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에 대한 3가지 질문,

지진에 대한 3가지 질문,

작성일 2005.03.0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진(earthquake)이란 지구적인 힘에 의하여 땅속의 거대한 암반(巖盤)이 갑자기 갈라지면서 그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즉 지진은 지구내부 어딘가에서 급격한 지각변동이 생겨 그 충격으로 생긴 파동, 즉 지진파(seismic wave)가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을 진동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넓은 지역에서 거의 동시에 느껴진다.

  이 때 각 지역의 흔들림의 정도, 즉 진도(seismic intensity)를 조사해 보면 갈라짐이 발생한 땅속 바로 위의 지표, 즉 진앙(epicenter)에서 흔들림이 가장 세고 그곳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약하게 되어 어느 한계점을 지나면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흔들림이 가장 큰 장소 부근의 땅속에서 어떤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여 그것에 의한 진동이 사방으로 전해져 여러 지역을 흔드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종을 쳤을 때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음파와 같은 성질을 갖고 있다.

 지진의 직접적인 원인은 암석권에 있는 판(plate)의 움직임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직접 지진을 일으키기도 하고 다른 형태의 지진 에너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 판을 움직이는 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침강지역에서 판이 암석권 밑의 상부맨틀에 비해 차고 무겁기 때문에 이를 뚫고 들어가려는 힘, 상부 맨틀 밑에서 판이 상승하여 분리되거나 좌우로 넓어지려는 힘, 지구내부의 열대류에 의해 상부맨틀이 판의 밑부분을 끌고 이동하는 힘 등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들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작용하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암석권(lithosphere)은 지표에서 100km 정도 두께의 딱딱한 층이며 그 밑에는 암석권에 비해 덜 딱딱하고 온도도 높아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층이 존재하는데(상부맨틀)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깊이의 한계는 여기까지로 지표로부터 약 700km의 깊이이다(그림 1). 지진발생의 원인에 대한 학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 학설은 다음과 같다.

그림 1. 지구의 내부 구조

(1) 탄성반발설(Elastic rebound theory)

  이 이론은 1906년 캘리포니아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H. F. Reid가 산안드레아스 단층을 조사하여 San Francisco 지진의 원인을 규명한 것이다. 이것은 지면에 기존의 단층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이 단층에 가해지고 있는 힘(탄성력)에 어느 부분이 견딜 수 없게 되는 순간 급격한 파괴를 일으켜 지진이 발생한다는 것으로 이 이론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지진은 장기간에 걸쳐 지각의 일부에 변형이 축적되어 암석의 강도(strength) 한계를 넘게 될 때 이 지각이 파쇄되며 발생한다.
2) 지진발생시, 파쇄전 암석의 양쪽은 변형이 없는 위치로 급속히 튕겨가고 이 운동은 파쇄부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3) 지진에 의한 진동은 처음엔 파쇄면의 작은 면적에서 시작되며 이 면적은 곧 빠른 속도로 팽창해 나간다 (단 이 속도는 P파의 속도보다는 느리다). 파쇄와 이에 수반하는 진동이 맨 처음 시작되는 지각내의 한 점을 진원(focus 또는 hypocenter)이라 부른다.
4) 지진발생시 방출된 에너지는 파쇄되기 직전 변형된 암석의 탄성에너지이다.

  그러나 모든 지진들이 단층운동으로 일어난다고 설명하는 것에는 불충분한 면이 많다. 무엇보다 지진이 단층운동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면 단층을 움직이는 힘은 어디로부터 유래하는가가 다음의 문제로 되는데 이것을 설명하는 학설이 판구조론이다.


(2) 판구조론(Plate tectonics)

  남미의 동부 해안선과 아프리카의 서부 해안선이 잘 들어맞는 현상은 과거부터 하나의 수수께끼로 제시되어 왔다. 1912년 독일의 지질학자인 알프레드 베게너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서 현재 지구의 지각은 약 2억년전에 팡게아라는 하나의 초대륙으로부터 갈라져 나왔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대륙이동설이 원동력이 되어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판구조이론은 현재까지 가장 성공적인 지구물리학 이론 가운데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지구의 표층이라고도 하는 수십km 혹은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진 암석권은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북미판 등 10여개의 판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들은 각각 서로 부딪치거나 밀고 때로는 서로 포개지면서 각각 매년 수cm 정도의 속도로 점성이 있는 맨틀위를 제각기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지각판들의 운동은 그들의 가장자리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경계부위에서 저항을 받는데 이는 두 개의 벽돌을 맞대고 문지를 때 미끄러지지 않으려는 것과 같다. 그러나 지구적인 힘이 판의 마찰저항을 초과할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면 갑작스런 미끄러짐이 일어나며 이것이 바로 지진이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은 보통 판경계(interplate) 부근이지만 판내부(intraplate)에서도 종종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판과 판의 경계에서는 마그마가 분출하기도 쉽기 때문에 지진발생 빈번지역과 화산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서로 유사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이 이론은 대규모 수평면운동이 지진, 화산 및 조산현상의 원인임을 설명하였다.

  일본의 지진은 대부분 태평양쪽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이것은 판경계지진으로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충돌·침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림 2).

 
그림 2. 지구를 둘러싼 주요 판구조도

 

   지진은 크게 인공지진(artificial earthquake)과 자연지진(natural earthquake)으로 나뉜다. 인공지진이란 땅속에서 화약을 폭발시키거나 지하핵실험 등으로 지진과 유사한 현상이 일어 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관계있는 용어로 유발지진(induced earthquake)이 있는데 이는 인공지진은 아니지만 인간의 행위가 원인이 되는 지진으로서, 깊은 우물에 대량의 물을 주입하거나 높은 댐을 만들어 저수할 경우 그 부분에서 지진이 일어나는 경우를 일컫는다. 자연지진은 사람의 행위가 원인이 되지 않는 지진을 말한다. 이는 또한 발생원인이나 형태를 기준으로 다음 3가지 지진으로 분류한다.

 

(1) 구조지진(tectonic earthquake)
(2) 화산지진(volcanic earthquake)
(3) 함몰지진(implosions or collapse earthquake)

 

실제로 일어나는 대부분의 지진은 구조지진으로서 지구내부에서 대규모의 변형을 일으키는 힘의 원동력인 구조력(tectonic force)에 의하여 축적된 탄성에너지가 일시에 방출되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화산지진은 화산지역에서 화산폭발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지진이며, 함몰지진은 지각 내부 어디에서 연약한 지반이나 공동(空洞)이 내려앉으면서 발생하는 지진이다.
한편, 진앙거리 600km를 기준으로 그보다 가까운 것은 근거리 지진으로, 먼 것은 원거리 지진으로 구분한다. 또한, 진원의 깊이에 의해 70km미만은 천발지진(淺發地震, shallow earthquake), 70km∼300km사이는 중발지진(中發地震, intermediate earthquake), 300km이상은 심발지진(深發地震, deep earthquake)이라 부른다.
제한된 공간과 시간내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가장 큰 지진을 본진(本震 main shock)이라 하고 그 앞에 나타난 지진은 전진(前震, foreshock), 그 뒤에 발생한 지진은 여진(餘震, aftershock)이라 한다. 본진이라 할 만한 지진이 없을 경우에는 이들을 통틀어 무리지진(群發地震, swarm) 혹은 지진군(地震群)이라 한다. 또한 사람의 몸으로 느낄 수 없고 지진계에만 기록되는 지진을 무감지진(無感地震), 사람이 느꼈으면 유감지진(有感地震)이라 한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언제, 어디서, 얼마나 큰 지진인가'를 규명해야 하는데 이들은 각각 진원시, 진원, 규모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지진요소라 한다. 지진요소는 지진계(Seismograph)에 의한 지진파 기록의 분석결과로 구할 수 있다.

 

1) 진원시(Origin time)

  어떤 지점에서 지진동을 느꼈다면 이 지진동이 전파하기 시작한 시각이 있을 것이다. 즉, 지진파가 처음 발생한 시각이 바로 진원시이다. 이것은 어떤 지점에서 진동이 감지되거나 지진계에 기록된 시각보다 지진파가 전파해온 시간인 주행시간(travel time) 만큼 빠를 것이다. 지진파는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리에 비례하여 도착하게 된다. 즉 우리가 진동을 느끼거나 지진계에 기록되는 시각은 지진의 발생지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각각 차이를 두고 나타난다. 따라서 여러 곳에서 시간차를 두고 기록되었다 해도 결국 진원시를 계산해 보면 모두 같은 시각 값을 갖게 된다.

 

2) 진원(Hypocenter)과 진앙(Epicenter)

  진원이란 암석의 파괴가 일어난 지점으로 깊이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실제로 암석의 파괴가 일어난 범위는 수 십km 또는 수 백km에 달하므로 지진파의 전부가 한 점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지진은 일정한 넓이를 가진 영역에서 일어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영역을 진원역이라고 한다.
진원은 진원역 중에서 최초로 지진파가 발생된 점, 즉 지진이 시작된 점으로 반드시 진원역의 중심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진앙은 진원의 바로 위 지표면의 지점이다. 진원지라고 하는 것은 진앙의 지명이다.
진원은 진앙의 위도, 경도와 진원깊이로 나타낸다. 이밖에 공간적 요소로서 진원거리와 진앙거리가 있는데 이들은 각각 임의의 관측소에서 진원과 진앙까지의 거리를 말한다.(그림 1)


그림 1. 진앙(거리), 진원(거리)의 설명도(FA : 진원, AB : 진앙거리)


3) 규모(Magnitude)와 진도(Seismic intensity)



  지진의 크기를 대표하는 수치로는 절대적 개념의 '규모'와 상대적 개념의 '진도'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1) 규모(Magnitude)

  규모란 지진발생시 그 자체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양으로서 진동에너지에 해당한다.
이는 계측관측에 의하여 계산된 객관적 지수이며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과 발생지점까지의 진앙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M 5.0 이라고 표현할 때 M은 Magnitude를 의미하고 수치는 보통 소수 1자리까지 나타낸다. 지진파에너지 Es와 규모 M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다(Gutenberg와 Richter).

                                                            log Es = 11.8 + 1.5M

 

  여기서 M은 단위가 없으며, Es는 erg 단위를 갖는다. 이 식에 의하면 규모가 1만큼 증가하면 에너지는 30배로 커지게 된다. 지진규모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사람은 미국의 지진학자 C. F. Richter인데 그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지역에서 발생한 국지지진(local earthquake)의 크기를 정량화하면서 규모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 후로 그의 이름을 따라 국지규모를 Richter scale이라고도 한다. 그는 국지규모(ML)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ML=log A-logAo(Δ)

 

  여기서 A 는 Wood-Anderson 지진계에 기록된 최대변위(mm), Δ는 진앙거리(km), Ao(Δ)는 진앙거리 Δ에서 나타나는 기준지진(standard earthquake)의 최대변위를 각각 나타낸다. 위의 식에서 logAo(Δ)항은 진앙거리에 따라 지진파의 진폭(amplitude)이 감쇠하는 것을 고려하는 항으로써, 지진파가 전파되는 매질의 특성을 나타내며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진다.
Bullen and Bolt(1985)는 Wood-Anderson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지진의 규모를 다음 식으로부터 결정하였다.

                                                            M=logAH+2.56logΔ-1.67

 

  여기서 M은 지진의 규모, AH는 수평성분의 최대변위(μm), Δ는 진앙으로부터 관측점까지의 거리(km)를 나타낸다. 이 식에서 사용된 감쇠항, 2.56logΔ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지역에서 지진파가 전파할 때 진앙거리에 따라 진폭이 감쇠되는 정도를 설명하는 값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지역에 적절한 지진의 규모식을 개발하기 위해서 감쇠항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표면파규모(Ms)와 실체파규모(mb)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을 구분하는 이유는 에너지의 총 방출량이 유사한 경우라도 천발지진과 심발지진의 지진기록이 매우 상이한 모양을 나타내기 때문에 천발지진은 표면파를 이용하고 심발지진은 실체파를 이용하여 규모를 구하기 위함이다. Gutenberg와 Richter(1936)는 ML의 개념을 진앙거리가 먼 천발지진에 적용하여 20초 주기의 레일리파의 최대 진폭으로부터 규모를 결정하였다그 뒤에도 표면파 규모에 대한 여러 가지 관계식이 제시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일반형으로 표시된다.

                                                            Ms=log(A/T)+af(Δ,h)+b

  여기서 A는 최대진폭, T는 주기, Δ는 진앙거리, h는 진원의 깊이이고, a와 b는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상수이다. 천발지진에 대한 Bath의 관계식을 예로 들면

                                                            Ms=log(A/T)+1.66f(Δ,h)+3.3

으로 주어진다.심발지진의 경우 표면파를 발생시키는데는 비효과적이므로 Gutenberg(1945)는 실체파의 최대 진폭으로부터 규모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체파규모를 나타내는 실험식도 위와 동일한 형으로서,

                                                            mb=log(A/T)+af(Δ,h)+b

 

이다. 여기에서 f는 앞에서와 같이 지진 에너지의 구형발산효과와 감쇠를 고려한 진앙거리 및 진원의 깊이에 대한 함수이다. 천발지진의 경우 Ms과 mb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실험적 관계가 성립한다.

                                                            mb=0.56Ms+2.9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를 결정할 때에는, 지진기록의 지속시간(signal duration)을 이용하거나 최대 수평 성분을 이용한다. 현재 기상청(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KMA)에서는 최대 수평 성분을 이용하여 규모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음 식을 사용한다(김상조 외, 1983).

                                                            M=1.73logΔ+logA-0.83

  여기서, Δ는 진앙거리(km)이며, A는 지진계에 기록된 진폭(μm)으로서 NS와 EW를 각각 동서방향 및 남북방향의 최대 속도 성분이라고 할 때, 그 두 성분의 벡터합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일본의 Tsuboi가 제안한 규모식으로서 일본 기상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규모 결정식 중의 하나이다.

 

(2) 진도(Seismic intensity)

  진도는 어떤 장소에 나타난 지진동의 세기를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척도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계측기에 의해서 직접 관측한 값을 진도 값으로 채용하는 경우도 많다. 진도는 지진의 규모와 진앙거리, 진원깊이에 따라 크게 좌우될 뿐만 아니라 그 지역의 지질구조와 구조물의 형태 및 인원현황에 따라 달리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규모와 진도는 1대1 대응이 성립하지 않으며 하나의 지진에 대하여 여러 지역에서의 규모는 동일수치이나 진도 계급은 달라질 수 있다.
진도는 계급값을 쓰는 대신 가속도단위(cm/sec²)로 나타내기도 하고, 중력가속도 1g=980cm/sec²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 cm/sec²는 gal로 표시하며 1g=980gal이라고도 쓴다. 진도는 어떤 장소에 나타난 지진동의 세기를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척도이다. 따라서 진도계급은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답변확정하고 있다.
기상청은 과거 일본 기상청계급(JMA Scale : 1949)을 사용하여 왔으나 2001년 1월 1일부터는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가 사용하는 MM scale (Modified Mercalli scale : 1931, 1956)을 사용한다.(표 1)



                                              <표 1>MM scale(수정 메르칼리 진도계급)

평균속도 (cm/sec)

진도값과 설명

평균최대가속도
(cm/sec²) (1g=980cm/sec²)

















 1∼2






 
2∼5

 

  


5∼8





8∼12






  20∼30

 

 

  


45∼55

 

 

  
60이상


Ⅰ. 특별히 좋은 상태에서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전혀 느낄 수
      없다(Ⅰ.Rossi-Forel 등급).

Ⅱ. 소수의 사람들, 특히 건물의 윗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서만
      느낀다. 섬세하게 매달린 물체가 흔들린다.

       (Ⅰ에서 ⅡRossi-Forel 등급).

Ⅲ. 실내에서 현저하게 느끼게 되는데 특히 건물의 윗층에 있는
     사람에게  더욱 그렇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그것이 지진이라고 인식하지 못한다.
      정지하고 있는 차는 약간 흔들린다. 트럭이 지나가는 것과 같은
      진동, 지속시간이 산출된다.

      (Ⅲ.Rossi-Forel 등급).

Ⅳ. 지진동안 실내에 서있는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으나 옥외에서는
      거의 느낄 수 없다. 밤에는 잠을 깨운다. 그릇, 창문, 문등이 소란
      하며 벽이 갈라지는 소리를 낸다. 대형트럭이 벽을 받는 느낌을 준다.
      정지하고 있는 자동차가 뚜렷하게 움직인다

      (Ⅳ에서Ⅴ.Rossi-Forel 등급).

Ⅴ. 거의 모든 사람들에 의해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잠을 깬다.
      약간의 그릇과 창문등이 깨지고 어떤 곳에서는 플라스터에
      금이 간다. 불안정한 물체는 뒤집어 진다.
      나무, 전선주, 다른 높은 물체의 교란이 심하다. 추시계가 멈춘다

       (Ⅴ에서Ⅳ.Rossi-Forel 등급).

Ⅵ. 모든 사람들에 의해서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놀라서 밖으로 뛰어
      나간다. 어떤 무거운 가구가 움직인다. 떨어진 플라스터와 피해를
      입은 굴뚝이 약간 있다

       (Ⅵ에서Ⅶ.Rossi-Forel 등급). S

Ⅶ. 모든 사람들이 밖으로 뛰어 나온다. 아주 잘 설계되었거나 건축된
     건물에서는 피해가 무시될 수 있고, 보통 건축물에서는 약간의 피해
     가 있으며, 열등한 건축물에서는 아주 크게 피해를 입는다.
     굴뚝이 무너지고 운전하고 있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다.

      (Ⅷ.Rossi-Forel 등급).

Ⅷ. 특별히 설계된 구조물에서는 약간 피해가 있고, 보통 건축물에서는
     부분적인 붕괴(崩壞)와 더불어 상당한 피해를 일으키며,
     열등한 건축물에서는 아주 심하게 피해를 준다.
     창 틀로부터 무너진 창벽, 굴뚝, 공장 재고품, 기둥, 기념비, 벽들이
     무너진다. 무거운 가구가 뒤집어 진다. 모래와 진흙이 나온다.
     우물수면의 변화가 있고 운전자가 방해를 받는다

       (Ⅷ에서Ⅸ.Rossi-Forel 등급).

Ⅸ. 특별히 설계된 구조물에 상단한 피해를 준다. 잘 설계된 구조물은
     기울어짐. 실제구조물에는 큰 피해를 주며, 부분적으로 붕괴를
      한다. 건물은 기초에서 벗어난다. 땅에는 금이 명백하게 간다.
     지하파이프도 부러진다

       (Ⅸ이상 Rossi-Forel 등급).

Ⅹ. 잘 지어진 목조구조물이 파괴된다. 대개의 석조건물과 그 구조물이
      기초와 함께 무너진다. 땅에 심한 금이 간다. 철도가 휘어진다.
      산사태가 강둑이나 경사면에서 생기며 모래와 진흙이 이동된다.
      물이 튀어 나오며, 뚝을 넘어 쏟아진다.

       (Ⅹ. Rossi-Forel 등급).

XI. 남아있는 석조구조물은 거의 없다. 다리가 부서지고 땅이 넓은 균열
      이 간다. 지하 파이프가 완전히 파괴된다. 연약한 땅이 푹 꺼지고
      지층이 어긋난다. 기차선로가 심하게 휘어진다

XII. 전면적인 피해. 지표면에 파동이 보인다 시야와 수평면이 뒤틀린다.
      물체가 하늘로 던져진다.

















0.015g∼0.02g





 

0.03g∼0.04g

 

 

 
0.06g∼0.07g





0.10g∼0.15g






0.25g∼0.30g

 

 

 


0.50g∼0.55g  

 

 


0.60g이상

 

 

 


(3) 잘못 사용되는 용어

o 국제적으로 '규모'는 소수 1위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고 '진도'는 정수단위의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이다. (ex. 규모 5.6, 진도 Ⅳ)
o '리히터지진계로 진도 5.6의 지진'은 틀린 표현이며 '리히터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또는 단순히 '규모 5.6의 지진'라 표현해야 한다.
   (※ '리히터지진계'라는 기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o '진도 5.6'은 틀린 표현이며 '규모 5.6'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은 표기법이다.
o '강도'라는 표현은 지진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td>

 

1)지진파란

  암석의 파괴가 일어난 진원역으로부터 탄성체인 지구의 내부 또는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탄성파(elastic wave)를 지진파라 한다. 지진계에 기록되는 파형은 지진파가 통과하면서 일으키는 매질의 변형에 의한 것이다<그림 1>.



 



        <그림 1> P파, S파, Love파, Rayleigh파의 입자운동 모형


(2) 지진파의 분류

 지진파는 전파특성에 따라 <표 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표 1> 지진파의 구분 및 특성

지진파 구분

지진파의 특성

실체파
(body wave)

P파 : 종파
(Primary wave)

  ① 밀도의 소·밀에 의한 지각 변화파
  ② 음파와 같은 소밀파로서 모든 매질에서 전파됨
S파 : 횡파
(Secondary wave)
  ① 밀도의 변화는 없이 지각의 변형만 있음
  ② 진행방향에 수직인 횡운동에 의하며 액체 내부
      (지구의 외핵과 내핵)는 통과할 수 없음

표면파
(surface wave)

LQ파

(Love wave)

  ① 하층은 파동이 없고 윗부분만 파가 전달되며
      밀도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음
  ② Love파는 S파의 수평운동 성분인 SH파로서 수직
      운동 성분 지진계에는 거의 기록되지 않음

LR파

(Rayleigh wave)

  ① 밀도의 변화가 심하며 파동형식의 S파, P파의
      복합적 성질을 보임
  ② P파와 S파의 수직운동 SV파가 조합된 성질을 가지며
      수평운동성분 지진계에는 거의 기록되지 않음
기타
자유진동

(free oscillation)

  ①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종이 울리고 난 것 처럼
      수일~수주간에 걸쳐 나타나는 지구 전체의 진동
  ② 체적변화를 수반하는 구상진동(spheroidal vibration)과
      체적의 변화가 없는 뒤틀림진동(tortional vibration)으로
      구분됨


아래의 <그림 2>는 표면파의 하나인 Rayleigh파의 진동모양을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_________________

                                                 <그림 2> Rayleigh파의 입자운동 모형

 

1. 지진해일이란

  해저지진이나 해저화산분화, 산사태, 해저핵실험 등 기상 이외의 요인에 의해 해저가 융기하거나 침강하여
해수면이 변화하면서 발생한 파를 지진해일 이라 한다.


2. 지진해일의 성질

  바다에서의 파는 주기가 1초 이하의 것에서부터 24시간 이상의 것까지 여러 종류의 파군이 있으나 지진해일은 그 중 수분에서 1∼2시간에 걸친 파이다. 전파속도는 수심에 비례한다.

                                                                  

로 나타내며, 여기서 h는 수심, g는 중력가속도(9.8m/sec²)이다. 따라서, 수심이 2,000m라면 속도는 504㎞/hr, 1,000m라면 356㎞/hr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의 경우 규모 6.3이상으로 진원깊이 80km이하의 얕은 곳에서 수직 단층운동에 의한 지진일 경우 발생 가능성이 있다.

3. 지진해일의 규모

  지진해일도 지진과 같이 규모나 계급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규모를 m, 파고(지진해일의 높이)를 H라 할 때

                                                                  

  로 나타낸다.

4. 지진해일 예보

  현재의 과학기술로 지진발생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먼 거리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해서는 그 도착 시각을 예측할 수 있다. 가령 지진이 동해 북동부 해역(일본 북서근해)에서 발생할 경우 이로 인한 지진해일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후에 동해안에 도달하므로 적절한 경보 발표로 30분에서 1시간정도 대비시간을 가질 수 있다.
지진발생 후 지진해일이 발생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찾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해상에서 일정한 규모 이상의 얕은 지진이 발생할 경우 "주의보" 또는 "경보"를 발표하는 것이 국제적인 관례이다.

5. 지진해일 피해사례

  1983년 과 1993년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해일로 인하여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피해가 발생하였다. (표1)


       <표1> 지진해일 피해사례

발생시기

1983. 5. 26 ~ 27

1993. 7. 12 ~ 13

지진

  진원시
  진 앙
  규 모

  5월 26일 11시 59분
  일본 혼슈북구
  7.7

  7월 12일 22시 17분
  일본 훗카이도 오쿠시리섬 북서쪽근해
  7.8

지진

해일

  제1파 도착시각

  울릉도 : 13시 17분
  묵   호 : 13시 35분
  속   초 : 13시 43분
  포   항 : 13시 52분

  울릉도 : 23시 47분
  속   초 : 00시 00분
  동   해 : 00시 09분
  포   항 : 01시 18분

  최대파고(cm) :
  총수위변동폭/
  평균수면상 높이

  울릉도 : 126 / 80
  묵   호 : 200이상 / 150이상
  속   초 : 156 / 123
  포   항 : 62 / 52

  울릉도 : 119 / 89
  묵   호 : 203 / 130
  속   초 : 276 / 213
  포   항 : 92 / 76

  평균주기(분)

  8 ~ 12

  8 ~ 10

  지속시간(시) :
  큰수위변동/전체

  3 ~ 5 / 24이상

  2 ~ 4 / 24이상

  피해사항

  인명 : 사망 1, 실종 2, 부상 2
  선박(소형): 81척
  건물. 시설:100여건

  인명 : 피해없음
  선박(소형):35척
  어망. 어구:3000여 통

  총피해액
  (당시금액)

  3억 7천만원

  3억 9천만원


6. 지진해일 대처요령

  지진해일은 다른 해일과 발생원인이 다르므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유념하여 대처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는 먼 태평양에서 밀려오는 지진해일에 대해선 안전한 편이나 주변 해역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 격심한 지면진동을 느끼면 가까운 곳에서 큰 지진이 난 것이므로 해안지역의 주민은 즉시 높은 지대로 대피하
  여야 한다.
* 해안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은 수 분 이내에 해안으로 밀려오므로 지진경보를 듣고 대비할 여유가 없
  음.

- 해안에서 먼 거리에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해서는 기상청이 해일특보를 사전에 발표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하여
  재해대책요원의 안내에 따라 대비하거나 필요한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 지진해일은 약 10분 간격으로 반복되며 제 3파나 제 4파(약 30분)에서 최대가 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상태가
  약 3-4시간 지속된 후 점차 약화되면서 하루정도 지속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 지진해일 특보가 발표되면 수영, 보트놀이, 낚시, 야영 등을 즉시 중지하여야 한다.

- 지진해일시 먼바다에서 조업중인 선박은 해일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항구 밖에서 대기하며,
  시간적 여유가 있을 경우에 항 내의 선박도 먼바다로 대피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진활동이 일어나는 이유>

 

단층면에 의하여 땅속의 거대한 암반이 갑자기 갈라지면서 그 충격으로 땅이 어긋나는 현상

 

<지진활동의 피해>

 

인명피해

재산피해

도로가 손상됨

둑이 무너짐

등등,,

 

<지진이 자주일어나는 지역>

 

대표적인  일본

칠레

맥시코

콜롬비아

미국 샌프란 시스코

중국 칭하이

필리핀

인도네시아

러시아 사할린

이란

볼리비아

인도

터키

타이완

등등,,

지진에 대한 3가지 질문,

... 거대한 암반(巖盤)이 갑자기 갈라지면서 그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는 현상을... 이는 또한 발생원인이나 형태를 기준으로 다음 3가지 지진으로 분류한다. (1)...

지진에 대한 건데요;

... 제가 질문하는 것을 잘 읽고 대답해 주셨음 좋겠습니다;; ^ㅡ^; 협조해 주세요~ 지진이 발생하는 지역은 판의 경계와 일치합니다 판의 경계는 기본 3가지로 나뉘는데...

지진에 대하여.....

... 질문: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 이렇게 3가지 질문에 답해주시길 바랍니다..... 지진 대피요령 ◆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 ◆ 지진이란 땅속의 거대한 암반이 갑자기...

대피방법, 지진때문에생긴 피해 이3가지...

... 학교숙제땜시 이 질문을 합니다.;;; 스탭 원.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 스탭 투. 대피... 지진에 대한 피해!!! 이 세가지 정확히 알려주시는 분께,채택을 해드릴게요!!! 만약에...

지진분리이음에 대한 문의입니다.

... 현법을 보면 지진분리이음이 3가지의 성능(축방향 변위, 회전, 1° 이상의 각도... # 질문 현재 설치되는 지진분리이음의 성능을 현법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지진에대한질문이요!제발 빨리요!...

질문바로 시작할께요! 1집안에 있을 때,2 빌딩안에 있을 때... 여행줄일때 지진이 일어났다면 어떻해 해야될까요?????... 그냥 크게 3가지로 답변해드릴게요 건물 안에 있을때...

점에 대한 질문 3가지(아무나 답변 부탁)...

... 안녕하세요 점 뺀 곳을 누르면 아픈데 정상인지 질문 주셨는데요. 네 아직 점을 뺀 부위는 레이저로 직접 지진 곳이기 때문에 며칠간은 따갑거나 아프다거나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