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수학과 선형대수학! (MATLAB 기초)

공학수학과 선형대수학! (MATLAB 기초)

작성일 2020.02.08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1살 대학생입니다.
MATLAB에 대해 배우고 싶은데 매트랩이 행렬과 관련되어있잖아요!
근데 고등학교 교육과정엔 행렬이 아예 없었어서 행렬에 대해 배우려고 하는데 
그래서 행렬과 관련있다는 선형대수학에 대해 공부를 해야하나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 이번학기에는 공업수학을 배웁니다.
원래 공수 후에 선대를 배우나요? 아니면 선대 후에 공수를 배우나요? 선형대수학이 공수와 MATLAB에 도움이 된다면 먼저 공부할까하는데......

결론적으로 질문은,
1. 공수 후에 선대를 배우는지, 선대 후에 공수를 배우는지. 둘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선대를 먼저 공부하면 공수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2. MATLAB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걸 공부하면 좋은지..(아니면 선형대수학 이런것말고 그냥 행렬의 기본적인 것만 알고 바로 공부해도 되는지..)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행렬을 먼저 공부하세요.

바로 공수 나 선대 시작하면 뭔소린지 모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에이스 아카데미 입니다.

각 대학마다 1학년에서 배우는 공학수학이 있고, 2학년에서 배우는 공학수학이 있습니다.

만일 1학년에서 배우는 공학수학이면 미분적분학을 공부하게 되고, 2학년에서 배우는 공학수학이면 주로

미분방정식, Laplace변환, 연립미분방정식 등을 공부하게 됩니다.

만일 2학년에서 배우는 공학수학이라면 공학수학 처음 부분에서는 행렬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공학수학 중에서 선형대수학 부분을 공부하게 될 때, 비로서 행렬과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게 됩니다.

만일 선형대수학이 당장 필요한 상황이라면 공학수학 교과과정이 아니라 별도의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강의를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대학마다 선형대수학 교과과정을 순수 이론 위주의 강의가 개설되는 경우도 있고, 컴퓨터를 이용한 응용을

병행하며서 개설된 강의가 있습니다.

따라서 수강신청할 때, 'MATLAB 을 이용한 선형대수학' 등과 같은 제목의 강의를 선택해서 수강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편 MATLAB 을 완벽하게 구사하려면 선형대수학의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간단하게 활용하는 정도라면 선형대수학의 모든 것을 다 학습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내용만 알고

있어도 프로그램을 공부하고 활용하는데 큰 지장은 없을 것입니다.

우선은 MATLAB 관련 책을 먼저 공부하면서 프로그램을 익힌 뒤에 필요하다면 수학지식을 습득하는 순서로

학습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Have a nice day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그게 궁금해서 유니와이즈에 질문했더니 이렇게 답변 받았어요!

강의 수강하려고 고르기 전에 질문해서 답변받은건데 참고하세요~~

참고로 혼자 독학하면서 시간낭비하는 것보다 인강보면서 학습하는걸 추천해요..

혼자할 때 넘 힘들었어요..ㅠㅠ

1. 공업수학 과목 안에 선형대수학 과목을 포함하여 상미분 방정식, 라플라스변환, 벡터미적분, Fourier 해석, 편미분방정식, 복소해석학 같은 과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공업수학을 위한 선학습으로 선형대수학을 굳이 먼저 학습하시진 않아도 됩니다.

2. 매트랩 과목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선형대수학, 수치해석, 미적분, 공업수학, 선형계획 등이 있으나,

유니와이즈 신흥철 교수님의 매트랩 강좌의 경우 수학적 지식이 부족하여도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도록 강의하셨으니 홈페이지에 안내되어 있는 맛보기 영상을 확인해보신 후에

수강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매트랩 기반을 통해 수학을 배우려고 하시는군요.

인강을 들으면서 공부하면 더 이해가 잘 될 겁니다.

21살 대학생이면 수월하게 공부할 수 있어요.

아래에서 직접 강의를 들어보세요.

http://bit.ly/2IZyV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