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공학부에서는 뭘 배우나요?

전기전자공학부에서는 뭘 배우나요?

작성일 2021.09.0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앙대 전기전자 공학부에서 배우는 과목입니다. 인터넷에 있는 사항을 인용하니 참고하세요

구분

교과목명

실험

학년

교과목 소개

전공기초

기초컴퓨터프로그래밍

1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제적인 공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 및 프로그램 설계 능력을 배운다. 이를 위해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의 개념을 습득하고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힌다.

전공기초

미분적분학(1)

1

여러 전공 분야에서 필수적인 대학기초수학의 미분, 적분, 수열 및 급수에 관한 이론과 응용이다

전공기초

일반물리(1)

1

고전 역학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뉴톤 역학 관련 물체의 운동, 에너지, 운동량, 회전동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진동운동 등을 다룬다.

전공기초

일반물리실험(1)

1

"일반물리실험 (1)"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대학 수준의 일반물리학 실험을 직접 수행해 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로 고전 물리학 분야에서 이론과 실험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기초

일반화학(1)

1

화학의 변천사, 원소의 기원을 비롯하여 화합물의 근간을 이루는 원자와 분자 및 화합물의 명명법, 화학량론의 기초, 원자론의 이해로부터 물질의 변화과정, 원소의 전자배열과 주기율표의 상관관계, 산화와 환원, 화학결합의 상태, 분자의 구조, 화학평형 및 속도론, 산과 염기론 등을 다룬다

전공기초

공업수학

1

복소 함수, 복소 적분 등 공학에 필요한 기초 수학 분야를 다룬다.

전공기초

논리회로

1

디지털논리회로에서 사용되는 수의 표현체계, 기본적인 논리게이트의 동작, 논리함수, 플립플롭을 기반으로 하는 순차적 기능 등을 학습하여 디지털회로의 이해 및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기초

미분적분학(2)

1

자연과학과 공학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는 극좌표, 벡터, 편미분, 다변수 함수의 미분, 중적분, 무한급수 그리고 선적분, 면적분 등의 적분정리에 관한 이론과 응용이다.

전공기초

일반물리(2)

1

전자기학, 원자핵물리, 입자물리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 및 자기, 전자기적 물성, 파동, 전자기파(빛), 양자효과, 원자모형, 원자핵, 핵변환, 소립자 종류 및 기본적인 상호작용 등을 다룬다.

전공기초

일반물리실험(2)

1

“일반물리실험 (2)“ 교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대학 수준의 일반물리학 실험을 직접 수행해 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주로 현대 물리학 분야에서 이론과 실험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기초

선형대수학

2

자연과학과 공학 그리고 사회과학의 전 분야의 연구에 기본적인 용어와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는 분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선형대수학의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현대과학의 여러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벡터공간, 선형사상, 행렬과 행렬식 등에 관한 기초개념과 이론을 학습한다.

전공필수

전자기학

2

전자기학의 현상에 관한 기초이론을 다루며 전자장과 자기장의 원리 및 특성을 배우고 전자기현상을 해석한다

전공필수

회로이론

2

전압이나 전류, 전력 등의 전기적 물리량에 관한 기본개념을 확립하고, 저항이나 인덕터, 커패시터, OP Amp 등 여러 소자의 특성을 이해하며, 그러한 소자들과 전원을 연결해서 구성한 회로에 일어나는 전기적현상을 알아내는 방법을 공부한다.

전공필수

기초전자회로

2

다이오드, BJT 및 FET의 동작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런 소자를 이용한 저주파증폭회로, 고주파증폭회로, 다단증폭회로, 전원회로 등의 해석 및 설계에 관해서 배운다.

전공

전기수학

2

라플라스변환, 푸리에시리즈 및 변환, 벡터 미적분학, 미분기하학 등 공학에 필요한 기초 수학분야를 다룬다.

전공

창의ICT공학설계입문

2

최근의 Engineering은 여러 가지 공학 전공은 물론 인문/예술 분야외의 융합 지식도 요구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여러 전공간 융합적 요소가 결합된 설계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이론과 더불어 다양한 실습을 함께 진행한다. 또한 ICT 공학설계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기술에 적응 능력 또한 학습하며, 팀별로 진행하는 term project를 통해 이러한 ICT 공학 설계를 경험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

객체지향프로그래밍

2

본 과목에서는 C++ 또는 자바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인 데이터 캡슐화와 추상화, 상속 및 다형성 등을 배우고 실습한다.

전공

수치해석

2

공학에의 응용을 위한 비선형방정식의 근, 수치적분, 비선형미분방정식, 선형대수 등에 관한 문제의 수치계산법을 배운다.

전공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소자들과 회로법칙, 기본 계측기기 사용법과 측정원리, RLC 회로의 성질과 응답에 대하여 실험실습을 하게 된다

전공

전자장

2

전자파 파동방정식과 전자파의 전파현상, 전자파에너지의 전송, 전자장 이론과 응용, 경계치 문제에 관한 이론과 해석을 고찰한다.

전공

회로및시스템

2

선형, 비선형, 시불변, 시변, 능동. 수동회로 등을 포함한 일반적인 회로망에 대해서 정립된 회로이론을 소개하고 이들을 회로해석과 합성(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게 한다.

전공

마이크로컴퓨터시스템

3

마이크로컴퓨터의 하드․소프트웨어의 구조와 기계 및 어셈블리언어의 프로그램인 어셈블러, 컴파일러, 링커, 로더 등의 동작원리를 배운다. DOS와 BIOS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배운다.

전공

물리전자

3

전자소자의 동작기본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금속, 절연체내에서의 전자 움직임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양자역학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전자의 상태밀도, 에너지준위, 이동도 등에 관한 것을 공부하고 전자장 속에서의 전자 이동에 관한 물리적인 원인과 현상에 대하여 연구한다.

전공

신호및시스템

3

선형시불변시스템, Continuous time, Discrete time fourier 변환, Laplace 변환 및 Z변환의 주제와 이들 신호를 입력 혹은 출력으로 하는 시스템간의 관계와 시간영역의 컨벌루션관계 및 주파수 영역해석 등을 배운다.

전공

자료구조

3

컴퓨터로 어떤 문제을 풀기 위하여 우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해야한다. 자료 구조는 이런한 문제들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C/C++/JAVA와 같은 컴퓨터 언어로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연결 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등의 기본 자료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또한 간단한 형태의 알고리즘을 분석하는 법과 이들 자료 구조를 이용해 간단한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전공

전자회로

3

디지털회로와 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구성을 위하여 회로해석을 공부하며 주파수 특성 및 응답과 안정성, PLA, RAM, ROM,Decoder, Multiplexer, Gates, ALU 등을 설계하는 방법, CAD에 대한 개괄 등을 이해하고 응용과정을 공부한다

전공

전자회로설계실습

3

다이오드 및 Bipolar Junction Transistor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며 간단한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응용실험을 한다

전공

확률변수론

3

기본적인 확률 이론과 랜덤변수 및 랜덤 프로세스 이론을 통하여 랜덤 신호 특성과 랜덤 신호가 들어오는 시스템을 해석하는 기법을 배운다.

전공

ASIC설계

3

하향식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주문형 반도체를 설계하는 테크닉을 배운다. HDL에 관한 개괄적인 소개를 하며, 이를 이용한 간단한 주문형 반도체를 CAD 등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실습을 한다.

전공

반도체공학

3

반도체 물질을 대상으로 한 캐리어운동과 반도체 소자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고속스위칭소자, 전력용 반도체소자 및 레이저에 관한 제조방법, 동작특성 등을 공부하고 고주파의 통신장비용 소자와 고전력용 반도체소자에 관한 것을 배운다.

전공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3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원리와 입출력 카드 등 각종 주변기기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실험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며, 특히 데이타의 획득이나 컴퓨터제어의 기초실험을 한다

전공

에너지변환공학

3

에너지보존법칙에 의한 전기에너지의 변환원리에 대하여 배우며 변압기, 전동기, 발전기 등 전기기기의 개요 및 기기의 해석과 설계에 관하여 공부한다.

전공

운영체제

3

컴퓨터의 리소스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기본원리를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이해하며 분산 및 병렬처리, 네트워킹에 관하여 소개하며, 컴퓨터에 의한 통신, 제어 및 관제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시스템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전공

자동제어

3

제어시스템 해석을 위한 기초이론과 설계에 관한 기본을 공부하고 배양하는데 있음. 특히 시스템의 수학적 해석방법과 안정도 판별법을 다룬다.

전공

통신공학

3

진폭변조, 각변조, 펄스변조 등의 아날로그변조 방식은 물론 PCM, 델타변조, 디지털 전송방식 등의 디지털통신 기본이론을 함께 배운다

전공

지능형 사물 인터넷

4

지능형 에이전트, 사물 및 컴퓨팅 인터넷에 대한 소개와 토론

전공

디지털신호처리

4

디지탈 신호처리 기초이론, 디지털 필터의 설계 및 구현기법을 다루고 제어, 통신, 음성, 영상신호처리 등의 분야에 대한 적용을 통한 응용기술을 습득한다

전공

디지털제어

4

샘플링이론, 펄스전달함수, Z-변환 등을 이용하여 이산시간의 샘플링 데이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시스템의 성능해석과 제어기의 설계기법을 배운다.

전공

전기기기및응용

4

자기회로에 대한 이해, 자장에서의 힘과 에너지, 전기-기계에너지변환, 전기기계(변압기, 직류기, 유도기)의 구조와 특성, 전동기의 속도제어 등을 고찰한다.

전공

전력전자공학

4

시스템의 전기 및 전자적 제어의 기초가 되는 반도체 스위치의 원리, 스위칭회로의 해석, 쵸퍼, 인버터 등 각종 전력용 컨버터의 원리 및 해석에 대해서 공부한다.

전공

전파공학

4

통신환경에서의 전자파의 감쇠, 페이딩, 간섭현상과 안테나의 복사특성에 관하여공부한다.

전공

현대제어시스템공학

4

상태 변수를 사용한 시스템 이론과 제어 이론을 공부하며 그 외 여러 가지 현대 제어 이론을 공부한다.

전공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회로설계실습

4

컴퓨터를 사용하여 계측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특히 센서를 포함한 데이타 취득시스템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하여 아날로그/디지털시스템에 익숙하도록 한다.

전공

모바일네트워크

4

컴퓨터 네트워크가 무선 및 이동성을 갖게 될 때에 필요한 이론 및 실습 교육을한다.

전공

이동통신

4

본 강의에서는 이동통신을 위한 무선채널 특성, 디지털 전송기술,

CDMA, MODEM 설계를 위한 디지털신호처리기법, 셀룰러 통신에 대하여 공부한다.

전공

컴퓨터구조

4

컴퓨터 내에서 가감승제와 고정․부동 소수점 연산을 위한 알고리듬 및 구조를 고찰하고 CISC/RISC의 기본 구조를 비교하면서 데이터 경로 및 제어 블록을 배운다. 메모리의 계층적 구조와 CPU와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공부한다

전공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집적회로설계

4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s)는 안경, 시계 및

의류등 신체에 착용 가능한 여러 가지 형태로 그 응용분야를 빠르고 광범위하게 넓혀가고 있으며 또한 헬스케어 시스템에도 응용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현하기 위한 집적회로는 보다 미세화해 지는 반도체 공정의 발달과 함께 웨어러블 특성에

맞도록 저전력, 저잡음, 저비용, 저면적 특성은 물론 동작 속도, 소비전력과 정밀도에 대한 유연성 (flexibility) 또한 가져야

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집적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집적회로 해석과 설계 기술 뿐 만아니라

의료 및 의류 분야등과의 접목 가능한 융합지식도 함께 학습한다.

전공

스마트전력전송

4

전력계통에 관한 기본적인 해석이론을 정리 소개하고 전력을 합리적으로 계획/전송/운용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술적인 문제점 및 기술을 다룬다.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력을 소정의 수용가(부하)까지 효율적으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술적인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 특성을 고찰한다. 최근 각종 대체에너지원이 기존 전력계통에 포함되는 스마트 그리드의 추세에 맞추어, 이와 관련된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전공

ICT융합지능로봇

4

ICT융합 지능로봇(ICT Convergence Intelligent Robots)은 외부환경을 인식(Perception)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Cognition)하여, 자율적으로 동작(Manipulation)하는 로봇을 의미한다. 이 로봇에 HRI 기능과 통신 기능이 추가되면, 마치 인간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는 지능형 인공물(Intelligent artifact)이 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을 로봇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기계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센서공학, 뇌공학, 시스템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가 접목된 융합 분야이다. 이 강좌에서는 ICT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지능형 로봇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전공

차세대융합 반도체공정

4

본 강의에서는 산화, 확산, 이온주입, 금속 공정 등 실리콘 기반 CMOS 소자 제작을 위한 주요 단위 공정과 해당 단위 공정들을 활용하여 소자를 제작하는 집적 공정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또한,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차세대 반도체 소자 및 해당 소자 제작을 위한 최신 융합 공정들도 함께 다루어질 예정이다.

전공

반도체소자 원리와 응용

4

반도체 소자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반도체소자의 특성변화와 태양광소자를 포함한 광전소자 그리고, ICT의 기본에 포함되는 평면Display 원리 및 3차원 반도체소자 및 그 응용에 대한 것을 배운다.

전공

마이크로파 회로 및 시스템

4

마이크로파 대역 회로 설계를 위한 기본 기술로써, 전송선로, 네트워크 분석을 비롯하여 공진기, 필터, 분배기 등의 회로의 이론과 설계를 소개하는 교과목이다. 특히 무선통신 및 무선전력전송에 필요한 마이크로파 대역 회로부터 시스템까지의 설계 기술을 다룬다.

전공

디지털 영상처리

4

본 과목에서는 디지털 영상 처리의 기초 및 응용에 대한 다양한 토픽에 대해 강의한다. 전반부에는 공간 영역에서의 필터링, 주파수 영역에서의 필터링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의 기초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며, 후반부에는 컬러 영상 처리, 비디오 코딩, 영상 인식 등의 다양한 토픽에 대해 강의를 진행한다.

전공

광전자및광통신공학

4

광전자 및 광통신공학은 광학과 전자공학을 합친 공학으로써 광소자, 광응용 시스템 등을 다룬다. 광전자 공학 기반 지식을 쌓기 위해서는 광 다이오드 기술, LED, 저 잡음 검출 회로 등의 광전자 기술에 대한 기본 지식을 모두 이해해야 합니다. 상반기에는 광, 광 도파로, 광원(LED)에 대한 기본 사항 및 광기술 동향을 다룹니다. 하반기에는 광 검출기(PD)의 원리, LD, modulators에 대한 기본 사항 및 이들의 응용 분야를 다룹니다.

전공

디지털시스템설계

 

4

본 교과목은 논리회로설계의 기초 과정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복잡한 디지털시스템을 상위 레벨 수준에서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수강생들은 본 교과목을 통해 Verilog HDL의 사용과 FPGA 설계 방법을 익힌다.

전공

디지털통신

4

디지털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디지털 변복조이론 및 디지털 데이터 복구이론, 부호이론 등을 배운다.

전공

플라즈마공학

4

플라즈마의 발생원리, 장치 및 응용, 플라즈마의 진단 및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증착과 식각공정을 배운다.

전공

초소형전기기계시스템

4

초소형 전기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기술은 21세기의 광학, 통신 시스템, 바이오테크놀로지 등의 응용 분야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MEMS 기술은 미소 광학 장치, 의료기기, 산업기기, 통신기기,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초소형 센서 및 액추에이터를 설계, 제작하고 응용하는 학문 분야이다. MEMS 기술은 여러 응용 분야에 파급 효과가 매우 크며, 설계 및 제작에 있어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MEMS 시스템 설계 및 공정 기술에 대한 예비 지식과 함께 MEMS 기술의 응용 분야를 소개함으로서, 학부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전공

종합설계

4

각종 시스템 해석, 설계이론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설계프로젝트를 정하여 학생들이 이론적으로 습득한 지식을 직접 적용하여 보도록 한다

전공

광응용공학

4

본 과목은 빛의 성질과 응용분야를 다루며 응용분야로서 빛의 발생과 검출, 광통신, 그리고 특히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IT기술 등을 다룬다.

전공

아날로그및RF회로설계

4

이 과목은 MOSFET이나 BJT를 주요 소자로 사용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분석 및 설계에 관해 학습한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토픽은 다음과 같다. 연산증폭기 (OPAMP), 부궤환 개념, 다양한 아날로그 증폭기, 전력증폭기, 아날로그 필터, 저잡음 증폭기, 믹서,전압제어 발진기

전공

전자전기세미나

4

단일 교과목에서 다루기 어려운 전자전기공학의 미래기술, 새로운 연구분야, 및 산업체 동향을 학생들에 소개하여 컴퓨터,정보기술, 제어 및 시스템, 에너지, 반도체 등 여러분야를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

전공

알고리즘

4

경로탐색, Matching, Network, Flow, Code Optmization, 및 Divide and Conquer, Greedy알고리듬, Branch and Bound, NP-Complete/NP-Hard와 관련된 방법들에 관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공학에 응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전공

감성디스플레이공학

4

전기전자공학부 졸업을 앞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2,3학년 때 배운 여러과목의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INTEGRATION 하며 시스템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색채 및 감성 공학을 포함한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IT 창의융학공학에 헤당하는 과목이다. 즉, 반도체 공학, 반도체소자, 전자회로, 광응용, 및 색채, 감성 공학이 융합된 학문으로 실제 기업에서 연구 및 개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소자등을 중심으로 이들의 실제적 응용에 대하여 공부하게 될것이다. 주로 LCD, OLED, E-paper, Flexible Display, Printed Electronics, Photovoltaics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이들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 원리, 실제응용 , 감성기반 색채공학 및 향후 발전 방향등을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이론적 강의가 이루어 질것이며 더불어 대학원 및 연구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최신 IT 융합공학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가 될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소자의 핵심인 Thin-Film-Transistor 및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olar cell등의 구조 및 구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integration인 박막 집적회로 및 그들의 디스플레이 응용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것이다.

전공

휴먼ICT 통신시스템

4

최근 들어 기존 ICT 기술이 바이오, 인문학 등의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어 휴먼 ICT라는 새로운 미래 지향적 산업 분야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먼 ICT의 기반 기술인 통신 및 데이터 전송 기술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휴먼 ICT 분야에 확장 가능한 통신 기술 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강의에서는 오류정정 부호, 변조 기법, 소스 부호 등과 같이 통신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 내용을 학습하는 동시에 휴먼 ICT 분야에 적용 가능한 최신 무선 및 이동 통신 기술을 다루고자 한다.

전공

지능정보융합시스템

4

신경망 이론과 퍼지이론 그리고 진화 연산기법에 의한 지능시스템 구현에 관한 기초 이론을 공부한다.

전공

융합 반도체센서공학

4

전기전자공학부 졸업을 앞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2,3학년 때 배운 여러과목의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INTEGRATION 하며 시스템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며, 센서 공학을 포함한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IT 창의융학공학에 헤당하는 과목이다. 즉, 반도체 공학, 반도체소자, 전자회로, 광응용 공학이 융합된 학문으로 실제 기업에서 연구 및 개발하고 있는 센서 모듈, 소자등을 중심으로 이들의 실제적 응용에 대하여 공부하게 될것이다. 반도체 센서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이들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구동 원리, 실제응용 , 및 향후 발전 방향등을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이론적 강의가 이루어 질것이며 더불어 대학원 및 연구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기전자공학 기반의 최신 IT 융합공학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가 될것이다. 또한 센서 구동소자의 핵심인 Thin-Film-Transistor 및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olar cell등의 구조 및 구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integration인 박막 집적회로 및 그들의 센서 응용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것이다.

전공

무선송수신 시스템

 

4

본 강의를 통해 무선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송수신기의 구조와 요소 기술들에 대한 개념을 파악한다. 송수신기 설계에 필요한 요소 회로들의 이론 및 예시와 송수신기를 응용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의료/바이오 및 무선전력전송들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전공

스마트그리드 운영

 

4

이 강의는 전력 수요의 증가 및 온실가스 문제 등의 이슈들에 직면함에 따라 스마트 그리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필요한 기반 지식 및 기술들에 대해 심도있게 분석하고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개념 및 국내외 사례들을 학습하고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들을 발굴하고자 한다.

전공

박막공학과 소자응용

 

4

각종 다른 형태의 박막 혹은 후막에 대한 정의 및 제작공정에 대해서 공부하고, 다양한 형태 종류의 Physical vapor deposition 혹은 chemical vapor deposition 이론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제작된 박막을 이용하여 결정 특성 분석, 전기적 특성 분석 등 각종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소재 및 소자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전공

휴먼ICT제어시스템설계

4

신호 및 시스템, 자동제어 등의 선수 지식을 기반으로 제어공학에 필요한 기본 이론을 제시하고 여러 설계문제와 설계 프로젝트를 통하여 실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주파수 응답을 이용한 제어기 설계, 근궤적을 이용한 제어기 설계, 상태변수를 이용한 현대제어기법, 시간지연 시스템에 대한 제어기 설계를 다룬다. 또 시스템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필요한 수학적 도구인 norm을 정의하고, 시스템의 불확실성의 표현법, 안정도 해석 방법 등을 다룬다.

전공

차세대통신융합네트워크

4

셀룰러 통신, 무선망 설계, 핸드오버, CDMA, 무선랜 기술들과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트렁킹 이론, 유선랜, 광대역 유선네트워크 기술들과 같은 상이한 기술을 이해하고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간의 융합을 위한 시스템 설계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공

인공지능

 

4

본 과목은 학생들에게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대한 기본 개념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기에 대해서 배워요

전기전자공학부에서는 뭘 배우나요?

전기전자공학부에서는 뭘 배우나요? 중앙대 전기전자 공학부에서 배우는 과목입니다. 인터넷에 있는 사항을 인용하니 참고하세요 구분 교과목명 실험 학년 교과목 소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어요

... 프로그래밍을 배우나요? 아니라면 전자공학과는 배우는건가여) 또 어떤대학이... 컴퓨터과학과, 전기전자공학부,산업공학과,멀티미디어학부등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