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 절연저항, 내접압

저항, 절연저항, 내접압

작성일 2016.12.0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전기기계품 하나를 놓고 3가지를 테스트 합니다.

저항 > 멀티미터

절연저항 > 절연저항값 측정기

내전압 > 내전압 테스터기


궁금한점은..

1.각각 테스트 하는 이유(간단하게..)

2.절연저항값 측정할 때 1000V 전압 인가 하는데 이건 손으로 만지면서 측정했고,

   내접압 테스트 할 때 1500V 전압 인가하는데 절때 조심하라고 하더라구요.

   그렇다면 절연저항값 측정할때도 전압 인가하는거니까 엄청 위험한거 아닌가요?


답변 부탁드려요.


#저항 절연저항 차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보통 가전제품에는 접지, 절연, 내전압 검사를 합니다.

안전검사이죠...

접지검사는 도통검사로 보통 100mA 이하로 측정시 ok 입니다.

절연저항은 보통 dc 전압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전류가 낮기 때문에 손으로 만져도 크게 못느끼는 것입니다.

내전압에 경우는 ac 전압을 사용하며 보통 1500v 나 1800v 를 흘려 검사를 하며

전류가 높기 때문에 위험할수잇다는 것입니다.


실제 현장에서 내전압 시험기 high, low 를 역으로 연결하여 작업자가

다친경우도 있엇습니다.

보통 high 를 전원코드 l/n 에 연결하고 low를 fg 에 연결하는데

이걸 반대로 연결하면 제품 본체에 1500v를 흘리는것이라 작업자가 제품을 만지만

위험하다는것이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반 멀티메터기의 경우 저항을 측정할때 보통 3V나 9V전원을 사용합니다.

물론 수십M옴까지도 측정을 할수 있기때문에 절연저항도 충분히 측정할수 있지만 절연저항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가령 아주 미세한 틈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럼 3~9V로는 틈이 있기때문에 저항값이 무한대로 측정됩니다. 하지만 고압(1000V~1500V)로 측정할때는 미세한 틈을 통해 방전이 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래서 절연저항을 측정할때는 실제 그 기기에서 사용하는 전원보다 2~3배 높은 전압으로 측정을 하는 것입니다.

다만 절연저항을 측정할때는 굳이 높은 전류가 필요하지 않기때문에 아주 낮은 전류로 측정을 합니다. 수십uA정도의 낮은 전류도 보니 사람이 만져도 거의 느끼지 못할정도입니다.


반면에 내전압의 경우는 꽤 높은 전류를 사용합니다. 보통 20mA에서 높게는 100mA까지도 사용합니다.

5mA정도라면 견딜만 하지만 20~30mA이상되면 상당히 충격이 심합니다. 


다시 말해 전압은 둘다 높지만 전류에서 차이가 많이 나기때문에 절연저항기는 만져도 특별히 위험하지 않지만 내전압테스터기는 주의하라는 것이죠.


참고하세요. 

저항, 절연저항, 내접압

... 1.각각 테스트 하는 이유(간단하게..) 2.절연저항값 측정할 때 1000V 전압 인가 하는데 이건 손으로 만지면서 측정했고, 내접압 테스트 할 때 1500V 전압 인가하는데 절때...

(내공300) 절연저항/내전압 시험 하는법...

... R상 내접압 측정하고 S상하면 S상에 빨간케이블선 물리고 R T 점퍼하고, 이런식으로... 질문 1 근데 한꺼번에 떄린다고하면 (또 메가로 절연저항을 측정할때도 마찬가지로)...

메가절연저항 테스터기

... 메가절연저항 테스터기로 전자 기기 측정을 하면 어떤 수치가 나와요... 기기는 내접압(耐電壓)측정을하는것이 보통 입니다. https://kin.naver.com/q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