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시벨에 관해서 dBm, dBv

데시벨에 관해서 dBm, dBv

작성일 2023.05.2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전기전자공학이 희망이라 학교 주제탐구에 전압을 측정할 때 쓰이는 데시벨에에서 파생된 dBm, dBv에 대해 주제탐구를 하려하는데 아무리 봐도 이거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어서 알려주실분 있나요?ㅠㅠ 내공 150걸게여

1.어떻게 파생되었는지

2.어떻게 쓰이는지

3.고2가 이해할 수 있게 간단하게 뜻풀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어떻게 파생되었는지

2.어떻게 쓰이는지

3.고2가 이해할 수 있게 간단하게 뜻풀이

1) 전체 질문내용을 문등그려서 설면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dB 값이란 대상수치를 10을 밑수로 한 지수값 * 10 값을 말하는 것입니다. 10을 곱하는 이유는 기준값

10을 넣을때 10이 나오게 하기위해, 즉 계산이 편하자고 그냥 붙인 수치입니다.

한마디로 dB란 측정값(전압,전력)를 log스케일로 본 값입니다.

데시벨(dB)란 [데시] + []의 합성어 입니다

데시(deci) 란 1/10 = 10-^1의 뜻입니다

벨(Bell)는 전화를 발명한 사람의 이름이구요.

원래는 소리의 크기가 Power 즉 전력에 비례하자않고 Logarithm(對數)로 커진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단위가 너무커서 1/10인 deci를 쓰고 발견자인

Bell의 이름을 붙여서 [dB란] 단위가 되었습니다.

[본론]

1.전력이득:

Gp = 10 log p2/p1

예)입력(p1)=1w, 출력(p2)=100w 라고 가정하면..

Gp = 10 log p2/p1 =10 log100/1=10log 100=10*2=20[dB]

즉 소리의 크기가 전력적으론 100배만큼 커졌지만 귀로 느끼는 것은 20배 커진것으로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2.전압.전류의 이득

우선 전력(P)의 공식을 고찰해보면 P=I^2*R=V^2/R 입니다.

따라서 p1=i1^2/r1, p2=i2^2/r2 로 놀수있고.

따라서 Gp = 10 log p2/p1=10 log(i2^2/r2)/(i1^2/r1) **r1=r2면 서로약분되어**

=10 log(i2^2)/(i1^2)=10 log(i2/i1)^2=2*10log(i2/i1) =20log i2/i1가 됩니다.

**같은개념에서 전압은..

Gp = 10 log p2/p1=10 log(v2^2/r2)/(v1^2/r1) **r1=r2면 서로약분되어**

=10 log(v2^2)/(v1^2)=10 log(v2/v1)^2=2*10log(v2/v1) =20log v2/v1가 됩니다.

[참 고]

통신에서는 dBm이란 단위를 쓰는데 이것은 임피단스가 600옴 일때를 기준해서

만들어 젔기때문에 LevelMeter에 보시면 0dBm=1mW,600옴 이란문구가 있습니다.

따라서 0dBm=0.775V가 됩니다.

[참조]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9&eid=M5Ueu2VgRUjdPYJdEMSVJSBrtKrtODeZ&qb=ZEJt

[계산 예]

74dB SPL조건에서의 2.5~5mV 감도...

2.5mV 일때:20log2.5*10^-3=20*-2.602=약 -52dB

5mV 일때:20log5*10^-3=20*-2.301=약 -46dB

따라서 약 -52dB ~ -46dB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9&eid=NJAW13z5wIS0rQL5jsuZdlw9e3vVUIIX&qb=ZEJt

참고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쉽게 설명하자면 dBm은 전력단위이고, dBv는 전압단위입니다 그외도 파생되는 형태가 상당히 많습니다.

dBV와 dBu,dBuV,dBv(V가 소문자냐 대문자냐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dBm과 dBV인데 dBm은 1mW = 0dBm으로 한것입니다 이것은 주로 RF에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부하는 600옴이 아니라 50옴이나 75옴을 기준으로 합니다 즉 부하 50옴에 대해 1mW일때 0dBm이라고 한것이죠. 만약 20dBm이라면 10^2 = 100mW가 되는 것입니다.

dBV는 1V = 0dBV로 정한것입니다 . 그리고 전압,전류는 20log(V1/V2)로 되기때문에 만약 20dBV가 되면 전압으로는 10V가 됩니다 전력은 10 log(P1/P2)가 되기때문에 20dBm = 100mW가 되죠.

그런데 굳이 고2가 이런 단위에 대해 설명한다는 것은 별로 좋은 선택이 아닐듯 하네요. 설명하는 사람도 헷갈리지만 듣는 사람들도 상당히 헷갈리고 잘 모르는 분야라서 별로 호응을 받지 못할것 같은 아이템이네요. 님이 완벽히 모른다면 남들에게 설명하는 것은 힘듭니다 . 차라리 데시벨에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왜 사람의 감각들은 신호를 압축해서 받아들이는지, 귀뿐 아니라 사람이 느끼는 빛의 세기도 리니어적이지 않고, 압축해서 받아들이는지... 이런쪽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흥미로울것 같네요.

참고하세요.

데시벨에 관해서 dBm, dBv

제가 전기전자공학이 희망이라 학교 주제탐구에 전압을 측정할 때 쓰이는 데시벨에에서 파생된 dBm, dBv에 대해 주제탐구를 하려하는데 아무리 봐도 이거 무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