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전기 단원 질문 하겠습니다^^;

중2 전기 단원 질문 하겠습니다^^;

작성일 2006.12.02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 학교 시험은 봐야되는데 개념은 잘 모르겠구~

정확(명)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정확하지 않은 답변은 저에게 혼란을 더욱 가중시켜요ㅠㅠ\

아'-' 그리구... 중 2가 알아들을 수 있는 용어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학교 중상위권이지만 바탕지식이나 많은 지식을 소유하고 있지가 전혀 않아서.

--------------------------------------------------------------------------------------------------------------------------------

 

1. 정전기와 마찰 전기중 마찰전기가 더 큰 개념으로 알고있습니다. 맞나요?

 

2. 정전기(氣), 한자로 풀이하면 '움직이지 않는 전기' 이죠. 그런데 실제로 우리는 두 물체를 마찰 시켜 (-)전하를 움직여 전기적 성질을 띠게 합니다.  도대체 그 '움직이지 않는' 전기는 왜 움직이는 겁니까?

 

3. 부산에 있는 백열 전구를 서울에 있는 스위치로 바로 불을 켤 수 있을까?

 

이거.. 문제집에 있던건데 답은 "켤 수 있다" 더군요.

문제집 해설: 그 이유는 불을 켜는 것은 전기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축구경기장에서 파도타기 응원을 생각해 보자. 사람들은 단지 서고 앉지만 '무엇' 인가가 이동한다. 사람들을 전자에 비유한다면, 바로 그 무엇이 전기에너지이다.

전기에너지의 속력은 빛의 속력과 같고,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이나 돌 수 있는 엄청난 속도이므로 백열 전구의 불은 바로 켜진다.

 

제 질문은, 어떻게 그 전기에너지가 이동하냐 이거죠. 읽는 순간 딱 생각나는게,

'그 전기에너지를 누가 옮기냐고. 바로 전하일거 아냐. 그럼 그 전하는 1초에 0.1mm 밖에 못가는 둔탱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어떻게 바로 켜지냐 이거지.'

... 이게 제 질문이 되겠습니다.

 

4. 또, 질문 자체는 비슷한거 같은데 답변이 전혀 다르네요.(문제집)

스위치를 닫는 순간 전구에 바로 불이 켜지는 이유

 

실제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자들은 1초에 0.1mm 를 이동한다. 이처럼 전자들의 움직임이 느린데도 불구하고 전구에 불이 바로 켜지는 것은 스위치를 닫는 순간 도선 속의 모든 전자들이 동시에 움직임으로써 순간적으로 에너지의 전파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대체 도선속의 전자들이 동시에 모두 움직이는 거랑 순간적으로 에너지의 전파가 이루어지는거랑 뭔상관인데 이사람들아. 그리고, "순간적" 이면 어디까지나 순간적으로 깜박 켜진다음에 다시 잠시 꺼졌다가 시간이 좀 지난 다음에 켜지는게 정상 아냐? 그리고 위에꺼랑 질문이 별로 다르지도 않은거같은데 답변은 왜이렇게 천차만별이야'

 

..................입니다.

 

5. 전류계는 전지에 직접 연결하지 말것! 왜냐? 너무 센 전류가 흘러 전류계가 망가질 수 있으니까!

전압계는 전지에 직접 연결하여(도대체 이 '직접' 연결이, 뭘 어떻게 직접 연결한단거지? 건전지 +,- 극을 그냥 갖다 꽂는걸 말하는건가?) 전압을 측정할수 있다! <- 얜 안망가져?왜 얘는 직접 연결이 가능해?

 

아 정말 공부하기가,.. 개같네요. 공부하는거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이렇게 모호한것은 정말 싫어요;ㅅ;

 

'답변하실때 딴데서 퍼오지 마시길 부탁드립니다 엔간한건 다 봤지만 제 수준으로는 이해 불가입니다.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중2 전기와 자기 #중2 전기와 자기 문제 #중2 전기회로 #중2 전기 문제 #중2 전기와 자기 기출문제 #중2 전기와 자기 정리 #중2 전기회로 문제 #중2 과학 전기와 자기 기출문제 pdf #중2 과학 전기와 자기 요점정리 #중2 과학 전기와 자기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더 크고 작은 그러한 개념이라고 할수는 없습니다. 마찰을해서 일어난 전기가 정전기 이고 마찰전기 라고도 합니다.

2. 움직이지 않는 전기도 회로가 구성되면 방전이 됩니다. 화학섬유에서 생긴 정전기가 문고리 같은 것을 잡으면 깜짝깜짝 놀랄 정도의 방전이 일어납니다. 실제로 전류는 그의 없지만 전압이 높아서 방전시는 딱하는 소리와 함께 불꽃방전이 일어납니다.

3. 실제로 전선을 연결해서 전구를 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전류가흐르는 곳에는 전압강하가 있어서 웬만한 전선의 굵기로는 선로저항이 많아서 도중에 전압강하로 불이 켜지지 않습니다. 전화선을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로 불은 켜고 끌수는 있습니다.

200v 100w 전구라고 했을때  전압강하를 계산해 보면

전류는 = 100 / 200 = 0.5A

이것을 전압강하 공식에 대입하면

전압강하는 = 35.6 x 450000 x 0.5 / 1000 x 2 = 4005V 의 전압강하가 생겨 4205V의 전압을 공급해야 겨우 100w 전구를 켤수 있다는 예기가 됩니다.

200V의 전압으로 공급해서 불을 켤수 있도록 할 경우는 전선의 굵기는 얼마로 해야 하는지를 계산해 드리면

전압강하를 10V 로한 전선의 굵기는 = 35.6 x 450000 x 0.5 / 1000 x 10 = 801㎟ 의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4. 그것은 아무리 멀어도 수도파이프로 생각하면 파이프속에 물이 꽉차 있다면 서울에서 물을 1리터를 밀어넣었다면 바로 부산에서 1리터가 나오지 않겠어요?전기도 이러한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순간적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우리가 느끼지 못할 뿐이지 실제로는 시간이 있는 것입니다. 전구도 실제는 불이 켜졌다 꺼졌다를 1초동안에 60회를 반복하지만 필라맨트의 켜지고 식는시간이 짧아서 전혀 느끼지를 못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5. 실제로 전류계는 내부코일이 가늘어서 많은 전류를 직접흘리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교류에서는 CT라는 전류트랜스를 사용하여 실제보다 작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류계에 흐르게 하고 나중에 눈금에는 전류트랜스 비율만클 눈금을 높여서 매겨 실제의 전류를 나타내게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직류에서는 샨트라고 전류분배기를 사용하여 전류를 나타냅니다. 전기에 관한것은 나중에 전공을 하게 되면 알수 있는 내용이겠지만 님과같이 전공으로 공부하지 않을 경우는 있는 그데로 외우는 방법 이외는 없습니다. 이 어려운 전기학문을 다 이해하고 갈수는 없는 일입니다.너무 상심하지 마시고 그냥 외우고 나가시기 바랍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적었습니다. 참고하세요. 

해당 글은 지식스폰서가 활동 기간 (04년~08년 6월 종료)중에 작성한 글 입니다.
  • 지식스폰서가 작성한 답변은 본문 내 자기소개 및 출처란의 실명, 상호명, URL표시를 허용합니다.
  • 출처란에 표시된 정보가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음란성, 불법성, 청소년 유해사이트 등으로 변질된 경우는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지식스폰서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정전기란 대전된 두 도체가 +또는 -를 띠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마찰전기란 전기를 일으키는 한가지 방법입니다. 따라서 마찰전기 = 정전기는 아닙니다. 가령 플라스틱에 헝겁을 문지르는 행위는 마찰전기를 일으키는 한가지 방법이고, 여기서 플라스틱이 대지(땅)에 대해 +또는 -로 대전된 상태를 정전기라 합니다. 여기서 마찰전기가 정전기보다 더 큰 개념이란 것은 없습니다.

 

2. 위의 1번에서 언급한것처럼 마찰전기 자체가 정전기는 아닙니다. 마찰전기는 전기를 일으키는 한가지 방법이고, 이것외에 고압트랜스를 사용하든, 또다른 방법을 사용하든, 어떤 물체를 +또는 -로 대전되면 그때 이 물체는 정전기를 띠고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죠.

물론 이 정전기도 전류가 흐를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면 방전이 되고, 이렇게 되면 정전기가 없어진것이죠.

 

3.4 전자의 실제 이동속도는 극히 느립니다. 그럼 이렇게 한번 비유해 보죠. 100m 짜리 막대기가 있는데 두사람이 양끝을 잡고 있습니다. 그때 한사람이 이 막대를 밀면 실제 막대기가 움직이는 길이는 수십cm 밖에 안되지만 반대편에 막대기를 잡고 있는 사람은 미는 순간 막대기가 밀린것을 바로 느낄수 있다는 것이죠.

즉 도체에는 전자가 꽉 차 있는 상태에서 제일 끝에 전자하나가 밀리면 마치 도미노처럼 그옆에 있는 전자를 밀고, 다시 그전자는 그옆에 있는 전자를 밀게 되는데 이 미는 도미노 현상은 1초에 30만km 라는 것이죠. 즉 부산에서 스위치를 넣으면 서울의 전구가 바로 켜지는 것은 부산에서 출발한 전자가 서울까지 와서 불을 켜는 것이 아니라 전구 바로 앞에 있는 전자가 부산에서 미는 전자에 떠밀려 전구로 흘러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5.번의 경우 전압계및 전류계의 원리를 파악하면 쉽게 이해가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그냥 외워두는 것이 편합니다.

테스터기는 매우 민감한 전류계(100uA정도로 움직이는 전류계)에 저항을 직렬 또는 병렬로 붙여 전압계,전류계를 만듭니다.

전압계는 전류계+저항으로 직렬로 연결하여 저항분압현상을 이용해 전압을 측정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저항은 매우 높은 저항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전지에 직접 연결해도 무리가 없지만 전류계를  전류계//저항(//는 병렬연결의 의미임)으로 구성을 하여 저항 양단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이용해 측정을 합니다. 그런데 이 저항은 매우 낮은 저항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전류계렌지로 놓고 직접 전원에 연결하면 내부에 있는 저항이나 퓨즈가 끊어지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전류를 측정할때는 반드시 부하와 전원사이에 직렬로 연결하고, 전압계를 사용할때는 전원양단또는 부하 양단에 직접 갖다 대어 측정 하는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정전기와 마찰전기는 같은 의미 입니다.

2. 정전기를 한자로 잘 풀이 하셧습니다.

정전기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 말뜻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움직이는 전기는 자유전자뿐입니다. 그리고 자유전자는 공기중에도 있기때문에 부족하면 채워지고 많으면 나가기때문에 그것을보고 전류를 흐른다라고 말은 하지 않습니다.

3. 네 켤수 있습니다.

도중에 도선이 끊기지 않았다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4. 아닙니다. 누가 전자가 1초에 0.1mm움직인다고 합니까?

전자의 속도는 빛의 속도의 1/1000입니다.

5. 네 직접 꽂는다는 말은 도선에 저항과 꼬마전구등도 없이 그냥 해도 전압계는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왜 전류계는 그렇게 하면 안되느냐(그리고 전류계가 왜 직렬로 연결해야하는지도설명해 드릴께요)

전류계의 속에는 전자가 이동할때마다 무엇인가를 건들여서 바늘이 움직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왜 직렬로 연결해야 하냐면

물에 비교해보면 쉽습니다.

물이 두갈래로 갈라지면 물의 양은 변합니다.

전류값도 병렬이면 도선속에서 전류가 갈라져 전류의 값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과전류가 흐른다면 고장나는 이유.

속에 제가 무엇인가를 건들인다고 햇죠?

과전류가 흐른다는것은 그만큼 많이 그것을 건들인다는 말이죠

그게 어느 이상범위에 올라가면 너무때리면 부숴지는 듯이 그것도 과전류가 흐르면 망가지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셧길....

중2 전기 단원 질문 하겠습니다^^;

... 제 질문은, 어떻게 그 전기에너지가 이동하냐 이거죠. 읽는 순간 딱 생각나는게, '그 전기에너지를 누가 옮기냐고. 바로 전하일거 아냐. 그럼 그 전하는 1초에 0.1mm 밖에...

중2 과학 2단원 전기와 자기 질문

중2 2단원 전기와 자기에 대한 질문이 있어요 ㅠㅠ 1. 전류계는 저항/전기를 필요로하고, 전압계는 저항/전기가 없어도 가능하다는데 무슨뜻이고 왜인가요?.. 2. 병렬영결에서...

중2 전기단원 질문입니다

중2 전기단원 질문입니다 급해요 사진의 문제가 잘 이해가 가질 않아 물어봅니다 왜 저항의 역수를 이용해 풀어야하나요? 해설지를 봐도 이해가 안 가네요 내공 50 급합니다...

중2 과학 2단원 전기와 자기 퀴즈 질문...

... 예방 - 전기 안전 수칙을 잘 지켜 감전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 전기 기구 사용 시 접지, 누전 차단기 사용 등의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젖은 손으로 전기 기구를...

중2 전기단원 질문드립니다

저는 올해 중학교 2학년인 남학생입니다 제가 전기단원을 공부하면서 좀 헷갈리는게 있어서 급히 컴퓨터를 키고 질문을 올리는데요 저항이 혼합연결된 회로에서 저항,전류...

중2전기와자기단원

중2-2 전기와자기단원에 나오는 알아야할 공식들 알려주세요! 공식이라고 해야할 건 한... ' 라는 공식인데, 혹시라도 더 궁금하시거나 알고 싶은 게 있으시다면 편하게 질문해...

중2 전기 단원 질문 !!

... 그런데 1C 도 6.25X10의18승 이라고 하는데-_- 뭔가요 -_- 그리고 1.6X10의-19승 이라는건 또 뭔가요 -_- 전자 1개의 전하량이라고 하던데 이게 뭔가요 -_- 전기 단원 진짜...

중2 전기 단원 질문~

... 중2인데 전기 파트가 좀 어렵네요. 궁금한 게 있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1.원자의 전기적 성질은 왜 중성인가요? 2.일단 그림을 봐주세요. 이 그림에서 왜 전자가 1번쪽 즉...

중2 전기단원 질문

... 제가 요즘 과학 7단원 전기부분을 배우고 있는데 여러가지로 의문점이 생겨서 일일이... 그리고 고등학교 진학에 관해서도(1년 정도 남았지만..) 하는김에 질문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