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 관하여

우주에 관하여

작성일 2023.11.0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우주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애들은 잘 모르는 넓고 넓은 우주에 대해 많을 지식을 안고싶습니다.
우주에 대해 정말 꼼꼼히 알려주세요.
제가 추가적으로 궁금한건 찾아보겠습니다.
궁금한걸 찾아보려면 알고있는게 있어야 하지만
지금은 정말 무지식합니다.
정말 기초적인 것부터 현재 지금의 우주까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각각의 행성의 관해서도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우주에 관하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기에 그 모든걸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당장 각각 행성에 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고 하시는데

지구에서 가까운 행성들인 금성, 화성 여기에 관해서 자세한 것만 작성하더라도

어마어마하게 많은 양이 나오는데 불가능합니다.

금성 검색해서 Wikipedia 같은 곳 설명부터 보세요.

거기 내용만 해도 얼마나 많은 분량인지 알 수 있을겁니다.

그것도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것도 아니구요.

게다가 우주에 대해서는 님만이 아니라 천문학자들조차 알고 싶어합니다.

한마디로 말해 전문가들도 우주에 대해 모른다는겁니다.

현재 빅뱅 이론이나 우주 팽창론 같은 것들을 많이 얘기하고 있지만

사실 이것도 관측이나 여러 검토를 통해서 나온 결론일뿐

실제 사실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저걸 사실이라고 가정한다고 해도

당장 우주 팽창은 멀수록 가속 팽창한다는 이론이고

특히 이게 저 구간은 빛보다 빠르다는 것이라서

현재 물리학 개념에서는 우리는 영원히 저 너머의 구간은 알 수가 없습니다.

빛이 우리에게 도달해야 비로소 우리가 볼 수가 있는건데

빛보다 빠르다면 영원히 우리에게 도달할 수 없다는 얘기가 됩니다.

이걸 통해서 현재 우리는 우주의 나이로 추정하고 있는

138억 광년까지를 관측 가능 범위로 보고 있고

팽창이나 중력 렌즈 효과 등을 통한 관측 등을 통해 실제 465억 광년까지

그래서 지름으로 보면 930억 광년을 관측할 수 있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결국 저 범위 너머로는 절대 알 수가 없다는겁니다.

게다가 또 문제가 뭐냐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에 대한 이론입니다.

현재 이 우주의 70% 정도는 암흑에너지, 25% 정도는 암흑물질로 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겨우 나머지 5%가 은하, 성운, 성단, 별, 행성 이런 것들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린 저런 천체들조차도 아직 극히 일부만 관측하는 정도입니다.

5%조차 모르는데 우주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존재할 수가 없죠.

대충조차 설명을 못하는데 꼼꼼히 알려달라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린 당장 우리 은하의 천체조차 대부분 모르고

심지어 우리 태양계 내의 상황조차 대부분 모르고

지구 내의 일들조차 모르는 것들이 많은 수준입니다.

행성들도 가까운 금성, 화성조차 제대로 파악을 못해서 탐사선 보내고 계속 조사 중이지만

아직 지극히 일부의 일부도 모르는 수준이구요.

또 유로파, 타이탄 같은 위성들은 지하바다나 대기의 존재들을 알아냈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이곳에 탐사할 준비도 현재 진행 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이걸 본격 진행해서 탐사선 발사하더라도 또 그만큼의 시간이 소모되고

어느 정도나 많이 파악할지도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우주는 너무나 거대하고 각 천체간 거리는 상상을 초월하는 거리에 있습니다.

현재 우리 기술력으로는 어느 하나 탐사하기가 어렵다는 얘깁니다.

달에 가는 것조차 굉장히 어렵죠.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는 것조차 너무나 어려워서

어마어마한 기술과 연료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직 인간은 달까지 밖에 가보질 못했죠.

그 이상의 거리는 너무나 멀어서 유인 탐사선을 보내는 것도 어렵습니다.

그나마 최근 화성에 거주 지역을 만들겠다라고 하고 있지만

이것도 실현 가능성이 상당히 적은 것으로 보는 과학자들도 많고

이게 이뤄진다고 해도 고작 화성입니다.

지구에서 화성까지 거리는 평균적으로 2, 3억 킬로미터 거리입니다.

지구 둘레서 4만 킬로미터라는 것을 생각하면 상상 초월의 거리입니다.

그런데 저것도 AU 단위로 보면 정말 하찮은 거리로 보이죠.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가 약 1억 5천만 킬로미터 정도이고 이걸 1AU라고 하는데

저 단위로 하면 화성까지 평균 거리도 1, 2AU 정도 수준입니다.

그런데 가장 먼 행성인 해왕성까지로 하면 1, 2AU 이런 수준이 아니라 무려 30AU입니다.

저기까지만 해도 이미 상상이 안되는 거리죠.

아직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한 것도 보이저 2호가 유일할 정도로

무인 탐사선조차 보내기가 쉽지 않은 곳입니다.

물론 작정하면 보낼 수는 있지만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어가니 가치가 그만큼 있어야하구요.

그리고 보이저 1호가 현재 인간이 만든 물체 중 가장 먼 곳에 날아가고 있는데

최근 기준으로 무려 162AU 떨어진 곳을 날아가고 있습니다.

보이저 2호도 135AU 떨어진 곳에 있구요.

이미 태양풍의 영향을 벗어난 곳에 진입해서 태양계를 벗어났다고 하고 있고

성간물질들 속을 날고 있다고 하고 있죠.

해왕성까지의 거리보다 무려 5배가 넘는 거리를 날아가고 있는 것인데

그럼에도 이것조차 너무나 하찮은 거리입니다.

현재 태양계 주변은 장주기 혜성이 온 곳으로 추정하고 있는

오르트 구름이라는 가상의 천체 집단이 있는데

과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긴 하지만

이 오르트구름은 짧게는 100AU 지점, 멀게는 2000AU 지점부터 시작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2000AU 지점을 기준으로 하면 보이저 1호조차 아직 오르트 구름 있는 곳조차 못가고 있단거죠.

그리고 더 놀라운 것은 저것도 시작점이고 안쪽 오르트구름 영역이라는 것일뿐

바깥 오르트 구름 영역은 무려 2만~3만AU 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10만 AU 전후 정도까지 영역에 있다고 보고 있는 수준이구요.

여기까지 도달하는 것조차 어려운겁니다.

당연히 여기가 끝은 또 아니죠.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입니다.

여긴 무려 30만 AU 가까운 거리에 있습니다.

이제 AU로 표기하는 것보다 광년으로 표현하는 것이 낫죠.

광년은 빛의 속도로 측정하는 거리입니다.

광속은 1초에 지구를 무려 7바퀴 반을 돌아버리는 엄청난 속도죠.

달까지는 1.28광초입니다.

즉 2초도 걸리지 않는 속도이고

태양까지도 8광분 정도의 거리입니다.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태양은 약 8분 전의 태양인거죠.

그런데 저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는? 무려 4광년이 넘게 걸립니다.

분도 아니고 일도 아니고 월도 아닌 년입니다.

빛의 속도로 4년 넘게 가야 도달하는 거리라는겁니다.

보이저 1호로 저길 가려면 7, 8만년이 걸립니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우주를 알 수 있겠습니까?

우주의 5% 수준의 천체조차 대부분 제대로 탐사도 못하는데?

그리고 우리은하만 해도 태양, 프록시마 같은 이런 항성들이 수천억개가 있습니다.

우리가 별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항성입니다.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죠.

지구나 금성, 화성 이런건 별이 아닙니다. 행성이죠.

항성은 또 대부분 행성을 거느리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고

태양계의 태양만 해도 무려 8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죠.

얼마나 많은 행성이 있겠습니까. 파악 못해요.

아직 외계행성 발견도 고작 수천개 정도 발견한 수준입니다.

그리고 우리은하만 해도 저러한데 우주엔 이런 은하가 수천억, 수조개가 있습니다.

우주에 대해 꼼꼼하게 알기엔 인류가 갖고 있는 우주에 대한 지식은 먼지만큼도 되지 않습니다.

그저 조금씩 하나씩 알아가는 것뿐.

우주를 알아가는 것은 끝이 없고 한 인간의 생애에 우주를 꼼꼼히 알게 되는건 불가능합니다.

인류가 멸망하지 않고 지구를 컨트롤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게 된다면

태양의 남은 수명으로 예측되는 50억년 정도까진 앞으로 시간이 더 있을테지만

과연 50억년의 시간으로도 이 우주를 꼼꼼하게 모두 알 수 있을런지 모르겠군요.

물론 50억년이란 시간은 어마어마한 시간이고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다면 영화 인터스텔라의 경우처럼

웜홀을 만들어 다른 은하로 갈 수 있게하거나 시공간을 초월해

지금처럼 3차원에 묶이지 않고 4, 5차원도 갈 수 있고

이렇게 현대 물리학 법칙을 초월하게 되면 거기서부터 우주에 대한 자세한 이해가 조금씩 가능하게 되겠지만

지금의 상태로는 아무리 많은 시간이 지나도 불가능하겠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키피디아나 나무위키에서 검색하다 보면 해박해질겁니다.

궤도역학

n체운동

스윙바이

탄성충돌

상대성이론

유체역학

등등... 애초에 나무위키 고전역학이랑 천문학 파트에 전부다 있을걸요?

우주에 관하여

우주가 시작된지 몇분만에 에너지가 압축되어 우주 형성을 위한 기본 재료가 만들어졌나요?? 양성자와 전자가 만들어지던 입자의 시기는 약 1/10⁴초부터 1초 까지입니다...

우주에 관하여

... 우주에 관하여 해주시고요 상상도 그림을 주시면 더 좋구요 설명 제대로 해주세요 잘 보고 채택합니다 내공 만땅 줍니다.~ 미항공우주국 홈페이지에 15일...

우주에 관하여 궁금한것..

... 우주에 관하여궁금한것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존재하는 이 우주는 빅뱅:대폭발 이후로 계속해서 팽창하고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우주에는 별이란것이 먼지와 얼음 돌(?)...

우주에 관하여

우주에 관하여 좀 알려주세요 제가 국제 학교 에서 좀 많이 알아오라고 하는 게 너무 많아서 질문을 하게되네요 좀많지만 잘 대답해 주세요. 대답해주실때 간단하게...

우주에 관하여

우주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애들은 잘 모르는 넓고 넓은 우주에 대해 많을 지식을 안고싶습니다. 우주에 대해 정말 꼼꼼히 알려주세요. 제가 추가적으로 궁금한건...

우주에 관하여

우주에 관심많은 중학생입니다. 제가 알면 좋을 것들... 천문관측학 그리고 우주학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 이에... 허블의 방정식과 우주 나이 그리고 우주 가속 팽창을...

은하와 우주에 관하여.....

중학교 3학년 교학사의 과학 교과서에서 우주 단원의 --은하와 우주-- 에 관하여 자세하게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려 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은하 [銀河, galaxy] 띠 모양으로...

우주에관하여

제가 궁금중이 쫌많은 아이인데요 요즘 우주에 관하여 궁금증이 생겨서 그렇습니다 질문들어갑니다 질문1. 우주는 끝이 없다는데 계속 늘어나나요? 아니면 우주가 둥글어서...

과학탐구 우주에 관하여...

... 간단히,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우주의 모습과 실제로 이론적인 관측에서, 지동설에 근거한 우주의 운행 과정에 관하여 라는 식으로 주제를 정할 수도 있어요. 무엇을 설정하든...

우주에 관하여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우주에 관하여 궁금한게 있습니다. 사실 좀 옛날부터생각해본 것인데... 궁금한것은 먼저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마을이 모여 도시를 이루며 도시가 모여 국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