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명령어)좀알려주세요 건축인테리어과들어왔는데;(내공80)

(캐드명령어)좀알려주세요 건축인테리어과들어왔는데;(내공80)

작성일 2010.01.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고등학교 에 입학을 하는데요/... 캐드 명령어? <<

이것을 5번씩 써오래요 ... 근데 저는 캐드 명령어를 몰라서..

좀알려주세요...(내공8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cad 명령어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주로 쓰는 명령어는 많아봐야 100개 안쪽이죠.(2D)

 

참고로 중요한 명령어 좀더 알고 싶다면  우선적으로 캐드상 아이콘 메뉴의 명령어를

 

익히시라는 말 전하고 싶군요.

-----------------------------------------------------------------------------------

맨밑 3D명령어는 2D익힌후에 참고.

 

*관련한 비슷한 질문 주소 올려놓을테니 과제로 참고 하시구요.

  (과제물로 여기 있는것 적으시면 되겠네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203&docId=64361003&qb=Y2FkIOunjuydtCDsk7DsnbTripQg66qF66C57Ja0&enc=utf8&section=kin&rank=2&sort=0&spq=0

 

 

 

 

cad정리

 

■ File

1. new  ( ) : 새 도면 시작할 때 사용
    

             ◎tip: 기본값을 그냥 열면 되고, 만약에 template가 작성되어 있으면

                     "Use a Template"를 선택하면 된다.

2. open  ( ) : 이미 저장 되어 있는 도면 파일을 열 때 사용

            ◎파일형식: 3가지 형식이 있음.

                               (*.dwg) : 일반적인 캐드도면

                               (*.dxf) : dxf파일

                               (*.dxt) : template로 저장된 파일

            ◎Find file...:조건에 맞는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아래)


3.도면 저장(파일저장형식이 R14,R13,R!2,dxt로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3.1 save : 현재 작업 중인 도면을 파일로 저장

    3.2 saveas :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을 새로운 파일명으로 저장

    3.3 qsave : 파일명을 물어 보지 않고 현재 파일명으로 저장하므로 저장속도가 빠르다.

 

4. quit :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을 저장하지 않았을 경우 저장 유무를 물어본 후 캐드를
              종료한다.

 

5. plot : 도면을 출력한다.

             

             1) device and default selection... : 현재 사용 중인 출력 장치의 구성을 설정한다

                       ◇ 원하는 출력장치를 선택함은 물론 기존의 구성된 내용을 저장할 수도

                              불러 올 수도 있다.

             2) pen parameters : 도면의 색상에 대해 펜의 색상과 선의 두께 등을 설정한다.

             3) additional parameters : 출력할 도면의 영역 설정, 출력 방법을 설정한다.

                       ◇ display : 현재화면에 보여지는 영역을 출력한다.

                       ◇ extents : zoom extend의 범위를 출력한다.

                       ◇ limits : limits로 설정된 범위를 출력한다.

                       ◇ view : 저장한 view의 영역을 출력한다.

                       ◇ window : 사용자가 출력 범위를 지정해서 출력한다.

                       ◇ hide -lines : 은선제거 실행 상태를 출력한다.

                       ◇ plot to file : 출력을 종이 대신 파일로 출력한다. (확장자는 .plt)

                                ◆ dos에서 출력 가능  :  copy 파일이름.plt lpt1

             4) paper size and orientation : 출력할 도면의 용지 크기 설정 (원하는 크기로 설정 가능)

             5) scale, rotation, and origin : 출력 용지 방향과 위치, 기준점과 도면의 축척 설정

             6) plot preview : 출력될 도면을 미리 보여준다.

              ◎tip : cmddia : plot 대화 상자의 표시 여부를 설정한다.

                                     1:대화상자를 표시한다.

                                     0:대화상자를 표시하지 않는다.

 5-1. 배치(batch) 플로팅하기

             autocad r14에는 여러개의 도면을 한꺼번에 플로팅을 명령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되었다.

             1. windows desktop에서 시작 → 프로그램 → AutoCAD R14 → Batch Plot Utility를 선택

                 

            2. Add Drawing 버튼을 클릭하라.

            3. 플로팅하고자 하는 파일을 찾아서 선택

            4. 목록에서 선택한 파일 이름에 클릭한 후 값을 조절한다.

            5. 도면 파일과 각각에 해당되는 플롯 설정 파일을 모두 선택하고 나면, Plot버튼을 클릭하여 플로팅을

                 시작한다.

6. audit : 도면에서 모든 요소를 검사해서 오류를 찾아 회복시킨다.

7. recover : 훼손된 도면을 복구하는 데 사용한다.

8. purge : 현재의 도면에 쓰이지 않는 block, layer ltype, shapes 및 style을 삭제하는 명령이다.

              ◎tip:불필요한 도면요소를 없애 주기 때문에 용량이 줄어든다. 또는 도면 요소 전체를

                      wblock으로 잡아도 필요한 도면요소만 넘어가기 때문에 역시 용량이 줄어 든다.

 

9. export : 파일 저장 형식이 *.dwg가 아닌 다른 외부 파일로 저장 한다.

10. import : 다른 외부 파일을 불러 들인다.

 

11. dxfin : 파일 형식이 *.dxf 파일을 도면에 삽입한다.(open 명령으로도 열수 있다.)

              ◎tip : 선택된 dxf 파일을 현재 사용중인 도면에 dxfin할 수 없다고 오류가 발생하면,

                        삽입해야 할 dxf 파일을 새 도면으로 dxfin을 하고, 새 도면을 저장한 후 현재

                        사용중인 도면에 insert를 사용해서 새 도면을 현재 도면에 포함시켜

                        사용한다.

12. dxfout : 선택된 객체를 *.dxf 파일로 저장 한다.

 

■ View

1. redraw : 화면상의 도면 요소들을 다시 그려 준다.

2. regen : 요소가 저장된 database의 모든 항목을 검색하고, 도면을 재계산 하여 다시 그리므로

                   처리 속도가 다소 떨어진다.

 

3. zoom : 화면이 보여지는 크기의 확대, 축소를 설정

              

              all : 전체 화면을 표시

              center : 화면의 중심과 높이를 설정하여 화면을 표시

              dynamic : 동적으로 화면을 설정

              extents : 요소가 그려진 공간을 최대로 보여 준다.

              previous : 이전에 보여진 화면을 다시 보여 준다.

              scale : 도면을 주어진 비율로 확대 축소하는 것

              window : 마우스로(두점) 화면 확대를 지정

              real time ( ) : 실시간으로 줌과 이동을 가능하게 함(많이 이용되는 것임)

4. pan : 화면을 이동하여 보여 준다.

 

5. aerial view ( ) : 특정영역을 쉽게 찾고 또한 그 곳으로 갈 수 있도록 도면의 한 화면을

                                    분리된 윈도우에 표시(도면 이곳 저곳을 줌 해서 많이 사용할 경우

                                    이용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6. toolbar : toolbars 대화 상자를 사용해서 toolbar를 설정한다.

                   

                   ◇ close :  대화 상자를 닫는다

                   ◇ new : 새로운 툴바를 작성할 수 있게 해 준다.

                   ◇ delete : 목록에서 툴바를 삭제한다.

                   ◇ customize... : customize toolbar 대화 상자를 여는데, 이 대화 상자에서 여러분은

                                             미리 정의된 버튼을 클릭하고 드래그할 수 있다.

                   ◇ properties... : toolbars properties 대화 상자를 연다.

                            ◆ 사용자 고유의 툴바 작성하기

                                   1) new 버튼을 클릭한다. toolbar name에 원하는 이름을 기입한다.

                                            그러면 새로운 툴바가 작성될 것이다.

                                   2) toolbars 대화 상자에서 customize...를 클릭한다.

                                   3) categories 풀다운 목록을 열면 주요 명령 목록이 있다. 원하는 목록을

                                           선택한 후 원하는 도구상자를 드래그하여 방금 작성한 새로운 툴바

                                           안에 둔다.

                                   4) customize toolbar 대화 상자와 toolbars 대화 상자를 빠져나온다.

 

■ Insert

1. block : 여러 도면 요소들을 묶어서 단일 도면 요소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자주 그려야 하는

                  부품들을 블록으로 저장시켜 새로운 도면을 그릴 때 원하는 경우마다 다시 불러서 원하는

                  곳에 적당한 크기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명령이다.

              ◎tip:◇ block으로 작업할 경우 다른 도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wblock"

                        으로 블록화 작업을 하면 다른 도면에서도 블록으로 만든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 선택된 객체들은 블록으로 변환되면서 화면에서 사라진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

                            'oops' 명령을 사용하여 사라진 요소들을 화면상에 다시 회복할 수 있다.

2. wblock : block과 같으나 현재의 도면 정보로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로 저장된다.

3. insert ,ddinsert : 정의된 block이나 파일을 현재의 화면에 삽입시킨다.

                      ◇ x, y 축척을 다르게 불러들일 수도 있다.

 

4. xref (외부 도면 참조) : 현재 도면에 외부 도면을 삽입하는 대신 링크시켜 항상 최신의 도면(참조한 도면을

              수정하더라도 다시 링크시키지 않아도 수정된다.)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고,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 용량을 증가 시키지 않고 동일 프로젝트를 여러 사람이 동시 작업할 때 유용하고, network 상에서

               작업할 때 유용하다. 단 참조된 도면은 수정 분해, 레이어 선택은 불가능하지만 move, copy, erase는

              가능하다.

5. image : 라스터 이미지를 현 도면에 부착 시킨다.

 

■ Format

1. layer : 도면의 각 객체를 여러층으로 분리하여 필요한 도면층만을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복잡한 도면을 필요한 부분만 단순화시켜 display시킬 수 있으면 객체의 수정 작업시에도

                필요한 도면의 층만을 열어 수정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tip: 자주 사용되는 도면층은 freeze/thaw 보단 on/off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빨리 처리된다.

                

                   ◇ 원하는 line type 없을 경우 load해서 선택하면 된다.

                   ◇line type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만들수도 있다.

                                ◆ 우선, 에디터(메모장, 워드패드, 울트라 에디터 등)에 acad.lin 이나 acadiso.lin을

                                            불러 드려서 원하는 line type을 추가한 후 저장한다.

                                ◆ line type 형식 : 1) 양수 : 선을 그린다. 

                                                           2) 음수 : 간격을 삽입한다.

                                                           3) 0 : dot를 그린다.

                                ◆ 예

                                            

                                             ◎ 양수 : 선을 그린다. (0.5길이만큼 선 그림)

                                             ◎ 음수 : 간격을 삽입한다. (0.2만큼 간격 뜀)

                                             ◎ "GAS" : 선 문자를 사용자가 입력한다.

                                             ◎ standard : 선 문자의 글꼴 형태를 설정한다.

                                             ◎ s=0.1 : 선 문자의 축척을 설정한다.

                                             ◎ r=0.0 : 선 문자의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 x=0.1 : x 좌표를 설정한다.

                                             ◎ y=0.1 : y 좌표를 설정한다.

2. ddlmodes : layer 명령과 동일하다.

 

3. style : 문자의 형태를 설정한다.

                

4. point : 도면에 점을 생성한다.

                ◇ 우선 "ddptype"으로 환경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point의 모양 및 size 등)

                        ← ddptype을 실행 시킨 결과

                     ◆ Set size Relative to Screen : 스크린의 사이즈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점의 크기가 %로 결정(수시로 바뀜)

                     ◆ Set size in Absolute Units : 절대적인 값을 입력 (이 방법을 권장하고 싶다.)

5. limits : 도면의 작업 영역(도면 크기)을 설정한다.

              ◎tip: '(어포스트로피)는 autocad에서 투명 명령을 의미. 투명 명령은 명령어 사용 중간에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사용중인 명령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 해당하지 않는 명령어도 있다.

                       ◇ 도면 규격

                                A0 : 841 X 1189 mm                         A1 : 594 X 841 mm

                                A2 : 420 X 594 mm                           A3 : 297 X 420 mm

                                A4 : 210 X 297 mm

6. ddunits : 길이와 각도의 단위를 설정

                    

7. rename : 블록, 치수 유형, 도면층, 선종류 등의 이름을 변경한다.

8. ddrename : 다이얼로그 박스를 이용하여 블록, 도면층 등의 이름을 바꾸어 준다.

 

■ Tools

1. tools → display order → bring above object : 도면요소에서 2개 이상 겹쳐진 부분에서

                                                                         보여지는 것에 우선권을 주고 싶은 도면요소 선택

2. id : 도면상의 한 점의 좌표를 알려준다.

3. dist : 지정된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표시한다.

4. list : 지정된 도면 요소의 database 정보를 조사한다.

5. area : 영역의 넓이를 계산한다.

6. Object snap(osnap): 이미 그려져 있는 부분의 어떤 점을 정확히 찾아야 할 경우 명령 중에

                                     사용(① shift 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또는

                                             ② 'osnap 명령을 친다.(아래)

                                                 

                                                        ◎ 원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7. ddrmodes : 화면상의 도면 작성의 보조 기능을 설정한다.

                      

8. ddmodify : 기입된 문자의 특성(유형, 자리 맞추기, 문자 높이, 회전 등)을 변경한다.

                      

9. config : autocad의 사용환경을 설정한다.

             

             1) support file search path : autocad가 지원 파일을 찾을 폴더를 지정한다.

             

             1) general : autocad 자동 저장 시간과 임시 저장 파일 등을 설정한다.

                       ◇ automatic save...: 분당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 저장되고, 도면 확장자는

                                  (.sv$)로 저장되며 확장자를 (.dwg)로 바꾸어 주면 도면으로 사용가능.

            

            1) display : autocad 화면의 표시형태와 색상, 글꼴 등을 설정한다.

                       ◇ colors... : 도면영역, 화면 메뉴, 문자 윈도우 및 명령행에 대한 색상을

                                           설정한다.

                                   ◆ 기본 색상은 검정색이지만 캐드도면을 다른 이미지 처리를 할 경우는

                                           화면색상을 흰색으로 바꾼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printer : autocad 출력 장치를 설정한다.                       

                       ◇ set current : 선택된 장치를 현재 사용될 출력 장치로 설정한다.

                       ◇ modity : 선택된 출력 장치를 수정한다.

                       ◇ new : 새로운 출력 장치를 설정한다.

                       ◇ open : 저장된 출력 장치의 설정 파일(*.pc2)을 불러온다.

                       ◇ remove : 선택된 출력 장치를 제거한다.

 

■ Dimension

1. 치수기입

     1-1. ddim : 치수의 형태를 대화 상자로 조절한다.

                       

                       ◇ current : 실행

                       ◇ name : 새로운 이름을 주고 save나 이름변경시 rename

                       ◇ geometry : 치수선, 치수보조선, 화살표, 원이나 호의 치수기입시 중심 마크 및

                                            크기, color, 형태등을 도면 한계에 맞게 대화 상자를 통해 조정한다.

                       ◇ format : 치수기입시 치수문자의 위치 조정과 좁은 공간에서의 치수문자와 화살표 표기 방법

                       ◇ annotation : 치수기입시 사용되는 단위 설정과 정밀도 설정과 허용공차기입에 관한

                                              조정기능, 치수문자의 높이, text style 조정등의 기능

                                        

                                         ◇ dimension line : 치수선

                                              ◇ suppress : 치수선을 억제한다. (즉, 치수선이 안 나오게 한다.)

                                              ◇ extension : arrowheads가 tick 일 때만 선택가능, tick size 조절

                                                                    (=dimdle)

                                              ◇ spacing : 치수선끼리의 간격조절 (=dimdli)

                                         ◇ extension line : 치수보조선

                                              ◇ suppress : 치수보조선을 억제한다. (즉, 치수보조선이 안 나오게 한다.)

                                              ◇ extension : 치수보조선의 연장길이 (=dimexe)

                                              ◇ origin offset : 치수보조선과 도형과의 간격조절 (=dimexo)

                                         ◇ arrowheads : 화살표의 모양을 다르게 하려면 1st(왼쪽=dimblk1)이 우선, 그 다음

                                                                  2nd(오른쪽=dimblk2)를 선택해야 함.

                                              ◇ size : 화살표의 크기 조절 (=dimasz)

                                         ◇ center : 원의 중심점 표기 방법

                                              ◇ mark : 원의 중심점 표기(양수값을 표현)

                                              ◇ line : 원의 중심점 표기(음수값을 표현)

                                              ◇ none : 원의 중심점 표기하지 않음

                                              ◇ size : 중심선의 크기를 조절한다. (=dimcen)

                                         ◇ scale : 치수의 축척을 지정한다.

                                              ◇ overall scale : 치수의 축척값을 설정 (=dimscale)

                                              ◇ scale to paper space : paper space 상태에서 치수요소에 대한

                                                                                     크기 조정 인수값.

                                         

                                         ◇ user defined :  사용자 정의 - 문자의 위치를 고정적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움직여서 찍히게 할 수 있다.

                                         ◇ force line inside :  좁은 공간에 치수를 기입할 때 선을 강제로 있게 함.

                                         ◇ fit : 좁은 공간에 수치 기입시 문자와 화살표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 best fit : 최적 맞춤

                                                            ◆ text and arrows : 문자 및 화살표

                                                            ◆ text only : 문자만

                                                            ◆ arrows only : 화살표만

                                                            ◆ leader : continue 명령시 치수가 겹치지 않도록 선택

                                         ◇ horizontal justification : 수평 치수 기입의 위치를 조절한다.

                                         ◇ text : 치수의 위치를 조절한다.

                                                            ◆ inside horizontal : 치수 보조선 안쪽의 치수를 수평으로 기입

                                                                                            (=dimtih : off)

                                                            ◆ outside horizontal : 치수 보조선 바깥쪽의 치수를 수평으로 기입

                                                                                            (=dimtoh : off)

                                         ◇ vertical justification : 수직 치수 기입의 위치를 조절한다.

                                                            ◆ above : 치수를 치수선 위쪽에 위치 시킨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 primary units : 치수의 측정 단위와 머리말, 꼬리말을 조절한다.

                                                            ◆ prefix : 치수의 머리말의 내용을 설정(dimpost)

                                                            ◆ suffix : 치수의 꼬리말의 내용을 설정(dimpost)

                                         ◇ alternate units : 두단위의 측정 단위와 머리말, 꼬리말을 조절한다.

                                         ◇ tolerance : 공차

                                                            ◆ method : 치수 공차를 설정한다.

                                                            ◆ upper value : 최대 공차를 설정한다

                                                            ◆ lower value : 최소 공차를 설정한다.

                                                            ◆ justification : 공차 치수의 위치를 설정한다.

                                                            ◆ height : 치수공차의 크기를 설정

                                         ◇ text : 문자에 대한 유형, 높이, 색상 등을 설정

                                                            ◆ style : 치수 문자 유형 설정 (=dimstyle)

                                                            ◆ gap : 치수선과 치수의 간격을 설정

                                         ◇ round off : 치수에 대한 반올림 값을 결정 (=dimrnd)

     1-2. 그 외의 유용한 dim 변수

                                         ◇ update : dim 변수 수정 후 예전의 사항과 앞으로 모두 영향을 받음.

                                                         (dim 상태에서 사용)

                                         ◇ override : 선택한 곳만 dim 변수 조정을 바꾸고자 할 때

                                         ◇ dimlfac : 치수의 축척값을 설정

                                                         (도면요소를 축소나 확대 후 치수 기입시 원하는

                                                          치수가 안 나오는데 이 변수를 사용해서 축소/확대

                                                          비율을 적용하면 원하는 치수가 기입된다.)

      1-3. 치수기입 명령어

                    1) dim : 치수기입을 하기 위한 치수 환경으로 명령어 상태를 전환

              ◎tip : 치수를 기입하기 위해서는 "command:"란에 먼저 "dim"을 입력하고 "dim:" 문자가 나오면

                           치수 기입 명령어를 입력해야 실행한다. 그리고 이전의 "command:"란으로 전환할 때에는

                           "exit" 입력하거나 "esc-key"를 입력하면 된다.

                                   (1) hor : 수평 치수 기입 명령

                                   (2) ver : 수직 치수 기입 명령

                                   (3) ali : 경사치수 기입 명령

                                   (4) rot : rotate 각만큼의 치수 기입 명령

                                   (5) bas : 이전 치수의 첫째 치수 보조 선을 기준으로 연속 치수 기입 명령

                                   (6) con : 이전 치수의 두 번째 치수 보조선을 기준으로 연속 치수 기입 이전 치수선과

                                                   나란하게 치수선과 치수를 연속적으로 기입하는 명령

                                   (7) ang : 각도 치수 기입 명령

                                   (8) dia : 지름 치수 기입 명령

                                   (9) rad : 반지름 치수 기입 명령

                                   (10) lea : 지시선을 이용한 치수 기입 명령

                    2) "dim" 에서가 아니라 "command:"상태에서 명령어를 기입하여 치수 생성

                                   (1) dimlinear : 선형치수 (수평, 수직, 회전)등을 기입

                                   (2) dimaligned : 두 기준점에 수평한 치수를 작성

                                   (3) dimangular : 선택된 객체의 각도 치수를 기입한다.

                                   (4) dimdiameter : 원과 호의 직경 치수를 기입한다.

                                   (5) dimradius : 원과 호의 반지름 치수 기입을 한다.

                                   (6) dimbaseline : 기준선에서 연속되는 선형 치수를 기입한다.

                                   (7) dimcontinue : 기준점을 원점으로 연속되는 선형 치수를 작성한다.

                                   (8) leader : 지시선을 형성한다.

                                   (9) dimedit : 치수를 편집한다.

 

■ Draw

1. line : 선그리기
             ◎tip: ◇ 명령을 종료하고자 하면  (enter)를 치면 된다.
                      ◇ 마지막 점의 선과 첫점의 선을 연결코자 하면 마지막에 "C"를 치고 끝
                          내면 된다.

                      ◇ 시작점에서 입력시 (enter)를 치면 마지막 입력점에서 라인이 시작된다.

                      ◇ @ : 마지막의 좌표점을 의미한다.(입력시 "@"값을 사용하면 전에 입력했던

                                   마지막 좌표값이 자동으로 설정)

2. pline : 2차원 폴리라인을 그린다.

              ◎tip: ◇ line을 이용해서 작업하는 것보다 pline을 이용해서 작업하는 것이 좋다.

                       ◇ 폭을 지정하여 넓게, 좁게 그릴 수 있다.

                       ◇ 편집하기가 수월하다.

3. 좌표의 종류

      2.1 절대좌표: autocad의 기본좌표로 왼쪽 아래의 좌표를 0,0으로 하여 절대적인 좌표

                           x,y,z 값으로 한 점을 입력하는 방법.

      2.2 상대좌표: 절대좌표로 지정된 점(또는 마지막 입력된 점)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을

                          지정하고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앞에 "@"를 입력한다.

      2.3 극좌표: 지정된 한 점에서 거리와 각도를 입력하여 점을 지정하는 방법

                        (@거리<각도 ←통상적으로 상대극좌표를 많이 사용한다.)

              ◎tip: 0도, 90도,180도,270도 방향으로 선을 그리고자 할 때는 F8로 ortho모드로 만든 후

                       원하는 방향으로 마우스 이동 후 거리만 입력해도 된다.

                (F8=ortho : 도면 작도시 커서가 수직과 수평으로만 움직이게 한다.

                                 F8을 누를 때마다 on/off가 번갈아 가며 실행된다.

 

4. circle : 원을 그린다.

                

                

5. arc : 호를 그린다.(반시계방향으로)

             

              ◎tip: 마지막으로 그려진 요소의 끝점에서 다시 호나 라인을 시작할 경우, 시작점에 (enter)를

                         입력하면 접선 방향으로 선이나 호가 그려진다. 그러나 접선 방향이 아닌 마지막 점을

                         입력받고자 한다면 시작점에서 "@"를 입력하면 된다. 이는 lastpoint(setvar)에 저장된

                         좌표값을 사용자 입력값처럼 취급하기 때문

6. ellipse : 타원을 장축과 단축을 이용하여 그린다.

7. polygon : 다각형을 그리는 명령어

8. donut : 내부가 채워진 원이나 링을 그린다.

9. spline : 곡선을 그린다.

10. splinedit : spline을 편집한다.

11. mline : multiline(다중선)을 그린다.

12. pedit : 2차원, 3차원 pline 및 3dmesh 등을 편집한다.

 

13. bhatch : 선택된 경계 영역을 패턴으로 채운다

                    

                     ◇ pattern : 해치의 형태를 지정한다.

                     ◇ pick point : 해치의 경계 영역의 빈 공간을 선택한다.

                     ◇ select objects : 해치할 객체를 직접 선택

                     ◇ preview hatch : 해치의 실행 결과를 미리 본다.

                     ◇ inherit properties : 기존 해치의 특성을 선택한 객체에 적용시킨다.

14. hatchedit : 기존의 작업된 해치를 편집, 수정한다.

15. bpoly : 선택된 영역의 닫혀진 polyline을 만든다.

                     

                      ◇ 복잡한 도면에서 경계를 검색할 경우에는 "make new boundary set"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 속도의 중가를 가져온다.

 

16. dtext : 문자 입력

                 ◇ 특수문자 (입력코드)

                        

17. ddedit : 문자 편집

18. mtext : 문서 편집기를 사용하여 다중행 문서를 기입한다.

 

■ Modify

1. erase : 지우기
             command: erase  
                select object:        → 하나씩 도형을 선택할 수도 있고 옵션을 주어서
                                                한꺼번에 선택할 수도 있다.
               
              ◎tip: ◇ 도면선택방법("select object"에서의 도형 선택법...) ←잘 알아두면 편리
                          ◆ w(window): 두점을 대각선 방향으로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을
                              설정후 그 영역안에 완전히 들어 온 도형만 선택
                          ◆ c(cross): 두점을 대각선 방향으로 지정하여 원하는 영역을
                             설정후 그 영역선에 걸리기만 해도 도형이 선택
                             ("w"는 완전히 포함되어야 하지만 "c"는 걸치기만 해도 선택된다)
                          ◆ wp(wpolygon): window 기능과 유사하나 선택 창이 다각형을 형성
                          ◆ cp(cpolygon): wp와 유사하며 경계에 걸친 도면요소도 선택
                          ◆ f(fence): line과 같은 형식으로 선을 긋고 그것이 교차하거나 통과하는

                                         대상물만 선택

                          ◆ all: 동결(freeze)되었거나 잠긴(locked) 레이어를 포함한 모든  도면요소를 선택

                          ◆ l(last): 마지막으로 그려진 도면요소가 선택

                          ◆ p(previous): 바로 전에 지정되었던 도면요소가 다시 지정

                          ◆ u(undo): 선택된 요소가 역순으로 취소

                          ◆ r(remove)와 a(add): "r"을 입력하고 대상물을 선택하면 선택집합에서 대상요소가

                                      빠지게 되고 "a"를 입력한 뒤 요소들을 선택하면 선택집합에 추가

2. savetime : 도면의 자동 저장 시간을 설정 (분단위)

              ◎tip: 임시 저장 장소(C:\windows\temp\)에 auto1.sv$...란 이름으로 자동 저장

3. viewres : 원, 호의 해상도를 설정

4. copy : 도면요소를 복사하고자 할 때 사용

                ◇ "multiple " 옵션을 이용하여 다중 복사도 할 수 있다.

5. move : 도면요소를 이동하고자 할 때 사용

6. rotate : 도면요소를  상대 또는 절대 각도로 지정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 <회전각도> : 회전시킬 각도 지정

               

                 ◇ <reference:참조> : 참조각도를 이용하여 회전(많이 사용됨)

                      

7. offset : 선택한 객체를 입력한 길이 만큼 평행하게 간격을 띄운다.

8. trim : 선택된 객체를 기준으로 선택된 객체를 잘라낸다

9. extend : 연결되지 않은 객체를 다른 객체의 경계로 연장시킨다.

10. break : 단일 요소의 일부분을 잘라낸다.(반시계방향으로)

                 ◇ 객체를 선택하면 : 선택점이 처음 기준점이 된다.

                 ◇ 첫번째 점인 경우(F) : 처음 기준점을 다시 입력

                 ◇ "@" : 기준점과 동일한 점을 선택하여 2개의 요소로 분리할 때 사용

11. fillet : 두 도면 요소의 모서리 부분을 지정한 값의 반지름을 갖는 호로 연결시켜준다.

12. chamfer : 선택된 객체의 모서리를 모따기 처리한다.

13. change : 선택된 객체의 특성(위치, 크기, 방향, 색상, 도면층 등)을 변경한다.

14. chprop : 선택된 객체의 특성을 변경한다(change 명령의 properties 기능과 비슷)

              ◎tip: change의 특성바꾸기(p)와 chprop은 내용상 비슷한 점이 많으나,

                      change는 명령의 실행과정(요소의 위치값을 변화시키는)상의 이유로 인해

                      현재의 ucs의 요소만 선택된다. 그러나 chprop의 경우는 어떤 ucs의 요소라도

                      선택할 수 있다.

15. array : 선택된 도면 요소를 원하는 숫자, 원하는 간격만큼 한번에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한번의 명령어로 복사하며, 원하는 숫자는 자기 자신을 항상 포함시킨다.

16. divide : 대상요소를 원하는 개수만큼 같은 간격으로 pdmode로 설정된 점으로 나누어 표시한다.

17. mesure : 주어진 거리 만큼 원하는 요소 선분상에 점이나 블록으로 표시한다.

                       (계획평면도에서 정체인을 끈을 때 사용하면 무척 편리함. 또는 일정한 거리만큼

                            기호를 넣어야 할 때. )

18. mirror : 선택된 객체를 기준점을 중심으로 대칭 복사한다.

19. stretch : 연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이나 호, 트레이스, 솔리드, 폴리라인 및 3차원

                    면으로 연결된 선들을 늘리거나 수축시킨다.

20. scale : 도면 요소를 축소하거나 확대하는데 사용한다.

                      (rotate 옵션과 비슷하다. reference 옵션이 더 많이 사용된다.)

21. explode : 블록이나 폴리선, 치수, 해치 및 메시 등의 연결된 형태나, 집합적인 객체를 분해하여

                     각각의 객체들로 바꾼다.

22. ctrl 과  shift 의  이용 : ◇ 선택시 ctrl의 이용은 복잡한 도면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요소가 다른 요소에

             의하여 선택이 용이하지 않을 때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선택하면 객체 선택

                                      ◇ 선택 중 불필요한 요소가 선택되면 remove를 저장하지 않고도 선택에서 제외

             시킬 수 있는데, 그것은 (shift 키)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된 요소를

             선택하면 선택에서 제외된다.

 ------------------------------------------------------------------------------

 

 

 

■ 3D

1. 3차원 모델링 기법 : 1) 와이어 프레임(Wireframe) : 3차원 물체를 투시하고 그 정점과 모서리 선을

                                                                             기억하는 방식

                                2) 서페이스 모델(surface) : 와이어프레임 모델을 기본으로 다면체의 면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3) 솔리드 모델(solid) : 대상물의 실체와 다른 공간을 구별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내용이 가득찬 모델을 컴퓨터에 인식시킬 수 있는 것.

                                                                    은선의 자동 소거나 질량 분석(면적, 체적, 중심, 관성모멘트 등)

                                                                    계산 등이 가능하게 된다.

2. 3dpoly : 3d polyline을 작성한다.

3. vpoint : 객체의 관측 위치를 설정한다.

                              

4. ddvpoint : 대화 상자를 이용하여 객체의 관측 위치를 설정한다.

5. 3dface : ucs와 관계없이 3차원상의 필요한 부분에 면을 생성한다. 정점의 순서대로 변이 그려지기

                    때문에 변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시작점을 선택하기 전에 I 또는 Invisible을

                    입력해야 한다.

6. 3d : 3차원 기본 객체를 생성한다.

             

             ◇ box : 3차원 상자를 생성

             ◇ cone : 3차원 원추를 생성

             ◇ dish : 3차원 아래 방향 반구를 생성

             ◇ dome : 3차원 윗 방향 반구를 생성

             ◇ mesh : 그물모양의 3차원 면을 생성

             ◇ pyramid : 3차원 피라미드를 생성

             ◇ sphere : 3차원 구를 생성

             ◇ torus : 3차원 원환체를 생성

             ◇ wedge : 3차원 쐐기를 생성

7. surftab1 : 3차원 객체의 세로 방향의 표면 쪽맞춤선의 개수를 설정

8. surftab2 : 3차원 객체의 가로 방향의 표면 쪽맞춤선의 개수를 설정

9. rulesurt : 선택된 객체의 연결된 표면 생성

                    

10. edgesurf : 선택된 객체의 4면을 연결된 표면을 생성

                        

11. tabsurf : 선택된 객체의 경로와 방향을 지정하여 연결된 표면 생성

                          

12. revsurf : 선택된 객체의 경로와 회전축을 지정하여 회전되는 객체를 생성

                             

13. hide : 화면의 객체의 숨은선을 제거

14. shade : 객체의 음영 처리

15. 3dmesh : m(x,가로),n(y,세로) 방향의 개수를 설정하여 다각형 메쉬 생성

16. pface : 많은 정점을 가진 다각형 메쉬를 만든다. 3dface와 기능이 비슷

             ◇ 번호 입력시 음수(-)로 입력하면 보이지 않는다(invisible).

17. vports : 화면을 여러 개의 뷰 영역으로 나누어 작업

18. dview : 3차원에 대한 평면 투영이나 원근 뷰를 정의하여 물체를 동적으로 보여줌.

19. ucs : 사용자 좌표계를 설정

20. ucsicon : 사용자 좌표계의 icon을 설정

21. tilemode : 도면의 작업 공간을 모델 공간 또는 종이 공간을 선택

             ◇ 1:모델공간으로 이동 (도면에 대한 생성, 편집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

             ◇ 0:종이공간으로 이동 (도면의 용지 설정 및 여러 개의 화면 분할 등 출력을 위한 공간)

22. mview : 종이 영역의 뷰포트를 설정. 도면 공간의 vports와 기능이 비슷하다.

23. rotate3d : 선택된 객체를 3차원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24. mirror3d : 선택된 객체를 3차원 기준축을 중심으로 mirror시킨다.

25. 3darray : 선택된 객체를 3차원 기준축을 중심으로 array시킨다.

26. align : 선택된 객체를 기준점을 중심으로 이동 및 회전시킨다.

27. box : 솔리드 상자를 생성

28. sphere : 솔리드 구를 생성

29. cylinder : 솔리드 원기둥 또는 타원 기둥을 생성

30. cone : 솔리드 원추를 생성

31. wedge : 솔리드 쐐기를 생성

32. torus : 솔리드 원환을 생성

33. union : 솔리드 객체를 합집합 시킨다.

34. subtract : 솔리드 객체를 차집합 시킨다.

35. intersect : 솔리드 객체를 교집합 시킨다.

36. interfere : 솔리드 객체의 교차 영역에서 새로운 솔리드 객체를 만든다.

37. extrude : 폴리선, 원 등의 연결된 객체를 돌출

38. revolve : 닫혀진 폴리선, 원 등의 연결된 객체를 회전

39. slice : 솔리드 객체를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절단

40. section : 설정된 기준면의 경계(단면)를 표시

                    (객체를 절단하지는 않는다.)

41. fillet : 선택된 솔리드 객체의 모서리를 모깍기 한다.

42. chamfer : 선택된 솔리드 객체의 모서리를 모따기 한다.

43. massprop : 솔리드 객체의 특성을 표시한다.

28. sphere : 솔리드 구를 생성

                                                                         

 

 

 

건축인테리어과들어왔는데;(내공80)

... 근데 저는 캐드 명령어를 몰라서.. 좀알려주세요...(내공80) cad 명령어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주로 쓰는 명령어는 많아봐야 100개 안쪽이죠.(2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