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검] 고1지구과학 변환단층의생성원리 해령과판의경계 폭발,분출형화...

[내공검] 고1지구과학 변환단층의생성원리 해령과판의경계 폭발,분출형화...

작성일 2005.04.23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질문1. 변환단층의 생성원리가 뭔가요?

 

지식인 답변보니 대부분 빙빙 돌고 맥을 집는 명쾌한 해설은 없더라구요..

 

멀쩡한 해령이 왜 좌로 우로 갈라지는건지..

 

그리구 변환단층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지진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또 변환단층과 보존경계는 같은 지역을 말하는건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 가르쳐 주세요.

 

질문2. 해령과 판의 경계는 일치하나요?

 

어떤분 그림 보니까 해령과 해구 사이에 빈공간이 있고 해령은 위로 나오는 형태고 해구가 안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되어있던데;;

 

그렇다면 해령과 해구는 판의 경계와 일치한다는 건가요?

 

아니라면 판의경계는 다른 어떤것과 관계가 있나요?

 

질문3. 다른형태로 분출되는 화산의 이유

 

왜 똑같은 화산인데도 어떤화산은 폭발형이고 어떤화산은 분출형인거죠?

 

질문4. 해령과 해구는 꼭 바다와 관련되어서만 나타나나요?

 

육지 지각끼리 충돌해서 해령같은것들이 생겨나 거리가 점점 멀어진다거나

 

육지 지각끼리 부딪혀서 해구가 생성된다거나

 

이런일들은 벌어지지 않는건가요?

 

제가 뭔가 핵심을 놓치고 빙빙 돌고 있다는 느낌이 드네요 ㅎㅎ;;

 

학교선생들은 물어봐도 귀찮어 하기만 하구요;;

 

오로지 지식인 밖에 없답니다 ^0^;;

 

좀 도와주세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빙빙 안돌리고 딱!! 답변만 드리겠습니다.

 

 

질문1. 변환단층의 생성원리가 뭔가요?

 

변환단층은 해령에서 서로 멀어지는 판 내의 지각의 이동속도가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 속도가 다른 부분의 경계가 깨어지면서 생깁니다.

 

멀쩡한 해령이 왜 좌로 우로 갈라지는건지..

 

멀쩡한 해령이 좌우로 갈라진게 아니라, 마그마의 상승으로 인해 판이 갈라진 곳을

 

해령이라고 합니다. 마그마는 대류합니다. 대류를 하면 위로 솟아나는 부분이

 

이곳저곳에 생기겠죠?? 물론 아래로 하강하는 부분도 있구요. 이 솟아나는 부분에서

 

마그마가 굳으면서 돌이 만들어져서 그 곳을 경계로 해양판을 양쪽으로 밀쳐내는

 

겁니다.

 

그리고, 이 해령에서 갈라지는 속도는 지점마다 다 다릅니다. 어떤 곳은 빠르고

 

어떤 곳은 상대적으로 느려요. 그 때문에 해령에서 거의 수직방향으로 변환단층이

 

생기는겁니다. 과자 갖다놓고 안번 해보세요. 과자를 꽉 붙잡고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오른손보다 왼손이 더 빠르게 이동 시키면?? 과자가 부서지겠죠??

 

옆으로 스치면서 부서질겁니다. 그게 변환단층이에요.

 

 

그리구 변환단층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지진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그림이 있으면 좋을텐데...

 

변환단층이 일어나는 지역을 잘 보시면서 각 부분의 이동방향을 표시해보세요.

 

해령 근처에서는 두 블럭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저~ 멀리로 가면 두 블럭이

 

같은방향으로 이동하는 걸 보실 수 있을겁니다. 여기서 서로 반대로 이동하는 부분에서

 

지진이 일어납니다. 해령에서 가까운 부분에 국한되어있죠.

 

그리고 그 깊이는 8km를 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해양지각의 두께가 4.5km~ 8km거든요.

 

윗분... 150km면 맨틀입니다... 무슨 말도 안되는..ㅡㅡ;;  

 

참고로 말씀드리면 진원의 깊이가 65km보다 위인 지진을 천발지진이라고 합니다.

 

150km면 중발지진이죠.

 

또 변환단층과 보존경계는 같은 지역을 말하는건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 가르쳐 주세요.

 

판의 경계에는 서로 멀어지는 발산경계, 서로 가까워지는 수렴경계, 거리가 유지되는

 

보존경계 이렇게 3가지가 있구요. 이 중 보존경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 변환단층

 

입니다.

 

질문2. 해령과 판의 경계는 일치하나요?

 

어떤분 그림 보니까 해령과 해구 사이에 빈공간이 있고 해령은 위로 나오는 형태고 해구가 안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되어있던데;;

 

그렇다면 해령과 해구는 판의 경계와 일치한다는 건가요?

 

해령과 해구는 아~주 멀리 떨어져있습니다. 구조를 예를들어 설명드릴께요.

 

태평양에는 길~다란 해령이 있습니다. 이 해령을 축으로, 양 옆으로 지각이 이동합니다.

 

이렇게 옆으로 계~속 이동하던 지각이 다른 지각과 만나서 충돌하면 그 곳에 해구가

 

생깁니다.

 

해령은 한 판 내에서 양 옆으로 갈라지는 곳입니다. 그래서 해령은

 

판의 경계가 아닙니다. 위에서 처럼, 해령의 왼쪽도 태평양판이고, 오른쪽도 태평양판

 

입니다. 하지만 잘 보시면, 해구는 퍼져나가던 판과 다른 판이 충돌한 곳에서 생기는겁

 

니다. 그래서 판의 경계가 되죠.

 

아니라면 판의경계는 다른 어떤것과 관계가 있나요?

 

판의 경계는...음... 지구 전체로 볼 때, 맨틀 위를 떠다니는 조각 하나하나가 개개의 판

 

입니다. 서로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있다면 그건 판의 경계죠. 판끼리 충돌한다고 해서

 

그 두 판이 붙는게 아닙니다. 한 판은 위로 올라다고 다른 판은 아래로 가라앉습니다.

 

그래서 해구는 판의 경계가 되는거죠.그리고, 해령에서는 판이 갈라진게 아닙니다.

 

마그마가 밑에서 계속 밀치고 올라오면서 굳어가는거죠. 화산이 있다고 해서 그 판에

 

구멍이 난게 아닌 것 처럼요.

 

 

질문3. 다른형태로 분출되는 화산의 이유

 

왜 똑같은 화산인데도 어떤화산은 폭발형이고 어떤화산은 분출형인거죠?

 

마그마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화산은 마그마가 지표를 뚫고 상승한 것입니다. 이 마그마의 성질에 따라 화산의

 

특징이 나뉩니다. 지각을 구성하는 성분 중에 SiO2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게 많이

 

포함된 마그마는 끈적끈적하고, 적게 포함된 마그마는 묽습니다. 그래서 끈적끈적한

 

마그마는 잘 움직이려 하지 않기 때문에 밑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최대한 버티다가

 

한번에 폭발해서 폭발성을 띠고, 묽은 마그마는 밀면 미는대로 흘러나오기 때문에

 

분출형입니다. 물을 끓일 때보다, 팥줄을 끓일 때 거품의 크기가 더 크죠?? 그것과

 

같습니다.

 

 

질문4. 해령과 해구는 꼭 바다와 관련되어서만 나타나나요?

 

육지 지각끼리 충돌해서 해령같은것들이 생겨나 거리가 점점 멀어진다거나

 

육지 지각끼리 부딪혀서 해구가 생성된다거나

 

이런일들은 벌어지지 않는건가요?

 

해령은 바다와 관련하여서만 나타나고, 해구는 육지든 바다든 간에 판끼리 부딪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생길 수 있습니다.(단, 해양판-대륙판의 충돌지역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해령은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마그마의 상승으로 두 판이 서로 갈라지는 곳입니다.

 

그런데 맨틀의 마그마가 굳어서 된 암석은 뭐가 될까요?? 해양지각이 됩니다.

 

설사 대륙지각의 한 복판에서 맨틀의 마그마가 상승해서 해령이 만들어졌다고 해도

 

그렇게 되면 그 곳을 중심으로 대륙이 갈라지면서 그 사이에 바닷물이 들어오게 됩니다.

 

해양지각이 되버리는거죠.(아라비아반도 서쪽에 있는 홍해가 그 예입니다.)

 

그리고 해구는 두 판이 부딪히면서 한판이 다른 판 밑으로 기어들어가서 생기는 고랑

 

입니다. 그런데 어떤 판이 기어들어갈까요?? 밀도가 큰 판이 기어들어갑니다. 무거우니깐

 

당연하겠죠? 그런데 대륙-대룩이나 해양-해양 판의 충돌에서는 두 판의 밀도 차이가 별로

 

크지 않겠죠?? 그래서 해구도 그냥 애매하게 생깁니다. 하지만 대륙-해양판의 수렴경계

 

에서는 해양판이 대륙지각보다 밀도가 훨씬 크기 때문에 해양판이 확실하게 밑으로

 

기어들어갑니다. 그래서 그 고랑도 뚜렷하게 생기는거죠.

 

 

답변이 되셨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변환단층의 생성원리는 간단합니다. 해령이 생성되는 것은 맨틀의 대류때문인데 이것이 모든 지역이 일정할 수는 없기때문에 변환단층이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변환단층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천발지진(심도 150킬로미터이내)이 일어납니다.

 

보존형경계는 판의 경계를 나눌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보존형 경계에 변환단층이 포함되는 것이지요 보존형 경계의 정의는 판이 생성되지도 소멸되지도 않는 곳을 말하는 것입니다.

 

질문2

판의 경계를 나눌때에는 위에 나온 보존형 경계, 수렴형 경계, 발산형 경계가 있습니다.

수렴형 경계는 충돌형과 섭입형으로 나뉘는데 섭입형의 경우 해구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발산형 경계에서는 해령이 생성됩니다.

 

질문3

화산의 분출형태는 그 화산의 마그마의 종류와 관계가 있습니다. 용암의 종류는 크게 현무암질 용암과 안산암질용암, 유문암질 용암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틍징중에서 화산의 형태와 가장 관련이 깊은것은 점성도 인데요 점성이 클수록 폭발이 크게 일어나게 됩니다. 점성도의 크기는 위의 나열한 순으로 커지게 됩니다.

 

질문4

판의 경계는 판의 종류가 무엇인지와 관계가 깊습니다. 그 이유는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대륙지각의 밀도가 해양지각의 밀도보다 낮기때문에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이 부딪힐때에는 무거운 해양지각이 아래로 깔리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대륙지각이 올라가면서 해구가 형성되는 섭입형경계가 생깁니다. 그리고 대륙지각끼리의 충돌에서는 서로 밀도가 비슷하기때문에 충돌형으로 습곡산맥이 생기게 되는데 히말라야 산맥이 이에 해당합니다.

 

예외적으로 해양지각과 대륙지각의 경계에서 습곡산맥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로 안데스 산맥이 있습니다.

 

더 필요하신 내용은 추가질문으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이사이트로                 junior kent라는곳을 네이벙쳐서 들어가보세여 그럼나올꺼에요^_^ 전언제나친절해요^_^

고1 지구과학에나오는 해령과 변환단층...

... 해령으로 인해 판이 생성된다고 했는데 그럼 지금있는 12개의 판은 모두 그렇게... 그리고 보존형경계변환단층에서 해령이 끊어져 있짢아요 그게 변환단층 때문에 끊어진...

고1 지구과학 지학사 p.252 쪽!! 질문...

고1 지구과학인데요 - (고1 과학 지구과학파트 p252 참조♡ ) 1. 히말라야 산맥 판의 이름 , 판의 종류 , 경계의 형태 , 기타 특징! 2. 산안드레아스 단층 판의 이름, 판의 종류...

고1 지구과학입니다.

... 고1 지구과학 파트에서 나오는 열곡의 뜻은 정확히 무엇인가요... 변환단층(보존형 경계)에서는 맨틀대류의 상승이나 하강이 없기때문에 판의 소멸,생성이 일어나지 않고...

고1 지구과학 개념 심화?? 질문~~

... 생성 된다는 건 알겠는데 대륙지각은 어떻게 생성 되는거죠? 또 해령에서 해구로 갈수록 수심이 증가한다는데 그이유좀여 .. 그림이 있으면 더욱 ㄳ 3.발산형 경계에서는...

고1 지구과학() 질문입니다~

... 3) C는 발산경계로 나즈카판과 태평양판의 경계로 동태평양해령이 발달한다. 4) D는 변환단층으로 판의 생성이나 소멸이 일어나지 않는다. 5) E는 남아메리카판 밑으로...

낼 시험입니다!! 고1 지구과학 질문입니다..

... 경계에서 해령이 존재하나요? 보존형경계에서 맨틀이 위로 올라 오는 건 알겠는데.. 질문2) 변환 단층이랑... 일단 그림입니다 빨간색이 이 해령이구요 해령에서 판이 생성되...

지구과학 고1꺼 ㅠㅠ

... 판이 생성되는 해령에서 볼 수 있는 경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렴형 경계는... 그곳이 보존형경계, 변환단층이 있는 부분입니다. 3. 천발지진/심발지진 이게 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