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소 폐지 반대

원자력 발전소 폐지 반대

작성일 2023.05.2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원자력발전소 폐지해야한다에 반대인데 찬성의견에 대한 반대 반론 좀 알려주세요 ㅠㅜ 급해요


#원자력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장단점 #원자력 발전소 찬성 근거 #원자력 발전소 원리 #원자력 발전소 장점 #원자력 발전소 찬성 #원자력 발전소 단점 #원자력 발전소 사고 #원자력 발전소 반대 #원자력 발전소 찬성 과학적 근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원자력발전소의 연료 이용률은 무엇보다 높습니다.

우라늄 1g이 석탄 3톤 혹은 석유 9드럼에 맞먹는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2. 탄소중립 시대에 원자력발전소는 필수입니다.

탄소중립을 위해 세계적으로 탄소배출을 감축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가스발전, 화력발전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발전소로 국가 에너지를 담당해야 합니다.

우선 24시간 365일 일정하게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원은 원자력발전소밖에 없습니다. 이것을 기저전원이라고도 합니다.

국가의 에너지를 책임질려면 이렇게 일정하게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원이 있어야 하는데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365일 내내 일정하게 100% 출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원은 원자력발전소밖에 없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태양광과 풍력은 하루 평균 4~5시간정도밖에 전기를 생산하지 못합니다.

태양광은 특히 밤낮의 영향을 많이 받죠 이외에도 날씨가 흐리면 태양광 발전이 안 됩니다. 겨울 폭설로 패널에 눈이 쌓여도 발전이 안 되죠

아래 링크 2개는 태양광 장마, 폭우, 한파 등으로 발전량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기사입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7EQES72P/GC0112

빗속에 사라진 태양광…중부지방 폭우 때 발전비중 1.9% 그쳐

경제 · 금융 > 경제동향 뉴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에너지 수급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이전 정부 에너지 정책의 핵심인 태양광이...

www.sedaily.com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01/25/HFI223765JC6DE5CUR5ITUBPE4/

한파로 전력 수요 피크일 때, 태양광·풍력 발전량은 1%

한파로 전력 수요 피크일 때, 태양광·풍력 발전량은 1% Close-up 무용지물 된 재생에너지

www.chosun.com

원자력발전소를 폐지할려면 폐지된 원자력발전소 발전량만큼 탄소배출이 없고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이 채워줘야 하는데 그러한 발전이 없습니다.

독일은 이미 탈원전을 했지만 오히려 화력발전 비중이 더 증가하였습니다.

독일은 대부분 러시아의 가스에 의존했는데 전쟁 영향으로 인해 러시아가 가스공급을 줄이니까 독일에서

에너지 대란이 일어났습니다. 원자력발전소를 폐지하고 있는 와중에 가스공급도 줄어들어버려서

에너지 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비중을 조금씩 줄이고 있던 화력발전소를 다시 비중을 증가시켰습니다.

유로저널-독일뉴스 - 독일, 화력 발전 재증가로 전체 발전비율 1/3 넘어 (eknews.net)

그래도 독일이 탈원전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독일은 주변 국가와 송전선이 연결되어 있어서 전기가 부족한 시간대, 날에는 프랑스로부터 전기를 수입합니다.

독일이 오히려 전기를 수출하는 국가라고 하는데 독일의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낮에는 너무 남아돌기 때문에 남는 전기를 버리는 용도처럼 수출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낮에는 재생에너지 전기가 남아도는데 송전선을 연결할 수 없는 주변국가가 없기때문에 손해만 보는겁니다. 그리고 최근에 재생에너지 전기가 너무 남아서 송전선 과부하로 정전위기때문에 태양광 출력제한을 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독일이 그나마 탈원전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주변국가와 송전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죠

우리나라는 송전선이 연결된 국가가 없습니다. 원자력발전소를 폐지하고 전기가 부족하면 부족한데로 정전되고 살아야 합니다.

탄소중립 시대에 가스발전, 화력발전을 늘릴 수는 없으니까요.

참고로 태양광, 풍력으로 원전 1기 분량을 대체할려면

태양광은 원전부지의 약 70배가 필요하고 풍력은 200배의 부지가 필요합니다.

3. 가장 안전한 발전이 원자력발전입니다.

EU합동연구센터에 의하면 우리나라 최신원전인 APR1400에 해당하는 3세대 원전이 1조kWh생산당 사망자수는 0.0008명으로 가장 적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2세대 원전인 웨스팅하우스타입, OPR1000같은 원전도 재생에너지와 비교해도 비슷한 사망자수를 가집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40년 이상동안 원전 사고는 단 한 번도 없었고 사망자도 없었습니다.

원전에서의 사고는 4~7등급을 의미하고 0~3등급까지는 고장으로 분류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고 2등급까지 발생했으며 2등급도 40년이상동안 단 3건만 발생했습니다.

원자력발전소는 각종 안전장치가 많기 때문에 위험할리가 없습니다.

위험하다는 인식에 비해서는 사고도 없었고 사망자도 없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체르노빌원전과 후쿠시마원전 같은 사고는 절대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은 이유는 우리나라원전은 가압수형원전(PWR)이고 체르노빌원전은 흑연감속 비등경수 압력관형원자로(RBNK)이고 후쿠시마원전은 비등수형원전(BWR)이라서 원전 노형부터가 다릅니다.

특히 체르노빌원전 노형인 RBMK는 현재 세계적으로도 사용하지 않는 원전입니다.

후쿠시마원전 노형인 비등수형 원자로도 안전성이 떨어진다고 하여 비등수형은 줄이고 가압수형을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그나마 우리나라 원전이랑 비교할려면 1979년에 사고났던 미국 TMI원전을 비교해야 합니다.

미국 TMI원전이 우리나라 원전과 동일한 가압수형원전이었습니다.

TMI원전에서도 후쿠시마원전처럼 노심이 녹는 사고가 발생하고 수소도 발생했지만 후쿠시마원전보다 콘크리트 격납건물이 5배나 더 컸기때문에 수소폭발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노심이 녹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후쿠시마원전과 달리 수소폭발은 없었습니다. 외부로 방사능 누출도 없었습니다.

우리나라원전은 기술이 더욱 발전했고 안전장치가 더 많아졌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TMI원전같은 사고도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원전을 운전하는 노하우가 많이 쌓였고 그 결과 우리나라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의 도쿄소속16개국가 중에서 운전경험 분야에서 최초로 8년 연속으로 최고등급을 달성했습니다.

또 우리나라 APR1400 원전이 미국 원자력규제기관인 NRC로부터 설계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 의미는 설계 인증을 받았으니 미국 어디에나 APR1400을 짓고 운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韓 APR1400 원전, 미국서 설계인증 취득…미국 외 원자로는 최초 | 연합뉴스 (yna.co.kr)

일본, 프랑스 같은 원전 선진국들은 시도 조차 못하거나 시도했지만 인증받지 못했습니다.

우리나라 원전이 세계 최초로 인증을 받은 것입니다.

한마디로 안전하다는거죠. 안전하니까 미국에 건설해도 된다라는 의미입니다.

반면에 태양광은 산사태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태양광을 설치하기 위해 나무를 뽑고 안정된 지반으로 조성하지 않은 탓입니다.

https://www.ytn.co.kr/_ln/0115_202210060555205190

주택 덮치고 생명 앗아간 횡성 산사태...원인은 태양광 시설

[앵커]지난 8월 집중호우로 강원 지역에서는 크고 작은 산...

www.ytn.co.kr

위험한건 이런게 위험한겁니다.

산사태 위험등급 1,2등급 산에 태양광 발전시설이 922개가 설치되어 있다는겁니다.

그런데도 조치는 취해지고 있지 않습니다.

위험한건 이런거죠

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24420

산사태 위험지역 1·2등급에 태양광 발전시설 922개…불안한 산지태양광 - 국토일보

[국토일보 조성구 기자] 전국의 산사태 위험지역 중 위험등급 1·2등급 내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이 922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구자근 의원(국민의힘, 경북구미갑)이 산림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

www.ikld.kr

탈원전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린다는 독일도 산에 태양광을 설치하지 않습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규제가 강화되어서 산지 일시허가라고 해서 최대 20년까지 산지를 태양광시설로 이용하고 원상복구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때문에 태양광사업자들도 산지에 설치하기에는 꺼려지는거죠

비교를 해봐도

우리나라에서 원전으로 인한 사망자 0명이지만 태양광때문에 산사태로 인한 사망자는 1명 발생했습니다.

도대체 원전이 어떤게 위험할까요?

4. 후쿠시마원전 사고

후쿠시마원전은 규모9.0 지진에는 안전하게 견뎠지만 약 1시간 후에 덮친 쓰나미에 의해

비상디젤발전기가 침수되어 전원상실로 노심을 냉각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수소폭발이 발생했는데 핵연료를 감싸고 있는 피복관이 고온의 환경에서 물과 반응하면

산화반응으로 수소가 발생합니다. 수소가 쌓여서 수소폭발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후쿠시마원전은 원래 사고날 원전이 아니었습니다.

후쿠시마원전 건설 당시 해수면으로부터 35m높이에 지을려고 했지만 예산을 아낀다는 명분으로

10m높이에 지어졌습니다.

(https://inl.gov/wp-content/uploads/2021/03/Just-the-facts_Fukushima.pdf 2페이지 key lesson참고)

진앙과 더 가까웠던 오나가와 원전은 높은 지대에 건설되어 있어서 쓰나미에 의한 피해가 없었고 오히려 주민 대피소로 이용되었습니다. 그 정도로 원전은 일반 건물보다 더 튼튼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내려가면 마지막 문단에

"인근 오나가와시도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러나 오나가와 원전은 오나가와 시민의 대피소가 됐다." 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정범진 교수님의 말씀입니다.

[EE칼럼]후쿠시마에 대한 당연한 질문 (ekn.kr)

혹시나 오해하실까봐 말씀드립니다.

그 옆에 후쿠시마는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완전히 파괴됐고 2만 명이 사망했다.

라는 내용이 있는데 후쿠시마랑 후쿠시마원전은 다른겁니다.

후쿠시마는 후쿠시마현이라는 지역을 말하는 겁니다.

내진설계에 관한 이야기를 하자면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설계는 일반 건축물과는 완전 다릅니다.

일반 건물에서 내진설계 규모6이라고 하면 규모6 지진이상에서는 건물에 균열생기고 무너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설계 규모6.5라는 것은 원자력발전소 바로 아래에서 규모6.5의 지진이 일어났을 때에도 원전이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준입니다.

일반 건축물의 내진설계 규모6.5과 원전의 내진설계 규모6.5는 완전히 다릅니다.

일반 건축물은 소성설계라고 해서 규모6.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건물에 변형, 균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원전의 내진설계는 탄성설계로 되어 있어서 규모6.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때 휨, 비틀림이 발생하더라도 지진이 끝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규모6.5이상의 지진에도 원전은 아주 멀쩡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장 후쿠시마원전만 봐도 규모9.0지진에도 멀쩡하게 견뎠습니다.

0.3g가 규모7에 해당하는데 아래사진은 최소 0.97g이상의 지진에도 원전건물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균열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후쿠시마원전과 달리 우리나라원전에는

수소재결합설비가 있어서 수소폭발 가능성이 없습니다.

아래 링크에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로부터 10년, 우리나라 원전은 안전할까? : 포스트 (naver.com)

위 링크에 보시다시피 우리나라원전은 후쿠시마원전과 달리 쓰나미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 있습니다.

후쿠시마원전은 외부전력, 비상디젤발전기, 배터리만 있었지만

우리나라원전은 외부전력, 비상디젤발전기, 비상교류발전기, 이동형 발전차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혹시나 모든 전기가 끊기더라도 자연순환에 의해서 노심 냉각이 가능합니다.

후쿠시마원전은 그러한 구조가 아니었습니다.

5. 원전이 가장 저렴합니다.

아래 사진은 한국전력거래소에 제공하고 있는 에너지원별 발전원가입니다.

4월 원전의 발전원가는 37원으로 평균보다 저렴했습니다.

반면에 태양광과 풍력은 100원대, 200원대로 변동합니다.

게다가 이 비용에 보조금 약 80원까지 더해야합니다.

태양광, 풍력사업자들은 정부의 지원금인 보조금을 받으면서 사업하고 있기때문입니다.

그럼 비용이 200원대, 300원대로 되는거죠.

원전의 발전단가에는 건설비, 해체비용, 사용후핵연료처리비용,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리비용, 연료비, 유지보수비 등 많은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이용이 평균 50~60원인거죠.

발전원가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은 아래 링크에 내려가시면 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제공한 표입니다.

평소에는 공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국감 도마 위에 오른 '원전 발전원가'…신재생의 '4분의 1' | 연합뉴스 (yna.co.kr)

발전단가에 많은 비용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주 저렴한 이유는 원자력발전소가 생산해내는

전기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입니다.

원전을 운영하면 건설비용을 회수가능하고 유지보수비용, 연료비용 등 원전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래 유튜브도 관련 내용이고 한국수력원자력 공식 유튜브 채널이기때문에 신뢰성있습니다.

https://youtu.be/YpVLTnRxPsg

반면에 재생에너지 발전원가에는 설치비, 유지보수비용, 에너지저장설비(ESS)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200~300원 + a 인거죠

에너지원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균등화발전단가(LCOE)를 보면 2030년에는

재생에너지가 원전보다 더 저렴해진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LCOE에는 ESS비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ESS비용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냐면 2050년에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비중을 70%까지 늘린다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탄소중립 시나리오대로 진행하면 ESS비용은 하루 저장 비용이 약 1000조원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아래 내용입니다.

"태양광 ESS 설비 구축에 1000조원 이상 소요 불가피" (dailian.co.kr)

따라서 ESS비용까지 LCOE에 포함하면 2030년에도 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는 원전보다 2~3배 더 비쌉니다.

아래 링크에서 '대통령을 위한 원자력 이슈 문답 10선' pdf를 다운받아서 보시면 7번째 문항에 경제성에 관련 내용이 나옵니다.

서울대학교 원자력정책센터 (snu.ac.kr)

6. 일부 국가도 원전으로 회귀

탈원전을 선언했던 일부 국가들도 원전으로 회귀했습니다.

"유럽, 원전 회귀 움직임…기후대책·에너지 안보 영향" | 연합뉴스 (yna.co.kr)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09507

‘탈원전’ 외치던 세계 각국, 다시 ‘원전 회귀’

탈원전을 외치던 세계 각국이 다시 원전으로 회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따른 글로벌 에너지 대란에다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 들어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정책을 정상화한 우리나라는 최근 신한울 1호기 준공과 잇따른 원전 수주 호재로 원전 산업 생태계 회복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

www.korea.kr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소를 폐지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와 에너지를 수입, 수출을 할 수 없는 '에너지 섬'이기때문에

밤낮, 날씨의 영향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가 필수이고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 전기소비량이 세계에서 8위로 전기소비량이 많은 국가입니다.

그런데 적은 부지로, 적은 연료로, 저렴한 비용으로, 탄소배출도 없이 안전하게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는 단 하나 원자력발전밖에 없습니다.

자동차 회사에서 전기차 보급을 증가하고 있는데 전기차에 들어가는 전기를 생산도 해야하는거죠

아주 많은 전기가 소비될겁니다. 최근들어 인공지능을 이용한 기술도 많이 개발되는데 이러한 기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사용되는 전기사용도 증가할 것입니다. 신재생에너지가지고는 턱도 없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가 지금 왜 전기요금이 이렇게 오른지 아시나요?

전기요금이 오르면 다른것도 연쇄적으로 오르게 되어있습니다.

그건 바로 멀쩡한 원전가동을 중지하고 엉뚱한 짓을 저지른

전 정부 때문이죠.

저는 답변확정을 위한 답변이 아니라, 정말 하고싶은 말을 하는겁니다.

원자력 발전소 폐지 반대

원자력발전소 폐지해야한다에 반대인데 찬성의견에 대한 반대 반론 좀 알려주세요 ㅠㅜ 급해요 1. 원자력발전소의 연료 이용률은 무엇보다 높습니다. 우라늄 1g이 석탄...

원자력 발전소 폐지 찬성

... 반대측의 주장은 원자력 발전소 폐지를 지지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원자력 발전소 폐지에 대한 반론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1. 원자력 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