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과학 빙정설

중3과학 빙정설

작성일 2007.10.02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대음 대화 중 틀린 말을 한 사람은 ?

①신양 : 눈이나 비는 구름 속에서 만들어지지.

②정은 : 구름 속에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빙정)가 같이 있을 때 빙정에 물방울이 달라붙어 응결하여 빙정이

             성장, 빙정이 다른 빙정과 합쳐져서 눈이 만들어 지는 거야.

③준호 : 이 눈이 내려오다 녹으면 비가 되기도 해.

④도연 : 열대 지방의 구름 속에는 얼음 알갱이가 없어. 이런 경우에는 작은 물방울들이 구름 속에서 서로

             합쳐지면서 커져 비가 되지.

⑤동환 : 눈의 결정 모양이 다양한 것은 눈이 만들어지는 높이에서 기온과 수증기량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답이 ②번인데요 ;

 

저는 맞는거 같은데 틀렸다고 되있길레 궁금해서요 ...

 

해설쫌 써주세요 ! !

 

관련된걸로 필요한내용있음 좀 써주시면 해요 ~ ; ㅎ

 

부탁드려요 ! ㅠㅠ ; ; ㅎ

 

내공15점 걸께요 ; 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지구과학 1 시간에 졸면서 얼핏 지구과학 선생님께 들었었는데.

맞을지는 확실치는 못하지만.

빙정이 내려오면서 녹습니다./

녹는데 압력차이에 의해서 다시 상승기류를 타고 올라갑니다.

상승기류를 타고 올라가서 다시 빙정이됩니다.

그런 과정을 반복하다가 내리면 눈이 되기도 하고 그런 과정이 너무 많이 반복되다가

큰것이 내리면 우박인거죠.

아마 이렇게 들었엇는데.

맞는지 모르겟네요;;

그리고 빙정이 합쳐진다 저거는 아마 물방울이 합쳐져서 내리는 병합설을 합친 보기로

아마 낚시용 보기라 보시면 될것같네요.

빙정은 얼음 알갱이(고체)인데 어떻게 합쳐져요 ; 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은이가 틀린말을 한것이 맞는데요..^^

 

정은 : 구름 속에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빙정)가 같이 있을 때 빙정에 물방울이 달라붙어 응결하여 빙정이

             성장, 빙정이 다른 빙정과 합쳐져서 눈이 만들어 지는 거야. (초록색 글자가 틀린부분입니다)

 

빙정설 아시죠?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구름속의 얼음알갱이(빙정)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빙정의 크기가 성장하는 것이고, 그것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지표면으로 떨어지면 눈이되는거예요~ 부산처럼 겨울에도 기온이 크게 높지 않은 지방에서는 크기가 커진 빙정이 떨어지면서 녹을테니까 비가 되는거구요.. 

 

보기속 정은이는 빙정설이랑 병합설을 헷갈리고 있는것 같아요.

병합설에 의하면 구름 속 물방울들 끼리 충돌해서 물방울의 크기가 커지거든요,  빙정이 다른빙정이랑 합쳐지는게 아니구요. 크기가 커진 물방울들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지표면으로 떨어지면 비가 되는거구요..

 

궁금증 해소되셨길 바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약간 애매하기는 한데요.....

 

정확히 말하자면 그냥 물방울이 아니라 과포화수(과냉각 물방울)이어야 합니다.

 

중3때라 배우셨을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설명 들어갑니다.

 

한대지방 즉 고위도 지방의 추운 곳에서는 물이 증발하면 서서히 올라가다가 차가운 물방울이 됩니다. 여기서 차

 

가운 물방울이란 과포화수를 말하는 것인데요. 보통 물은 0도 아래에서 얼지요. 그런데 0도 아래에서도 얼지 않고

 

그대로 물로 존재하는 것을 과포화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과포화수가 계속 올라가면 드디어 빙정(얼음알갱이)

 

가 되는 겁니다. 그런데 구름 속에서 이 빙정과 과포화수가 공존하는 곳이 있습니다. 그 곳에서 비나 눈이 만들어

 

지는 것입니다. 일반 물 알갱이는 빙정을 만나도 달라 붙지 않습니다. 이건 포화수증기압 곡선이라는 것으로 해야

 

되는데 중3때 포화와 불포화와 과포화의 차이에 대해서 배우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일정한 온도에서 과포화수에

 

대해서는 불포화 상태가 되고 빙정에 대해서는 과포화상태인 부분이 있는데 이때 바로 비나 눈이 만들어 지는 것

 

입니다. 즉 과포화수에 대해서는 불포화니까 계속 증발이 일어나고 빙정에 대해서는 과포화니까 계속 응결이 일

 

어나 점점 빙정 알갱이가 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물알갱이라는 표현이 정확히는 틀립니다. 또한 뒷부분에서 빙정과 빙정이 붙는다고 하였는데 위에 설명드

 

린 계념을 정확히 숙지하고 계신다면 빙정끼리 붙을 일은 희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

 

하나의 계념을 완전히 잡으려고 말이 좀 길어졌네요. 계념은 확실히 알고 다가갑시다!!!!!

 

그럼 열공하시고 혹 모르는 것이 있으시다면 쪽지로 언제든지 보내주세요. 환영입니다.

중3 과학 빙정설 병합설 질문

중3 과학 빙정설 병합설 질문 문제좀 플어주세요!! 저위도는 뜨거운 지역이기 때문에 구름속 온도가 0도보다 높을때가 있어서 강우밖에 내리지 못하는 반면에 고위도...

중3 과학 빙정설

... 빙정설과 병합설은 지표로 내려오면서의 물방울 상태가... 되면 빙정설, 물방울들이 뭉쳐져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면 병합설이라 합니다. 빙정설이 해당되는 지역에서는...

중3 과학 빙정설

빙정설이 0 ~ -40도 사이에서 얼음 알갱이에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들이 붙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라고 배웠는데요, 0도에서 -40도 사이의 공기는 이미 포화상태 아닌가요?...

중3 과학 빙정설 문제 좀 알려주세요

... 저건 빙정설이라서 눈이랑 비가 오는걸 설명해주는거자나여 그래서 중위도나 고위도구 반대로 저위도는 병합설이라서 5번이 아닙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이유는 c부분은...

중3과학 빙정설

빙정설에서 0도에서 -20도 사이에서 얼음알갱이에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달라붙어 그 크기가 더커진다는데, 0도에서 -20도사이에서 어떻게 물방울이 있을 수 있고...

중3과학 빙정설

구름에 있는 물방울이 어떻게 증발이 돼서 수증기로 변하게 되는 건가요? 구름에 있는 물방울(액체)가 다시 증발하여 수증기로 되는 것은 구름이 바람에 실려 날아가다가...

중3과학 빙정설

... (초록색 글자가 틀린부분입니다) 빙정설 아시죠?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구름속의... 보기속 정은이는 빙정설이랑 병합설을 헷갈리고 있는것 같아요. 병합설에 의하면 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