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시험 건축구조 _동결선

건축사시험 건축구조 _동결선

작성일 2023.09.0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동결선 관련 질문 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동결선 위로는 땅이 얼었다 녹았다 하기 때문에 결로가 발생 할 수 있고
동결선 아래로는 땅이 얼지 않아서 수축 팽창이 일어나지 않아 결로가 생기지 않는다고 알고있어요.

그렇다면 동결선 아래쪽으로 기초를 만드는게 맞지 않나요?
왜 동결선 위로 기초를 만드는지 이해가 안갑니다ㅠㅠ

꼼꼼한 설명 부탁드릴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결선은 결로문제가 아니라 흙이던 물이던 얼면은 부피가 팽창합니다.

부피가 팽창하면 기초를 밀어 올려서 건물에 구조적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런 이유로 동결선위에 기초저면을 위치하게 합니다.

동결선위에 기초저면이 위치하면 흙이나 물이 얼지 않기 때문에 기초를 밀어 올리수 없습니다.

물론 동결선 아랫쪽에 기초저면이 위치해도 되지만 괜히 더 깊게 굴착할 필요는 없습니다. 낭비잖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 그림은 잘못된겁니다.

기초판은 동결선 아래로 내려가야 합니다.

산에가면 바위들이 표면은 균열이 보입니다.

계절에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한 균열입니다

기초판이 동결선 아래로 내려가므로 기초판의 철근이 기초벽까지 연결되어

동결선 위로 올라온 기초벽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동결선 상부는 땅이 변화가 생기고 하부는 생기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왼쪽은 변화가 안생기는 동결선에 맞춰 기초를 만들었고

오른쪽은 변화가 안생기는 동결선 밑으로 기초를 만들었으므로

두개다 땅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곳에 만들었지만 기초를 만드는 경제성에서 불합리 하기때문에

일반적으로 동결선은 왼쪽을 일반적인 모델이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결국은 돈이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