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너지관리기능장 2. 배관기능장

1. 에너지관리기능장 2. 배관기능장

작성일 2023.07.0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에너지관리기능장
2. 배관기능장

둘 중에 무엇이 더 어렵나요?
엄청난 손재주가 요구되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에너지관리기능장과 배관기능장 중 어느 것이 더 어려운지 궁금하시군요. 사실, 이 두 가지 업무는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역할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각 기능장의 특징과 필요한 기술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에너지관리기능장

에너지관리기능장은 건물이나 시설의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역할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포함됩니다:

1. 에너지 소비 분석: 에너지관리기능장은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고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을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에너지 절약 방안 제시: 에너지 관리 기능장은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에 더욱 친화적인 건물 운영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3. 에너지 효율 시스템 설치: 에너지 관리 기능장은 에너지 소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 정보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배관기능장

배관기능장은 건물이나 시설의 배관 시스템을 설계, 구축 및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역할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포함됩니다:

1. 배관 시스템 설계: 배관기능장은 건물 내 배관 시스템을 설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건물 구조와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배관 계획을 세우고 설계합니다.

2. 배관 시스템 구축: 배관기능장은 설계된 배관 시스템을 구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파이프, 밸브, 연결부품 등을 선택하고 설치합니다. 또한,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검사와 시험을 수행합니다.

3. 배관 시스템 유지보수: 배관기능장은 배관 시스템의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고장 시 조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너지관리기능장과 배관기능장은 각자 다른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어느 것이 더 어려운지는 개인의 관심과 경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실무 경험을 쌓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관심을 가지고 학습하면, 어느 분야에서든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화이팅하세요!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확하게 설명을 드립니다.

1.필기 시험

에너지관리 기능장 VS 배관 기능장 비슷합니다.

난이도로 나타내면..

배관 9, 에너지 10

2. 실기 시험

실기는 작업형과 필답형 [2가지]로 분류 됩니다.

<필답형>

에너지, 배관 둘 다 비슷 합니다.

다만, 배관 필답에 적산이 새롭게 바뀐지 얼마 되지 않아서, 조금 적응 하셔야 할겁니다.

<작업형>

에너지기능장이 더 어렵습니다.

배관 기능장이 조금 더 쉽습니다.

에너지 기능장은 제작하는 배관이 더 많이 사용되며, 도면 내용이 더 많습니다.

3. 전체적으로 요약을 하면 ..

배관 기능장에 비해서, 에너지관리 기능장이 조금 더 어렵습니다.

이상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에너지관리기능장 응시자격이...

에너지관리기능장 응시자격을 보면 기능사 + 경력 산업기사 + 경력 그 밖에 순수 경력... 기능장 응시조건 1. 기능사 + 경력 7년 이상 2. 산업기사 + 경력 5년 이상 3. 동일 및...

자격으로는 에너지관리기능장 시험...

에너지관리기능장 응시자격을 보면 기능사 + 경력 / 산업기사 + 경력 은 있는데... 응시자격 1. 관련 전공 4년제 졸업 or 졸업 예졍자 2. 관련 실무 경력 4년 이상 3. 산업기사...

보유 후 2년 경력자 기능장 도전 !?

건설안전기사 / 1급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증 보유 후 기능장 생각중입니다. 현직 경력 1년... 건설안전으로 도전해볼만한게 유사직무 계열루 건축일반시공기능장, 배관기능장인...

전기기사로 위험물기능장 시험자격...

혹시 전기기사 가지고 있는데 현업 5년 후 위험물기능장 응시 가능한가요?? 아니면... 채광 16. 기계 17. 재료 19. 섬유ㆍ의복 25. 안전관리 26. 환경ㆍ에너지 182. 위험물

에너지관리 기능장 응시조건...

... 혹시 에너지관리 기능장 바로 취득 조건이될까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응시하려는... 기능대학의 기능장과정을 마친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2....

에너지관리기능장 응시자격 관련하여...

... 에너지관리기능장 만만치 않죠..1년에 시험2번에 있지요..그래도 기능장중에는 합격율이 높은편에 속하죠..가스기능장은 정말 죽음인데요.. 어쨋든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기능장 응시자격 여부

... 08취득 에너지관리기능장 응시자격 여부를 자세히 알려주십시요....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jmCd=3170&examInstiCd=1 ◆ 경력 관련 사항은 꼭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