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내부에서 철까지만 생성되는 이유

별 내부에서 철까지만 생성되는 이유

작성일 2024.01.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문제집에서 ‘별 내부에서 철까지만 생성되는 이유’를 철 원자핵이 가장 안정된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별 내부에서 생성되는 원소와 안정된 원자핵이 무슨 관련이 있고, 서술형에서 ‘별 내부에서 철까지만 생성되는 이유’를 적으라고 하면 답으로 ‘철이 생성되면 핵융합 반응을 멈추기 때문이다.’ 라고 적으면 안되는 걸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철까지만 생성되는 이유는 철 이상의 무거운 원소를 융합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이 흡열 과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즉, 철 이상으로 반응을 일으키면 열을 가져가기 때문에 핵융합을 유지하는 핵의 시스템이 유지되기 어렵습니다. 다시 말하면, 그 이상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조건으로 나아가지 못합니다. 그 전의 경원소들의 반응까지는 발열 반응이라서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가게 해주지만, 철부터는 이 반응의 흡열-발열이 뒤집히면서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흡열 반응은 항성의 질량을 지탱해주는 열을 불안정하게 만들기 때문에 항성이 주계열성으로 기능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별 내부의 핵융합으로는 철까지만 생성

별 내부의 핵융합으로는 철까지만 생성되는데 철보다 거 무거운 원소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설명해주세요. 중성자 포획인 S-과정(무거운 적색거성에서)과 R-과정(초신성...

별 내부에서 철보다 무거운 원소

별 내부에서 철보다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지 않는 이유가 뭐죠 철이 핵자당 결합에너지가 가장 높습니다. 즉 가장 안정적인 상태라는 것이죠. 그러니까 철보다 원자번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