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이 잘 안보이는 이유

북극성이 잘 안보이는 이유

작성일 2024.03.1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북극성은 맨눈으로도 제일 잘 보인다규 그러는데 왜 실제로 찾아 보려고하면 잘 안보이는 건가요?
앱과 실제를 비교해서 북두칠성(큰곰)까진 찾았는데 북극성(작은곰)은 안보여요

중3입니다 이해 가능하고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

1. 북극성이 잘 안 보이는 이유
2. 가장 잘 보이는 달 과 시간대

tmi 가끔 옥상에 올라가 밤하늘을 보는 한 학생의 순수한 궁금증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북극성이 젤 ~ 잘 ~~ 보인다고 누가그래요??? 북극성은 대략 3등급으로써 그리 잘 보이는편은 아닙니다.

작은곰자리의 꼬리 끝 부분에 있구요. 다만 시간이 지나도 항상 그 자리에 가만히 있기 때문에 그게 특이해서

나름대로 유명한 별입니다. 큰곰자리도 북두칠성이 밝아서 찾기쉬울뿐이지 온전히 큰곰자리 다~ 보시려면 은근히 어렵습니다. 작은곰자리는 작은곰 몸뚱이 부분의 4개별은 그나마 잘 보이는편이고 꼬리 끝부분이 북극성인데 그놈은 은근히 어두운편이라 잘 보이지 않습니다.

2. 1년 365일 어두워지고 날씨좋고 달이 없을때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밤 하늘에 띄염띄염 보이는 별들은 최소 2등급 정도이며 보통 도심지에선 1등급의 별이 잘 보이고 맑은날은 2등급의 별도 보입니다. 궁금하면 스텔라리움. 스타워크2 같은앱 사용해보세요. 별자리나 행성등..

달이 뜨고 지고하는것도 볼 수 있습니다.

3. 지금 밤하늘에 가장 밝은별은 "시리우스" 이며 별을 재외하고 가장 밝은놈은

오늘날짜 기준 달 아래쪽에 있는 "목성" 이 가장 밝습니다.

아래사진에는 없지만 별이 맨눈으로 이정도는 보이는날에 찾아야 북극성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번째, 북쪽을 찾는다.

나침반을 이용하여 북쪽을 찾거나 낮 12시 32분에 나무 막대 그림자의 방향이 북쪽이 된다.

두 번째, 북극성을 찾는다.

북쪽을 바라보고 37° 높이에 있는데 별을 찾으면 북극성이 된다.

북극성 주위에는 북극성보다 밝은 별이 없기 때문에 맑은 날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북쪽을 바라보고 37°를 찾는 방법은 손을 이용하면 된다.

<손으로 각도 재기> - 팔을 쭉 뻗어 손가락을 펴면 엄지와 새끼손가락이 이루는 각이 20°가 된다.

고도 37°를 손으로 각을 측정하려면 왼쪽 팔을 뻗어 손가락을 펴고 새끼손가락이 아래에, 엄지가 하늘을 향하게 한 다음에

오른 팔을 뻗어 손을 펴고 새끼손가락을 왼손 엄지와 만나게 하고 오른손 엄지가 하늘을 향하게 한다.

그러면 오른손 엄지 근처에 북극성이 있다.

아래 그림에서 북쪽을 보고 눈높이에서 37° 위에 북극성이 있다.

북극성을 제대로 찾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북극성 주위에 있는 큰곰자리나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북두칠성 A과 B 별을 연결한 크기의 5배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북두칠성이 잘 안 보이는 경우에는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D별과 C 지점을 연결한 크기의 5배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북극성을 매일 밤 관측해도 항상 그 자리에 있다. 그래서 어디로 여행을 가더라도 북극성을 찾아 놓으면 동서남북 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북극성을 찾았다면 북극성과 지평선 사이에 있는 별들은 땅 아래로 지지 않는 별들이다.

땅 아래로 지지 않기 때문에 맑은 날 밤이면 언제든지 관측할 수 있다.

남반구에서 북극성이 안보이는 이유는...

... 그 이유북극성이 지표면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서 그런가요 ? ㅜㅜ... 안보이는경우가 대부분이겠지요.. 그럼 남반구로 가면? 남위 45도 정도라면 90 - 135(90+45) = -45 즉...

북극성이 365일 보이는 이유??

... 북극성이 1년 365일 보이는 이유는 자전축의 연장선 부근에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보면 알 수 있는데요 다른별들은 다 원을 그리면서 돌지만 유독 하나의 점이 가만히...

북극성의 고도와 지구가 둥근이유

... 하지만 지구가 둥글다면 북극성이 안보이는 곳도 생겨날수있고 북극성이 머리 꼭대기에 있는경우도 생길수 있습니다 지구가 평평하다면 절대 일어날수 없는 일이지요ㅎㅎ

북극성이 항상 제자리인 이유.

... 이해가 잘 안 갑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고 북극성도 움직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지구의 공전과 같은... 북극성이 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

북극성이 움직이지않는이유

... 우리 지구중 북극에서 봐도 북극성은 움직입니다. 물론 그것이 보이지 않겠지요..... 북극성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 결론으로는.. 지구와 거의 직각으로...

북극성의 고도가 그 지역의 위도인 이유

북극성의 고도가 그 지역의 위도인 이유가 뭡니까? 조금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자전축과 북극성의 위치가 비슷해서라고 인터넷에 나와있는데 이해가 잘 안되네요....

북극성의 별빛을 평행광선으로...

... 이것이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일단 둥그런 지구를 상상해 보세요...한 축구공 만하게 상상해보세요 그 축구공 바로 위의 천정에 북극성이 있다고...

북극성의 위치

... 별이 보이지 않나요? : 맞아요^^ 근데 북극성이 밤새도록 보이는 이유 : 우리나라는 북위 33도에서 북위 43도(북한 포함!) 사이에 있어요. 그런데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