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 접합 다이오드 문제

pn 접합 다이오드 문제

작성일 2021.01.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문제를 풀다가 답지를 봐도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b에 스위치를 연결 시켰을 때 c와 R1,R2에는 전류가 어떻게 흐르는지 궁금합니다.
a에 스위치를 연결 시켰을 때랑 비교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n 접합 #pn 접합 다이오드 #pn 접합 다이오드 원리 #pn 접합 페르미 준위 #pn 접합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pn 접합 반도체 #pn 접합 공핍영역 #pn 접합 다이오드 실생활 #pn 접합 drift 전류 #pn 접합 다이오드 전류-전압 특성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스위치를 a로 연결했을 때는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걸리므로,

R1과 R2에 모두 전류가 흐르고, c 에 흐르는 전류는 R1과 R2에

각각 흐르는 전류들의 합이 됩니다.

또한, 스위치를 b로 연결하면 다이오드에 역방향 전압이 걸리므로,

R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R2에만 전류가 흐르므로, c 에 흐르는

전류는 R2에 흐르는 전류와 같게 됩니다.

그리고, R2에 흐르는 전류는 스위치를 a 로 놓으나, b 로 놓으나

서로 같습니다. 이유는 2가지 경우 모두 R2는 전원과 바로 병렬로

연결되고, 두 전원의 전압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ㄱ과 ㄴ이 옳으므로, 답은 3번이네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b에 연결했을 때

p가 -, n이 +이므로 다이오드는 reverse bias.

즉,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open상태이고 R2에만 I=V/R2 만큼의 전류가 흐릅니다.

>> a에 연결했을 때

p가 +, n이 -니까 다이오드는 forward bias.

즉,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릅니다. 이때 약 0.7V정도의 전압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R1에 걸리는 전압이 0.7V만큼 줄어듭니다.

따라서 R1에는 (V-0.7)/R1 만큼의 전류가 흐르고, R2에는 V/R2만큼의 전류가 흐릅니다.

둘을 합치면 c에 흐르는 전류는 (V-0.7)/R1 + V/R2 입니다.

>> ㄴ문항을 정리하면 a에 연결했을 때 c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V-0.7)/R1 + V/R2 이고, b에 연결했을 때는 V/R2이므로 c에 흐르는 전류는 a에 연결했을 때가 더 크죠.

>> ㄷ문항은 생각할 것도 없죠. a에 연결하든 b에 연결하든 R2에 흐르는 전류는 V/R2입니다.

pn접합 다이오드 관련 문제

... 2.PN접합 다이오드의 역방향 포화전류는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흐른다.(O,X) 3.PN접합 다이오드의 역방향 포화전류는 (소수,다수) 캐리어의 이동에 의한 것이다. 4.PN접합...

PN접합 다이오드에서 공핍층의 폭에 대해

PN접합 다이오드에서 공핍층의 폭이 도핑농도와 반비례 하는 것에 대해 잘 이해를... 문제는 p쪽의 농도가 n쪽보다 더 높기 때문에 n쪽으로 확산되는 양또한 더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