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

작성일 2008.03.16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는 뭐가 감소해서 그런건가요?


#높이 올라갈수록 추운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 #높이 올라갈수록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이 올라갈수록 온도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에 두 분 대체 무슨 말씀들을하시는지..

대기권은 일단 크게 4부분으로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분류되어있습니다.

이 중에서 올라가면서 온도가 내려가는 권은 대류권과 중간권인데요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받는 지구는 지표에서 다시 에너지를 방출하는

지표복사 에너지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지표복사에너지라는 것 때문에 지구표면과 가장 가까운 권인 대류권이

아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반면 위로 올라갈 수록 이 에너지의 힘이 약해져

온도가 내려가게 되는 겁니다.

하지만 성층권에서는 다시 온도가 올라가죠,

왜냐하면 성층권에는 오존층이라는 층이 존재하여 온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하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 중간권의 경우에는 대류권의 현상과 마찬가지로 오존층(즉, 열원)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 수록 온도가 내려갑니다.

열권은 온도가 올라가죠? 그 이유는 태양과 가깝기 때문에 열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과학1단원-지구의구조

대기권의 구조



1. 대기권

   (1) 지구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층을 대기권이라고 한다.
   (2) 대기권은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의 4개의 층으로         구분한다.
        ① 대류권, 중간권 :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② 성층권, 열권 :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진다.
   (3) 대기권은 질소, 산소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표에서 높이
       100km까지는 공기의 성분비가 거의 일정하다.


2. 대기권의 구조
   (1) 대류권
        ① 지표면으로부터 약 10km 높이까지의 구간을 대류권이라고 한다.
        ② 대류권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은 하강하는데, 100m 올라감에 따라 약 0.65℃
            씩 하강하여 10km 높이에서는 -50℃ 정도가 된다.
        ③ 대기권을 구성하는 전체 기체의 약 75%가 지표면에 가까운 대류권에 집중되어 있
            다.
        ④ 대기가 불안정하여 대류 현상과 구름, 비가 내리는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2) 성층권
        ① 지표로부터 약 10∼50km의 구간을 성층권이라고 한다.
        ② 지표로부터 약 20∼30km의 구간에 오존층이 존재하며,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오
            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구상의 생물을 보호한다.
        ③ 성층권의 아랫부분에서는 -50℃ 정도로 기온이 일정하지만, 윗부분은 자외선을 흡
            수한 오존층이 가열되어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진다.
        ④ 위아래의 공기가 섞이는 대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⑤ 구름 등의 기상 현상이 없으므로 비행기의 항로로 이용되고 있다.
   (3) 중간권
        ① 지표로부터 약 50∼80km의 구간을 중간권이라고 한다.
        ② 중간권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은 하강하며, 약 80km 높이에서는 대기권 중 가
            장 낮은 온도(-90℃)가 나타난다.
        ③ 대기가 불안정하여 대류 현상이 나타나지만, 공기가 희박하여 기상 현상은 나타나
            지 않는다.
   (4) 열권
        ① 중간권 위로부터 약 600km 높이까지의 구간을 열권이라고 한다.
        ② 열권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진다.
        ③ 공기가 매우 희박하여 밤낮의 기온차가 매우 크다.
        ④ 극지방에서는 청백색 또는 황록색의 오로라(극광) 현상이 나타난다.




온실 기체와 지구의 온난화


1. 온실 기체 
   지구 대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기체로 되어 있다. 이 중에
   서 수증기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들은 태양 복사 에너지는 잘 통과시키지만 지구가 방
   출하는 복사 에너지를 가로막아 지표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마치
   온실 속에 들어가 있을 때 바깥에 비해 기온이 높아지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
   한 현상을 온실 효과라고 한다.
2. 온실 기체의 종류 
   온실 기체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많으며, 그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은 수증기
   이다. 수증기의 온실 효과는 전체 온실 기체의 95%를 차지하지만, 대기 중에 거의 일정하
   게 존재하기 때문에 온실 기체로 여기지 않는다. 결국 온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 기
   체는 나머지 5%에 불과한 이산화탄소, 메탄 등이다.
3. 온실 효과의 영향 
   만약, 온실 기체가 없다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가두지 못해 지구의 연평
   균 기온은 -18℃ 정도밖에 안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온실 기체로 인해 지
   구는 46억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비교적 따뜻한 기후를 나타낼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산업 혁명 이후 문명의 발달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 기체의 경우 계속해서 대기 중의 농도
   가 증가하고 있어 지구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오존과 자외선

1. 오존
   오존은 엷은 푸른색을 띠는 자극성 기체로 살균, 탈취 작용을 한다. 가끔씩 복사기와 같은
   전기 기구 주변에서 신선한 냄새를 맡을 수 있는데, 이것은 오존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며 
   번개가 친 후 공기 중에서 느낄 수 있는 상쾌함도 이 오존의 생성 때문이다. 자연 상태에서
   오존은 산소 분자가 자외선에 의해 분리되어 생긴 산소 원자와 다른 산소 분자가 반응하여
   생긴다.
2. 오존층의 형성 
   지상에서 20∼30km 부근인 성층권 내에는 오존이 두꺼운 층을 이루며 지구를 감싸고 있
   다. 이 구간을 오존층이라 부르는데, 산소 분자가 산소 원자와 결합하여 오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구간에서 오존이 잘 형성되는 것은 산소 원자가 상층부에 많이 모여 있기 때문이
   다. 성층권 내의 오존층에서는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다시 산소 분자와 산소 원자로
   분해되기도 한다. 이 오존층에서는 오존의 생성과 분해가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오존의 양
   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3. 오존의 역할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 가운데 사람과 동식물에게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하
   는 역할을 한다. 곧, 오존층은 지구상의 생물체를 지켜 주는 방패와 같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지구의 기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4. 지표 부근의 오존 
   지표 근처에서도 대기 오염 물질로부터 햇빛에 분해되어 생긴 산소 원자가 산소 분자와 결
   합하여 오존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오존은 성층권의 오존과는 달리 도
   시 스모그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식물의 생장을 방해한다. 따라
   서,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증가하면 오존 주의보를 발령하게 된다. 이 때는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지구 내부의 조사 방법

1. 지구 내부의 조사
   (1) 직접적인 방법 : 시추법, 화산 분출물 조사
   (2) 간접적인 방법 : 지진파의 분석
2. 지진과 지진파
   (1) 지진
        지구 내부에서 발생한 충격이 사방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지진이 발생한 지점을 진원,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의 지점을 진앙이라고 한다.
   (2) 지진파
        ① 지진이 발생할 때 생기는 충격파로 성질이 다른 물질과 만나면 굴절하거나 반사된
            다.
        ② 지진파의 종류
            · P파 : 속도가 빠르며, 고체, 액체, 기체를 모두 통과한다.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같다(종파).
            · S파 : 속도가 느리며, 고체만 통과한다.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서로 수직이다
                     (횡파).
   (3) 지구 내부를 지나는 지진파의 전달 모습
        ① 성질이 서로 다른 각 층을 지나면서 지진파의 전달 모습이 바뀌게 된다.
        ② 일부 지역에서는 P파만 관측된다.

3. 지구 내부에서의 지진파의 속도 변화

   (1) 지진파의 속도가 크게 달라지는 곳은 모두 세 군데이므로 지구의 내부는 모두 4개의
        층(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지각을 지난 지진파의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데, 이 경계면을 모호로비치치 불연속
        면(또는 모호면)이라고 한다.
   (3) 지하 2900km 부근에서부터 S파는 지나지 못하는데, 이것은 외핵이 액체 상태의 물질
        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4) 지하 2900km보다 더 깊은 곳에서는 P파의 속도가 서서히 증가한다.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1. 층상 구조 
   깊이에 따른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기준으로 크게 지각, 맨틀, 외핵, 내핵의 4개 층으로 구
   분한다.
2. 지각
   (1) 지표에서 모호면까지의 구간으로 암석으로 되어 있다.
   (2) 지각의 구분
        ① 대륙 지각 : 두껍고 가벼운 암석으로 되어 있으며, 평균 두께는 약 35km이다.
        ② 해양 지각 : 얇고 가벼운 암석으로 되어 있으며, 평균 두께는 약 5km이다.
3. 맨틀
   (1) 모호면에서 지하 2900km까지의 구간으로 전체 부피의 약 82%를 차지한다.
   (2) 지각보다 무거운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동성 있는 고체 물질로 여겨지고 있다.
4. 핵
   (1) 지하 2900km에서 지구 중심(6400km)까지의 구간으로 가장 무거운 물질로 되어 있다.
   (2) 핵의 구분
        ① 외핵 : 지하 2900km에서 5100km까지의 구간으로 액체 상태의 물질로 추정된다.
        ② 내핵 : 지하 5100km에서 지구 중심까지의 구간으로 단단한 고체 상태의 물질로 구
                     성되어 있다.



지진파
1. 지진파의 구분
   지진이 발생했을 때 기록되는 지진파는 크게 P파와 S파로 구분한다. 속도가 빨라 관측소
   에 먼저 도달하는 파를 P파(Primary wave)라고 하며, 물질의 상태에 관계 없이 모두 통과
   할 수 있다. 그리고 속도가 느려서 P파 다음에 도달하는 파를 S파(Secondary wave)라
   하며, 고체 상태의 물질만을 통과할 수 있다.
2. 지진파의 성질
   지진파 중 P파는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일치하는 종파로 지표면을 상하로 진동시킨다.
   그리고 S파는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어 횡파라고 부르며, 지표면
   이 좌우로 흔들려 지진의 피해가 크게 나타난다.






3. 지진의 기록
  지진은 지진계를 이용하여 기록하며, 이 때 지진계는 땅이 흔들려도 추가 흔들리지 않는
   성질(관성)을 이용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거야 대기권에 따라 관련이 있는데

 

대기권은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이 있습니다.

 

높이올라가 열권이 되면 열권은 낮에는 태양열을 받아

 

뜨거워 지지만 밤에는 태양열을 받지못해

 

무지 추워 집니다.

 

제 답변은 여기까지입니다.

 

부족한답변은 죄송하구요. 물어보실거 있으면 더 물어보셔도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류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반면에

그위의 성층권은 올라갈수록 높아지죠.

그위에 중간권은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그위에 열권은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그것은 공기변화에 따른 온도변화입니다.

위로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는 것은

중력의 작용때문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추워지는 것은

성층권계면이 차가운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점점 가까우면 가까울 수록 성층권계면과 가까워지기 때문이겠죠.

중간권계면보다는 덜 온도가 낮겠지만..

그래서 대류권이 올라갈수록 추운겁니다.

그래서 산위에서 밥을 하면 설익기도 하지 않습니까?

(중력 때문이기도 하지만요)

 

무엇보다도 시베리아로 올라가는 바람이

일본과 우리나라를 거치기도 하는점도 영향력있지만서도요.

 

좋은 답변이 되었었으면 좋곘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표면 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열의 영향을 더 적게받기때문이죠^^

 

대기권의 가장  밑부분인 대류권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집니다^^

 

간단하게 정리를 하면 지표면 부근의 기온은

 

지표면 으로 부터 높이 올라갈수록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지표면이

 

방출하는 열을 적게 받기때문에 낮아지는 거죠^^

 

제가 좀 내용을 이상하게 쓴거같기도 하고..아무튼 답변 

 

짧게 써서 정말 죄송합니다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는 뭐가 감소해서 그런건가요? 과학1단원-지구의구조 대기권의 구조 1. 대기권 (1) 지구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층을...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

지표변 부근의 대기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과 이유를 알켜 주세요 안녕하세요^^ 정답을 말씀드릴게요.. (참고로 저는 과학선생입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이유는?

대기권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이유는? 뭐죠?! 대기권에서 높이올라간다고 기온이낮아지는 것은 아니에요 지구의 대기권은 온도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높이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나요? 5줄 이상으로 답좀 부탁드려요 높이올라갈수록 태양에 가까워지니 더 뜨거워야 하지 않느냐.. 라고 묻고 싶으신건가 요? 물론 그렇긴...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이유?

... '지표면 부근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라고 나와있는데요...... 정말 이유가 뭔가요????? 내일 과학수업이 들어서요 오늘 까지요!!...

산을높이올라갈수록기온이낮아지는이유...

산을높이올라갈수록기온이낮아지는이유가머에요??^ㅡ^! 답변부탁드릴께요^^! 중력에 따라 낮은 고도에서는 지구 복사에너지의 양이 밀집하게 되는데 따라서 낮은고도 보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