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전압 질문이요 ㅠㅠ

송전전압 질문이요 ㅠㅠ

작성일 2016.07.3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V^2/R 식에 따르면
송전 과정에서 승압하면 오히려 손실전력이 더 커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왜 I^2R로 계산하는건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송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송전선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합니다.

발전소에서 만들어 내는 전력은 일정합니다. 가령 100kW라는 전력을 수십km떨어진 변전소까지 송전한다고 가정합니다. 여기서 송전선의 저항값이 1옴이라고 가정합시다.


같은 100kW인데 하나는 10000V x 10A 로 보내고, --- (A)

다른 하나는 변압기로 전압을 10배 승압해서 100,000V x 1A ---(B)로 보낸다고 합시다.


여기서 송전선에서 발생하는 손실 전력을 따질때는 P = I^2 x R로 계산하는 것이 편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으로 계산해 보면 (A)의 경우는 P = 10A^2 x 1옴 = 100W가 손실로 발생하고,

(B)의 경우는 P = 1A^2 x 1옴 = 1W가 손실로 발생하므로 전압을 높이는 쪽이 손실이 훨씬 적어지죠.


P = V^2/R 을 적용해 풀어볼까요. 한가지 주의할것은 손실은 송전선에서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따라서 그냥 P = V^2/R을 적용하면 안되고, 송전선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이용해 구해야 합니다.


송전선저항이 1옴이므로 10A가 흐르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10V입니다. 따라서 P = 10V^2/1옴 = 100W가 되고, 1A가 흐르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1V가 되므로 P = 1V^2/1옴 = 1W가 됩니다.


어떻게 계산을 하든 승압을 하면 송전선 손실은 줄어듭니다.

참고하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건 사실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고등학생에겐 좀 빠진 부분이죠.

일단 변압기를 사용해 승압을 하면 전압은 커지고 전류는 작아집니다. 이때 작아진 전류만 가지고 이야기하니 좀 이상한 것 같지요,
여기서 문제가 옴의 법칙을 사용하는 상황이 아닙니다.

변압기 출력을 보면 저항이 커지게 됩니다. 전압은 커지고 전류는 작아지니깐.
따라서 저항을 유지한 송전선은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아진 형태고 대부분의 전압이 송전선에 걸리지 않게 됩니다.
그러니 손실이 줄지요.

송전전압 질문이요 ㅠㅠ

... 따라서 그냥 P = V^2/R을 적용하면 안되고, 송전선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이용해 구해야 합니다. 송전선저항이 1옴이므로 10A가 흐르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송전전력에서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 I = V/R이란 저항에 전압을 공급할때 흐르는 전류에 관한식이지만 위의 질문내용은 송전,또는 트랜스를 이용해 전압,전류를 바꿀때에 대한 것이지 저항에 전압을 가할때...

송전전압 손실관계 도움좀요 ㅠㅠ...

주관식으로 내신다 하셨는데 책을 찾아봐도 안보이는데 도움좀요 전력손실과 전압과의 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시고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추가질문 주세요

물리 송전 변압 질문

... 나머지 ㄴ,ㄷ도 풀이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모르겠어요 ㄱ은 맞는 지문입니다. 이... 변전소 송전 전압의 1/10을 까먹고 있는 상태 이므로, 1차 변전소의 송전 전압은 VB...

손실전력 구하는 법 전압 2배

전압 2배하면 VI=P에서 송전 전류 세기가 1/2되니까 손실 전력이 1/2되는거 아닌가요ㅠㅠ 왜 1/4죠,, 정리하면 질문1. 손실 전력은 P=I^2R로만 구하나요? 질문2. P=VI=I^2R 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