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존산소량 수질 측정 키트 이렇게 보는 게 맞나요??

용존산소량 수질 측정 키트 이렇게 보는 게 맞나요??

작성일 2023.11.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Do 수질측정키트 쓰는 실험을 했는데요. 수질 정화에 대한 실험이었는데, 저기 색상 카드에 대봤을 때 정화시키기 전 색깔보다 정화시킨 후 색깔이 더 어두우면 수질이 개선된 건가요?? 그리고 색깔이 어두우면 어두울수룩 수질 정화 능력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있나요??






#용존산소량 수질 #용존산소량 수질측정 #용존산소량 수질오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좋은 질문이신데요. 이해하실수 있게 답변드리기는 참 어려운 질문입니다.

1. 해당 측정방법은 0~10mg/L의 범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으로

통상적으로 맑은 물일수록 DO가 높으므로 10mg/L에 해당하는 갈색이면

산소농도가 높은 것이고, 그럼 통상적으로 맑다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2.

1) 수돗물을 강하게 틀어서 싱크대에 받으시면

물이 폭포처럼 싱크대로 떨어지면서 공기가 보글보글 물과함께

섞이면서 녹아들기 때문에

이과정에서 산소가 물에 녹아서 수돗물의 산소농도가 높아집니다.

살살 틀어서 살며시 받으신다면 물을 받는 과정에서

앞에서 강하게 물을 받는 경우에 비해 산소가 천천히 녹아들 것이므로

산소농도가 앞의 경우보다 낮게 측정됩니다.

이 두가지 경우 물의 오염농도는 같으나 산소농도는 다릅니다.

이해되시죠?

2) 하천의 상류에 공장폐수가 유입되어 섞이는 부분인데

이 하천은 낙차가 크고, 조류가 활발히 광합성을 하고 있어

산소농도가 높은 지역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 하천이 흐르고 흘러 5km 하류로 내려가니

물의 흐름이 잔잔하여 산소가 녹아드는 량이 적다고 할 때

하천의 상류와 하류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니

하천의 상류는 산소농도가 8mg/L 정도로 높았고,

하천의 하류는 산소농도가 2mg/L 정도로 낮았습니다.

어떤게 깨끗한 물일까요?

하천의 하류가 깨끗한 물입니다.

상류에서 혼합된 폐수로 인해 오염농도가 높으며,

하류는 폐수의 오염물질이 분해되면서 산소가 소비되어 산소농도가 낮은 것이지,

오염물질은 분해되어 일부분 혹은 상당부분 제거된 ( 정화된 ) 물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해되시지요?

3) 수족관이나 어항에 물고기의 호흡을 위해 공기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공기를 많이 불어넣어서 산소농도는 7mg/L나 되는데,

물을 갈아주지 않아서 물속에 질산, 인산 등 이온들이 과다한 경우

결국 물고기는 죽게 됩니다.

물고기가 죽었더니 산소를 소비할 동물이 없어서 산소농도가 10mg/L까지 올라갔습니다.

산소농도가 높으니 깨끗한 물일까요?

3.

이와 같이 산소농도는 오염물질은 아니므로 오염정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오염지표인 COD,BOD,TOC,TN 등과 함께 검토하여

오염과 정화의 진행여부를 검토하는데 활용하여

하천의 건전성을 판독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라고 판단됩니다.

4.

'색깔이 어두우면 어두울수룩 수질 정화 능력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있나요??'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1) 정화방법이 산소를 불어넣는 방법이었다면...

전혀 정화되지 않았으나 단순히 불어넣은 산소때문에 DO가 높은 것일 수도 있고,

산소를 소비하며 정화하는 미생물에 의해 진짜로 정화가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2) 물을 떠서 밀폐시키고 5일이 지난뒤에 DO를 측정했는데 DO가 높다면, 정화되었다고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처음과 5일뒤의 DO가 완전 동일하다면 독성물질이 들어있어 정화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DO뿐만 아니라 다른 수질오염지표도 분석을 해야 합니다.

어려운 전문가 영역인데 환경분야에 관심을 갖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인류가 아름다운 지구에 오래 생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환경에 관심을 갖아주시길 바랍니다.

(구피, 샤페, 몽크샤, 엔젤) 자꾸...

... 열대어를 건강하게 기르기 위해선 좋은 수질의 물을... 물속의 용존산소는 쉽게 휘발되고 열대어의 신진대사는... 수돗물의 잔류염소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 제품 용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