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룸 ffu와 bfu의 차이점

클린룸 ffu와 bfu의 차이점

작성일 2019.03.1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클린룸을 설계하다보니 질문거리가 생기네요 조금 깊게 들어가는 것같아 지식in에 올리게 되네요


ffu(Fan filter unit)와 bfu(blow filter unit)의 차이점을 알고싶습니다.


제가 알고있는것은


ffu는 말그대로 fan을 설비장치에 달아 공기를 순환시켜서 배기구가 따로 필요없고


bfu는 blow 불어주는 펜을써서 덕트가 따로 필요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저기 찾아보니 ffu가 더 낮은 Class에 사용된다고 하는데 왜그런건가요??


덕트가 따로 이어져 있으면 더 낮은 Class에 사용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1.ffu와 bfu의 차이점


2. 사용용도


3. 각각의 장단점


알고싶네요~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일단 질문자 분께 말씀하신대로의 차이점은

보통 설명을 그렇게들 합니다.

하지만 사용용도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며

대략 나누면

FFU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정압을 처리가 가능하며 면풍속이 약합니다.
BFU의 경우 FFU와는 반대로 높은정압처리와
면풍속이 좀 높은 편입니다.

2.크린부스처럼 외부나 실점수기를 바로 받아서
부스 내부에 국소적인 크린룸을 만들때나
크린룸 내부에 좀더 고청정도의 국소적인
크린룸을 만들때 보통 FFU가 사용되며

BFU의 처리정압이 높은 편이라 리턴 레지스터나 그릴에 덕트로 연결되서
리턴되는 공기를 필터링시켜 내부로
공급시켜줄때 보통 사용됩니다.

단 특수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3.장단점은 위에 1번에 설명드린 대로입니다.

하나더 추가하면 FFU가 시스템실링이라는

반도체 크린룸구성시에도 사용됩니다.
(대략 클라스 1000이나 100부터 사용)

이때는 천정 전체가 FFU로 덮히게되어

라미나플로우(수직층류형 기류)를 형성

하게됩니다.

대략적으로 설계잡을때

상황따라 용도에 따라 잘 선정하시면

됩니다만.....

요즘은 ICR의 반도체나

BCR의 무균공정 아니면 보통 크린부스 말고는

FFU를 쓰는경우는 많이 없더군요.....

온습도 유지정도만 공조기가 처리하고

나머지 환기횟수를 BFU를 처리하거

합니다....

아니면 공조기로 다해도 되고요...

그건뭐 그때그때 상호고려해서 설계자가

베스트를 뽑아야하죠 ㄷㄷ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물어보신바와 같이 풍량을 만들어 주는 주체의 차이인데요.
즉 팬과 블로어입니다.

1.ffu와 bfu의 차이점

FFU는 주위의 공기가 깨끗한 곳에 주로 사용합니다.

즉, 주위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헤파필터를 통해 내부로 깨끗한 공기를 주입하므로

흡입하는 공간의 공기도 깨끗한 상태여야 합니다.

BFU는 주로 공조기또는 항온항습기에 닥트로 연결되어 깨끗한 공기를 한번더 헤파필터를 통해 내부로 깨끗한 공기를 주입시킵니다.


2. 사용용도

FFU

-청정상태의 천정안에 설치하여 내부 크린룸으로 재공급하여 더 청정하게 내부크린룸을 관리합니다.

또는 크린룸내에 크린부스상부에 설치하여 고청정도 작업을 하기위해 사용합니다.


BFU

-닥트와 연결되어 공기를 내부에 주입하므로 주로 닥트의 정압이 나오지 않거나, 외기를 강제유입시켜줄때 사용되어 집니다.


3. 각각의 장단점

FFU

-장점-위 사항을 적용하였을시 고청정도를 요하는 장소에 적합합니다.

-단점-특별할건 없으나 필터 교체시 불편할 수 있습니다.

BFU

-장점-장비자체적으로 청정공기 생성 및 공급, 내부에 설치시 공기 순환효과도 볼수 있습니다.

          헤파필터 교체가 용이 합니다.

-단점-FFU에 비해 천정작업이 더 추가되거나 비용이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