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의 여러 궁금점 [라인업 교재]

지구과학의 여러 궁금점 [라인업 교재]

작성일 2007.08.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과고 준비하고 있는 중1 학생입니다                                                                                                      꽤 어려운 프리미엄 라인업 교재에서 지구과학중

너무 어려운 것들이 많아 질문 합니다.

알아 듣기 쉽게 설명해주세요 ^^ 내공은 일단 50들어가고 잘 써주시면

감사내공도 들어가겠습니다. 알아 듣기 쉽게, 되도록이면 짧게 잘만써주신다면 펌도 가능,

다는 모르지만 아시는 것이 있다면 번호를 적고 답을 기재하여 주세요^^

하지만 제가 거의다 찾아본 다음에 안나오는 것들만 골라서 질문하는것이니

펌은 80% 불가능 할듯 ㅋㅋ

 

1.지구 반지름이 현재보다 더 커지거나 작아진다면 중력이 어떻게 변할지 예상하여

서술하시오.

 

2.지구 반지름이 현재보다 작아진다면 지구의 내부 구조와 대기 구조는 어떻게 변할지

예상하여 서술하시오.

 

3.지표면에서 높이 80km까지는 기체의 성분비가 거의 일정하고, 8km이상에서는 높이에

따라 기체의 성분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4.만약 지구의 내핵에서 핵폭탄을 터뜨린다면 어떻게 될지 예상하여 서술하시오.

[단, 지진파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내핵에다가 핵폭탄 못터뜨린다는 헛솔 ㅈㅅ)

 

5.미구의 환경이 생물체가 살기 힘들 정도로 되었을 때 우리가 대안으로

생각할수 있는 천체는 화성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왜 화성이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2)대안으로서의 화성은 생물체가 살기에 표면 온도가 너무 낮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화성의 표면온도가 낮은 이유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시오.

 

6.지구의 연평균 기온은 15도로 거의 일정하다. 이는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지구가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같기 때문이다. 즉, 지구가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위도별로 지구상의 각 지역이 모두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그이유를

설명하시오.

(2)그렇다면 적도 지방과 극지방의 온도가 더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7.사람은 숨을 쉴때 지구 대기인 질소79%,산소20%,약1%이산화탄소,아르곤을

마셧다가 내쉴 때 다시 79%질소,산소16%,5%이산화탄소를 버린다. 이때

질소가 인체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쓰고, 그런 역할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8.암석을 구성하는 주된 광물을 조암 광물이라고 한다.  이처럼 암석을 이루는

기본 알갱이를 원소로 하지 않고 광물로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9.암석이 녹아서 마그마가 되는 현상과 변성 작용은 열과 압력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같은 현상으로는 취급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를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10.먼 바다에서 바람에 의해 생긴 파도는 진행 방향이 불규칙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해변에서는 파도가 해안선의 모양대로 밀려들어 온다. 파도가 해안선에

평행하게 밀려오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1.오존층의 높이는 지상에서 20~25km이다. 그런데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겨울에서 봄에 걸쳐서는 낮고, 여름에서 가을에는 높다. 이처럼 오존층의 높이가

계절에 따라 바뀌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2.우리나라는 여름철에는 장마 기간이 있기 때문에 강물의 범람이 잦아서

대부분의 하천에 범람원이 잘 발달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범람원은 토지가

비옥하여 보통 농경지로 이용된다고 한다. 범람원의 토지가 비옥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자 여기까지 지구과학중에서 꽤 어렵다는 문제들은 다 나온것 같군요

기한은 짧습니다만 잘 부탁드립니다. 제발 지식IN님들의 힘을 보여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지구 반지름이 현재보다 더 커지거나 작아진다면 중력이 어떻게 변할지 예상하여

서술하시오.

 중력은 먼저 만유 인력을 이해해야 한다. 만유 인력 F= Gm1 m2/r제곱 G=만유인력 상수, 두물체의 질량 각 각 m1, m2  r= 두 물체사이의 거리 이다. 여기서 지구 반지름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때 변하지않는 것은 만유인력상수인G와 우리 사람의 질량 즉 m2이다. 그런데 반지름이 늘어나면 분모는 제곱수로 늘어나지만, 질량은 세제곱수로 늘어나므로, 반지름이 커지면 중력은 커지고, 반지름이 줄어들면 중력이 작아진다.

2.지구 반지름이 현재보다 작아진다면 지구의 내부 구조와 대기 구조는 어떻게 변할지

예상하여 서술하시오.

반지름이 작아진다고 해서 내부의 구조는 크게 변할 것이 없다. 중력이 약해저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원소들이 좀더 지표면에 가깝게 매장되 있거나 하는 점 이외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대기 구조는 중력이 약해지면서 현재 성층권 하부까지만 밀집되있던 공기가 중간권 하부까지 퍼질 것이다. 또한 오존층도 존재위치가 올라갈 것이다.

 

3.지표면에서 높이 80km까지는 기체의 성분비가 거의 일정하고, 8km이상에서는 높이에

따라 기체의 성분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이건 솔직히 잘 모르겠다. ㄷㄷㄷ

4.만약 지구의 내핵에서 핵폭탄을 터뜨린다면 어떻게 될지 예상하여 서술하시오.

[단, 지진파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내핵에다가 핵폭탄 못터뜨린다는 헛솔 ㅈㅅ)

내핵 주변에 액체상태인 외핵이 둘러싸고 있기때문에 고페만 통과하는 S파는 지표면에 있는 인간으로선 전혀 느끼지 못하고 지구 중심이 진원이기때문에 온지구 사람들이 P파를 느낄 것이다.

5.지구의 환경이 생물체가 살기 힘들 정도로 되었을 때 우리가 대안으로

생각할수 있는 천체는 화성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왜 화성이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2)대안으로서의 화성은 생물체가 살기에 표면 온도가 너무 낮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화성의 표면온도가 낮은 이유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시오.

미구.. 오타 후덜덜덜.. 

  (1) 화성이 대안인 이유 ㅡ 얼음이 있다. (녹이면 물로쓸 수 있다.)

                                              ㅡ 지구의 중력과 비슷 하다.

                                              ㅡ 지구가 생물이 살기 힘든 환경이 되었을때는 화성이 태양과의

                                                    거리가 태양계 행성들 중에 제일 좋은 위치이다.

(2) 화성의 표면온도는 태양과의 거리가 조금 멀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기가 없고 얼음이 있어서 태양열을 보존 하기 어렵고 태양 열을 반사시키기 때문이다.  해결방법 :  화성에 식물을 심어서, 대기를 만든다.  대량의 반사판을 화성 위성 궤도에 띄어 태양 열을 반사하여 화성의 표면 온도를 올린다.

6.지구의 연평균 기온은 15도로 거의 일정하다. 이는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지구가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같기 때문이다. 즉, 지구가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위도별로 지구상의 각 지역이 모두 복사 평형을 이루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그이유를

설명하시오.

(2)그렇다면 적도 지방과 극지방의 온도가 더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 예를 들어 위도 90도 에 가까운 극지방은 빙하에의해 태양열을 반사시키는 양이 많다. 또한 적도지방은 상대적으로 바다가 많아서 태양열을 많이 흡수한다.

(2) 첫째 바람. 둘째 바다의 해류.

7.사람은 숨을 쉴때 지구 대기인 질소79%,산소20%,약1%이산화탄소,아르곤을

마셧다가 내쉴 때 다시 79%질소,산소16%,5%이산화탄소를 버린다. 이때

질소가 인체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쓰고, 그런 역할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질소에대해선 문외한.  ㅠ.ㅠ  죄송합니다.

8.암석을 구성하는 주된 광물을 조암 광물이라고 한다.  이처럼 암석을 이루는

기본 알갱이를 원소로 하지 않고 광물로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이것은 처음 듣는 소리군요. 신기신기 아마 기본 알갱이가 더 쪼갤수 잇는 상태이니깐 원소라고 부르지 않는게 아닐까요?

9.암석이 녹아서 마그마가 되는 현상과 변성 작용은 열과 압력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같은 현상으로는 취급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를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암석이 녹는 것은 말그대로 열받아서 녹은것이고 변(변한다.) 성(성질이)는 열받아서 성질이 변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다르다~!   이게논리적인가? ㅡ.ㅡ;;;

10.먼 바다에서 바람에 의해 생긴 파도는 진행 방향이 불규칙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해변에서는 파도가 해안선의 모양대로 밀려들어 온다. 파도가 해안선에

평행하게 밀려오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몰라 알수가 없어~~~

11.오존층의 높이는 지상에서 20~25km이다. 그런데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겨울에서 봄에 걸쳐서는 낮고, 여름에서 가을에는 높다. 이처럼 오존층의 높이가

계절에 따라 바뀌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겨울에서 봄은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아서 밀도가 증가해 높이가 내려가고, 여름에서 가을은 상대적으로 기온이 올라가 단열팽창에 의해 밀도가 낮아져 높이가 올라간다.

12.우리나라는 여름철에는 장마 기간이 있기 때문에 강물의 범람이 잦아서

대부분의 하천에 범람원이 잘 발달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범람원은 토지가

비옥하여 보통 농경지로 이용된다고 한다. 범람원의 토지가 비옥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범람원은 크게 두지형으로 구분된다. 자유곡류하천(강) 양옆에 물이 범람할때 알갱이가 큰 돌들이 제일 먼저 가라앉어 쌓여진 자연제방과 알갱이가 작아 나중에 가라앉은 배후습지가 바로 그것이다. 배후습지는 구성물질이 작은 조립질이라서 물이 한번 범람하면 물이 배수가 잘 안되서 물이 찰방찰방한 즉 습지이다. 따라서 물이 찰방찰방 차있어야하는 농사에 딱이다. 또한 강에서 범람한 알갱이는 말그대로 엄청난 양분을 함유하고 있다.(이유는 노루똥 사슴똥 다들어 있어~!~!)

 

 

이상 허졉한 답변 (ㅡㅡ)(_ _)(^^)

지구과학의 여러 궁금점 [라인업 교재]

과고 준비하고 있는 중1 학생입니다 꽤 어려운 프리미엄 라인업 교재에서 지구과학중 너무 어려운 것들이 많아 질문 합니다. 알아 듣기 쉽게 설명해주세요 ^^ 내공은 일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