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과 바다에 대하여

강과 바다에 대하여

작성일 2007.06.27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초등학교4학년 과학 7단원 강과바다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숙제로 강과 바다에 대한것을 조사해 오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데 강과바다에 대하여 알려주 세요..

그리고 알기쉽게 자세하게 길게로 부탁드립니다.

아마도 발표 할 수도 있으닌 까요.

강과 바다에 대하여 잘 써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죄송해요..전 바다밖에 몰라서...;;강에대해서는 저도 좀더 알아봐야 할듯?^-^;;

문1. 바다의 색깔은 왜 파란가요?

바다의 색깔은 바닷물을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영향을 받습니다. 즉, 빛의 파장에 따른 상대적인 흡수에 의해 바닷물의 색깔이 결정됩니다. 보통 수심 10m이내에서 대부분의 빛은 흡수되며 미생물이나 부유 물질(물 위에 떠다니는 물질)이 많은 경우에는 투과율이 감소 됩니다. 가장 깨끗하고 맑은 해역에서도 150m까지 투과되기는 힘듭니다. 햇빛은 스펙트럼을 통해서 보면 무지개색으로 나타나며 여러 가지 색깔 중에서 파장이 긴 빨간색이 가장 빨리 흡수되고(수심 5m이내) 파란색이 가장 늦게 흡수됩니다. 이때 가장 늦게 흡수되어 바다 깊은 곳까지 도달하는 파란색이 작은 미립자에 의해 반사되면서 바다는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그리고 먼 바다의 빛이 연안에서의 회색이나 녹색의 바다 빛과는 달리 진한 푸른색을 띠는 것은 짧은 파장이 선택적으로 산란(빛의 파장이 바다에 부딪혀 흩어지는 현상)된 것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하늘빛이 푸르게 보이는 것도 같은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름철 남해에서 자주 발생하는 현상으로 플랑크톤 같은 물질이 갑자기 번성하면서 바닷물의 색깔이 잠시 동안 비정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바다는 붉은 색을 띠게 되는데, 적조(Red Tides) 현상 이 바로 이것이며 녹색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문2. 바다 속은 왜 깜깜한가요?

빛이 침투할 수 있는 바닷물의 깊이는 가장 깨끗하고 맑은 해역에서도 150m를 넘지 않습니다. 빛이 바다 속에 침투하여 5m가 지나면 빨간색은 대부분이 흡수되어 버리고 70m에 도달하면 파란색마저 흡수되어 버립니다. 그리고 150m 정도에서는 모든 빛이 흡수되어 버립니다. 이렇게 태양광선이 닿을 수 있는 해수층을 유광층(有光層)이라고 합니다. 바닷물은 빨간색을 가장 빨리 흡수하고 파란색은 깊은 곳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그래서 바닷물은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심 150m 이하로 내려가면 바다 속은 깜깜하여 완전한 암흑의 세계로 되어 버립니다.
바다식물은 태양빛을 이용한 광합성 작용에 의해 살아가게 되는데 깊은 바다 속에서는 빛이 도달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다식물이 생존할 수 없습니다. 식물이 살 수 있는 바다 깊이는 흐리거나 오염 된 바다에서는 30∼40m까지이나 물이 투명한 열대지방의 바다에서는 약 150m, 평균적인 바다에서는 70∼80m 정도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과학자들은 특수유리로 만들어진 광섬유와 빛을 한 곳에 모으는 장치를 이용하여 200m나 되는 바다 깊숙이 햇빛의 99%를 보내는 방법을 개발하였습니다. 실험에 의하면 연필심 정도 굵기의 광섬유를 통해 야구장의 야간 경기에 쓰이는 조명의 10% 정도나 되는 80kW의 빛을 바다 깊이 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이런 장치를 이용하여 깊이 200m까지의 바다 속에도 빛을 보내서 해저농장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문3: 바닷물은 왜 짠가요?

바닷물이 짠맛을 내는 것은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때문이며 염분의 85%를 차지합니다. 그러면 바닷물 속에 어떻게 그렇게 많은 소금이 녹아있게 된 것일까요? 우리 나라 옛날 얘기에 나오는 소금을 만들어내는 맷돌이라도 들어 있는 걸까요? 그건 아닙니다. 바닷물이 지금처럼 짜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두, 주의 집중! 지구가 탄생한 이후 오랫동안 큰비가 내렸습니다. 그때 지구 표면에 있던 여러 물질 중에서 물에 녹기 쉬운 물질이 녹아 씻겨 바다로 흘러들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염분 이었습니다. 소금을 구성하는 염소이온(Cl-)은 바닷물에 포함된 주요 성분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그 대부분이 지구 내부로부터의 화산가스로 배출되어 빗물 등 지표수에 녹아 바다로 공급되었습니다. 그리고 나트륨(Na+)은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 중에서 가장 흔하며 풍화작용에 의해서 바다로 공급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염분의 농도는 1,000에 대한 비율, 즉 천분율로 표시하며 천분율의 기호는 ‰(퍼밀)입니다. 염분의 농도는 바다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대다수의 큰 바다는 그 농도가 33∼37‰에 속하며 세계 해양 평균 염분의 농도는 35‰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이 육지로 둘러싸여 있는 부속해에서는 극단적인 농도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천의 유입량이 많고 기후가 차서 증발이 적은 발트해에서는 10‰이하가 되는 경우도 있고, 하천의 유입량은 거의 없으면서도 증발이 심한 홍해에서는 45‰이나 됩니다.






문4: 바닷물에 녹아 있는 귀중한 화학물질에 대해 알고 싶어요.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는 소금과 브로민(Bromine) 및 마그네슘이라는 광물질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심해의 해상에 직경 수 10cm정도의 망간덩어리가 무진장하게 널려 있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망간덩어리는 50%의 망간 외에도 니켈, 코발트, 납, 구리 등 여러 가지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1978년 동태평양 해저의 지각 확장대에서 해저 열수구가 발견됨에 따라 심해저 광물자원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심해저의 열수광화작용은 지질시대를 통하여 현재까지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는데 이것이 구리, 납, 은, 아연 그리고 카드뮴과 같은 금속이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과학자들은 지각활동이 진행중인 열수구 주변에 유화광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열수광화작용이 지하심부 수 km까지 연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금속덩어리는 해저면에서 원추형의 석순 혹은 굴뚝모양을 하고 있으며, 30cm이상 높이 솟아 있는 곳도 발견되었습니다. 우리 나라는 부존광물자원이 빈약한 나라로 이러한 비철금속을 전량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연구소가 중심이 된 심해 저개발사업단은 1983년부터 현재까지 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튼지역에 100만㎢에 탐사 활동을 수행하여 세계에서 7번째로 우리 나라 남한면적에 해당하는 15만㎢광구를 확보하였습니다.






문5: 바닷물도 얼까요, 언다면 몇 도에서 얼까요?

추운 겨울날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한강물이나 경포대 호수는 얼게 된다. 그러나 그 때 바로 옆의 경포대 앞 바다는 얼지 않고 여전히 푸른 물결을 출렁이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먼저, 바닷물은 소금물이기 때문에 어는점이 담수보다는 더 내려갑니다. 물은 보통 0℃ 이하에서 얼지만 바닷물은 약 -2℃에서 얼기 시작합니다. 바닷물이 -2℃에서 어는 이유는 그 속에 염분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세계 바다의 평균 염분의 농도는 35‰(퍼밀)이며, 이때 바닷물의 어는점은 -1.91℃이다. 그런데 기온이 더 내려가서 영하 10℃ 이하로 내려갔는데에도 경포 앞 바다는 얼지 않습니다. 왜 그런가 하면, 호수가 어는 것을 살펴보면 반드시 위에서부터 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물의 특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물은 4℃(정확하게는 3.98℃)때 가장 무겁습니다. 즉 밀도 또는 비중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은 4℃가 되었을 때 가장 무겁고, 4℃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물의 무게는 다시 가벼워집니다. 바깥 기온이 떨어져 호수 표면의 온도가 내려가 면 표면에 있는 물의 무게는 무거워져서 바닥으로 가라앉고 호수바닥에 있는 가벼운 물은 위로 떠오릅니다. 이러한 대류 현상은 호수물의 온도가 4℃가 될 때까지 계속 됩니다. 호수 표면의 물의 온도가 4℃ 이하가 되면 호수 아래 부분에 있는 물의 무게보다 가벼워지기 때문에 더 이상 대류 현상은 발생하지 않고 호수 표면에 그대로 머물게 됩니다.
바깥기온이 더욱 떨어진다면 호수 표면의 온도는 3℃→2℃→1℃→0℃로 내려가다가 어는 점 0℃에서 표면부터 얼기 시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언 얼음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수면을 덮은 채 남아 있게 되고 얼음의 층은 점차 두 꺼워집니다. 이때 호수 밑바닥의 물의 온도는 4℃로 남아 있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호수나 강물은 윗부분부터 얼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바다는 왜 얼지 않을까요?
35‰의 염분을 가진 바닷물이 가장 무거울 때에는 -1.91℃에서입니다. 바다는 너무나 넓고 깊기 때문에 바닷물 전체를 -1.91℃로 내려가게 하는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경포 앞 바다 바닷물의 온도가 -1.91℃로 내려가기 전에 여름이 오게 된다. 그래서 경포 앞 바다는 얼지 않는 것입니다. 북위 45도 이상의 북극 바다 중 어는 바다도 많지만 난류가 흐르거나 수온이 높은 곳에서는 추운 겨울이 되더라도 얼지 않습니다.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북위 43도)항은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얼어붙은 항구이지만 노르웨이 의 함메르페스트(북위 70도, 노르웨이 최북단 항구)항구나 러시아의 무르만스크 (북위 69도)항구는 난류의 영향으로 겨울에도 얼지 않는 부동항으로 유명합니다.






문6: 가장 수온이 높은 바다는 어디인가요?

바닷물의 온도가 높은 해역은 페르시아만입니다. 페르시아만은 평균온도가 32℃이며, 물의 깊이가 얕은 곳에서는 36℃까지 올라간다고 합니다.
반면 바닷물은 아무리 온도가 내려가더라도 -2℃이하로 내려가지를 않습니다. 왜냐하면 바닷 물은 평균 -1.91℃에서 얼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닷물의 온도는 항상 -2℃ 이상이고 수온이 높은 해역에서는 약 30℃의 수온이 됩니다. 그리고 깊은 해저에서의 저층수 대부분의 수온은 -1∼4℃의 범위 안에서 변화합니다. 일반적으로 극지방의 바닷물의 온도는 -1℃이며, 적도부근의 수온은 약 30℃를 보이게 됩니다.

 

아무쪼록..도움이되길 바랄게여..ㅈㅅㅈㅅ 다른님꺼 베꼈음 이거 진짜로 쓰신분께 ㅈㅅ한말씀을...;ㅁ;답변확정해주세욥!!! ㅜ.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강과 바다 조사 보고서

1.조사계획:1.강은 어디에서 흘러나오고 바다는 어디로 흘러가는가? 2.바다에 사는 식물과 동물

2.조사 기간:2007년 7월 1일~2007년 7월 4

3.준비물:필기도구,종이.

4.조사 방법:1.인터넷을 이용하여 알아보자.

            2.한강에 집적가본다.

            3.책을 통해 알아본다.

5.조사 내용:강은 빗물이나 하천, 시냇물이 흘러 모이기 된것이 강이고,또 이 강은 바다로만 가는 것이 아니라 늪,폭포등 물이 모이는 곳에 가게 된다. 그리고 바다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등 더 큰바다로 흘러가게되고 그 바다들이 조금씩 증발되어 다시 비로 내리게 되는 것이다.

(1)식물-미역,다시마,모자반,우뭇가사리,김.

(2)동물-잉어,붕어,향어,가재,플라나리아,장구벌레,물장군,물방개,민물윤충,은어,송어,산천어,가물치,쉬리,새코미꾸리,돌고기,칼납자루,꺽지.

  도움이 되셨으면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7. 강과 바다

 


·여러 곳의 강의 모양을 관찰하고 특징을 비교한다.

· 흐르는 물에 의한 강의 모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안다.

· 바다 밑의 깊이와 땅 모양을 알 수 있다.
 


 

1. 강과 바다에 대하여 알고 싶은 것을 이야기하여 보자.

(1) 강과 바다에 대하여 알고 싶은 것 이야기하기

·평소 강과 바다에 대하여 궁금한 점, 강과 바다에 가본 경험을 이야기한다

 

(2) 강과 바다에 대한 조사 계획 세우기

① 조사할 주제를 정한다.

·알고 싶은 주제들 중에서 내가 조사할 수 있는 주제로 정한다.

② 조사 계획서를 세운다.

·조사할 날짜 : 조사를 시작하는 날부터 끝나는 날까지의 날짜를 기록한다.

·준비물 : 조사에 필요한 준비물을 기록한다.

·조사방법 : 직접 강이나 바다에 나가 관찰하고 조사하며, 가볼 수 없는 곳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사한다.

·조사할 내용 : 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사할 내용을 자세하게 기록한다.

·유의할 점 : 반드시 지켜야할 일, 위험한 일을 기록한다.

③ 조사 보고서 작성방법

·제목을 정확하게 쓴다.

·주제에 맞는 방법을 정한다.

·조사 결과를 사실대로 기록한다.

·참고 자료를 반드시 적어 놓는다.

·의문점을 반드시 적어 놓는다.

④ 조사 결과 발표하기

·강과 바다에 대하여 조사 결과를 자료전시, 전시물 진열, 차트나 글 붙이기 등을 통하여 발표한다.

·나의 조사 방법과 결과에 대하여 잘한 점과 아쉬운 점, 그리고 더 탐구할 내용이 있는지 이야기해본다.


 

2. 강 주변의 모습과 특징을 알아보자.

(1) 강물이 흘러가면서 하는 일

① 상류 : 물의 양이 적고 물의 흐름이 빨라 강바닥이나 강 주변을 패이게 한다 (침식작용)

② 중류 : 상류보다 물의 양이 많고 물의 흐름이 느리며 돌과 모래, 흙을 운반하고 강을 굽어지게 한다.(운반작용)

③ 하류 : 물의 양이 매우 많고 물의 흐름이 거의 없어 운반된 흙과 모래가 쌓인다.(퇴적작용)

 

(2) 강의 모습과 강 주변의 돌의 모습

① 상류 (산골짜기를 흐르는 강)

 

·강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다.

·댐이나 폭포가 있으며 강 주변에 산골 마을과 밭이 있다.

·바위와 돌이 크고 표면이 거칠며 돌이 모가 나있다.

 

② 중류(들을 흐르는 강)

 

·강의 폭이 넓고 경사가 완만하여 강이 구불 구불하다.

·강 주변에 농촌마을이나 작은 도시가 있으며 과수원, 목장, 논과 밭을 볼 수 있다.

·상류의 돌보다 작고 매끈한 돌이 많다.

 

③ 하류(바다와 만나는 곳의 강)

 

·강의 폭이 매우 넓고 경사가 거의 없다.

·큰 도시와 어촌 마을이 있으며 큰 모래사장, 모래 채취장, 하구 둑 등이 있다.

·돌보다 작은 둥근 자갈과 고운 모래나 흙이 많다.

 

3. 물에 의하여 땅의 모양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자.

(1) 유수대에 물 흐르게 하기.

① 유수대에 모래와 자갈이 섞인 흙을 담아 편평하게 한다.

② 유수대를 기울여 받침대로 받친다.

③ 수도에 연결된 가늘거나 굵은 비닐 호스로 천천히 물을 흘려 보낸다.

④ 물이 흘러가는 모양과 흙 표면의 변화를 관찰한다.

 

 

(2) 흘러가는 모양 관찰하기.

① 유수대의 위쪽에서는 급히 흐르고, 아래쪽에서는 천천히 흘러내린다.

② 물이 급히 흐르는 유수대의 위쪽은 물길이 좁고 깊으며 물이 천천히 흐르는 유 수대의 아래쪽은 물길이 넓고 얕으며 물과 함께 떠내려 온 흙이나 모래가 쌓인다

③ 큰 돌이나 자갈을 만나면 그 돌을 돌아 흘러내리기 쉬운 쪽으로 흐른다.

④ 물이 적게 흐를 때 : 씻겨 내려가는 흙이나 모래 양이 적고 물길이 좁으며 얕게 패인다.

⑤물이 많이 흐를 때 : 씻겨 내려가는 흙이나 모래 양이 많고 물길이 넓으며 깊이 패인다.

⑥ 물길은 처음보다 더 넓어지고 구부러졌고 새로 생긴 물길도 있다.

⑦ 굽이쳐 흐르는 곳의 바깥쪽은 패였고 안쪽은 모래가 더 쌓였다.

 

(3) 흐르는 물의 작용

① 침식작용 : 흐르는 물이 지표면을 깎아낸다.

② 운반작용 : 흐르는 물이 위에서 깎아낸 흙이나 모래를 아래쪽으로 운반한다.

③ 퇴적작용 : 흐르는 물이 운반한 흙과 모래는 물의 흐름이 느려지는 곳에 쌓인다.


 

4. 바다 밑의 땅모양을 알아보자.

(1) 바다 밑의 땅모양을 알아내는 방법

① 여러 곳의 바다 밑의 깊이를 재어 바다 밑 지도를 만들어 땅의 모양을 알아본다.

② 잠수정을 타고 내려가거나 무인 잠수정을 내려보내 알아낸다.

- 바다 밑은 깊이가 매우 깊어 사람이 직접 들어가 모양을 알아내기는 어렵다.

 

(2) 바다의 깊이를 알아내는 방법

① 배에서 추를 매달아 바다 속에 넣어 깊이를 잰다

② 잠수정을 타고 내려가서 알아낸다.

③ 배에서 초음파를 바다 밑으로 보내어 반사되어 오는 시간으로 깊이를 알아내는 '음향측심법'을 이용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적게 걸리고 간단하다.

예) 초음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이 10초 걸렸다면 바다의 깊이는

초 (가는데 걸린 시간) ×1,500m/초 (물 속에서의 소리 속도) = 7,500m 가 되는 것이다.

 

 

(3) 수조 속의 땅 모양 알아보기

① 수조 속에 모래나 흙을 넣고 물을 담는다.

② 수조 옆에서 땅모양이 보이지 않도록 수조의 옆면에 종이를 붙인다.

③ 수조 위에서 약 5cm 간격으로 수조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물의 깊이를 잰다.

④ 수조 속의 땅모양은 종이 위에 각각 잰 길이와 똑같은 위치에 점으로 표시하고 종이 위에 표시한 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그림으로 나타낸다.

⑤ 바다 밑의 실제 땅 모양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알아낼 수 獵?

 

 

(4) 바다 밑의 땅모양

① 바다 밑의 땅모양은 육지의 모양과 비슷하다.

② 육지부근의 바다는 비교적 얕고 먼바다로 갈수록 깊으며 높은 산과 깊은 골짜기, 육지처럼 깊이 패인 곳도 있고 동굴 같은 것도 있다.

⊙ 바다 밑의 모양

 

- 대륙붕 : 해안선으로부터 깊이가 200m 정도 되는 곳까지 경사가 10도 정도의 비 교적 평탄한 곳으로 바다 생물들이 많이 살고 있어 바다의 '보물 창고' 라고도 불린다.

- 대륙사면: 평균 경사가 40도이며 깊이가 2500m정도에 이르는 경사대이다.

- 대양저 : 경사가 완만한 깊이 2500∼6000m에 이르는 평탄하고 넓은 곳으로 생물이 살기 힘들며 바다 밑의 76%를 차지한다.

- 해구 : 수심 6,000m이상 되는 깊고 긴 골짜기이다.

- 해령 : 대양저가 높게 일어나 산맥처럼 된 곳이다.
 
 


 

<!--- 출처 ---><!--// 출처 -->

<!--// 선택 답변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상류 - 산골짜기를 따라 흐르며, 강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며 폭포가 있습니다.

        강 주변에 있는 바위와 돌은 크고 모가 나 있으며           표면이 거칩니다.

        물의 흐름이 매우 빠르고 굽이쳐 흐르며

        물의 양이 적습니다.

        돌은 크기가 크고 모가 나 있으며 표면이 거칩니다.

        댐을 볼 수 있으며, 산골 마을과 밭도 있습니다.

중류 - 들을 따라 흐르며, 강의 폭이 넓고

       경사는 급하지 않습니다.

       또한 강이 구불구불하며 냇가에는 모래와 자갈이 많         습니다.

       상류보다 물의 흐름이 느리며 물의 양은 많습니다.

       돌은 크기가 작고 둥글고 표면이 매끈매끈합니다.

       농촌 마을과 작은 도시가 있으며, 과수원과

       목장도 있습니다. 논과 밭도 볼 수 있습니다.

하류 - 바다와 만나는 곳에 있으며, 강의 폭이 중류보다

        더욱 넓고 경사가 거의 없습니다.

        냇가의 자갈은 둥글고, 모래는 많고 곱습니다.

        물의 흐름이 거의 없으며 물의 양은 매우 많습니다.

        여기서 바다와 만나게 됩니다.

        아주 작은 돌이나 고운 모래가 많이 쌓여 있습니다.

        큰 도시와 어촌 마을을 볼 수 있으며,

        모래사장이 있습니다.

강과바다대하여조사하기

강과바다대하여조사하기는 뭔가여? 내공 올려드림~ 강과 바다 ·여러 곳의 강의 모양을 관찰하고 특징을 비교한다. · 흐르는 물에 의한 강의 모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강과 바다에 대하여

... 그래서 그런데 강과바다에 대하여 알려주 세요.. 그리고 알기쉽게 자세하게 길게로 부탁드립니다. 아마도 발표 할 수도 있으닌 까요. 강과 바다에 대하여 잘 써주세요. 7....

강과바다에 대하여알려주세요. ㅠ.ㅠ

강과 바다에 대하여좀 알려주세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강과바다에 대하여 1. 강의 역할 가. 용수공급 ; 생활용수, 올업용수, 공업용수로 공급된다. 나. 수력발전으로 이용 다....

강과 바다에 대하여

... ********************** 강과바다에 대하여 1. 강의 역할 가. 용수공급 ; 생활용수, 올업용수, 공업용수로 공급된다. 나. 수력발전으로 이용 다. 수산식물의 생태계보전 라. 재해...

강과바다에 대하여 조사해주세요

... 오늘 8시까지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과바다에 대하여 1. 강의 역할 가. 용수공급 ; 생활용수, 올업용수, 공업용수로 공급된다. 나. 수력발전으로 이용 다. 수산식물의...

강과 바다에 대하여...

제가 강과바다에 대하여 알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이에대해 구체적으로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① 바다에 있는 소금은 어떻게 생길까? ② 바닷속 아직 발견되지 않은...

강과 바다에 대하여...

내공100 걸어요~★ 강과바다의 차이점 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강가 바다의 차이점....... (강은 선상지나 삼각주가 있지만 바다는 파식대같은 지형이 있다) 강과 바다는...

강과 바다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보고서.

선생님께서 강과 바다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보고서를 내일까지 써오라내요. 급하니까 최대 빨리 써주세요 ① 강과 바다에 대해 공부하면서 수집한 글, 사진, 비디오, 실물 자료...

4학년1학기 강과 바다에 대하여 (빨리)

안녕하세요 제가 숙제가 있어요 빨리 해줘요 일단 1.강과 바다의 수심의 차이점과 공통점 부탁해요 2. 강과 바다가... 있다) 강과 바다는 영향에 따라 다른 지형을 만들어냅니다....

강과 바다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 7단원 강과 바다에서 선생님이 강과 바다에 대하여 조사를 해 오라고 하셨거든요.. 그 런데 인테넷 자료를 찾아봤는데.. 좋은자료가 별루... 그래서 오늘 5시에서 5시 30분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