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질역학에 대해서 질문 세

안녕하세요 토질역학에 대해서 질문 세

작성일 2018.04.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토질역학에 대해서 질문 세가지만 여쭤보겠습니다
우선
1.건조 단위중량 이란건 물이 없을때에 단위중량이라고 배웠는데 왜 부피에서의 물의 부피는 안 빼주는건가요?
2.함수비가 어느 적정선이 되면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한다는데 왜 그런건가요?
3. 3번은 문제를 풀다가 도저히 모르겠어서 사진 같이 첨부하겠습니다
이 문제에서 보면 구덩이의 부피, 즉 처음 파낸 흙의 부피가 표준모래의 V=Ws/rd 라는데요 문제에서 보면 구덩이에 꽉 채운 표준모래의 무게=1500g 이고 건조단위중량=1.6 이라고 되어서 부피는 937.5 라는데요
근데 표준모래의 전체무게W=흙입자의 무게 Ws+물의 무게 Ww=1500g인데 여기서 W=Ws=1500이 되어서 건조단위중량 Ws/V와 약분되어서 V가 나오는걸로 보이는데 왜 표준모래 안에 물이 없는건가요? 문제에 보면 표준모래가 건조하다는 말은 어디에도 없어서요.. 부탁드리겠습니다ㅜ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건조단위중량

답변) 건조단위중량에서 물의 체적은 빼지 않습니다.

흙은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 공기, 흙입자


여기에서 물과 공기의 영역을 간극이라고 이야기하며 간극과 흙의 비를 간극비라고 이야기 합니다.

간극에는 물과 공기가 있는데 물이 0(제로)가 되는 경우 건조하다, 공기가 0(제로)가 되어 있는 경우 포화되어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왜 체적에서 물의 영역은 빼주지 않는가에 대해 저는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3상체에서 보면 물과 흙의 영역이 분리 되어 있는데, 사실은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흙입자가 인터록킹(맞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사이에 물이 들어 가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체적이 변화되기 위해서는 외력이 발생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외력없이 물만 건조시키기 때문에 체적의 변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들밀도시험(현장밀도시험)에서 지반을 확대해 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갈색은 흙입자이고, 파랑색은 물, 그 사이에 공기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빨간색 형태로 흙을 굴착해서 실험을 실시합니다. 이 경우 흙입자의 형태는 변하게 되지만, 사실상의 구덩이의 체적은 일정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2. 함수비가 적정선까지만 건조단위 중량이 증가한다?


<출처 : 토질역학 이론과 응용, 김상규, 이영휘, 오세붕 지음>


답변) 함수비가 적정선까지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최대 건조단위중량이라고 이야기 하며 이때의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고 말합니다. 최대 건조단위중량보다 더 많은 물이 있는 경우 건조단위중량이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는데 그 이유는 물 때문입니다. 함수비가 최적함수비보다 큰 경우 흙의 입자에 의해 지반이 지배되다가 점차 최적함수비보다 크게 되는 경우 물에 의한 지반의 지배력이 점차 커진다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3. 표준사는 건조한가요?

답변)

네 표준사는 건조합니다. 모래의 경우 물을 함유하기가 어렵습니다. 표준사는 건조하다고 보고 계산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토질역학에 대해서 질문 세

안녕하세요 토질역학에 대해서 질문 세가지만 여쭤보겠습니다 우선 1.건조 단위중량 이란건 물이 없을때에 단위중량이라고 배웠는데 왜 부피에서의 물의 부피는 안...

응용역학과구조역학, 토질역학, 측량학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시험을 준비합니다. 어려운 부분이있어서 질문합니다.... 마지막질문 시험을 보는대 선택과목이라? 측량학, 토질역학, 구조역학 이3개중 어느게...

토질역학 문제풀때

... 다른지식인질문들보니까 토질역학은항상 포화토임을가정한다는데...그럼... 그리고 대부분 포화토나 건조토에 대해서 문제를 풀게되지요..ㅎㅎ 그런데.. 습윤상태...

토질역학 질문이 있습니다.

... ㅠㅠ 안녕하세요 ~ ^^ 토질 및 기초 기술사 똥글아빠입니다. 지중응력 증가량에 대해서 잘 풀이하셨는데요, 문제에서는 작용응력이라고 물어보았습니다. 즉, 풀이한...

[토질역학] 빨간o친부분의 의미좀...

안녕하세요~ 미분 적분에 약한 학생입니다;; 그림의 빨간... 질문에 그리신 그림을 보면.. 아마 지면 아래 토질의 한... 이중 질문하신 위, 아래로 작용하는 토압에 대해서만...

코로나 역학조사질문

코로나 역학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져서 문자보내나요? 1. qr코드... 안녕하세요. 저는 코로나에 최근에 걸린 확진자입니다. 제 경험을 토대로 증상 그리고 대처 생활법에 대해서...

역학공부방법

...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건 힘들죠. 기계공학과에서는 주로 동역학을 더 열심히 하더라구요. 아무래도 계과다 보니... 무엇보다 질문자님은 담당 지도교수님과의 상담이...

물리대회 2023

... 지금 물올 기출을 봤는데 역학은 두세개가 좀... 제가 알아서 할거 같고 두가지 질문만 드리겠습니다. 작년...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확실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