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에대한질문입니다,

한자성어에대한질문입니다,

작성일 2011.07.3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한자성어에대한질문입니다, 문경지교 라는뜻에 덧붙여서

어울릴만한 한자머가좋을까요?

네글자면좋겠네요 사자성어라든지..  머가있을까요 알려주세용^^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금란지계

: 쇠 금
: 난초 란
: 갈 지
: 맺을 계

《역경()》 〈계사전()〉 상()에 “ (두 사람의 마음이 같으니 그 예리함이 을 자를 수 있고, 같은 마음에서 나오는 말은 그 향기가 과 같다)”이라 한 데서 나온 말이다. 금란지교·금석지교()·금석지계·단금지계()·단금지교 등 여러 말이 있다. 

막역지우

: 말 막
: 거스릴 역
: 어조사 지
: 벗 우

장자()》 내편() 대종사()에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의 우화가 나온다. 이 우화는 둘 다 바깥의 사물에 얽매이지 말고 천리()를 좇아 마음을 비우라는 이야기를 하기 위한 것으로, 그 도입부가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여기 나오는 인물들도 물론 가공 인물이다.

‘어느 날 자사()·자여(輿)·자려(犂) ·자래() 네 사람이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누가 능히 없는 것으로써 머리를 삼고, 삶으로써 척추를 삼고, 죽음으로써 엉덩이를 삼겠는가. 누가 생사존망()이 일체임을 알겠는가. 내 이런 사람과 벗이 되리라.” 네 사람이 서로 보며 웃고 마음에 거슬리는 게 없어서 마침내 서로 벗이 되었다( ).’ 그 뒤로 이들이 병이 들고 죽음을 맞이하면서도 초연한 모습이 이어진다.

또다른 이야기를 보면, ‘어느 날 자상호()·맹자반()·자금장() 세 사람이 서로 더불어 말하였다. “누가 능히 서로 사귀는 게 아니면서도 서로 사귀고, 서로 돕는 것이 아니면서도 서로 도울 수 있을까. 누가 능히 하늘에 올라 안개 속에서 놀고 끝이 없는 곳()에서 자유롭게 다니며, 서로 삶도 잊은 채 다함이 없을 수 있겠는가” 세 사람이 서로 보며 웃고 마음에 거슬리는 데가 없어 마침내 서로 벗이 되었다.’ 그 뒤는 자상호의 장례에 공자와 자공을 내세워 예로써 마음을 가두려는 것을 비웃고 있다.

이와 같이 막역지우란 본래 천지의 참된 도를 깨달아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 마음을 가진 사람 간의 교류를 뜻하는 것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서로 허물없는 친구 사이를 모두 가리키게 되었다. 

 

지란지교

: 지초 지
: 난초 란
: 어조사 지
: 사귈 교

그대로 옮기면 지초와 난초의 사귐을 뜻한다. 지초와 난초는 둘 다 향기로운 꽃으로, 지란지교는 곧 지초와 난초처럼 맑고 깨끗하며 두터운 벗 사이의 사귐을 일컫는다. 《명심보감()》〈교우()〉편에 나온다.

'공자()는 "선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향기를 맡지 못하니, 그 향기에 동화되기 때문이다( ). 선하지 못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치 절인 생선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그 악취를 맡지 못하니, 또한 그 냄새에 동화되기 때문이다( ). 붉은 주사를 가지고 있으면 붉어지고, 검은 옻을 가지고 있으면 검어지게 되니, 군자는 반드시 함께 있는 자를 삼가야 한다( )"라고 말하였다.'

지란지교는 여기서 유래한 성어이다. 공자의 말처럼 벗을 사귈 때는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롭고 맑은 사귐을 가지라는 뜻이다. 이와 같이 벗 사이의 변치 않는 사귐, 두터운 사귐을 일컫는 한자 성어는 많다.

관포지교(), 교칠지교(), 금란지계(:····), 막역지우(), 문경지교(), 백아절현(:), 수어지교(), 죽마지우(:) 등도 모두 벗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 가리키는 성어들이다.

그 외에 위에서 나온대로 여러가지가 있겠네요.

한자성어에대한질문입니다,

한자성어에대한질문입니다, 문경지교 라는뜻에 덧붙여서 어울릴만한 한자머가좋을까요? 네글자면좋겠네요 사자성어라든지.. 머가있을까요 알려주세용^^ 금란지계 金 : 쇠 금...

한자성어에 대한 질문인데요.

상황에 맞는 한자 성어를 알고 싶은데요. 제가 질문드리는 건 사람의 마음에 관한 한자성어입니다. 첫번째 것은 의지하던 것이 사라져 사람의 마음이 걷잡을 수 없이 흔들리는...

이처어람이라 라는 한자성어에 대한 질문

靑取之於籃 이나 而靑於藍 청 취 지 어 람 이 청 어 람 이 한자성어를 풀이할때 之 와 取... 이 한자성어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푸름(靑)은 쪽풀(藍) 에서(於) 그것을(之)...

한자성어에 대한 질문인데요.

... 있는 한자성어와 누군가를 잊지 못해 힘들어 하는 모습을(설명이 부족하죠 좀^^;;) 표현할 수 있는 한자성어 좀 부탁드립니다. 松茂栢悅(송무백열)'의 유래와 출처 좀...

한자성어에 대한 질문~~~

... 위의 내용은 미나의 "꿈은 이루어진다"의 가사 내용 입니다. 이 가사의 내용과 관련된 한자성어는 무엇인가요?? 고진감래? 사필귀정은 좀 거리가 있는 것 같고,.. 고진감래

사랑관련 한자성어 질문요!

... 재회에 대한 한자성어! 4. 첫눈에 반한다는 내용의 한자성어가 있나요? 5. 닮은것을 착각한다라는 한자성어가 있나요? 6. 충을 위해 사랑을 포기하는 고사성어가 있나요?? 1....

몽상성과'에 대한 한자성어(8자) 질문

... 꿈을 이루기 맞는 노력을 해라!"라는 뜻이 위의 한자성어에 적합한가요? 참고 하시기를 ~~~~~ 不及理想[불급이상] / 不可妄想[불가망상] 盡力現實[진력현실] / 勉勵現實...

한자성어에 대한 질문-욕속부달

욕속부달(欲速不達)은 말이죠. 어떤 짜임으로 이루어져있나요? 술보+술보 주술+주술 주술+술보 술보+주술 술목+술목 =저 위에 있는 것 중에 어떤 관계이죠? 欲速不達 (술보+술보)...

한자성어 질문 !

... 어쩌다가 한자성어 때문에 질문을 하게되네요. 저는 우선 일장춘몽이나 일격필살... 세움’에 대한 경계. ≒견문발검(見蚊拔劍) 노심초사(勞心焦思) : “애쓰고 속을 태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