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다이오드 트렌지스터 정전압회로

제너다이오드 트렌지스터 정전압회로

작성일 2023.09.2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VIN = 7V~5.5V VOUT = 4.5
해당 제너 다이오드 트렌지 스터 정전압 회로에 대하여 질문올립니다
1.해당 회로의 트렌지스터 동작,원리 등이궁금합니다.
2.R5170,R5168 저항의 값은 출력전류에따라 다르게 설계하나요?
3.VOUT의 출력 전압은 Q5130,Q5131둘중 어느 트렌지스터로 바이어스 되나요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의견 드립니다.

안정적인 정전압 회로에 대한 질문을 하셨는데요. 질문하신

1. 해당 회로의 트랜지스터 동작, 원리 등이 궁금합니다.

해당 회로를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아래의 회로를 보시면

전자회로설계교육 CAFE

1) Q5128, Q5129는 정전류 회로형 정전압 회로입니다. R5166에 의해 Q5129에 흐르는 전류는 제한됩니다. 그 전류 Io = 0.6V/120 = 5mA이며 이 전류는 대다수 제너의 바이어스 전류에 해당합니다. 이 전류로 인해 제너는 안정적으로 VZ를 유지합니다. 5.1V 제너이면 VZ = 5.1V가 되고 5.6V 제어이면 VZ=5.6V가 됩니다.

2) 정전압 VZ는 R5170을 통해 TR Q5131의 베이스에 전류가 공급됩니다. 이 전류는 hfe 만큼 증폭되어 IC2(표시 안 함)이 흐르고 IB2+IC2 = IE2가 되어 출력으로 나갑니다. 동시에 IC2 = IB1 + IR5176의 전류도 포함되어 있고 IB1이 흐름에 의해 IC1도 흐르고 IE1도 흐릅니다. 결국 IE1 = IB1(1+hfe1)이 되어 출력 전류에 가산됩니다.

3) 이 전류는 부하저항 RL을 통해 일정 전압으로 공급이 됩니다. 만약 이 전압을 4.5V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런데 만약 부하의 변동이 있어 VOUT 전압이 4.6V로 상승하는 상황이라면 Q5131의 VBE가 감소하게 됩니다. 감소하는 이유는 Q5131의 베이스는 제너에 의해 VZ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VBE가 조금 감소하면 IB2가 감소->IC2가 감소->IE2가 감소 -> IB1 감소->IE1이 감소하여 전체 출력 전류가 감소하고 이 전류 * RL = VOUT인데 VOUT도 감소하게 됩니다. 즉 4.6V로 올라가려고 하다가 다시 4.5V로 내려가는 형국이 됩니다.

4) 반대로 부하의 변동이 있어 VOUT 전압이 4.4V로 하강하는 상황이라면 Q5131의 VBE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VBE가 조금 증가하면 IB2가 증가->IC2가 증가->IE2가 증가 -> IB1 증가->IE1이 증가하여 전체 출력 전류가 증가하고 이 전류 * RL = VOUT인데 VOUT도 증가하게 됩니다. 즉 4.4V로 감소하려고 하다가 다시 4.5V로 올라가는 형국이 됩니다.

이런 식으로 동작하면서 정전압을 유지합니다.

2.R5170, R5168 저항의 값은 출력 전류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나요?

네 맞습니다. IB2의 전류치가 출력 전류의 양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3.VOUT의 출력 전압은 Q5130, Q5131 둘 중 어느 트랜지스터로 바이어스 되나요

둘 다 영향을 줍니다. Q5131은 제어용이니 IC 용량이 작아도 되지만 Q5130은 전류 용량 조금 커야 하겠지요. 아울러 Pcmax도 같이 고려하여야 합니다. 예들 들어 VIN이 7V이고 출력이 4.5V이고 전류가 0.5A를 구동 중이라면 Pcmax = VCE * IC = (7-4.5) * 0.5 = 1.25W의 발열이 나게 됩니다. 이것보단 4배 이상 큰 TR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시면 합니다.

토마스 홍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왼쪽의 Q5128,5129는 정전류 회로입니다 . 이것은 제너다이오드의 전압특성을 좋게 해줍니다 .

제너다이오드는 일정한 전압을 유지해주는 소자이지만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압이 약간 달라집니다 .

따라서 입력을 정전류로 구성하면 입력전압이 변해도 제너로 흐르는 전류는 일정하므로 안정된 기준전압을 만들수 있게 되죠.

이 전압이 Q5131로 들어가므로 실제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것은 Q5131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 TR이 활성화 되는 조건이 Vbe = 0.6V일때인데 출력이 이미터쪽이고, 베이스는 5.1V가 되므로 결국 Ve = Vout = Vb-0.6V가 되어야 하므로 5.1V - 0.6V = 4.5V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이상태에서 출력전압을 바꾸고 싶다면 제너다이오드를 바꾸는 수밖에 없습니다 .Q5130은 전류증폭이라고 보면 됩니다.

2.그렇다고 볼수 있죠. 최대 출력전류는 Q5130의 전류증폭률 x Q5131의 전류 증폭률 x Ib가 되는데 Ib가 결국

R5170+R5168이 되는 것이죠. 그렇다고 해서 이 두개의 저항을 낮춘다고 출력전류가 무작정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입력쪽 전류가 충분히 높아야 하고, Q5130의 콜렉터 전류용량도 충분히 높아야 됩니다.

3.위에서 말한것처럼 Q5130은 전류증폭용이고, Q5131은 NPN TR로 이 TR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Vbe = 0.6V인데 이값을 고정이므로 이것을 다른 TR로 바꾼다고 출력전압은 달라지지 않고, 결국 출력전압은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면 됩니다.

비교적 간단한 정전압회로지만 출력전압에 대한 부궤환이 없기때문에 아주 좋은 특성을 가지지는 못합니다 .

참고하세요.

제너다이오드 트렌지스터 정전압회로

VIN = 7V~5.5V VOUT = 4.5 해당 제너 다이오드 트렌지 스터 정전압 회로에 대하여 질문올립니다 1.해당 회로의 트렌지스터 동작,원리 등이궁금합니다. 2.R5170,R5168 저항의...

제너다이오드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제너 다이오드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정전압 회로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제너다이오드만으로 구성된 회로에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트랜지스터와 부하를 연결한...

제너다이오드 정전압IC 회로질문

DC3~6V 사이 가변적으로 입력전압이 들어옵니다 2V 20mA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기 위하여 사진과같이 회로를 만들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제너다이오드 사용과 정전압IC사용...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에서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한 정전압회로에서 트랜지스터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한 정전압회로의 적은 출력전류를 다 크게 출력 할 수 있도록 해주는건가요??...

제너다이오드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사진과 같은 정전압 회로의 특징은 제너다이오드를 교체하여 원하는 출력전압을... 베이스에 걸려있는 제너 다이오드 전압이 트랜지스터의 VBE만큼 차감되어 출력되기...

제너다이오드 정전압 회로

제너다이오드 정전압 회로 그림을 그리고 설명해야되는데 이 회로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을 하면 좋을까요.. 네 설명드립니다. 1. 교류전압 110V를 인가받아 POWER...

제너다이오드 정전압회로

사진과 같은 정전압 회로의 특징은 제너다이오드를 교체하여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을수 있다는데 어떤 원리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예를 들어 입력전압 9V를...

제너다이오드 정전압 회로 1.첫번째

제너다이오드 정전압 회로 1.첫번째 사진 회로에서 Vs를 증가시키면 Rl 에 걸리는 전압은 어떻게 변하나요?? 2. 두번째 사진에서 ab사이에 제너다이오드르를...

제너 다이오드 정전압 회로 질문

7V 입력에 5.6V 제너 다이오드를 연결해놨는데 왜 출력이 4.9V 정도만 나오는건가요?? 5.6V 가 나오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그리고 왜 저렇게 나오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