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식현상 행성 반지름

지구 식현상 행성 반지름

작성일 2023.11.03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외계 행성계를 탐사할때 식현상을 통해 탐사하는 방법도 있다고 알고 있는데, 이때 식현상이 일어나며 중심별의 밝기가 감소하는 시간을 측정하면 행성의 반지름을 추정할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단순 상대적으로 추정할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대략 어느정도 반지름 값이 나오나요? 만약 반지름 값이 나온다면 어떻게 왜 나오는건가요? 채택 바로 해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식현상은 외부 천체가 별 앞을 가리는 현상으로, 관측자의 위치에서 별의 밝기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외계 행성계를 탐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행성이 중심별을 트랜지트(통과)할 때, 별의 밝기가 잠깐 감소하고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이러한 밝기의 변화 패턴은 행성의 크기와 형태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행성의 크기가 커질수록 트랜지트로 인한 밝기의 감소는 더 크고 긴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따라서 행성의 반지름과 별과의 거리, 그리고 행성의 밀도와 구성물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행성의 반지름을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관측 데이터를 통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추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행성의 다른 특성들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성의 대기 조성이나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서의 생명 가능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데이터와 관측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식현상 관측은 현대 천문학에서 많이 활용되며, 이를 통해 많은 외계 행성이 발견되고 그 특성들이 조사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식현상을 통해 행성의 반지름을 추정할 때는 대략적인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중심별의 밝기가 감소하는 시간은 행성을 통과하는 시간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시간은 행성의 반지름과 행성과 중심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추정은 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정확한 반지름 값을 얻기는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행성이 중심별을 시선 방향(관측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앞을 통과할 때, 별의 밝기가 감소하고 다시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납니다. 식 현상으로 인한 밝기 변화는 행성의 반지름과 관련이 있습니다. 행성의 반지름이 클수록 밝기 감소의 정도와 식 현상 지속 시간은 더 큰 값을 가집니다. 행성의 공전 속도와 중심별의 반지름을 안다면, 상대적인 값을 통해 행성의 반지름이 중심별의 몇 배인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도 행성의 반지름을 알 수 있습니다.

원래 관측되던 중심별의 밝기 정도가 있을 겁니다. 식 현상으로 인해 행성이 별을 가리게 되면 원래 관측되던 밝기 정도보다 작게 관측될 겁니다. 이 감소폭은 행성의 면적(행성의 반지름^2)/ 별의 면적(별의 반지름^2)입니다.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아 정확하게 반지름을 구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방식들을 통해 대략적인 행성의 반지름은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식현상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의 반지름을 추정하는 방법은 상대적인 값을 제공하며, 정확한 반지름 값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정보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 방법은 대략적인 추정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식현상은 외계 행성이 그 주위의 별을 가리는 현상으로 관측됩니다. 이 현상을 통해 행성의 반지름을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방법의 원리와 제한 사항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1. 행성과 별 간의 상대 운동: 행성이 별 앞을 가로지르면, 별의 밝기가 일시적으로 약간 감소합니다. 이 감소된 밝기를 관측하면 행성의 지름에 비례한 밝기 감소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행성의 경로: 행성이 별을 가리는데 사용되는 경로에 따라서도 밝기 감소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행성이 완전히 별을 가리는 경우와 부분적으로 가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밝기 감소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3. 다른 요소의 영향: 다른 요소들(예: 행성의 대기, 대기 투명도 등)도 밝기 감소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현상을 통한 행성 반지름 추정은 상대적인 값으로 제공되며, 정확한 값이 아닐 수 있습니다. 정확한 반지름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과 함께 활용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 방법으로 얻은 반지름 값을 다른 관측 데이터와 모델링을 통해 보완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 식현상 행성 반지름

ㄱ이 맞다는데 반지름 어떻게 구하나요 루트 0.003대 루트 0.001 아닌가요? 네, 그렇습니다. 중심별 반지름이... 3:10으로 감소했으므로 루트(3): 루트(10)의 반지름 비를...

지구과학1 식현상 횡단법 질문

식현상을 이용하는 횡단법에서 행성반지름이 클수록 별의 밝기가 감소하잖아요 혹시 이거에 대한 공식이 있나요? 예를들면 반지름이 2배커지면 밝기가 4배감소한다거나...

지구과학 식현상 지속시간

행성반지름이 클수록 식현상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왜 이 문제에서는 A가 반지름이 더 큰데 식현상 지속 시간이 B보다 더 짧은가요? 표의 가로축을...

지구과학 식현상 밝기

지구과학 식현상에서 밝기는 1/반지름제곱 인가요? 식현상에 의한 밝기 감소량 = (행성반지름 제곱)/(별의 반지름 제곱) 행성의 면적이 분자, 별의 면적이 분모입니다.

지구과학1 식현상 지속 시간 ㅠㅠ

문제 답안지에 행성 공전 주기가 길수록(행성 궤도 반지름이 길수록) 식현상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고 했는데 1.공전 주기가 길면 관찰자 시각에서는 더 거리가 짧으니까...

지구과학1 식현상 질문입니다

... 나와있더라구요 지구과학1과정에선 그냥 거리따지지말고 행성질량 크면 중심별 회전운동반지름이 크다고만... 궁금합니다 식현상만 봤을때 A가 더 크니 공통질량중심이...

지구과학 외계행성탐사 식현상

t1에서 t3로 변할때 파장번화량이 커진거면 행성공전 반지름의 길이가 감소했다고 볼 수있지 않나요..? 그러면 행성지구의 사이가 멀어진건데.. ㄷ이 왜 맞는...

지구과학1 식현상

식현상행성의 지름과 중심별의 지름합이 클스록 식의 지속시간이 길어진다는데... 이용하기에 행성 반지름이 작다고 같은 항성의 지름만큼을 이동하는데 더 오래 걸리지는...