기 등을 활용하면 생체 징후인 맥박, 혈압, 호흡, 체온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뇌의 모든 기능이 상실되고 또 그 상태가 어떤 치료 노력을 하더라도 수일 내지 길어야 2주안에 신장, 간장, 췌장 등의 여러 장기가 곧이어 기능을 못하게 되면서 심장정지가 초래되어 결국은 심장사에 빠지게 되므로, 여러 선진국에서는 뇌사와 심장사가 함께 죽음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뇌사입법안이 99년 의회를 통과하여 2000년부터 실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의 뇌사판정기준 (1993년 3월 4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부자극에 전혀 반응이 없는 깊은 혼수 상태
*자발호흡의 비가역적 소실
*양안 동공의 확대 고정
*뇌간반사의 완전 소실
*자발운동, 제뇌강직, 제피질강직 등이 나타나지 않음
*무호흡검사에서 자발호흡이 유발되지 않음
*뇌파검사에서 30분이상 평탄 뇌파

하지만 뇌사를 인정하는 경우에도 뇌사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 뇌간사설 : 뇌간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되었을 때를 뇌사로 인정하려는 학설

- 대뇌사설 : 대뇌기능인 정신작용의 불가역적인 소실을 뇌사로 보려는 학설

- 전뇌사설 : 뇌간을 포함한 전뇌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소실된 상태를 뇌사로인정하려는 학설

현재 전세계적으로 법적으로는 전뇌사설이 인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장기등이식에관한법」에서 ‘뇌사자란 이 법에 의한 뇌사판정기준 및 뇌사판정절차에 따라 뇌 전체의 기능이 되살아 날 수 없는 상태로 정지되었다고 판정된자를 말한다’ 고 규정함으로서 전뇌사설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뇌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회복불능한 상태가 되는 것.


뇌의 기능에는 대뇌반구의 기능 이외에 뇌간(腦幹)의 기능도 포함된다. 뇌사는 인간의 죽음과 같은 뜻이 아니고, 보통은 뇌사 다음에 죽음이 온다. 심장이식 수술에는 가능한 한 신선한 심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심장 제공자의 죽음을 판정함에 있어서 뇌사로 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968년 8월 ‘세계 의사회 총회’에서 답변확정된 장기이식(臟器移植)에 관한 선언(시드니선언)에서는, ① 심장 제공자에 대한 죽음의 판정은 뇌파측정기상의 뇌파의 정지(뇌사)로 결정해야 한다. ② 제공자의 죽음을 확인하는 데에는 2명 이상의 의사가 입회하여야 하며, 뇌사의 결정에 참여한 의사는 이식수술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뇌파측정만으로는 뇌간의 기능정지를 판정할 수 없고 뇌사의 판정도 질병의 종류나 진도(進度)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판정기준(判定基準)의 검토가 필요하다.

뇌종양 ·뇌외상(腦外傷) ·혈행장애(血行障碍) 등 뇌질환의 증례(症例)에서 보면, ① 깊은 혼수, ② 양쪽 동공(瞳孔)의 산대(散大) 및 동공의 대광반사(對光反射)와 각막반사(角膜反射)의 소실, ③ 자발적 호흡이 불가능하여 인공호흡장치를 멈추면 즉시 호흡정지 ·심장정지를 초래, ④ 뇌파의 평탄화(平坦化), ⑤ 혈압의 급격한 저하와 그에 따른 저혈압 등의 조건이 필요하며 관찰기간은 수시간~수일이다. 최종적 인정은 여러 전문가의 일치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 통념상 위배되고 도의적 ·종교적으로 인정할 수 없으며, 또 극히 드물게 회복된 예도 있으므로 정확하게 판정하기는 불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로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서도 1992년 3월 서울 백병원에서 최초로 뇌사자(腦死者)의 간이식 수술에 성공하여 간암환자가 건강하게 새 삶을 찾았다.

뇌사란 무엇인가?

뇌사란 무엇인가요? 뇌사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뇌사 판정 요건입니다. 참고 출처 국립 장기 이식 센터 (www.konos.go.kr) 서울 아산 병원 장기 이식 센터 (www.amc.seoul.kr/~organ)...

뇌사상태가뭐죠-0 -?

... 뇌사상태에있던사람이깨어날수도있나요-0-/ 뇌사란 무엇인가? 뇌사란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회복 불능의 상태를 말한다. 인간의 뇌는 대뇌, 소뇌...

뇌사 도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지에 대한 도서 추천해주세요 뇌사란 무엇인가? 이 책 빼고요 뇌사에 관한 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책들이 있습니다. 1. "뇌사, 나의 선택" - 허영 2....

뇌사 상태란 무엇인가요...뇌사판정을...

... 감사합니다.^^ 뇌사란 무엇인가?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위적 심폐기능을 어느 정도 연장할 수 있게 되었고, 인체의 최고기관은 심장이 아니라 뇌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의식불명, 식물인간, 뇌사 등등 질문을...

... 뇌사란 무엇인가 ? 뇌는 크게 나누어 대뇌, 소뇌 및 뇌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뇌가 어떤 질환이나 외상 때문에 그 기능이 장애를 받기 시작하여 점차 그...

뇌사를 사망으로 판정할 수 있는가

... 뇌사란 무엇인가를 먼저 알아야겠죠, 뇌사란 우리뇌의 구성 요소인 대뇌, 소뇌, 뇌간, 이 모두 죽어있는 상태로 생각이나 감정이 없고 아무 움직임도 없으며 오로지 기계에...

친구가 교통사고 당해서 뇌사상태라구...

... 뇌사란 무엇인가? 식물인간과는 달리 뇌사란 대뇌뿐만 아니라, 뇌간을 포함해 모든 뇌 기능이 정지된 상 태를 말합니다. 말 그대로 뇌가 사망한 것입니다. 다시 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