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건물 단열재에 사용 질문입니다.

신축 건물 단열재에 사용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1.07.2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서울 목동에 신축 빌라 건물을 공사하려고 하는데

외벽은 90mm에 준하는 단열재 (가등급)

외기와 만나는 층간부분은 (최상층 천정 등)165mm에 준하는 단열재 (가등급)

을 쓰라고 도면에 표시가 되어 있는데 너무 두꺼워서 시공 하기가 어렵네요.

아이소 핑크( 압축 스티로폼 )이

스티로폼 가등급 90mm 이상과 165mm이상에 적합한 것이 몇 T 인가요??

아니면 어떤 제품을 시공해야 이에 준하는지 알려주세요...

50T정도에 맞췄으면 합니다.


#신축 건물 #신축 건물 등기 #신축 건물 취득세 #신축 건물 매매 #신축 건물 시세 #신축 건물 꿈 #신축 건물 부가세 환급 #신축 건물 현황 #신축 건물 취득세 과세표준 신고서 #신축 건물 시가표준액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동주택의 경우 설계시 국토해양부 지정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에따라 설계하여 허가를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단열재의 등급을 다음의 표와 같이 분류하고 있고

 

등급분류

열전도율의 범위

KS M 3808, 3809 및 KS L 9102에 의한 해당 단열재 및 기타 단열재

W/mK

㎉/mh℃

0.034이하

0.029이하

- 압출법보온판 특호, 1호, 2호, 3호

- 비드법보온판 2종 1호, 2호, 3호, 4호

- 경질우레탄폼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및 2종 1호, 2호, 3호

- 기타 단열재 열전도율이 범위안에 들 경우

0.035~0.040

0.030~0.034

- 비드법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 암면보온판 1호, 2호, 3호

- 유리면보온판 2호

- 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범위안에 들 경우

0.041~0.046

0.035~0.039

- 비드법보온판 1종 4호

- 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범위안에 들경우

0.047~0.051

0.040~0.044

- 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범위안에 들 경우


단열재의 두께는 서울특별시가 속한 중부지역의 경우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단열재의 등급

건축물의 부위

단열재 등급별 허용 두께(mm)

거실의 외벽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85

100

115

130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60

70

80

90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바닥난방인 경우

105

125

140

160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75

90

100

115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바닥난방인 경우

70

80

90

105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50

55

65

70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160

190

215

245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105

125

145

160

공동주택의 측벽

120

140

160

175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바닥난방인 경우

30

35

45

50

기 타

20

25

25

30


외벽의 경우는 위의 단열재 등급표의 조건인 가등급 85mm이상(외기에직접면할경우)에 부합하나

 

외기와 접하는 층간부분 주차장 천정등에 설계되어있는 가등급 165mm이상은 너무 과하게 설계되어있는것이 아닌가 생각되어 집니다.

주차장 천정등을 공동주택의 층간바닥이 아니라 최하층거실의바닥(외기에직접접할경우)로 보더라도 105mm면 기준에 부합하기 때문입니다. 다시한번 도면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단열재의 종류는 위의 기준에서 비드법보온판이 우리가 흔히 부르는 스티로폼이구요 님께서 압축스티로폼(아이소핑크)라 부른것은 압출법보온판입니다. 참고 하세요...

 

주차장 천정의 경우는 비드법이나 압출법보온판으로 시공하지 않고 무기질계통(암면,질석또는퍼라이트등)의 단열재를 건식 또는 습식으로 뿌려서 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두께도 50mm내외로 하구요....

따라서 스프레이 타입의 단열재의 경우 제품마다 단열성능이 다르기 때문에 제품의 성능을 확인하신후 적절한 두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똑같은 비드법보온판(스티로폼)이라도 위의 표에서 1호,2호,3호등으로 구분했듯이 단열성능(열관류율)에따라 가격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표를 참고하시고 선정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참고 하시길....

 

 

신축 건물 단열재에 사용 질문입니다.

서울 목동에 신축 빌라 건물을 공사하려고 하는데 외벽은 90mm에 준하는 단열재 (가등급) 외기와 만나는 층간부분은 (최상층 천정 등)165mm에 준하는 단열재 (가등급) 을...

건물 신축 단열재 선택

건물신축 예정인데요 가등급 단열재사용하라고 있어요 전면은 대리석 마감 뒷면은 드라이비트 마감입니다. 단열재를 어떻게 사용하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할수 있을까요?...

신축 건물 단열재..

신축 건물의 단열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도면을... 상기 등급 이상의 단열재는 내부든 외부든 , 2중이든 어떤 방식으로 120MM 이상을 적정공법으로 사용하시면...

신축집합건물 외벽전체 단열재 미시공.

지하2층 지상14층 20평전 후 81세대 집합건물 입니다. 준공허가도면 전체도면 시방서 확인결과. 단열재. 석고보드... 하세요^^ 질문자는 질문만 하였지..... 답변 채택율이 0.00...

신축 건물 인허가, 설계도면 순서 질문입...

공공기관에서 외주로 1층짜리 신축건물 지으려는데요 궁금한점은 인허가를 받으려면... 공사기간동안 사용할 임시 수도와 임시전기를 설치합니다. 그 비용이나 신청에 대한...

건물 외단열 단열재 등 자재

... 몰탈을 사용해야 하나요?? 미장 후 그 위에 페인트를 발라 마감해도 될까요?? 전공도 아니고 처음 시도하는 거라 질문이 많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1.적벽돌 외부 단열재...

신축건물 준공, 사용승인, 하자보수증권...

신축건물 건축주 입니다. 공사계약기간이 23년 11월까지 이나, 지연이 되어서 24년 1월 중순 사용승인... 용어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알고있기에 '준공'은 계약사항들이...

신축 건물 외벽공사 질문입니다.

현재 준공을 앞두고 있는 3층짜리 15m 건물 입니다. 다름 아니라 현재 외장 마감이... 글라스울 마감은 외벽 단열과 관련이 있으므로 허가사항 그대로 설치 후 준공(사용승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