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기사 자격증 오션폴리텍

해기사 자격증 오션폴리텍

작성일 2023.01.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원양어선에 관심이 생겨 알아보던 중 모르겠는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원양어선에 간부로 탑승시 해기자 3급 자격증이 있어야 그나마 수월하다고 찾았는데요, 오션폴리텍에서는 어선분야에 원양어선 3급으로 적혀 있는데 해기사 3급이랑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국해양수산원 국가자격시험에 들어가서 보니 해기사 자격증란에 항해사 기관사 통신사 등등 세부분야로 나뉘고 해기사 자격증 시험은 따로 없던데 해기사가 대분류이고 그 안에 항해사 기관사 등등이 들어있는 건가요? 그렇다면 원양어선 3급은 어디로 들어가는건지와 원양어선에 탑승시에는 무슨 자격증이 유리한가요? 


#해기사 자격증 #해기사 자격증 난이도 #해기사 자격증 종류 #해기사 자격증 조회 #해기사 자격증 발급 #해기사 자격증 따는법 #해기사 자격증 갱신 #해기사 기사 자격증 #해기사 4급 자격증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23년 오션폴리텍 교육과정 교육생 모집공고를 보면 상선 3, 5급과 어선 5, 6급 과정입니다.

상선 3급은 전문대졸 이상 지원 가능 (교육기간 11개월)

상선 5급, 어선 5, 6급은 학력, 경력에 제한 없이 지원 가능(교육기간 5급 5개월, 6급 3개월)

원양어선 3급 과정은 보이지 않습니다.

아래 법을 참조 바랍니다.

선박직원법

[시행 2023. 1. 12.] [법률 제18755호, 2022. 1. 11., 타법개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1. 3. 9., 2014. 3. 24., 2020. 2. 18.>

1. “선박”이란 「선박안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선박과 「어선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어선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선박은 제외한다.

가. 총톤수 5톤 미만의 선박. 다만, 총톤수 5톤 미만의 선박이라 하더라도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선박에 대하여는 이 법을 적용한다.

1) 여객 정원이 13명 이상인 선박

2) 「낚시 관리 및 육성법」 제25조에 따라 낚시어선업을 하기 위하여 신고된 어선

3) 「유선 및 도선사업법」 제3조에 따라 영업구역을 바다로 하여 면허를 받거나 신고된 유선ㆍ도선

4) 수면비행선박

나. 주로 노와 삿대로 운전하는 선박

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선박

3. “선박직원”이란 해기사(제10조의2에 따라 승무자격인정을 받은 외국의 해기사를 포함한다)로서 선박에서 선장ㆍ항해사ㆍ기관장ㆍ기관사ㆍ전자기관사ㆍ통신장ㆍ통신사ㆍ운항장 및 운항사의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4. “해기사”(海技士)란 제4조에 따른 면허를 받은 사람을 말한다.

제4조(면허의 직종 및 등급) ① 선박직원이 되려는 사람은 해양수산부장관의 해기사 면허(이하 “면허”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개정 2013. 3. 23.>

② 해양수산부장관은 제5조에 따른 요건을 갖춘 사람에게 다음 각 호의 직종과 등급별로 면허를 한다. 이 경우 해양수산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선박의 종류, 항행구역 등에 따라 한정면허를 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2014. 3. 24.>

1. 항해사

1급 항해사

2급 항해사

3급 항해사

4급 항해사

5급 항해사

6급 항해사

2. 기관사

1급 기관사

2급 기관사

3급 기관사

4급 기관사

5급 기관사

6급 기관사

2의2. 전자기관사

3. 통신사(전파통신급과 전파전자급으로 구분한다)

1급 통신사

2급 통신사

3급 통신사

4급 통신사

4. 운항사

1급 운항사

2급 운항사

3급 운항사

4급 운항사

5. 수면비행선박 조종사

중형 수면비행선박 조종사[최대 이수중량(離水重量) 10톤 이상 500톤 미만의 선박만 해당한다]

소형 수면비행선박 조종사(최대 이수중량 10톤 미만의 선박만 해당한다)

6. 소형선박 조종사

③ 직종별 면허의 상하 등급은 제2항 각 호의 등급별 순서에 따른다.

④ 운항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문분야별로 해당 등급과 같은 등급의 항해사(한정면허의 경우에는 상선에 한정된 면허만 해당한다) 또는 기관사로 보며, 소형선박 조종사는 6급 항해사 또는 6급 기관사의 하위등급의 해기사로 본다.

[전문개정 2011. 6. 15.]

제11조(승무기준 및 선박직원의 직무) ① 선박소유자는 선박의 항행구역, 크기, 용도 및 추진기관의 출력과 그 밖에 선박 항행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선박직원의 승무기준(이하 “승무기준”이라 한다)에 맞는 해기사(제10조의2에 따라 승무자격인정을 받은 사람을 포함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를 승무시켜야 한다.

② 선박직원의 직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4. 3. 24.>

1. 선장은 선박의 운항관리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다만, 사망ㆍ질병 또는 부상 등 부득이한 사유로 선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자동화선박에서는 항해를 전문으로 하는 1등 운항사가 그 직무를 대행하고, 그 밖의 선박에서는 1등 항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2. 항해사는 갑판부에서 항해당직을 수행한다.

3. 기관장은 선박의 기계적 추진, 기계와 전기설비의 운전 및 보수관리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다만, 사망ㆍ질병 또는 부상 등 부득이한 사유로 기관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자동화선박에서는 기관을 전문으로 하는 1등 운항사가 그 직무를 대행하고, 그 밖의 선박에서는 1등 기관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4. 기관사는 기관부에서 기관당직을 수행한다.

4의2. 전자기관사는 항해장비 및 갑판기기를 포함한 선박의 전기ㆍ전자 및 자동제어 설비ㆍ시스템의 유지ㆍ점검ㆍ보수관리ㆍ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5. 통신장과 통신사는 선박통신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6. 운항장과 운항사는 자동화선박에서 운항당직(항해ㆍ기관 및 전자장비 등에 대한 통합당직을 말한다)을 수행한다.

[전문개정 2011. 6. 15.]

제15조(면허증 등의 비치) 해기사가 선박직원으로 승무할 때에는 면허증이나 승무자격증을 선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선장은 이를 선박에 갖추어 두어야 한다.

[전문개정 2011. 6. 15.]

선박직원법 시행령

[시행 2023. 1. 12.] [대통령령 제33225호, 2023. 1. 10., 타법개정]

제4조(한정면허) 제4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에 따른 한정면허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개정 2011. 2. 14., 2013. 4. 22., 2015. 3. 24., 2017. 7. 11.>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해기사면허(이하 “면허”라 한다)에 대하여 상선으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상선면허 어선으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어선면허

가. 1급부터 6급까지의 항해사면허. 다만, 항해선(선원법 제2조제8호에 따른 항해선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 승무하는 경우에 한정한다.

나. 5급ㆍ6급의 기관사면허(제16조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라 취득하는 면허로 한정한다)

다. 6급의 기관사면허(총톤수 100톤 이상의 선박에서 1년 이상 승선한 승무경력으로 취득하는 면허로 한정한다)

2. 5급ㆍ6급의 항해사면허 또는 기관사면허에 대하여 해저자원굴착선ㆍ해양자원탐사선ㆍ준설선 등 특수한 용도에 사용되는 선박으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특수선박면허

3. 5급ㆍ6급의 항해사면허 또는 기관사면허에 대하여 호수ㆍ하천 또는 국제통신이 필요하지 아니하는 국내항 등 특정 수역만을 운항하는 선박으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특정수역면허

3의2. 6급의 항해사면허 또는 기관사면허에 대하여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른 동력수상레저기구 중 총톤수 55톤 미만의 모터보트 또는 동력요트에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모터보트ㆍ동력요트면허

3의3. 전자기관사면허에 대하여 이동식 시추선에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이동식 시추선면허

4. 소형선박 조종사면허(「수상레저안전법」에 따른 동력수상레저기구조종면허 소지자에게 교부되는 것으로 한정한다)에 대하여 요트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한정하는 요트면허 및 요트를 제외한 동력수상레저기구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한정하는 동력수상레저기구면허

5. 수면비행선박 조종사면허에 대하여 표면효과(WIG: Wing In Ground Effect)가 발생하는 높이(수면비행선박 주 날개의 종방향 평균폭을 말한다) 이하에서만 운항하는 선박으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표면효과전용선면허

6. 소형 수면비행선박 조종사면허에 대하여 자가운전 등 비사업용으로 한정하여 승무하도록 하는 비사업용조종사면허

② 제1항제1호나목 및 다목에 따라 발급받은 상선면허 및 어선면허는 해당 한정면허를 소지한 자가 해당 선박에서 실제 승무하는 1년의 기간 동안 유효하며, 그 이후에는 선박의 종류별 승무 제한이 없는 면허를 받은 것으로 보고 해당 한정면허를 소지한 자는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면허증 기재사항의 변경을 신청하여야 한다. <개정 2008. 2. 29., 2013. 3. 23.>

[전문개정 2007. 5. 25.]

해기사 자격증 오션폴리텍

... 원양어선에 간부로 탑승시 해기자 3급 자격증이 있어야 그나마 수월하다고 찾았는데요, 오션폴리텍에서는 어선분야에 원양어선 3급으로 적혀 있는데 해기사 3급이랑...

해기사 시험 및 오션폴리텍에 관하여

... 최근 오션폴리텍해기사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희망이 생긴것 같습니다. 저는 오션폴리텍을 통해서 5급 기관 자격증을 취득해서 컨테이너선을 타고 외국에 나가고...

오션폴리텍

현재 조선해양공학 전공하고있는 올해 4학년입니다 항해사가 되고싶어서 조금 알아봤는데 오션폴리텍이란 곳에 들어가면 해기사3급 자격증을 딸수있는 자격이 주어지네요!...

외항상선 해기사3급 자격증 준비과정

... 외항상선 해기사3급 자격증을 위해 오션폴리텍에 입학하려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교육부 정식인가 교육원 소속 김형우 팀장입니다. 외항상선...

해기사 자격증 궁금한 점이 있어요!!

... 모집과정 : 오션폴리텍(외항상선 3급 해기사양성) 교육과정 나. 모집기간 : 2021.01.04.(월) ∼ 2021.01.15.(금) 다. 모집인원 : 70명(항해 35명, 기관 35명) 라. 전형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