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회귀에서 p=0.153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에서 p=0.016 으로...

단순회귀에서 p=0.153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에서 p=0.016 으로...

작성일 2023.05.03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X->Y에서


Coefficients:
            Estimate Std. Error t value Pr(>|t|)    
(Intercept)  54.8609     6.9079   7.942 5.72e-12 ***
X          -0.1512     0.1049  -1.442    0.153    

로 X가 Y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게 나왔는데
A와 함께 다중회귀를 돌리니

Coefficients:
            Estimate Std. Error t value Pr(>|t|)    
(Intercept) 50.84147    5.93724   8.563 3.25e-13 ***
A          -0.44118    0.07553  -5.841 8.56e-08 ***
X           0.28683    0.11681   2.455    0.016 *  

X가 p<0.05로 유의하게 나왔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정확한 답변을 적어드립니다.

독립변수 A는 Y에도 영향을 주고

독립변수 A는 X에도 영향을 주는 변수입니다.

독립변수 A가 Y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영역을

독립변수 A가 X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영역이

영향을 주게 된것(설명을 많이 하게 된것)입니다. 편상관계수를 계산해 보면 높아져 있을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한 변수만 고려한 단순회귀에서는 X가 Y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나, 다중회귀에서는 A와 함께 분석을 진행하니 X가 Y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습니다. 이유는 바로 다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중회귀에서는 여러 개의 변수를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제거하고 나서 X가 Y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회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X의 영향이,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제거하고 나니 유의하게 나타난 것입니다.

따라서, 다중회귀 분석은 하나의 변수만 고려하는 단순회귀보다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한 예측과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보다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하나의 독립변수가 다른 독립변수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 이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단순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독립변수 X가 다른 변수 A와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할 때 X가 Y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기서 Coefficients(계수) 값들을 살펴보면, X의 계수 값은 -0.1512였으나 A와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X의 계수 값이 0.28683으로 증가하고 유의성 수준인 P-value가 0.016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이것은 X와 A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Y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여 X의 영향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내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X가 Y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단순회귀에서 p=0.153으로 유의하지...

... 따라서, 단순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함께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X의 계수 값이 0.28683으로 증가하고 유의성 수준인 P-value가 0.016으로...

엑셀 회귀분석(다중공산성) 해석 좀...

... 비 유의한 F 다중 상관계수 0.948823 회귀 1 66811198... 8453 관측수 57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Y... 회귀계수는 방향과 크기가 중요하구요. 단순회귀분...

엑셀로 회귀분석(다중공산성) 해석...

... 비 유의한 F 다중 상관계수 0.948823 회귀 1 66811198... 8453 관측수 57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Y 절편... 회귀계수는 방향과 크기가 중요하구요. 단순회귀...

다중회귀분석 결과해석좀 부탁드립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인데요. 인구, 차량대수 및 CO농도와의 관계를 구한 결과입니다. 저는 유의확률이 0.05보다... 아니면 단순 과제인가요? 직접 데이터 수집해서 분석하신...

다중회귀분석 해석 부탁드려요(내공30)

... 대한 p-value 는 유의수준 .05을 기각하지 못합니다.... 독립변수들중에서 유의미하지 않는 변수를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단순회귀와는 달리 다중공선성(상호 변수들...

SPSS 12.0 다중회귀분석관련 질문.

이게 현재 나온 문제인식과 변화계획에 대한 다중회귀분... ㅜㅜ 독립변수가 1개인 회귀분석을 단순회귀분석이라... p-값이 유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절편을 제외하고 회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